KR20120122601A -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22601A KR20120122601A KR1020110040850A KR20110040850A KR20120122601A KR 20120122601 A KR20120122601 A KR 20120122601A KR 1020110040850 A KR1020110040850 A KR 1020110040850A KR 20110040850 A KR20110040850 A KR 20110040850A KR 20120122601 A KR20120122601 A KR 201201226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de
- nodes
- mesh
- star
- networ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08694 Humulus lupul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운영에 있어서 자동으로 트래픽을 조절해서 대량의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자동적으로 토폴로지를 설정하기 때문에 별도의 네트워크 유지보수를 해야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스타 노드가 메쉬 노드로 변경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스타 노드가 메쉬 노드로 변경되는 다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메쉬 노드가 스타 노드로 변경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Name | Description |
Table Count | 현재 저장되어 있는 노드 개수를 의 |
Network Table Structure | 주변 노드의 파라미터 정보 |
Name | Description |
Node ID | Node ID |
Network Join Status | 0 : Network Down, 1 : Network Up |
Network Down Count | 전달 받은 네트워크 다운 횟수. 만약 Up으로 한번이라도 들어오면 0으로 초기화 한다. |
Topology | 0 : Star, 1 : Mesh |
코디네이터 RSSI | 멀티캐스팅 메시지의 마지막 10회 평균 RSSI 값 |
코디네이터 LQI | 멀티캐스팅 메시지의 마지막 10회 LQI 평균값 |
Current Depth | 현재의 홉수를 의미 |
Neighbor Table Cnt. | 네이버 테이블 수 |
Routing Table Cnt. | 라우팅 테이블 수 |
ZC: 지그비 코디네이터, ZR: 지그비 라우터,
ZED: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
Claims (9)
- 스타 노드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타 노드는 복수의 주변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다운(down)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다운(down) 상태의 연속 횟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다운(down) 상태의 연속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주변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 메쉬 노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업(up) 상태라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다운(down) 상태의 연속 횟수는 0으로 리셋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노드는 스타 노드인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메쉬 노드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쉬 노드는 복수의 주변 노드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검침 데이터를 제1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검침 데이터가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주변의 노드 중에서 스타 노드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
상기 스타 노드의 개수가 제2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타 노드들의 수신 강도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수신 강도가 가장 낮은 스타 노드에게 메쉬 모드 변경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메쉬 노드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쉬 노드는 복수의 주변 노드로부터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변 노드가 모두 메쉬 노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변 노드가 모두 메쉬 노드인 경우, 상기 메쉬 노드와 상기 주변 노드의 홉 수와 수신 강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홉 수가 동일한 상기 주변 노드들 중에서 상기 메쉬 노드보다 수신 강도가 높은 제1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노드의 링크 강도를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노드의 링크 강도가 상기 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메쉬 노드는 스타 노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홉 수가 상이하거나 상기 메쉬 노드가 상기 주변 노드들보다 수신 강도가 높은 경우, 상기 메쉬 노드의 주변 노드의 개수 또는 상기 메쉬 노드와 네트워크 조인된 다른 메쉬 노드의 개수가 각각 허용 최대 값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변 노드의 개수 또는 상기 다른 메쉬 노드의 개수가 허용 최대 값보다 크면 상기 주변의 노드와 상기 다른 메쉬 노드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비교 결과 상이한 노드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메쉬 노드는 스타 노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노드의 개수 및 상기 다른 메쉬 노드의 개수가 각각 허용 최대 값보다 작으면 상기 메쉬 노드는 메쉬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주변 노드의 ID, 네트워크 조인 상태, 네트워크 다운 횟수, 토폴로지, 코디네이터의 수신 강도(RSSI), 코디네이터의 링크 강도(LQI), 홉 수, 주변 테이블 개수, 라우팅 테이블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노드는 수신된 파라미터 정보를 각각의 주변 노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테이블에 갱신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0850A KR101241989B1 (ko) | 2011-04-29 | 2011-04-29 |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0850A KR101241989B1 (ko) | 2011-04-29 | 2011-04-29 |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2601A true KR20120122601A (ko) | 2012-11-07 |
KR101241989B1 KR101241989B1 (ko) | 2013-03-11 |
Family
ID=4750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0850A Active KR101241989B1 (ko) | 2011-04-29 | 2011-04-29 |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198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579B1 (ko) * | 2013-09-06 | 2014-09-22 | (주)누리텔레콤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센서 노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691B1 (ko) * | 2002-11-13 | 2007-11-09 | 엘지노텔 주식회사 | 통신 네트웍에서의 메쉬 그룹 설정 방법 |
KR100897913B1 (ko) * | 2007-07-27 | 2009-05-18 | (주)누리텔레콤 |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
KR100915555B1 (ko) * | 2007-10-02 | 2009-09-03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질의 기반의 경로 탐색을 수행하는지그비 메쉬 라우팅 방법 |
KR100942156B1 (ko) * | 2007-12-27 | 2010-02-12 | 주식회사 센서웨이 | 무선 단말기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노드별 자동 망구성방법 및 통신 고장 감내 방법 |
-
2011
- 2011-04-29 KR KR1020110040850A patent/KR101241989B1/ko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579B1 (ko) * | 2013-09-06 | 2014-09-22 | (주)누리텔레콤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센서 노드 |
WO2015034223A1 (ko) * | 2013-09-06 | 2015-03-12 | (주)누리텔레콤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센서 노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1989B1 (ko) | 2013-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5301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mesh networking | |
CN108370337B (zh) | 具有IoT网络设备的建筑物技术设备通信系统 | |
US10250503B2 (en) | Routing method and wireless node for wireless mesh network | |
TWI477171B (zh) | 用於無線多跳型網路之節點的網路介面單元及在無線多跳型網路之節點間建立網路路徑的方法 | |
US8588135B2 (en) | Integrated sensor networks with optical and wireless links | |
US8089912B2 (en) | Multicast communication method, accompanied with the relay node and wireless network system design | |
CN104869603B (zh) | 一种适用于无线监测控制网络的ZigBee路由方法 | |
CN101197748A (zh) | 一种基于分区树的多跳无线自组织网络构建方法 | |
JP7450762B2 (ja) | 無線制御システムの効率的なコミッショニング | |
CN102196458A (zh) | 一种无线宽带传感器网络的组网方法及装置 | |
JP5868551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 |
US20120320812A1 (en) | Method for Associating Time Slots with Links Between Network Nodes of a Wireless Interconnected Network | |
KR101217813B1 (ko) |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의 우선순위 결정 방법 | |
CN103051531B (zh) | 一种基于统计优化的ZigBee层级路由组网方法 | |
CN116347558A (zh) | 多跳中继通信系统和多跳中继通信网络的构建方法 | |
CN105072586A (zh) | 嵌入式无线自组织网络中对广播消息的转发的管理方法 | |
KR101241989B1 (ko) | 원격 검침 시스템의 토폴로지 설정 방법 | |
JP6493945B2 (ja) | 高密度大規模ネットワーク向けのGreen Power(プロキシテーブルのスケーリング) | |
KR101065663B1 (ko) | 트리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 루트 유지 방법 및 기록매체 | |
US20240430156A1 (en) | Device, network,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figuring a distributed intelligence network | |
KR20110003210A (ko) | 센서 네트워크의 자율 구성 방법 | |
Romdhani et al. | Strategy of self-organization in sensors and actuators networks | |
Zhu | Cross-Layer Routing Algorithm Design for QoS Provisionings over 802.11 s Wireless Mesh Networks | |
WO2012042431A1 (en) | Node configuration mechanism for improving mesh scalability | |
KR20120088053A (ko) | 센서 네트워크 제공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