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803A -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803A
KR20120121803A KR1020110039832A KR20110039832A KR20120121803A KR 20120121803 A KR20120121803 A KR 20120121803A KR 1020110039832 A KR1020110039832 A KR 1020110039832A KR 20110039832 A KR20110039832 A KR 20110039832A KR 20120121803 A KR20120121803 A KR 20120121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alignment
alignment axis
tensile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711B1 (ko
Inventor
정찬회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71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를 제공한다. 상기 지그는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인장 시편의 양단이 고정되고, 정렬 축선을 이루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정렬 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 시편의 측면과 상기 정렬 축선까지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그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JIG FOR ALIGNING TENSION SAMPLE AND TENSION TES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장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 시험 시 인장 시편을 정렬할 수 있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장 시험은 시편의 양단에 인장 하중을 점진적으로 가하여 시편이 파단 될 때까지 지속하는 시험이다.
종래의 인장 시험 장치는 인장 구동부, 시편 고정부, 하중 측정부 및 변위 측정부로 구성된다. 인장 시험기의 구동부와 측정부는 정밀한 제어와 측정이 가능하다.
판상의 인장 시편을 시험하는 경우, 인장 시편의 시편축이 인장 시험 축과 정렬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정렬된 상태에서 시험을 진행하여 신뢰성 있는 인장 시험 결과를 취득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정되는 정렬축선과 인장 시편의 평행부와의 폭을 평행부 측면의 다수 위치에서 측정하여 인장 시편을 정렬할 수 있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길이의 평행부를 갖는 인장 시편을 정렬할 수 있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인장 시편의 양단이 고정되고, 정렬 축선을 이루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정렬 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 시편의 측면과 상기 정렬 축선까지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 또는 서로 엇갈리는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폭은 상기 정렬 축선과 상기 인장 시편의 양단 사이에 형성되는 평행부 측면과의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일단이 상기 정렬축선에 일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정렬축선을 영점으로 하는 기준 눈금이 형성되는 한 쌍의 기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에 상기 정렬 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배치고 일단이 상기 평행부 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 시편은 양 측면이 서로 평행한 상기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단과, 상기 평행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단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단의 외부에 노출되는 한 쌍의 노출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의 수직 길이는 상기 한 쌍의 노출단의 수직 길이에 상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는, 상기 인장 시편의 외주로부터 일정 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평행부 측면과 구름(rolling) 접촉 또는 점(point) 접촉 중 어느 하나의 접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정렬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인장 시편의 양단이 고정되고, 정렬 축선을 이루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정렬 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 시편의 측면과 상기 정렬 축선까지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를 상하로 구동시켜 상기 인장 시편에 상기 정렬축선을 따르는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 구동부를 포함하는 인장 시험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정되는 정렬축선과 인장 시편의 평행부와의 폭을 평행부 측면의 다수 위치에서 측정하여 인장 시편을 정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의 평행부를 갖는 인장 시편을 정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부호 A의 확대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부의 다른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부의 또 다른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부의 접촉 부재가 다양한 형태로 인장 시편과 접촉되는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부가 고정부에서 정렬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인장 시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의 정면을 보여주고, 도 3은 상기 지그의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는 박편 형상의 인장 시편(10)의 정렬에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장 시편(10)은 양단에 한 쌍의 고정단(11)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단(11)은 평행부(1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단(11)과 상기 평행부(12)의 양단에는 한 쌍의 노출단(13)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지그는 크게 인장 시편(10)의 양단을 그립(또는 고정)하고, 정렬 축선(C0)을 이루는 한 쌍의 고정부(100)와, 상기 정렬 축선(C0)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 시편(10)의 측면과 상기 정렬 축선(C0)까지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는 상단 고정부(110)와 하단 고정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상단 고정부(110)와 하단 고정부(120)는 상하방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단 고정부(110)는 인장 시편(10)의 상단측 고정단(11)을 고정하고, 상기 하단 고정부(120)는 인장 시편(10)의 하단측 고정단(11)을 고정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단 고정부(110)는 인장 시편(10)의 상단측 고정단(11)이 끼워져 밀착되는 한 쌍의 상단 고정부 몸체(111,112)로 구성된다.
상기 하단 고정부(120)는 인장 시편(10)의 하단측 고정단(11)이 끼워져 밀착되는 한 쌍의 하단 고정부 몸체(121,122)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부(200)는 하단 고정부(120) 상면에 위치되는 제 1측정부(210)와, 상단 고정부(110) 하면에 위치되는 제 2측정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측정부(210,220) 각각은 한 쌍의 기준 부재(211,221)와,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211,2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장 시편(10)의 평행부(12)의 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 부재(212,22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측정부(210,220)는 지그의 정면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2측정부(210,22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장 시편(10)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후 위치가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측정부(210,2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제 1,2측정부(210,220)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측정부(210)의 구성을 대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 1측정부(210)는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미도시)을 통하여 하단 고정부(1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 1기준 부재(211)와, 상기 제 1기준 부재(211)의 상단에서 정렬 축선(C0)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접촉 부재(2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기준 부재(211)의 일단은 정렬 축선(C0)과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접촉 부재(212)는 제 1기준 부재(211)의 상단에서 인장 시편(10)의 평행부(12) 측부에 위치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기준 부재(211)는 기준 눈금이 형성된다. 상기 기준 눈금의 영점은 상기 정렬 축선(C0)과 일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측정부(220)는 제 1측정부(210)와 마주 보는 위치의 상단 고정부(110)의 하면에 설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기준 부재(211)는 인장 시편(10)의 외주와 일정 갭(G)을 이룬다. 상기 갭(G)에 의하여 제 1기준 부재(211)는 인장 시편(10)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2측정부(220)는 상기 제 1기준 부재(211)와 동일 구성인 제 2기준 부재(221)와, 상기 제 1접촉 부재(212)와 동일 구성인 제 2접촉 부재(2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2기준 부재(211,221)의 수직 길이(H)는 인장 시편(10)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서의 노출단(13)의 수직 길이(h)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2기준 부재(211,221) 각각의 제 1,2접촉 부재(212,222)는 인장 시편(10)의 평행부(12) 측면에 접촉되도록 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접촉 부재(212)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되는 예가 채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 하면, 제 1기준 부재(211)의 상단에는 정렬 축선(C0)과 직교 방향을 따라 일정의 슬라이딩 폭을 갖는 레일홈(211a)이 형성되고, 제 1접촉 부재(212)의 하단에는 상기 레일홈(211a)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레일 돌기(21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접촉 부재(212)는 외력에 의하여 레일홈(211a)을 따라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 하면, 제 1기준 부재(211)의 상단에는 정렬 축선(C0)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의 슬라이딩 폭을 갖고 일측이 개구되는 레일홈(211a')이 형성된다.
제 1접촉 부재(212)의 하단에는 상기 레일홈(211a')에 위치되고 볼 스크루(230)와 나사 체결되며 스크루 홀(212c)이 더 형성되는 레일 돌기(21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볼 스크루(230)의 일단은 레일홈(211a')의 일측단에 회전 지지되고, 타단은 레일홈(211a')의 개구 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스크루(230)의 타단에는 다이얼(231)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접촉 부재(212)는 레일홈(211a')에 끼워진 상태로 볼 스크루(2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에는 제 1접촉 부재(212)의 이동 방식의 예들을 기술하였으며, 상기의 예들 이외의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의 구성은 모두 채택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접촉 부재(212)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스크루 홀(212b)이 더 형성된다. 상기 스크루 홀(212b)에는 볼트(B)가 스크루 체결된다.
볼트가 스크루 홀(212b)에 체결되면서, 볼트(B)의 하단이 제 1기준 부재(212)의 상면을 가압하면, 제 1접촉 부재(212)는 제 1기준 부재(211) 상에서 슬라이딩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로 하면, 인장 시편(10)의 상단측 고정단(11) 및 하단측의 고정단(11) 각각은 상단 고정부(110) 및 하단 고정부(120)에 일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차적 고정의 의미는 인장 시편(10)의 상단 및 하단이 양측 방으로 억지 유동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 고정단(110)과 하단 고정단(120)에는 상하를 가로지르는 정렬 축선(C0)이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정렬 축선(C0)은 인장 시편(10)의 인장 시험시 시편(10)의 시편축(C)을 정렬하기 위한 기준 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측정부(210)의 제 1기준 부재(211)의 일단과 제 2측정부(220)의 제 2기준 부재(221)의 일단 각각은 정렬 축선(C0)에 일치되는 상태를 이룬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인장 시편(10)의 시편축(C)은 정렬 축선(C0)을 기준으로 오정렬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2접촉 부재(212,222)는 외력을 제공 받아 상기에 언급되는 슬라이딩 방식을 통하여 정렬 축선(C0)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평행부(12)의 상단측 및 하단측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측정부(210)는 인장 시편(10)의 하단측 평행부(12) 측면과 정렬 축선(C0) 사이의 제 1폭(δ1)을 측정할 있다. 제 2측정부(220)는 인장 시편(10)의 하단측 평행부(12) 측면과 정렬 축선(C0) 사이의 제 2폭(δ2)을 측정할 있다.
상기 제 1폭(δ1)은 제 1기준 부재(211)의 영점으로부터 하단측 평행부(12) 측면에 접촉되는 제 1접촉 부재(212)의 단부까지의 거리이다. 상기 제 2폭(δ2)은 제 2기준 부재(221)의 영점으로부터 상단측 평행부(12) 측면에 접촉되는 제 2접촉 부재(222)의 단부까지의 거리이다.
상기 측정되는 제 1폭(δ1)과 제 2폭(δ2)이 일치되는 값을 이루면, 인장 시편(10)의 시편축(C)은 정렬 축선(C0)과 정렬되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상기 측정되는 제 1폭(δ1)과 제 2폭(δ2)이 서로 다른 값을 이루면, 인장 시편(10)의 시편축(C)은 정렬 축선(C0)으로부터 오정렬 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1폭(δ1)과 제 2폭(δ2)을 측정하면서 인장 시편(10)의 오정렬 상태를 정렬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렬 상태를 이루면, 고정부(100)를 사용하여 인장 시편(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장 시편(10)의 고정단들(11)을 재차 고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그의 정면을 기준으로 인장 시편(10)의 평행부(12)의 일측면 상단측 및 하단측 측면에 가압력을 각각 제공하여 인장 시편(10)을 유동시키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측정부(210,220)가 지그의 정면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측정부(210,220)는 지그의 정면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물론, 여기서 상기 제 1,2측정부(210,220)의 엇갈리는 방향은 도 에 도시되는 방향과 대칭을 이루도록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측정부(210)는 하단측 평행부(12) 일측면과 정렬 축선(C0) 사이의 폭을 측정하고, 제 2측정부(220)는 상단측 평행부(12) 타측면과 정렬 축선(C0) 사이의 폭을 측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부가 두 쌍으로 구성되어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을 참조 하면, 한 쌍의 제 1측정부(210)는 하단 고정부(120) 상면에서 정렬 축선(C0)을 경계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제 2측정부(220)는 상단 고정부(110) 하면에서 정렬 축선(C0)을 경계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 1측정부(210)는 하단측 평행부(12) 양측면과 정렬 축선(C0) 사이의 폭들을 측정하고, 한 쌍의 제 2측정부(220)는 상단측 평행부(12) 양측면과 정렬 축선(C0) 사이의 폭들을 측정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그는 인장 시편(10)의 평행부(12)의 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측정되는 폭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장 시편(10)의 시편축(C)을 정렬 축선(C0)과 일치되도록 정밀하게 조절하여 보정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한편, 인장 시험을 진행하는 경우, 슬라이딩 이동되는 접촉 부재들(212,222)의 일단이 인장 시편(10)의 평행부(12)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장 시험시, 서로 접촉되는 접촉 부재(212,222)의 일단과 평행부의 측면에서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접촉 부재(212,222)는 상기 평행부(12)와 구름 접촉(rolling contact) 또는 점(point) 접촉 중 어느 하나의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측정부(210)를 대표의 예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접촉 부재(212)의 일단에 회전축(H)을 갖는 롤러(240)를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24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 1접촉 부재(212)의 롤러(240)는 평행부(12)의 측면과 구름 접촉된다. 상기 구름 접촉되는 면에서의 마찰력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점 접촉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점 접촉의 방식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접촉 부재(212)의 일단을 뾰족한 돌기(241)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둥근 돌기(242)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둥근 돌기들(243) 형상으로 형성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채택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접촉 부재(212)의 일단에 다수의 뾰족한 돌기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 접촉(point contact)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접촉 부재(212,222)의 일단과 평행부(12) 측면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되는 측정부(200)를 정렬 축선(C0)을 따라 폭(평행부(12) 측면과 정렬 축선(C0) 사이의 거리) 측정 위치를 가변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2는 제 1측정부의 승강 위치가 가변 조절될 수 있는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은 이동 유닛(3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300)은 하나 또는 다수의 가이드 로드(310)와, 스크루 볼트(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가이드 로드(310)는 하단 고정부(120)에 정렬 축선(C0)을 따라 직립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제 1기준 부재(211)는 상기 가이드 로드(310)가 관통되어 승강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루 볼트(320)는 나사부(321)와, 나사부(32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22)를 갖는다. 상기 연장부(322)의 단부에는 원판형의 머리부(323)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321)는 정렬 축선(C0)을 따라 하단 고정부(120)에 스크루 체결된다. 상기 나사부(321)의 하단은 하단 고정부(120)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연장부(32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기준 부재(211)에 회전되도록 끼워진다. 상기 머리부(323)는 제 1기준 부재(211)에 회전 지지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나사부(321)의 하단을 일정의 회전 방향으로 돌리면, 나사부(321)는 하단 고정부(120)에 스크루 체결된 상태로 승강된다.
그리고, 나사부(321)의 상단에 연장되고 제 1기준 부재(211)를 회전 지지하는 연장부(322) 역시 상승된다.
이의 동작에 따라, 연장부(322) 및 머리부(323)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는 제 1기준 부재(211)의 승강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측정부(210)의 승강 방식은 제 2측정부(2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인장 시편(10)의 평행부(12) 측면과 정렬 축선 사이의 폭을 측정 하기 위한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인장 시편(10)의 노출단(13)의 수직 길이(h)에 한정되지 않고 평행부(12)의 측면으로부터 정렬 축선(C0) 까지의 폭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도 13을 참조 하면, 상기와 언급되는 지그는 인장 구동부(400)와 연결되어 인장 시험 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인장 구동부(400)는 상단 구동부(410)와, 하단 구동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구동부(410)는 상단 고정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하단 구동부(420)는 하단 고정부(120)와 연결된다.
상기 상단 구동부(410)와 하단 구동부(420)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고, 정렬 축선(C0)을 따라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강제 유동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지그에 의하여 인장 시편(10)의 시편축(C)이 정렬 축선(C0)에 정밀하게 정렬되면, 인장 구동부(400)는 외부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인장 시편(10)에 일정의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인장 시편(10)은 시편축(C)이 정렬 축선(C0)과 일치되는 상태로 인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장 시험 장치는 신뢰성 있는 인장 시험 결과를 도출할 수는 잇점을 갖는다.
10 : 인장 시편 11 : 고정단
12 : 평행부 13 : 노출단
100 : 고정부 110 : 상단 고정부
111 : 상단 고정부 몸체 120 : 하단 고정부
121 : 하단 고정부 몸체 200 : 측정부
210 : 제 1측정부 211 : 제 1기준 부재
211a,211a' : 레일홈 212 : 제 1접촉 부재
212a,212a' : 레일 돌기 220 : 제 2측정부
221 : 제 2기준 부재 222 : 제 2접촉 부재
230 : 볼 스크루 300 : 이동 유닛
310 : 가이드 로드 320 : 스크루 볼트
400 : 인장 구동부 410 : 상단 구동부
420 : 하단 구동부

Claims (9)

  1.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인장 시편의 양단이 고정되고, 정렬 축선을 이루는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정렬 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 시편의 측면과 상기 정렬 축선까지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 또는 서로 엇갈리는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은 상기 정렬 축선과 상기 인장 시편의 양단 사이에 형성되는 평행부 측면과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일단이 상기 정렬축선에 일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정렬축선을 영점으로 하는 기준 눈금이 형성되는 한 쌍의 기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에 상기 정렬 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배치고 일단이 상기 평행부 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시편은,
    양 측면이 서로 평행한 상기 평행부와,
    상기 평행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단과,
    상기 평행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단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단의 외부에 노출되는 한 쌍의 노출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의 수직 길이는,
    상기 한 쌍의 노출단의 수직 길이에 상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는,
    상기 인장 시편의 외주로부터 일정 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평행부 측면과 구름(rolling) 접촉 또는 점(point) 접촉 중 어느 하나의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정렬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9.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인장 시편의 양단이 고정되고, 정렬 축선을 이루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정렬 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 시편의 측면과 상기 정렬 축선까지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를 상하로 구동시켜 상기 인장 시편에 상기 정렬 축선을 따르는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시험 장치.
KR1020110039832A 2011-04-27 2011-04-27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KR101267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832A KR101267711B1 (ko) 2011-04-27 2011-04-27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832A KR101267711B1 (ko) 2011-04-27 2011-04-27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803A true KR20120121803A (ko) 2012-11-06
KR101267711B1 KR101267711B1 (ko) 2013-05-27

Family

ID=4750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832A KR101267711B1 (ko) 2011-04-27 2011-04-27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7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187A (ko) * 2014-05-28 2015-12-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시편 셋팅장치 및 방법
KR101661474B1 (ko) 2015-05-26 2016-10-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충격완화장치가 장착된 복수 시험편의 직렬식 하중 부가장치
CN106289950A (zh) * 2015-05-27 2017-01-04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拉伸对中装置及方法
KR20180032069A (ko) * 2016-09-21 2018-03-29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물성 평가 장치
KR20200060826A (ko) * 2018-11-23 2020-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압척 상에 판재 시편 고정을 위한 위치 보정 모듈 및 이를 갖는 축하중 시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007B1 (ko) 2016-12-06 2018-11-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인장압축 시험장치의 하중선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지그
KR102516962B1 (ko) 2021-07-13 2023-04-0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시편 저항 측정 및 인장 시험용 지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187A (ko) * 2014-05-28 2015-12-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시편 셋팅장치 및 방법
KR101661474B1 (ko) 2015-05-26 2016-10-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충격완화장치가 장착된 복수 시험편의 직렬식 하중 부가장치
CN106289950A (zh) * 2015-05-27 2017-01-04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拉伸对中装置及方法
CN106289950B (zh) * 2015-05-27 2023-05-12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拉伸对中装置及方法
KR20180032069A (ko) * 2016-09-21 2018-03-29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물성 평가 장치
KR20200060826A (ko) * 2018-11-23 2020-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압척 상에 판재 시편 고정을 위한 위치 보정 모듈 및 이를 갖는 축하중 시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711B1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711B1 (ko)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US8800392B2 (en) Deformation testing device
CN108489806B (zh) 拉伸疲劳试验机平板试样的原位对中夹持装置及方法
KR20150006155A (ko) 유압실린더의 성능시험장치
KR101290403B1 (ko) 회전 굽힘 피로 시험 장치
US10928279B2 (en) Rotation drum alignment ascertaining device
CN106152908B (zh) 一种用于轴瓦的检具
US8201440B2 (en) Large diameter hardness tester
KR20110030997A (ko) 인장,압축 및 피로시험용 익스텐소미터 거치대
KR101510606B1 (ko) 인장 시험용 지그
CN105716566A (zh) 轴类零件粗糙度测量装置
CN102564670A (zh) 高压开关动静触头压力测量装置
KR100422424B1 (ko) 정적 관성곱 모멘트의 측정이 가능한 질량특성 시험장치
KR101820023B1 (ko) 엘엠가이드 테스트장치
KR20190032085A (ko)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KR101853829B1 (ko) 소재 물성 평가 장치
CN208936924U (zh) 拉伸试件测量支架装置
KR100421570B1 (ko) 대구경 인장시편 길이 변형율 측정장치
CN110530719A (zh) 推进剂单向拉伸试验装置及方法
CN209069143U (zh) 一种钢架结构件的综合检测装置
KR101215535B1 (ko) 부재 센터링 장치
CN106643436A (zh) 一种钢质管道全长直度的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101284284B1 (ko) 표점거리 가변형 익스텐소미터
CN210089666U (zh) 一种张紧轮测量工装
CN215448739U (zh) 一种弯曲试验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