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650A - 축사 분뇨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분뇨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650A
KR20120121650A KR1020110039579A KR20110039579A KR20120121650A KR 20120121650 A KR20120121650 A KR 20120121650A KR 1020110039579 A KR1020110039579 A KR 1020110039579A KR 20110039579 A KR20110039579 A KR 20110039579A KR 20120121650 A KR20120121650 A KR 20120121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rn
winding rollers
manur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문
김영희
Original Assignee
박광문
김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문, 김영희 filed Critical 박광문
Priority to KR102011003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650A/ko
Publication of KR2012012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2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scrapers or the like moving to-and-fro or step-by-step

Abstract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 비해 간단한 구성, 용이한 시공, 설치면적 간소화 및 우수한 분뇨 제거 성능을 갖는 축사 분뇨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청소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 상기 베이스 하부에 전후로 상호 이격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권취롤러,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상기 제1 또는 제2 권취롤러로 전달하는 중계수단,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에 대한 상호 연동수단을 포함하고, 축사(畜舍)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축사의 타측 벽체에 설치되는 지지롤러유닛; 축사 바닥의 분뇨를 밀기 위한 스크랩유닛; 및 상기 스크랩유닛의 전단부(前端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 또는 상기 제2 및 제1 권취롤러 순으로 감긴 후 상기 지지롤러유닛을 지나 상기 스크랩유닛의 후단부(後端部)에 연결되는 와이어유닛;을 포함하여 구현한다.

Description

축사 분뇨 청소장치{A CLEANING APPARATUS OF NIGHT SOIL}
본 발명은 축사(畜舍)의 바닥에 쌓인 분뇨(糞尿)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수단의 동력에 의해 제1 및 제2 권취롤러가 정 또는 역회전하고, 이에 권취된 와이어유닛이 축사 바닥에 설치된 스크랩유닛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당기게 됨에 따라 스크랩유닛의 푸시플레이트가 축사 바닥의 분뇨를 바닥의 수집공간부에 밀어 넣게 되는 축사 분뇨 청소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축사의 바닥에 쌓인 분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285923호(2001.01.09.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축사 바닥을 위한 분뇨 제거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축사의 바닥 양 측부 앞, 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롤러와, 회전롤러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회전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고정된 걸림판과, 걸림판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모터 구동 시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바닥판이 회전체의 반전위치에 이르는 위치에서 회전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함으로써, 쌓인 분뇨를 제거하게 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축사 바닥에 다수의 회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회전롤러에 걸쳐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롤러의 구동을 위한 모터와, 회전체에 고정되는 걸림판과, 걸림판 사이에 삽입되는 바닥판 등의 구성이 축사 바닥 전반에 걸쳐 설치되어야 하는 등, 요구되는 설치면적이 넓고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 분뇨가 다수의 회전롤러 축이나 회전체 등에 끼어 구동을 방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뇨에 의해 부식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축사 바닥의 분뇨를 밀게 되는 바닥판은 양 걸림판 사이에 위치하여 전진하게 되는데, 상기 바닥판에 대한 상부 측 이동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에, 분뇨 제거 시 말라 굳어서 바닥에 붙어버린 분뇨 등과 접촉하면서 분뇨를 밀지 못하고 타고 넘어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동 중 걸림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구동유닛과, 축사 바닥의 분뇨를 밀어 제거하기 위한 스크랩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의 동력에 의해 상기 스크랩유닛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한 와이어유닛 등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며 분뇨 제거를 위한 전진 동작 및 원위치하게 되는 후진 동작이 원활한 축사 분뇨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크랩유닛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잡아당겨 전진 및 후진 동작케 하기 위한 와이어유닛이 구동유닛의 제1 및 제2 권취롤러에 감겨지게 됨으로써, 와이어유닛에 대한 원활한 동작 성능 향상과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축사 분뇨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분뇨를 밀기 위해 전진했던 스크랩유닛의 푸시플레이트가 후진 시에는 상부 측으로 회전 위치함으로써, 축사 바닥으로부터 상방 이격된 상태로 후진하게 되도록 구현한 축사 분뇨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청소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 상기 베이스 하부에 전후로 상호 이격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권취롤러,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상기 제1 또는 제2 권취롤러로 전달하는 중계수단,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에 대한 상호 연동수단을 포함하고, 축사(畜舍)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축사의 타측 벽체에 설치되는 지지롤러유닛;
축사 바닥의 분뇨를 밀기 위한 스크랩유닛; 및
상기 스크랩유닛의 전단부(前端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 또는 상기 제2 및 제1 권취롤러 순으로 감긴 후 상기 지지롤러유닛을 지나 상기 스크랩유닛의 후단부(後端部)에 연결되는 와이어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의 제1 및 제2 권취롤러는 각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유닛이 감겨지게 되는 나선홈 형태의 권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유닛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 전후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두 홀딩부,
상기 프레임 중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단면이 원형인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두 홀딩부의 공간부를 잇는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장착편을 갖고 전방을 향해 축사 바닥과 접하는 푸시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두 홀딩부의 공간부를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착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진퇴부재
를 포함하고, 축사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두 홀딩부는 상기 진퇴부재가 후퇴하면서 상기 푸시플레이트가 상기 서포트를 기준으로 후방 회전하게 될 때에 상기 진퇴부재의 후퇴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청소장치는,
구성이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분뇨 제거 성능이 우수한 분뇨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스크랩유닛을 잡아당겨 전진 및 후진시키기 위한 와이어유닛이 두 권취롤러에 나선 형태로 감겨있어 동작 시 원활한 동작 성능과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분뇨를 밀게 되는 스크랩유닛의 푸시플레이트가 전진 시에는 바닥과 접하고 후진 시에는 바닥으로부터 상방 이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청소장치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청소장치의 구동유닛을 나타낸 일부 평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청소장치의 스크랩유닛을 입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청소장치의 설치 상태 측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청소장치의 사용상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구동유닛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지지롤러유닛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 구동유닛의 구동수단 측을 상부 또는 상방, 제1 및 제2 권취롤러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1의 "A" 및 도 3의 "B"는 해당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그리고 축사(畜舍)는 벽체와 지붕, 그리고 바닥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건물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구동유닛(10)에서 인접한 위치의 바닥에 움푹 파인 형태의 분뇨 수집공간부(1)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청소장치는,
크게 구동유닛(10), 지지롤러유닛(20), 스크랩유닛(30) 및 와이어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구동유닛(1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畜舍)의 일측, 즉 전방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고 다수의 수평바(113)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는 두 수직플레이트(111)와, 상기 두 수직플레이트(111)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플레이트(112)를 갖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11)의 수평플레이트(112)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12),
상기 베이스(11)의 두 수직플레이트(111) 사이 공간부에 전후로 상호 이격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
상기 구동수단(12)의 동력을 상기 제1 또는 제2 권취롤러(13A, 13B)로 전달하는 중계수단(14),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에 대한 상호 연동수단(1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수평플레이트(112) 상부 후방 측에 장착되고 구동풀리(121a-1)가 결합된 구동축(121a)을 갖는 구동모터(121),
상기 베이스(11)의 수평플레이트(112) 상부 전방 측에 장착되고 종동풀리(122a-1)가 결합된 종동축(122a)과, 내부의 감속모듈(미도시)과, 이 감속모듈에 의해서 감속된 회전 동작을 하게 되고 스프로켓(122b-1)이 결합된 중계축(122b)을 포함하는 감속기(122),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21)의 구동풀리(121a-1)와 상기 감속기(122)의 종동풀리(122a-1)를 연결하는 풀리벨트(123),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베이스(11)의 두 수직플레이트(111) 사이 공간부에 전후 배치되고, 각각 양단부(兩端部)가 상기 두 수직플레이트(1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각각 외주면 전반에 걸쳐 나선홈 형태의 권취부(13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계수단(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12)의 동력을 상기 제1 또는 제2 권취롤러(13A, 13B)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방에 위치한 상기 제1권취롤러(13A)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현하였다.
상기 제1권취롤러(13A)의 축에 결합되는 중계스프로켓(141), 그리고
상기 중계스프로켓(141)과 상기 구동수단(12)에서 감속기(122)의 스프로켓(122b-1)을 연결하는 중계체인벨트(142)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동수단(1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권취롤러(13A)와 상기 제2권취롤러(13B)의 상호 연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1권취롤러(13A)의 축에 결합되는 제1연동스프로켓(151),
상기 제2권취롤러(13B)의 축에 결합되는 제2연동스프로켓(15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연동스프로켓(151, 152)을 연결하는 연동체인벨트(153)
로 이루어진다.
지지롤러유닛(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의 타측 벽체, 즉 상기 구동유닛(10)이 설치된 맞은편 벽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롤러(21), 그리고
상기 지지롤러(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재(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롤러유닛(20)은 상기 와이어유닛(40)의 원활한 이동 동작을 위하여 벽체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스크랩유닛(30)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의 타측에 설치되어 축사 바닥의 분뇨를 분뇨 수집공간부(1)에 밀어 넣기 위한 것으로,
양측에 상호 이격되게 세워지는 두 지지플레이트(311)와, 상기 두 지지플레이트(311)를 상호 연결하고 전후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 지지봉(312, 313)을 포함하는 프레임(31),
상기 프레임(31)의 전방 및 후방 지지봉(312, 313) 각각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321)를 갖는 두 홀딩부(32),
상기 프레임(31)의 두 지지플레이트(311)를 연결하는 형태로 이의 중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단면이 원형인 서포트(33),
상기 서포트(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두 홀딩부(32)의 공간부(321)를 잇는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장착편(341)을 갖고 전방을 향해 축사 바닥과 접하는 푸시플레이트(34), 그리고
상기 두 홀딩부(32)의 공간부(321)를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착편(3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진퇴부재(3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31)의 두 지지플레이트(311)에는 이들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수평 받침부(311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푸시플레이트(34)의 양단부는 상기 받침부(311a)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두 홀딩부(32)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퇴부재(35)가 후퇴하면서 상기 푸시플레이트(34)가 상기 서포트(33)를 기준으로 후방 회전하게 될 때에 상기 진퇴부재(35)의 후퇴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322)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322)는 상기 두 홀딩부(32)의 공간부(321) 상단을 막게 되는 형태로 상기 두 홀딩부(32)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두 홀딩부(32)는 단면이 대략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아울러 도 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322)는 상기 푸시플레이트(34)가 축사의 바닥으로부터 상방 이격되어 상기 스크랩유닛(30) 후퇴 시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 상기 푸시플레이트(34)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진퇴부재(35)의 후퇴 거리에 맞게 상기 두 홀딩부(32)의 공간부(321)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푸시플레이트(3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의 일측 즉, 분뇨 수집공간부(1)를 향해 경사진 구조로서,
상기 두 홀딩부(32)의 공간부(321)를 잇는 동일선 상에 해당하는 상부 중앙부에 전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결합되고 체결홀(341a)을 갖는 상기 장착편(341), 그리고
하단부에 배열되어 바닥과 접하게 되는 고무 재질의 푸시체(342)
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체(342)는 볼트 등에 의해서 상기 푸시플레이트(34)로부터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퇴부재(35)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유닛(40)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당겨지게 될 때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두 홀딩부(32)에서 전방에 위치한 홀딩부(32)의 공간부(321)를 지나 전방 돌출된 전단부(前端部)에 형성되는 전방 결합공(351),
상기 두 홀딩부(32)에서 후방에 위치한 홀딩부(32)의 공간부(321)를 지나 후방 돌출된 후단부(後端部)에 형성되는 후방 결합공(352), 그리고
상기 푸시플레이트(34)의 장착편(341) 체결홀(34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대응체결홀(353)
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푸시플레이트(34)와 상기 진퇴부재(35)는 상기 대응체결홀(353)과 상기 체결홀(341a)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서 상호 결합된다.
와이어유닛(4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의 와이어로서,
상기 스크랩유닛(30)의 전단부(前端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 또는 상기 제2 및 제1 권취롤러(13B, 13A) 순으로 감긴 후 상기 지지롤러유닛(20)을 지나 상기 스크랩유닛(30)의 후단부(後端部)에 연결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스크랩유닛(30)에서 상기 진퇴부재(35)의 전방 결합공(351)에 연결되어 상기 각 권취롤러(13A, 13B)에 감긴 후 상기 지지롤러유닛(20)의 지지롤러(21)를 지나 상기 스크랩유닛(30)에서 상기 진퇴부재(35)의 후방 결합공(353)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청소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 바닥의 분뇨를 청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유닛(10) 작동 시,
상기 구동유닛(10)에서 구동수단(12)의 구동모터(121)가 작동되고,
상기 구동모터(121)의 구동축(121a)와 이에 결합된 구동풀리(121a-1)가 회전함에 따라 풀리벨트(123)로 연결된 상기 감속기(122)의 종동축(122a) 및 이에 결합된 종동풀리(122a-1)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감속기(122)에 내장된 감속모듈(미도시)을 통해 감속된 중계축(122b) 및 이에 결합된 스프로켓(122b-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중계수단(14)의 중계스프로켓(141)이 상기 중계체인벨트(142)에 의해 상기 스프로켓(122b-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상기 연동수단(15)의 제1 및 제2 연동스프로켓(151, 152)이 연동체인벨트(153)에 의해 상호 연동됨으로써,
결국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가 회전하게 된다.
도면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유닛(40)에 의해 상기 스크랩유닛(30)의 푸시플레이트(34)가 축사 바닥과 접한 상태로 분뇨 수집공간부(1) 측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푸시플레이트(34)에 의해 밀린 축사 바닥의 분뇨가 분뇨 수집공간부(1)에 낙하 수집된다.(도 5를 참조)
반대로 도면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유닛(40)에 의해 상기 스크랩유닛(30)의 푸시플레이트(34)가 축사 바닥과 비(非)접촉된 상태로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와이어유닛(40)에 의해 후방 측으로 잡아지게 됨에 따라 상기 푸시플레이트(34)는 상기 서포트(33)를 기준으로 후방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진퇴부재(35)가 상기 두 홀딩부(32)의 공간부(321) 내에서 후방 상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진퇴부재(35)가 상기 두 홀딩부(32)의 스토퍼(322)에 걸려 정지된다.
결국 상기 푸시플레이트(34)의 푸시체(342)는 축사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스크랩유닛(30)이 후진 이동하게 된다.(도 6을 참조)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축사 분뇨 청소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구동유닛
11 : 베이스 111 : 수직플레이트
112 : 수평플레이트 113 : 수평바
12 : 구동수단 121 : 구동모터
121a : 구동축 121a-1 : 구동풀리
122 : 감속기 122a : 종동축
122a-1 : 종동풀리 122b : 중계축
122b-1 : 스프로켓 123 : 풀리벨트
13A, 13B : 제1 및 제2 권취롤러
131 : 권취부
14 : 중계수단 141 : 중계스프로켓
142 : 중계체인벨트 15 : 연동수단
151, 152 : 제1 및 제2 연동스프로켓
153 : 연동체인벨트
20 : 지지롤러유닛
21 : 지지롤러 22 : 지지부재
30 : 스크랩유닛
31 : 프레임 311 : 지지플레이트
311a : 받침부 312, 313 : 전방 및 후방 지지봉
32 : 홀딩부 321 : 공간부
322 : 스토퍼 33 : 서포트
34 : 푸시플레이트 341 : 장착편
341a : 체결홀 342 : 푸시체
35 : 진퇴부재 351 : 전방 결합공
352 : 후방 결합공 353 : 대응체결홀
40 : 와이어유닛

Claims (4)

  1. 베이스(11), 상기 베이스(11)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12), 상기 베이스(11) 하부에 전후로 상호 이격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 상기 구동수단(12)의 동력을 상기 제1 또는 제2 권취롤러(13A, 13B)로 전달하는 중계수단(14),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에 대한 상호 연동수단(15)을 포함하고, 축사(畜舍)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유닛(10);
    축사의 타측 벽체에 설치되는 지지롤러유닛(20);
    축사 바닥의 분뇨를 밀기 위한 스크랩유닛(30); 및
    상기 스크랩유닛(30)의 전단부(前端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 또는 상기 제2 및 제1 권취롤러(13B, 13A) 순으로 감긴 후 상기 지지롤러유닛(20)을 지나 상기 스크랩유닛(30)의 후단부(後端部)에 연결되는 와이어유닛(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축사 분뇨 청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10)의 제1 및 제2 권취롤러(13A, 13B)는 각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유닛(40)이 감겨지게 되는 나선홈 형태의 권취부(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분뇨 청소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유닛(30)은
    프레임(31),
    상기 프레임(31) 전후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321)를 갖는 두 홀딩부(32),
    상기 프레임(31) 중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단면이 원형인 서포트(33),
    상기 서포트(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두 홀딩부(32)의 공간부(321)를 잇는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장착편(341)을 갖고 전방을 향해 축사 바닥과 접하는 푸시플레이트(34), 그리고
    상기 두 홀딩부(32)의 공간부(321)를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착편(3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진퇴부재(35)
    를 포함하고, 축사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분뇨 청소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홀딩부(32)는 상기 진퇴부재(35)가 후퇴하면서 상기 푸시플레이트(34)가 상기 서포트(33)를 기준으로 후방 회전하게 될 때에 상기 진퇴부재(35)의 후퇴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32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분뇨 청소장치.
KR1020110039579A 2011-04-27 2011-04-27 축사 분뇨 청소장치 KR20120121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579A KR20120121650A (ko) 2011-04-27 2011-04-27 축사 분뇨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579A KR20120121650A (ko) 2011-04-27 2011-04-27 축사 분뇨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650A true KR20120121650A (ko) 2012-11-06

Family

ID=4750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579A KR20120121650A (ko) 2011-04-27 2011-04-27 축사 분뇨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65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9628A (zh) * 2015-11-13 2016-03-09 刘操 一种冬暖夏凉自动清粪的多功能家畜舍
CN105494119A (zh) * 2016-01-19 2016-04-20 马鞍山纽泽科技服务有限公司 自动除粪装置
CN108575767A (zh) * 2018-03-06 2018-09-28 范科晨 一种防腐蚀易清洗清粪机
CN108967205A (zh) * 2018-08-14 2018-12-11 谢晨 一种家庭农场标准化母猪养殖猪舍
CN111631149A (zh) * 2020-06-13 2020-09-08 徐州蔬客达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猪养殖水泡粪养殖舍用清扫结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9628A (zh) * 2015-11-13 2016-03-09 刘操 一种冬暖夏凉自动清粪的多功能家畜舍
CN105379628B (zh) * 2015-11-13 2018-11-27 宁夏锐盛明杰知识产权咨询有限公司 一种冬暖夏凉自动清粪的多功能家畜舍
CN105494119A (zh) * 2016-01-19 2016-04-20 马鞍山纽泽科技服务有限公司 自动除粪装置
CN108575767A (zh) * 2018-03-06 2018-09-28 范科晨 一种防腐蚀易清洗清粪机
CN108967205A (zh) * 2018-08-14 2018-12-11 谢晨 一种家庭农场标准化母猪养殖猪舍
CN111631149A (zh) * 2020-06-13 2020-09-08 徐州蔬客达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猪养殖水泡粪养殖舍用清扫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1650A (ko) 축사 분뇨 청소장치
US9192966B2 (en)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continuous surfaces, in particular solar thermal collectors, photovoltaic panels, continuous glazed building walls and similar surfaces
CN110250012A (zh) 一种带有清理机构的圈舍
TWI394527B (zh) Pig toilet separation system
CN103947560B (zh) 一种往复自走式机械刮粪机
CN107152013B (zh) 一种环境保护用河道清污装置
CN202179031U (zh) 新型刮板式自动清粪装置
CN104674746A (zh) 台阶除雪机
CN203802368U (zh) 免水蹲便器及包含该免水蹲便器的移动厕所
CN201454234U (zh) 一种转网式除污机
CN201709211U (zh) 养猪场猪粪尿的集收装置
CN210017387U (zh) 一种楼房出粪系统
CN203735220U (zh) 一种往复自走式机械刮粪机
CN211631297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畜牧养殖用喂料槽
CN213267661U (zh) 一种畜牧养殖粪便清理装置
CN204491498U (zh) 台阶除雪机
CN210594009U (zh) 一种装饰材料用输送装置
CN210746592U (zh) 全自动清粪带清粪机
CN103053431A (zh) 一种底物清除装置
CN216164391U (zh) 一种蛋鸡养殖用养殖舍地面清洁装置
CN103835253A (zh) 一种可挂在机动车上的护栏清洁机
CN205816305U (zh) 一种电杆生产用石料清洗除尘机
CN216701252U (zh) 一种新型羊养殖污物处理装置
CN202989821U (zh) 一种可挂在机动车上的护栏清洁机
CN217722342U (zh) 一种湖羊养殖用粪便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