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115A -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115A
KR20120121115A KR1020110038889A KR20110038889A KR20120121115A KR 20120121115 A KR20120121115 A KR 20120121115A KR 1020110038889 A KR1020110038889 A KR 1020110038889A KR 20110038889 A KR20110038889 A KR 20110038889A KR 20120121115 A KR20120121115 A KR 20120121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
electrode material
carbon nanotube
carbon nanotubes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528B1 (ko
Inventor
박수진
이슬이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52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7Tin or alloys based on t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용량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의 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끝단을 개방하고, 개방된 끝단에 액중삽입법으로 주석계 금속 소재, 특히 주석을 고함량 삽입시킴으로써, 탄소나노튜브 내에서 주석이 환원과정을 거쳐 캡슐화 되는 것으로 충방전 시 체적변화를 최소화하여 우수한 싸이클 특성을 갖도록 한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in-filled Carbon nanotubes as anode materials for improving the charge/discharge system}
본 발명은 고용량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의 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끝단을 개방하고, 개방된 끝단에 액중삽입법으로 주석계 금속 소재, 특히 주석을 고함량 삽입시킴으로써, 탄소나노튜브 내에서 주석이 환원과정을 거쳐 캡슐화 되는 것으로 충방전 시 체적변화를 최소화하여 우수한 싸이클 특성을 갖도록 한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른 정보사회의 고도화 추세에 따라 통신기기 기술도 급진전되어 다양한 이동통신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통신기기용 전원으로서의 전지도 고집약적 능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노트북,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휴대가 가능하고 간편한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경우에는 특히 고에너지밀도화, 장수명화, 초소형과, 경량화, 안정성 확보, 환경친화성 보장 등의 조건이 강력히 요구되어 이에 상응하도록 현재도 계속 개발되고 있다.
이차전지란 충전(charge)과 방전(discharge)을 계속 반복시킬 수 있는 전지를 말하며, 이온화 경향 차이가 큰 두 전극의 전해질을 통하여 가역적으로 산화환원 반응에 따른 전자의 이동현상, 즉 전기 에너지의 제조공정으로 볼 수 있다. 이차전지 시스템으로서 초기에 개발된 니켈-카드뮴(Ni-Cd) 및 납축전지 등이 있으나, 이러한 전지는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한계점을 드러냈으며, 또한 고성능 전자기기에 필요한 높은 에너지밀도와 출력밀도의 요구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에너지 밀도가 가능한 재료로서 니켈수소(Ni-MH), 리튬계 이차전지가 대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리튬계 이차 전지에 있어서도 1990년대만 하여도 전지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적 측면에서부터 다양한 조합이 이루어져 왔으며, 현재 가장 광범위한 품목이 되어 있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Lithium Ion Polymer Battery: LIPB), 현재 연구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LPB) 등으로 발전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1970년대 초부터 연구개발이 진행되었지만, 1990년대부터 리튬금속 대신 탄소를 음극으로 사용한 리튬 이온전지가 개발되면서 실용화되었으며, 500회 이상의 사이클 수명과 1~2시간의 짧은 충전시간을 특징으로 하고 니켈수소에 비해 30~40% 정도 가벼워 사용기기의 경량화에 기여하며, 휴대전화, PDA 등 이동기기의 수요 증가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분리막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전지를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선 고용량 특성의 음극소재가 필요하고 높은 출력이 요구되는 전기자동차 등에서는 고출력의 양극소재를 필요로 한다. 초기 연구의 리튬 일차전지의 음극은 리튬 금속을 사용하였으나, 리튬 금속을 이차전지의 음극으로 사용할 경우 여러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그 중 하나는 리튬 금속의 가역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더불어, 안정성에 대한 문제도 빼놓을 수 없는데, 리튬은 충전시 수지상 또는 침상의 표면구조로 리튬금속 표면에 전착되며, 수지상으로 성장한 리튬은 분리막을 뚫고 양극과 접촉하여 내부의 단락이 발생할 경우 전지의 폭발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안정성 측면에서, 탄소질 재료는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재료중 하나이다. 더불어 부피 변화가 적고 가역성이 뛰어나며 가격면에서 유리한 점이 많아 적합한 물질로 인식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음극용 탄소재료로는 흑연, 코크, 탄소섬유, 피치, 메조 카본 등이 있다.
이차전지 음극소재용 흑연구조는 탄소원자가 벤젠구조 형태를 이루는 그라핀 층이 층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층과 층사이는 약한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힘으로 결합되어 있다. 전지의 충방전시 리튬이온은 그라핀층과 층 사이로 충ㆍ방전을 가역적으로 하게되며, 이러한 흑연계 음극물질은 전지의 음극소재가 필요로 하는 낮은 충방전 전위, 높은 가역용량 및 충ㆍ방전시 낮은 부피변화 및 전해질 내에서의 높은 안정성을 만족시켜 지금까지 2차전지의 음극소재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흑연계 음극소재는 안전성과 가역성에서 많은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용량 면에서는 372 mAh/g(충전이론용량)로 저장능력의 한계로 장시간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어, 이차전지용 음극소재로의 응용에 큰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탄소소재의 낮은 이론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높은 이론용량을 갖는 실리콘계(4,200 mAh/g)나 주석계 (959 mAh/g)를 기반으로 하는 비탄소계 음극활물질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금속계 소재는 충ㆍ방전시 매우 큰 부피팽창(200~350%)에 의하여 급격한 효율성 저하가 나타나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최근에는 고용량과 함께 우수한 충ㆍ방전 특성을 갖는 이차전지용 음극소재의 개발을 위하여 비탄소계 금속소재의 코팅 및 캡슐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금속소재의 캡슐화를 위하여 탄소나노튜브 내부에 금속소재를 삽입하여 금속소재의 부피팽창을 막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1991년 Iijima에 의해 발견된 탄소나노튜브는 일반적으로 수 내지 수십 nm의 직경과 수 내지 수백 ㎛의 길이를 갖으며, 종횡비가 수십에서 수천에 달하는 극히 미세한 원통형 재료이다. 다이아몬드의 2배에 가까운 열전도도 및 구리와 비교하여 1,000배 가량 높은 전류 이송 능력 등의 뛰어난 물성으로 인하여 나노 스케일의 전기, 전자 디바이스, 나노 센서, 광전자 디바이스, 고기능 복합재 등 모든 공학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탄소나노튜브의 혁신적인 성질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주석계 금속 소재가 삽입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 끝단의 개방과 주석계 금속 소재의 고용량 삽입은 고용량 및 우수한 충방전 효율을 갖는 이차전지 전극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탄소나노튜브의 끝단 개방과 주석계 금속 소재의 탄소나노튜브 내부에 고용량 삽입을 통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용량 및 충ㆍ방전 싸이클 특성이 크게 향상된 전극소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화학적 처리를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끝단 개방률을 최대화 하고, 액상 주입법을 통하여 끝단이 개방된 탄소나노튜브 내부에 주석계 금속 소재를 고함량으로 삽입함으로써, 고용량 및 우수한 충ㆍ방전 싸이클 특성을 갖는 이차전지용 음극소재의 제조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서 탄소나노튜브의 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끝단 개방률을 최대화하고, 주석계 금속 소재, 특히 주석의 고함량 삽입으로 고용량 및 우수한 충방전 싸이클 특성을 갖도록 한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함량 주석을 포함하는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를 제공함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서 탄소나노튜브의 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끝단 개방률을 최대화하고, 주석계 금속 소재, 특히 주석의 고함량 삽입으로 고용량 및 우수한 충방전 싸이클 특성을 갖도록 한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용량 및 우수한 충방전 싸이클 특성을 갖는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적 표면처리를 통하여 높은 끝단 개방률을 보이며, 이를 이용하여 고함량의 주석이 삽입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주석을 단일로 사용할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끝단이 개방된 탄소나노튜브 내에 주석을 삽입시켜 제조된 음극소재가 주석이 탄소나노튜브에 의해 캡슐화 되어 충방전 시 리튬이온의 탈삽입 반응에 의한 주석의 부피팽창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고용량 및 우수한 충방전 효율을 갖는 효과가 있다. 이는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탄소나노튜브와 높은 이론적 용량을 갖는 주석의 부피팽창을 최소화함으로써 두 음극소재 사이의 시너지 효과에 기인하는 것이다.
도 1은 주석이 삽입된 탄소나노튜브 전극의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주석이 삽입된 탄소나노튜브 전극의 충방전에 따른 싸이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은 (1) 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끝단을 개방하는 단계; (2)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개방된 끝단에 액중삽입법으로 주석계 금속 소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대적으로 약한 결합을 하고 있는 탄소나노튜브의 끝단의 개방과 탄소나노튜브의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질산 용액에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침지하고 12 내지 24시간 동안 0 내지 20℃의 저온에서 교반한 다음, 이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의 끝단 개방과 함께 표면에 생성된 작용기의 제거를 위해 전기 고온로를 이용하여 아르곤 가스 조건하에 9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처리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관능기 형성을 최소화한 순수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 처리 시 산으로는 질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인 질산이다.
산 처리된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형성된 관능기에 의한 탄소나노튜브 표면에서의 활성점 제거를 위하여 화학적 환원법, 치환법, 열처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으로 순수 탄소성분으로 이루어진 탄소나노튜브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서의 기타 화학반응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의 개방된 끝단에 용액주입법을 이용하여 주석을 탄소나노튜브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주석이 탄소나노튜브 내부에 삽입하기 위하여 염화주석수화물을 용매에 60℃에서 3 내지 5시간 용해시킨 후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여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주석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와 주석의 무게비율은 1:0.5 내지 1:1.5가 바람직하다.
또한, 주석이 삽입된 탄소나노튜브는 증류수로 여러 번 세척 후 건조하여 사용한다.
또한, 탄소나노튜브 내에 삽입된 주석의 환원을 위하여 건조된 주석/탄소나노튜브를 Na2CO3로 중성으로 조절된 용매에 환원제로 하이드라진을 사용하여 150℃에서 반응시키고 최종 생성물은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 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주석의 함량을 달리함으로써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의 에너지저장 특성을 용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데, 주석은 탄소나노튜브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50중량비의 양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나노튜브 대비 과량의 주석을 첨가할 경우 주석간의 응집으로 탄소나노튜브 내에 주석의 삽입률이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에너지 저장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함량 주석을 포함하는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석/탄소나노튜브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양극소재로 리튬 금속과 함께 코인셀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음극은 필름 캐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포일에 도포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를 위하여 주석/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카본블랙, 그리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는 70:20:10 중량부와 용매로서 N-메틸피롤리돈과 함께 혼합하여 필름 캐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집전체로 사용된 알루미늄 포일에 도포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제조된 음극은 110℃에서 하루동안 건조하여 N-메틸피롤리돈을 완전히 제거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특성 값들은 다음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1. 주석이 삽입된 탄소나노튜브의 구조적 특성 측정
액상주입법에 의해 주석이 삽입된 탄소나노튜브의 구조적 특성은 X선 회절기(X-ray diffraction; Rigaku D/Max 2200V)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의 전기화하적 특성 측정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의 충방전 특성 및 충방전 횟수에 따른 에너지 저장용량 변화의 측정을 위하여 순환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 CV)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단일층 탄소나노튜브(Nanosolution, 평균 직경: 2~4 nm, 평균 길이: 20 ㎛)의 끝단을 개방하기 위하여 68% 질산 용액에 교반과 함께 24 시간 동안 10℃에서 침지 처리하고 반응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고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탄소나노튜브 내에 주석의 삽입을 위하여 산처리와 함께 표면에 형성된 관능기의 제거를 위하여 아르곤 가스 분위기하에서 900℃로 열처리하여 표면 관능기를 제거하였다.
또한, 액상주입법을 통해 상기 끝단이 개방된 탄소나노뷰트 내부에 모세관 현상을 통해 주석을 삽입하기 위하여 전구체로 염화주석 수화물을 용매에 첨가하고 60℃에서 5시간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하였다. 주석이 용해된 용매에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고 24시간 교반과 함께 탄소나노튜브 내에 주석을 삽입시켰다. 이 때 탄소나노튜브와 주석의 무게비는 1:0.5였다. 주석이 삽입된 탄소나노튜브는 증류수와 함께 세척 후 건조하였다.
또한, 탄소나노튜브 내부에 삽입된 주석의 환원을 위하여 탄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중성으로 조절된 증류수에 주석이 삽입된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고 환원제로 하이드라진을 첨가하여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환원반응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주석이 삽입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주석/탄소나노뷰트, 카본블랙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70:20:10 중량부로 혼합하여 집전체로 알루미늄 포일에 캐스팅하여 음극으로 사용하고 양극소재로 리튬 금속을 사용하여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음극소재의 제조 시 알루미늄 포일에 음극소재 캐스팅 후 잔류 용매의 제거를 위해 110℃ 진공오븐에서 약 1일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탄소나노튜브와 주석의 무게비를 1:1로 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석/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탄소나노튜브와 주석의 무게비를 1:1.5로 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석/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탄소나노튜브와 주석의 무게비를 1:2로 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석/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탄소나노뷰트, 주석-탄소나노튜브와 비교하여 주석만을 음극소재로 사용하였을 때 전기화학적특성과 싸이클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끝단이 개방된 탄소나노튜브, 카본 블랙,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70:20:10 중량부로 혼합하여 집전체로 알루미늄 포일에 캐스팅하여 음극으로 사용하고 양극소재로 리튬 금속을 사용하여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음극소재의 제조시 알루미늄 포일에 음극소재 캐스팅 후 잔류 용매의 제거를 위해 110℃ 진공오븐에서 약 1일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염화주석 산화물을 용매에 용해 후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한 열수화방법을 이용하여 환원제로 하이드라진을 사용하여 주석 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주석입자는 증류수와 함께 세척 후 건조하였다. 제조된 주석, 카본블랙,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70:20:10 중량부로 혼합하여 집전체로 알루미늄 포일에 캐스팅하여 음극으로 사용하고 양극소재로 리튬 금속을 사용하여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음극소재의 제조시 알루미늄 포일에 음극소재 캐스팅 후 잔류 용매의 제거를 위해 110℃ 진공오븐에서 약 1일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4와 비교예 1~2와 같이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주석, 주석/탄소나노튜브의 초기 에너지 저장용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초기 에너지 저장용량 (mAh/g)
비교예 1 320
비교예 2 805
실시예 1 980
실시예 2 1,190
실시예 3 1,460
실시예 4 1,240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1) 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끝단을 개방하는 단계; (2)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개방된 끝단에 액중삽입법으로 주석계 금속 소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개방은 질산 용액에 단일벽 탄소나노뷰트를 침지하고 12 내지 24시간 동안 0 내지 20℃의 저온에서 교반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 용액은 50 내지 70%인 질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개방 후 탄소나노튜브 표면은 화학적 환원법, 치환법, 열처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끝단 개방 후 전기 고온로를 이용하여 아르곤 가스 조건하에 9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계 금속 소재 삽입은 염화주석수화물을 용매에 60℃에서 3 내지 5시간 용해시킨 후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여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주석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주석의 무게비율은 1:0.5 내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은 탄소나노튜브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50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는 Na2CO3 중성으로 조절된 용매에 환원제로 하이드라진을 사용하여 150℃에서 반응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10.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석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에너지 저장용량은 300 내지 1500 mA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는 500회 충방전 후 충방전 효율이 6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
KR1020110038889A 2011-04-26 2011-04-26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KR101337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889A KR101337528B1 (ko) 2011-04-26 2011-04-26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889A KR101337528B1 (ko) 2011-04-26 2011-04-26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115A true KR20120121115A (ko) 2012-11-05
KR101337528B1 KR101337528B1 (ko) 2013-12-06

Family

ID=4750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889A KR101337528B1 (ko) 2011-04-26 2011-04-26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2602A (zh) * 2016-03-27 2016-07-06 华南理工大学 一种钠离子电池负极用Sn/MoS2/C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90114113A (ko) * 2018-03-29 2019-10-10 한국전기연구원 에너지저장소자용 산화탄소나노튜브 환원물, 산화탄소나노튜브 환원물 제조방법 및 산화탄소나노튜브 환원물을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3105B (zh) * 2015-06-26 2018-01-19 西安交通大学 一种锂离子电池用SnOx/碳纳米管复合材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697A (ja) 2001-05-08 2002-11-22 Hitachi Maxell Ltd 非水二次電池
KR100903503B1 (ko) 2007-11-02 2009-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그 음극활물질을 구비한 리튬이차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2602A (zh) * 2016-03-27 2016-07-06 华南理工大学 一种钠离子电池负极用Sn/MoS2/C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742602B (zh) * 2016-03-27 2018-07-20 华南理工大学 一种钠离子电池负极用Sn/MoS2/C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90114113A (ko) * 2018-03-29 2019-10-10 한국전기연구원 에너지저장소자용 산화탄소나노튜브 환원물, 산화탄소나노튜브 환원물 제조방법 및 산화탄소나노튜브 환원물을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528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shra et al.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Wang et al. An insight into the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of carbon-based anode materials for potassium-ion batteries
Gong et al. An iodine quantum dots based rechargeable sodium–iodine battery
Yang et al. One dimensional graphene nanoscroll-wrapped MnO nanoparticles for high-performance lithium ion hybrid capacitors
CN107634207B (zh) 一种硅镶嵌氧化还原石墨烯/石墨相氮化碳复合材料及其制备和应用
KR101442318B1 (ko) 실리콘-탄소 코어쉘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Fan et al. Amorphous carbon-encapsulated Si nanoparticles loading on MCMB with sandwich structure for lithium ion batteries
Liang et al. A high-power lithium-ion hybrid capacitor based on a hollow N-doped carbon nanobox anode and its porous analogue cathode
Liang et al. Reduced graphene oxide with 3D interconnected hollow channel architecture as high-performance anode for Li/Na/K-ion storage
Wang et al. The nitrogen-doped carbon coated Na4MnV (PO4) 3 as a high electrochemical performance cathode material for sodium-ion batteries
Ma et al. To achieve controlled specific capacities of silicon-based anodes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Zhang et al. Synthesis of expanded graphite-based materials for application in lithium-based batteries
Fu et al. Engineering MnO/C microsphere for enhanced lithium storage
Xie et al. In-situ synthesis of FeS/N, S co-doped carbon composite with electrolyte-electrode synergy for rapid sodium storage
Chadha et al. Theoretical progresses in silicon anode substitutes for Lithium-ion batteries
CN102255081B (zh) 一种锂离子电池正负极极片材料及加工方法
Yang et al. Facile synthesis of free-standing Fe 2 O 3/carbon nanotube composite films as high-performance an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Wei et al.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with different hollow-degree Fe3O4@ C hollow nanostructures
KR101337528B1 (ko) 충방전 수명이 향상된 주석/탄소나노튜브 전극소재의 제조방법
Lee et al. Surface-Coverage-Dependent Cycle Stability of Core-Shell Nanostructured Electrodes for Use in Lithium Ion Batteries.
US20230216030A1 (en) Si-containing composite anode for energy storage devices
CN114804039A (zh) 一种碳基体复合氮化钒纳米阵列及其制备方法与应用
Peng et al. Large-scale synthesis of highly structural-connecting carbon nanospheres as an anodes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with high-rate capacity
Tzeng et al. Hydrogen Bond-Enabled High-ICE Anode for Lithium-Ion Battery Using Carbonized Citric Acid-Coated Silicon Flake in PAA Binder
KR20220105418A (ko) 실리콘/탄소나노튜브/그래핀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