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034A -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034A
KR20120121034A KR1020110038759A KR20110038759A KR20120121034A KR 20120121034 A KR20120121034 A KR 20120121034A KR 1020110038759 A KR1020110038759 A KR 1020110038759A KR 20110038759 A KR20110038759 A KR 20110038759A KR 20120121034 A KR20120121034 A KR 20120121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face
module
modeling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우
Original Assignee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로버추얼패션 filed Critical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to KR102011003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034A/ko
Publication of KR2012012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에 있어서, 2차원 얼굴이미지를 로딩하는 얼굴 이미지 로딩모듈; 다수의 정점으로 구성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로딩하는 얼굴 모델링 데이터 로딩모듈;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얼굴 외곽선을 나타내는 다수의 인덱스를 추출하는 인덱스 추출모듈; 상기 추출된 인덱스를 내접하게 포함하도록 제어박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박스의 네 우각부 각각에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의 얼굴 외곽선을 조절하기 위한 외곽선조절 제어키를 생성하는 제어키 생성모듈; 상기 로딩된 2차원 얼굴 이미지를 텍스쳐로 변환하여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에 렌더링시키는 렌더링모듈; 상기 컴퓨터의 출력장치와 인터페이스 되며, 상기 2차원 얼굴 이미지 및 상기 랜더링에 따른 결과물을 출력하는 출력모둘; 상기 컴퓨터의 입력장치와 인터페이스 되며, 상기 2차원 얼굴 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외곽선 조절 제어키가 조절될 경우 2차원 비율의 변화량을 근간으로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의 공간 비율을 조정하는 제어모듈;인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얼굴 형상을 3차원 얼굴 형상으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본 발명은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사람 얼굴을 나타내는 2차원 영상 데이터로부터 2차원 영상의 특징을 추출한 정보와 미리 저장해둔 실제의 여러 사람의 3차원 얼굴형상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여 얻은 3차원 얼굴형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비교적 검색하는 방법으로 2차원 영상 당사자의 얼굴과 가장 닮은 3차원 얼굴 형상의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 형상을 변환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2차원 얼굴 영상을 3차원 얼굴형상으로 변환하는 종래의 기술로서, 상용화된 제품인 3D-Max 등의 3차원 데이터 처리용 전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2차원 영상 데이터를 3차원 형상으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임의의 사람 얼굴을 2차원 영상에서 3차원 형상으로 변환한다고 할 때 2차원 영상 데이터는 실제 사람의 3차원 형상에 소요되는 높이 정보가 대부분 유실된 상태이므로 실제의 사람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복구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리고 3차원 얼굴형상 변환기술은 기술자들의 자의적 표현능력에 따라 3차원 형상의 모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사실적인 데이터 변환을 위해서는 기술자의 미술적 전문 감각이 동시에 요구되는 고난도의 작업이다.
또한,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전체적인 3차원 얼굴형상을 만드는 경우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보다 섬세하고 사실적인 3차원 얼굴형상을 만드는 점에 있어서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2차원 얼굴 형상을 3차원 얼굴 형상으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2차원 얼굴이미지를 로딩하는 얼굴 이미지 로딩모듈; 다수의 정점으로 구성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로딩하는 얼굴 모델링 데이터 로딩모듈;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얼굴 외곽선을 나타내는 다수의 인덱스를 추출하는 인덱스 추출모듈; 상기 추출된 인덱스를 내접하게 포함하도록 제어박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박스의 네 우각부 각각에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의 얼굴 외곽선을 조절하기 위한 외곽선조절 제어키를 생성하는 제어키 생성모듈; 상기 로딩된 2차원 얼굴 이미지를 텍스쳐로 변환하여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에 렌더링시키는 렌더링모듈; 상기 컴퓨터의 출력장치와 인터페이스 되며, 상기 2차원 얼굴 이미지 및 상기 랜더링에 따른 결과물을 출력하는 출력모둘; 상기 컴퓨터의 입력장치와 인터페이스 되며, 상기 2차원 얼굴 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외곽선 조절 제어키가 조절될 경우 2차원 비율의 변화량을 근간으로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의 공간 비율을 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3차원 모델링 데이터는, 다수의 정점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마, 눈썹(눈), 코 및 입의 비율이 1:1: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부(얼굴)를 구성하는 정점 및 목을 포함한 흉부를 구성하는 정점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2차원 얼굴 형상을 3차원 얼굴 형상으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얼굴 이미지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의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의 제어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c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의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와 제어키 간의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d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의 2차원 얼굴 이미지와 제어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의 제어키의 조절에 따른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의 얼굴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를 3차원 얼굴 이미지 변환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변환 장치(100)는 2차원 얼굴 이미지(10), 즉 사용자의 정면 얼굴사진을 로딩(Loading)하는 얼굴 이미지 로딩모듈(110)과, 기정의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를 로딩하는 얼굴 모델링 데이터 로딩모듈(120)과, 상기 로딩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로부터 얼굴 외곽선에 해당하는 'Z'값을 제외한 'X', 'Y' 값으로 구성된 다수의 포인트(이하, '인덱스')를 추출하는 인덱스 추출모듈(130)과, 추출된 인덱스를 기반으로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의 공간 비율(바람직하게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정점간의 공간 비율)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 포인트(ControlPoint)(이하, '제어키')를 생성하는 제어키 생성모듈(140)과, 2차원 얼굴 이미지(10)를 텍스쳐(Texture)로 변환하고, 상기 2차원 얼굴 이미지(10)에 나타난 실제 얼굴 외곽선에 부응하도록 공간 비율이 조정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에 상기 변환된 텍스쳐를 투영(Rendering)시키는 렌더링모듈(150)과, 컴퓨터의 모니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하는 출력모듈(160)과, 컴퓨터의 입력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및 웹캠과 같은 이미지 촬영수단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모듈(170), 및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80)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얼굴 이미지 로딩모듈(1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에 접속된 속칭 웹캠(Web CAM)(30) 등 의 이미지 촬영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소정 크기(픽셀, Pixel 단위의 크기)의 2차원 얼굴 이미지를 미도시된 컴퓨터의 메모
리(Memory)로 로딩한다.
또한, 얼굴 모델링 데이터 로딩모듈(1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정의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를 로딩한다.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는 X, Y, Z로 이루어진 다수의 정점(Vertex)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정점들이 삼각망(Triangle)으로 상호 연결되어 얼굴의 표면(Surface)을 표현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의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첨부된 도 2a는 다수의 정점으로 구성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정점들이 삼각망으로 연결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다수의 정점으로 구성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정점들이 삼각망으로 연결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얼굴 모델링 데이터 로딩모듈(1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정의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를 로딩한다.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는 X, Y, Z로 이루어진 다수의 정점(Vertex)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정점들이 삼각망(Triangle)으로 상호 연결되어 얼굴의 표면(Surface)을 표현한다. 참고적으로, 첨부된 도 2a는 다수의 정점으로 구성된 3
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정점들이 삼각망으로 연결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의 이마, 눈썹(눈), 코 및 턱 간의 비율(도 2c 참조)은 1:1:1:1의 비율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비율적으로 균형 잡힌 통상의 얼굴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또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는 목(Neck)을 포함한 흉부(Bust) 일부분에 대한 정점들을 포함하고 있다. 물론, 이때의 흉부의 정점은 안부(顔部, 얼굴)를 구성하는 정점들의 수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덱스 추출모듈(130)은 상기 로딩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를 2차원으로 간주하여, 다시 말해 얼굴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정점에서 'Z'값을 배제한 2차원으로 간주하여, 얼굴의 외곽선을 표현하는 다수의 인덱스(Index)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인덱스('X', 'Y'의 2차원 데이터)는 본래의 얼굴 외곽선(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의 얼굴 외곽선)을 재구성할 수 있는 정도의 개수로 추출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덱스의 개수를 얼굴 외곽선 좌우를 기준으로 각각 20개인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상기 인덱스의 개수는 전술한 2차원 얼굴 이미지(10)의 크기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인덱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키 생성모듈(140)을 통한 제어키 생성에 이용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추출된 인덱스를 내접하게 포함하는 제어박스(Control Box, C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박스(CB)의 네 우각부(모서리) 각각에는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의 얼굴 외곽선(또는 공간 비율)을 조절하기위한 제어키 144a, 144b, 144c, 144d가 하나씩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박스(CB) 내부에는 눈썹(눈), 코 및 입 간의 수직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키 146a, 146b, 146c, 146d가 위치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어키 144a, 144b, 144c, 144d를 외곽선조절 제어키라 칭하고, 제어키 146a, 146b, 146c, 146d를 수직조절 제어키(도 3b참조)라 칭한다.
이와 같이 앞서 추출한 2차원의 인덱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어키들은 상기 제어모듈(180)을 통해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와 연동되며, 이를 개념적으로 도시해 보면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다. 물론, 제어키를 실제적으로 조절하는 사용
자에게는 도 3c와 같이 보이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터의 모니터(40) 상에 2차원 얼굴 이미지(10)와 함께 제어박스(CB)가 중첩되어 도시되며(도 3d 참조), 아울러 상기 인덱스의 일부분, 특히 턱선에 대응하는 인덱스들이 직선으로 연결된 가이드선(GL)과 함께 도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우스(50b)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키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2차원 얼굴 이미지(10)에서 보이는 얼굴 외곽선에 근사하도록 조절하고, 눈썹(눈), 코, 입의 수직 비율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선(GL)은 사용자의 제어키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준선으로 이용된다. 즉, 외곽선조절 제어키(144a, 144b, 144c, 144d) 조절을 통해 상기 가이드선(GL)을 2차원 얼굴 이미지(10)에서 보이는 얼굴의 턱선에 근사하도록 매칭
시키면 3차원 모델링 데이터(20)의 전체적인 얼굴 외곽선과 2차원 얼굴 이미지(10)의 얼굴 외곽선이 수월하게 매칭 된다.
참고적으로 수직조절 제어키를 제외한 외곽선조절 제어키만으로 상기한 일련의 매칭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앞서 언급한 이마, 눈썹(눈), 코, 입 간의 비율이 일반적인 얼굴의 이목구비 비율에 부합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부연하여, 상기의 연동이란 2차원의 제어키가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와 공간좌표(X, Y, Z) 상에서 연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외곽선조절 제어키(144a, 144b, 144c, 144d) 조절에 의한 2차원 비율(Ratio) 변화, 다시 말해 제어박스(CB)의 2차원적인 비율이 축소 또는 확대가 되면 가이드선(GL)을 비롯한 수직조절 제어키(146a, 146b, 146c, 146d)가확대 또는 축소가 되고, 이에 따라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에 포함된 각각의 정점(Vertex)들이 상기 비율 변화에 상응하게 공간적으로 변화된다. 이때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의 'Z'값은 2차원 비율의 변화량에 비례하여 커지거나 작아지게 된다.
참고적으로 도 4는 제어키 조절에 따른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의 변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A)는 제어키의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즉 초기의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B)와 (C)는 그 반대의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의 렌더링모듈(150)은 앞서 로딩된 2차원 얼굴 이미지(10)를 텍스쳐(Texture)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텍스쳐와 상기 제어키를 통해 공간 비율이 조절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의 각 정점(Vertex)을 텍스쳐 코디네이트(Texture Coordinate)로 사용하여 렌더링을 시킨다. 최종적으로 2차원 얼굴 이미지(10)는 3차원 얼굴 이미지로 변환되어 모니터(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시된다. 이때의 렌더링 방식은 통상의 3차원프로그램, 예를 들어 '3DMax' 또는 'MAYA'에서 이용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출력모듈(160)은 앞서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의 모니터(40)와 같은 출력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로딩된 2차원 얼굴 이미지(10)와 박스 형태의 제어키 및 렌더링된 최종 3차원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모듈(170)은 기본적으로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의 키보드(50a) 및 마우스(50b)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사용자의 2차원 얼굴 이미지(정면 얼굴사진)를 촬영하기 위한 컴퓨터에 접속된 웹캠 등의 이미지 촬영수단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2차원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웹캠(30)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로도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제어모듈(1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구성요소(110, 120, 130, 140, 150, 160, 170)들을 제어함과 아울러, 인덱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어키를 로딩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와 연동시키
며, 상기와 같이 제어키가 조절될 경우 그 2차원 비율의 변화량을 바탕으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20)의 공간 비율을 조정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술한 기능적 특징을 갖춘 3차원 얼굴 이미지 변환 장치(이미지 변환 장치)(100)는 컴퓨터에 탑재(인스톨, Install)되는 프로그램 또는 상기 프로그램의 일부로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컴퓨터는 3차원 얼굴 이미지 변환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상술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이 수행된 이후, 최종적으로 컴퓨터의 모니터(40)에 도시되는 3차원 얼굴 이미지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얼굴 이미지 로딩모듈
120 : 얼굴 모델링 데이터 로딩모듈
130 : 인덱스 추출모듈
140 : 제어키 생성모듈
144a, 144b, 144c, 144d : 외곽선조절 제어키
146a, 146b, 146c, 146d : 수직조절 제어키
150 : 렌더링모듈
160 : 출력모듈
170 : 입력모듈
180 : 제어모듈
10 : 2차원 얼굴 이미지 20 :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

Claims (3)

  1.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에 있어서,
    2차원 얼굴이미지를 로딩하는 얼굴 이미지 로딩모듈;
    다수의 정점으로 구성된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를 로딩하는 얼굴 모델링 데이터 로딩모듈;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얼굴 외곽선을 나타내는 다수의 인덱스를 추출하는 인덱스 추출모듈;
    상기 추출된 인덱스를 내접하게 포함하도록 제어박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박스의 네 우각부 각각에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의 얼굴 외곽선을 조절하기 위한 외곽선조절 제어키를 생성하는 제어키 생성모듈;
    상기 로딩된 2차원 얼굴 이미지를 텍스쳐로 변환하여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에 렌더링시키는 렌더링모듈;
    상기 컴퓨터의 출력장치와 인터페이스 되며, 상기 2차원 얼굴 이미지 및 상기 랜더링에 따른 결과물을 출력하는 출력모둘;
    상기 컴퓨터의 입력장치와 인터페이스 되며, 상기 2차원 얼굴 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외곽선 조절 제어키가 조절될 경우 2차원 비율의 변화량을 근간으로 상기 3차원 얼굴 모델링 데이터의 공간 비율을 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링 데이터는,
    다수의 정점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마, 눈썹(눈), 코 및 입의 비율이 1: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부(얼굴)를 구성하는 정점 및 목을 포함한 흉부를 구성하는 정점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KR1020110038759A 2011-04-26 2011-04-26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KR20120121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759A KR20120121034A (ko) 2011-04-26 2011-04-26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759A KR20120121034A (ko) 2011-04-26 2011-04-26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034A true KR20120121034A (ko) 2012-11-05

Family

ID=4750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759A KR20120121034A (ko) 2011-04-26 2011-04-26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0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474B1 (ko) 2015-01-13 2016-06-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제조를 위한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US10269175B2 (en) 2015-07-14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 dimensional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and three dimensional content generating method thereof
CN114723601A (zh) * 2022-04-08 2022-07-08 山东翰林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场景下的模型结构化建模及快速渲染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474B1 (ko) 2015-01-13 2016-06-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제조를 위한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US10269175B2 (en) 2015-07-14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 dimensional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and three dimensional content generating method thereof
US11010967B2 (en) 2015-07-14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 dimensional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and three dimensional content generating method thereof
CN114723601A (zh) * 2022-04-08 2022-07-08 山东翰林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场景下的模型结构化建模及快速渲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50638B (zh) 虚拟对象形象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3119557A1 (ja) アバター表示装置、アバター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310319B (zh) 光照分离的单视角人体服装几何细节重建方法及装置
CN103208133A (zh) 一种图像中人脸胖瘦的调整方法
Zhao et al. 3-D reconstruction of human body shape from a single commodity depth camera
CN106920277A (zh) 模拟美容整形效果可视化在线自由面雕的方法及系统
CN111028343B (zh) 三维人脸模型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4952106A (zh) 用于提供虚拟整形手术社交网络服务的方法和装置
JP2004506276A (ja) 3次元顔モデリングシステム及びモデリング方法
CN101968891A (zh) 用于游戏的照片自动生成三维图形系统
WO2021098143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图像处理设备及存储介质
US1105589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skull surface for computer animation
KR101116838B1 (ko) 개인성향을 반영한 과장표정 생성방법
KR101165017B1 (ko) 3차원 아바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2022512262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画像処理機器並びに記憶媒体
CN110298917B (zh) 一种人脸重建方法及系统
KR20120121034A (ko) 2차원 영상으로부터 사전입력을 통한 3차원 얼굴형상의 획득 장치
JP2006107145A (ja) 顔形状モデ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顔形状モデリング方法
JP6818219B1 (ja) 3次元アバター生成装置、3次元アバター生成方法及び3次元アバター生成プログラム
KR100654396B1 (ko)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얼굴 이미지 변환 장치 및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장치
KR101701199B1 (ko) 메시 워핑을 이용한 가상 성형수술의 방법 및 시스템
JP2013008137A (ja) 三次元形状モデリング用データ送信装置、三次元形状モデリング用データ受信装置、三次元形状モデリングシステム、三次元形状モデリング用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及び三次元形状モデリング用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
US20230050535A1 (en) Volumetric video from an image source
CN104616287A (zh) 一种用于3d图像采集与3d打印的移动终端及方法
CN110503710A (zh) 一种基于现实增强技术的复杂场景康复训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