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414A -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와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와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414A
KR20120120414A KR1020127023579A KR20127023579A KR20120120414A KR 20120120414 A KR20120120414 A KR 20120120414A KR 1020127023579 A KR1020127023579 A KR 1020127023579A KR 20127023579 A KR20127023579 A KR 20127023579A KR 20120120414 A KR20120120414 A KR 2012012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rate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available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788B1 (ko
Inventor
토마스 이. 카티스
제임스 티. 판타자
매리 지. 판타자
매뉴 제이. 래니
Original Assignee
복서 아이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028,400 external-priority patent/US8180029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192,890 external-priority patent/US8090867B2/en
Application filed by 복서 아이피 엘엘씨 filed Critical 복서 아이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12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sourc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음성 통신 시스템의 범위나 용량을 자연스럽게(즉, 점진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 및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 상에 음성 미디어의 지속적인 저장을 포함한다.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불량하여 라이브 대화 수행에 필요한 수준 이하일 경우,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에서 통신 장치가 음성 미디어를 송신하고 수신하게 된다.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나, 송신된 대화 미디어 및 수신된 대화 미디어의 지속적 저장에 따라, 라이브 대화에 필요한 것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가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이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유선 및 무선 통신 모두에 대해 외부 간섭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용량 및 견고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와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GRACEFUL DEGRADATION FOR VOICE COMMUNICATION SERVICES OVER WIRED AND WIRELESS NETWORKS}
본 발명은 음성 통신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네트워크 조건이 라이브 또는 실시간 통신을 방해할 때 음성 통신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에 관한 발명이다.
현재의 무선 음성 통신(가령, 이동 전화나 라디오, 등: 이때 '라디오'는 전파를 이용한 음성 송/수신 장치를 의미함)은 라이브 통신만을 지원한다. 기존 무선 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해, 라이브 대화를 지원하는 데 충분한 가용 비트 속도로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서로 통신하는 두개의 무선 장치 간에 존재하여야 한다. 이러한 연결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어떤 통신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가령 이동 전화를 이용하여 사람이 대화에 참여할 때, 라이브 대화를 지원하는데 충분한 가용 비트 속도를 가진 로컬 라디오 트랜시버(즉, 셀 타워)와 전화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통신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존재하여야 한다. 이동 전화가 라디오 트랜시버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신호 강도나 가용 비트 속도는 전화 대화를 수행하는 데 적합한 것 이상이다.
이동 전화를 이용하는 사람이 라디오 트랜시버로부터 멀어질 경우, 또는 이들이 커버리지가 불량한 영역으로 들어갈 경우(가령, 터널이나 계곡에 들어갈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 비트 속도나 신호 강도가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거리가 너무 멀거나 수신 감도가 불량할 경우, 가용 비트 속도가 감소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게 된다. 이 범위를 넘어설 경우, 사용자는 현재의 통화를 계속할 수 없거나 새로운 통화를 연결할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너무 많은 사용자들이 동시에 이 네트워크 상에서 통화를 할 경우, 모든 통화에 대한 총 가용 비트 속도가 라디오 트랜시버의 가용 비트 속도 용량을 넘어설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른 통화의 가용 비트 속도나 용량을 보존하기 위해 소정의 통화가 끊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 상의 통화 수가 감소함에 따라,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가용 비트 속도 조건들이 개선됨에 따라, 통화가 끊어진 사용자들이 네트워크에 다시 조인할 수 있게 되고, 네트워크의 용량 개선에 따라 새로운 통화를 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기적 또는 전자기적인 교란같은 극심한 라디오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라디오 송신기 또는 통신 장치의 안테나가 부러지거나 적절히 동작하지 않는 경우, 또는 통신 장치나 라디오 트랜시버가 부적절하게 구성된 경우,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 비트 속도가 사용자의 라이브 음성 통화 시도나 통화 시도에 있어 충분하지 못하다.
현재의 무선 음성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때, 음성 대화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지 못하고 있다. 이동 전화나 라디오를 이용하여 대화에 참여할 때, 송신 및 렌더링(rendering)용으로 필요한 것과는 다른 음성 대화 미디어의 기억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다. 지속적 저장없이, 음성 대화 미디어가 송신 및 렌더링 이후 복원불가능하게 소실된다. 음성 미디어 차후 송신 또는 리뷰를 위한 복원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무선 음성 통신 시스템들이 네트워크 연결에 의존하게 된다. 임의의 지점에서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라이브 대화용으로 충분치 않을 경우, 이유에 관계없이, 통신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동 전화와 라디오들은 라이브 통신이 다시 개시되는 지점으로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개선될 때까지 실질적으로 이용불가능하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네트워크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외부적인 간섭이 존재할 때, 또는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가입자들이 너무 많을 경우 역시 용량 문제에 부딪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통화가 끊어지고 어떤 새로운 통화도 연결되지 않는다. 이는 타사용자의 가용 대역폭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 음성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때, 음성 대화 미디어에 대한 어떤 지속적인 저장 장치가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 라이브 대화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정도에 미치지 못하도록 유선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 비트 속도가 저하될 때 지속적 저장 장치로부터 음성 미디어를 송신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이동 전화 또는 일반 전화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음성 메일 시스템을 이용할 때, 음성 메일 시스템 사용 이전에, 라이브 대화 지원에 충분한 가용 비트 속도를 가진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음성 메일을 남길 때, 메시지가 발송되기 전에 라이브 연결이 필요하다. 또는, 메시지에 액세스하여 리뷰가 이루어지기 전에 수신자가 라이브 연결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비쥬얼 음성 메일(Visual voice mail)같은 좀더 개선된 형태의 이메일 시스템에서는 수신자가 수신 메시지를 다운로드하여 차후 리뷰를 위해 자신의 이동 전화에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비쥬얼 보이스 메일을 이용할 경우, 네트워크로부터 단절될 때 또는 네트워크 연결이 불량할 때, 앞서 다운로드한 메시지를 리뷰할 수 있다. 그러나, 라이브 연결 지원에 네트워크 조건이 적합치 않을 경우 메시지를 생성 및 송신할 방법이 없다. 메시지가 생성되어 타인에게 발송되기 전에, 라이브 대화 유지에 충분한 가용 비트 속도를 가진 네트워크 연결이 여전히 필요하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범위 및 용량을 확장시키면서, 무선 및 유선 음성 네트워크의 점진적인 저하를 위한 방법 및 통신 장치가 필요하다.
음성 통신 시스템의 범위나 용량을 자연스럽게(즉, 점진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 및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 상에 음성 미디어의 지속적인 저장을 포함한다.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불량하여 라이브 대화 수행에 필요한 수준 이하일 경우,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에서 통신 장치가 음성 미디어를 송신하고 수신하게 된다.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나, 송신된 대화 미디어 및 수신된 대화 미디어의 지속적 저장에 따라, 라이브 대화에 필요한 것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가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이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유선 및 무선 통신 양면으로 외부 간섭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용량 및 견고성이 개선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표.
도 1B는 본 발명의 일례의 유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위에 관련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에 관련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간섭 존재 하에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를 추가로 확장시키기 위한 적응성 라이브 최적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속적 저장 수단을 갖춘 통신 장치의 도면.
2008년 2월 8일자 미국특허출원번호 12/028,400호와, 2008년 8월 15일자 미국특허출원번호 12/192,890호(두 발명 공히 발명의 명칭: Telecommunication and Multimedi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는 개선된 음성 및 그외 다른 미디어의 통신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의 특징 및 기능들 중 한가지 이상을 제공한다. 즉,
1) 라이브 전화 통화, 컨퍼런스 콜, 보이스 메시징, 연속적인(MCMS-C) 또는 동시적인(MCMS-S) 통신을 포함한 복수의 통화 타입(MCMS)에 사용자로 하여금 참가하게 하는 단계와,
2) 라이브 모드 또는 시간 지연 모드로 대화 메시지를 사용자로 하여금 리뷰하게 하는 단계와,
3) 동기식 라이브 준-실시간 모드 및 시간 지연 모드 사이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대화를 끊김없이 전이하도록 하는 단계와,
4) 또다른 참가자와의 연결 구축 또는 네트워크와의 연결 구축을 기다릴 필요없이 사용자로 하여금 대화에 참가하게 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속성에 따라, 가용 네트워크가 없어도, 네트워크 품질이 매우 불량하더라도, 또는 타 참가자가 가용하지 않을 경우라도, 사용자가 대화를 시작할 수 있고, 사용자가 대화에 참가할 수 있으며, 앞서 수신한 시간 지연 대화 메시지들을 리뷰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와,
5) 시스템으로 하여금 발신자측에서 미디어 페이로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송신 이후에, 모든 수신자 측에서 미디어 페이로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하는 단계와,
6) 각각의 메시지가 식별되어 주어진 대화의 주어진 참가자에게 귀속되도록, 시스템으로 하여금 메시지들을 구문론적으로 의미있는 대화로 차례로 스레딩함으로써 메시지들을 조직화하는 단계와,
7) "라이브" 리뷰, 대화의 일시정지나 시간지연, 다양한 모드로의 재생(가령, 고속 재생, 라이브 장면 캐치, 대화 처음 순간으로 이동, 등), 그리고 대화 관리 방법(가령, 파일보관, 태깅, 검색, 문서로부터 불러오기, 등등)같은 한 세트의 사용자 제어 기능으로 각각의 대화를 사용자로 하여금 관리하게 하는 단계와,
8)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네트워크 조건, 렌더링 방법, 메시지에 대한 현재의 어텐션, 임의의 주어진 메시지의 리뷰를 라이브로 할지 시간 지연 모드로 할 지 등의 의도, 온라인 상태, 등등과 같이 시스템으로 하여금 데이터를 관리하게 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단계와,
9) 사용자로 하여금 동시에 복수의 대화를 관리하게 하는 단계로서, a) 하나의 대화가 진행되고 모든 다른 대화는 중지되는 경우(MCMS)와, b) 복수의 대화가 동시에 렌더링되는 경우(MCMS-C)로서, 가령, 군 통신같은 경우와, c) 복수의 대화들이 액티브하여 동시에 렌더링되는 경우(MCMS-S)로서, 가령, 증권 거래소 등의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와,
10) 사용자로 하여금 모든 대화를 저장하게 하여 필요시, 이를 유형의 미디어에 지속적으로 파일 편집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조직화될 수 있고, 인덱싱될 수 있으며, 검색될 수 있고, 복사될 수 있으며, 변환될 수 있고, 리뷰될 수 있는 등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두 인용문헌을 살펴보면, 더욱 상세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음성 통신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에 관한 상술한 통신 시스템의 두드러진 특징은 음성 대화 미디어의 지속적 저장 수단에 있다. 종래의 음성 유선/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 비트 속도가 라이브 통신 지원에 불충분할 경우 어떤 음성 통신도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러나 지속적 저장 수단을 이용할 경우, 음성 통신이 저장 수단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음성 미디어가 생성되고 있는 중에 음성 통신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는 것이다. 대신에, 라이브 전송을 위한 가용 비트 속도가 불충분할 경우 네트워크 조건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음성 미디어가 지속적 저장 수단으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지속적 저장 수단으로부터 송신시, 대화의 왔다갔다하는 전송 중(during back and forth transmission) 소정의 대기 시간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 저장 수단으로부터 송신하는 기능은 종래의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에서 불가능하였던 범위나 용량 너머로 네트워크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확장하게 된다. 그 결과,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 조건들이 불량하거나 어떤 통신도 이루어질 수 없는 범위로 제약된 상황에서도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례의 무선 음성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 제시되고 있다. 일례의 통신 시스템(10)은 통신 네트워크(12)와, 무선 네트워크(14)를 포함하며, 이 네트워크들은 무선 네트워크(14) 내의 무선 장치 A와 네트워크(12)에 연결된 제 2 통신 장치 B 간의 음성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게이트웨이 연결(13)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12)와 무선 네트워크(14)가 연결된다. 통신 네트워크(12)는 무선 네트워크(14)와 제 2 통신 장치 B 간에 한개 이상의 홉(hops)(16)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홉은 지속적 미디어 저장을 위한 저장 수단(18)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 A는 이동 전화나 라디오같은 무선 장치로서, 라디오 트랜시버(20)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14)와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연결된다. 통신 장치 A와 B는 영구적 미디어 재생을 위한 저장 수단(22)을 각각 포함한다.
통신 장치 A와 통신 장치 B 간에 대화가 이루어질 때, 통신 네트워크(12)와 무선 네트워크(14)를 통해 두 장치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이루어진다. 모든 음성 대화 미디어들은 송/수신 여부에 관계없이, 통신 장치 A와 B의 저장 수단(22)에 끊임없이 저장되며, 두 장치 간의 네트워크(12)의 각 홉의 저장 수단(18)에도 저장된다. 각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의 지속적 저장에 관한 세부사항은 앞서 언급한 두개의 미국특허출원에 개시된 사항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의 음성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 A와 B가 통신 네트워크(1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 A는 유선 연결(15)을 통해 네트워크(12)에 연결된다. 통신 장치 A와 B 간에 대화가 이루어질 때, 네트워크(12)를 통해 두 장치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이루어진다. 지속적 저장 수단(18)을 가진 한개 이상의 홉(16)이 두 장치 간 네트워크 연결 구축에 요구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된 특정 네트워크 구조 및 통신 장치들은 일례에 불과한 것이다. 네트워크(12, 14)가 모두 유선이거나 모두 무선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더우기, 통신 장치 A와 B가 동일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두개의 노드일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놓인 두개의 노드일 수도 있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놓인 노드일 경우, 두개의 네트워크들이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고, 임의의 갯수의 게이트웨이를 통해, 또는 중간 유선/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홉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음성 대화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각 통신 장치의 기능이 다를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도 1A 및 1B에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은 단지 두개의 통신 장치 사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임의의 갯수의 무선/유선 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음성 대화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1B 에 제시된 실시예에서, 두 통신 장치 A와 B 모두가 대화 미디어를 국부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 A가 미디어를 국부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저장하며, 통신 장치 B는 그러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 A와 통신 장치 B 중 하나에 대한 미디어가 통신 장치 A나 통신 장치 B 를 대신하여 네트워크(12)의 홉(16)의 저장 수단(18)에 지속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실제 구조에 관계없이, 통신 장치 A의 점진적인 저하를 구현하기 위한 유일한 요건은 장치 A와 한개 이상의 다른 위치이며, 이는 장치 B와 두 장치 간의 중간 홉(16)에 해당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범위, 용량, 외부 간섭에 관한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를 도시하고 있다. 범위에 대한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는 무선 네트워크에만 적용된다. 용량 및 외부 간섭에 대한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모두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도 2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범위 관련 무선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제시된다. 이 도면은 수평 축에서 라디오 트랜시버(20)로부터 통신 장치 A까지의 거리를 제시하고 있고, 수직축에서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를 제시하고 있다. 통신 장치 A가 비교적 가까이 있을 경우,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크다. 그러나 통신 장치 A가 라디오 트랜시버(20)로부터 멀어질 경우, 또는, 터널이나 협곡같은 신호 강도 감소 구역으로 진입할 경우,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 비트 속도가 감소하며, 이는 그래프에서 곡선의 기울기의 감소로 나타난다.
신호 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에 나타나는 비트 속도 손실양이 일반적으로 증가한다. 소정 지점에서, 비트 속도 임계치를 넘게 된다. 이 지점 이하에서는 비트 속도 손실이 너무 커서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와의 라이브 대화를 유지하기 어렵다. 다시 말해서, 이 비트 속도는 준-실시간 통신을 유지하게에 충분한 최소 비트 속도 처리량을 규정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 아래로 떨어질 때를 아래의 단계들을 통해 송신 장치 A가 확인한다. 즉,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송신되는 비트들이 지정 시간 주기동안 수신자 측에 안전하게 도달하는 측정 전송 속도를 각각 포함하는 한개 이상의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2) 수신한 한개 이상의 리포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 비트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3) 연산된 가용 비트 속도를 비트 속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수신 리포트는 지터같은 다른 네트워크 파라미터들뿐 아니라, 음성 미디어의 잃어버리거나, 붕괴되거나, 감소된 비트 속도들의 표시(notation)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음성 미디어가 원래 인코딩되었을 때와 동일한 속도로 음성 미디어의 풀 비트 속도로 송신 및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속도 처리량의 80%로, 또는 그 이상으로 비트 속도 처리량 임계치가 설정된다. 이러한 퍼센티지는 바뀔 수 있는 값에 불과하다. 처리량 퍼센티지가 더 높을 수도 있고 더 낮을 수도 있다.
비트 속도 임계치 아래의 가용 비트 속도 곡선 부분은 적응성 전송 범위로 규정된다.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적응성 전송 범위 내에 있을 경우, 통신 장치 A가 지속적 저장 수단으로부터 미디어를 송신하게 된다. 그 결과, 임계치 미만의 가용 비트 속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처리량 임계치 미만의 전송에 관련된 대기 시간의 크기는 통신 장치 A와 라디오 트랜시버(20) 간의 범위에 따라 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트 속도 손실이 임계치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의 범위에 통신 장치 A가 놓일 경우, 대기 시간의 크기는 중요치않다. 신호 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대기 시간이 점차 커질 것이다. 대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라이브나 실시간 모드로 음성 대화를 수행할 가능성이 점점 줄어든다. 라이브 음성 대화가 더이상 불가능한 지점을 지나면, 음성 통신이 시간-지연 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면, 이 메시지가 지속적으로 저장된다.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 조건이 허락하는 한, 지속적 저장 수단으로부터 미디어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대안으로, 메시지 수신시, 가용 비트 속도 조건이 허락하는 한 음성 미디어가 네트워크를 통해 트리클링(trickling)될 수 있다. 수신 음성 미디어의 품질이나 완성도가 충분히 우수하다면, 지속적 저장 수단으로부터 이 미디어들을 불러들여 수신 통신 장치 측에서 리뷰하고 렌더링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 장치 A가 트랜시버(20)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거나 터널이나 협곡같은 커버리지 불량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와 같이 신호 강도가 불량할 경우에도 통신이 여전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가용 비트 속도는 라디오 트랜시버(20)로부터의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결국에는 가용 비트 속도가 0으로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통신 장치 A가 무선 네트워크(14)로부터 실질적으로 단절되었음을 의미한다. 통신 장치 A에서의 미디어의 지속적 저장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단절된 경우에도 제한된 범위에서의 통신이 가능하다. 네트워크로부터 단절되었을지라도, 메시지가 생성되어 통신 장치 A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 장치가 적응성 전송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메시지의 전송에 가용 비트 속도 범위가 사용된다. 대안으로, 네트워크로부터 단절시, 통신 장치 A의 사용자가 앞서 수신한 메시지를 리뷰하고 네트워크 상의 가용 비트 속도가 허용되는 한 새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사용자 수(즉, 용량)에 관한 무선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제시되고 있다.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수나 용량이 감소함에 따라 사용자당 가용 비트 속도가 감소한다. 물론 그 역도 성립한다. 용량 증가에 따라, 가용 비트 속도가 감소한다. 결국에는 비트 속도 임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 임계치 이하에서, 음성 메시지 송수신시 모든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적응성 전송 범위에서 동작할 것을 강요받게 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소정의 사용자들만이 적응성 전송 범위로 강제된다. 이에 따라, 처리량 임계치보다 큰 가용 비트 속도로 계속 동작하게 될 타 사용자들을 위한 시스템의 가용 비트 속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은 한개 이상의 우선순위 기법에 기초하여 어떤 사용자에게는 풀 서비스를, 또 어떤 사용자에게는 감소된 서비스를 제공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가령 가입 서비스 레벨이 다를 경우라거나, 네트워크에 먼저 가입한 자가 네트워크에 나중에 가입한 자보다 우선순위가 높다거나, 또는 그외 다른 방식으로 소정의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들에 대해 선택할 수 있는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와 관련하여, 외부 간섭의 존재하에서 서비스의 점진적인 저하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제시되고 있다. 외부 간섭이 극심해질수록 가용 비트 속도가 감소한다.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 미만으로 내려갈 경우, 통신 장치 A의 사용자는 앞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응성 전송 범위에서 통신을 계속하게 된다.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조장하고 가용 비트 속도에 부합하도록 전송사항을 관리함으로써, 외부 간섭이 통신을 방해하는 경우에도 시스템의 견고성이 향상되고 서비스의 용량 및 유효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및 유선 서비스의 점진적 저하를 추가적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적응성 라이브 최적화를 설명하는 그래프가 제시되고 있다. 도면에서는 가용 비트 속도 곡선이 적응성 최적화 임계치와 비트 속도 임계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두개의 미국특허출원에서, 적응성 최적화 임계치 아래로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떨어질 때 라이브 또는 실시간 모드로 대화를 유지하기 위한 적응성 라이브 최적화 기술이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적응성 라이브 최적화 기술은 가용 비트 속도 곡선을 따라 비트 속도 임계치를 밀어내는 효과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적응성 라이브 최적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라이브 대화 수행을 위해 네트워크에 요구되는 가용 비트 속도의 크기가 감소한다. 이는 도 5에서 명백하게 제시되며, 도 2, 3, 4 에서 제시한 그래프에 비해 가용 비트 속도 곡선을 따라 비트 속도 임계치를 아래로 밀어낼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적응성 라이브 최적화를 이용할 때, 일련의 전송 루프에서 발신 장치(가령, 장치 A)로부터 수신 장치까지 미디어가 전송된다. 각각의 전송 루프 내에서, 발신 노드는 순간 가용 비트 속도가 시간에 민감한 미디어(즉,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미디어) 및 시간에 민감하지 않은 미디어(즉,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할 필요가 없는 미디어) 모두를 전송하기에 순간 가용 비트 속도가 충분한 지를 확인한다.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충분할 경우, 두 종류의 미디어 모두가 전송된다. 시간에 민감한 미디어(즉,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 할 미디어)는, 수신자 측에서 수신할 때, 리뷰될 미디어의 풀 비트 속도 표현에 충분한 속도로 제 1 페이로드 크기와 제 1 패킷 시간구간을 가진 제 1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시간에 민감하지 않은 데이터는 네트워크 효율을 위해 설정된 제 2 시간 구간을 가진 제 2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되며, 이때, 제 2 패킷 시간구간은 제 1 패킷 시간구간보다 큰 것이 일반적이다.
미디어의 시간 민감도는 수신시 바로 미디어를 리뷰하려는 수신자의 선언된 의도 또는 추정된 의도에 의해 결정된다. 미디어의 풀 비트 속도 표현은 미디어가 최초 인코딩될 때의 값으로부터 도출된다. 일반적으로 이는, 사람이 자신의 전화나 라디오에 이야기할 때, 수신한 아날로그 미디어가 인코딩되고 디지털화될 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인코딩된 미디어는 미디어의 '풀 비트 속도 표현'으로 언급된다. 발신 노드는 수신 노드로부터의 수신 리포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를 확인한다. 수신 리포트는 측정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가령, 붕괴되거나 잃어버린 패킷(즉, 미디어 로스)과, 그외 다른 파라미터들, 가령 지터, 등등을 포함한다.
가용 비트 속도가 두 종류의 가용 미디어 전송에 부적합할 경우, 발신 노드는 시간에 민감한 미디어만을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충분한 지를 확인한다. 충분할 경우, 시간에 민감한 미디어가 제 1 패킷 시간구간과 제 1 페이로드 크기로 전송되며, 수신시 풀 비트 속도 표현으로 리뷰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전송된다. 시간에 민감하지 않은 미디어의 전송은 시간에 민감한 미디어의 전송에 필요한 것 이상으로 가용 비트 속도가 높아질 때까지 지연된다.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 비트 속도가 시간에 민감한 미디어만을 전송하기에도 부적절할 경우, 시간에 민감한 미디어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비트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들이 적용된다. 제 1 기술에서는 제 1 페이로드에 포함된 비트들의 수가 감소하고 감소된 페이로드 크기를 가진 패킷들이 제 1 패킷 시간구간에서 전송된다. 다시 말해서, 음성 미디어의 각 시간 단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비트들의 수가, 음성 미디어의 풀 비트 속도 표현에 비해 감소한다. 페이로드당 비트 수의 감소는 코덱 설정 조정, 서로 다른 코덱 이용, 압축 알고리즘 적용, 또는 이들 간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래도 대역폭이 충분치 않을 경우, 감소된 비트 페이로드를 가진 패킷들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패킷 시간구간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패킷 시간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대기 시간이 증가한다. 결국에는 패킷 시간구간이 너무 증가하여 라이브 모드나 실시간 모드로 대화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적응성 라이브 최적화는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 비트 속도에 부합하기 위해 송신 및 수신 음성 전송사항의 속도를 제어한다. 비트 속도가 가용해짐에 따라, 가용 음성 미디어가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 조건에 의해 결정된 속도로 송신되거나 수신된다. 결과적으로 통신이 여전히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적응성 라이브 최적화는 네트워크 조건이 라이브 통신을 방해하는 경우에도 대화를 계속하게 한다.
도 6과 관련하여, 통신 장치 A의 블록도표가 제시되고 있다. 통신 장치 A는 마이크(62)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인코더(60)와, 지속적 저장 수단(22), 송신기(66), 수신기(68), 렌더링/제어 수단(70), 그리고 스피커(72)를 포함한다. 음성 통신 중, 통신 장치 A의 사용자는 마이크(62)를 통해 말을 함으로써 음성 미디어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것이다. 인코더(60)는 음성 미디어를 인코딩 또는 디지털화하여, 음성 미디어의 풀 비트 속도 표현을 발생시킬 것이다. 이는 저장 수단(22)에 저장된다. 송신기(66)는,
1) 수신자로부터 수신 리포트를 수신하는 기능과,
2)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 비트 속도를 연산하는 기능과,
3) 가용 비트 속도가 라이브 통신용 비트 속도 임계치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를 확인하는 기능과,
4) 임계치를 넘을 경우 음성 미디어의 풀 비트 속도 표현을 송신하는 기능과, 가용 비트 속도가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가용 비트 속도에 상응하는, 음성 미디어의 시간에 민감한 비트 속도 버전이나 감소 비트 속도 버전만을 생성 및 송신하는 기능
을 수행한다. 대안으로, 수신기(68)가 지속적 저장 수단(64)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수신한 음성 미디어를 저장한다. 수신한 미디어가 충분한 완성도를 가질 경우, 렌더링/제어 장치(70)가 저장 수단으로부터 미디어를 불러들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이를 청취하거나 리뷰할 수 있다. 미디어의 리뷰는 준 실시간 모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시간 지연 모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시간 지연 모드의 경우 지속적 저장 수단(22)으로부터 매체를 불러들여서 렌더링하게 된다. 통신 장치 A의 동작에 관한 세부사항은 앞서 언급한 두개의 미국특허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데이터 품질 스토어(DQS: Data Quality Store) 및 매니저(74)가 수신기(68)와 지속적 저장 수단(22) 사이에 연결된다. 데이터 품질 스토어 및 매니저(74)는 데이터 품질 스토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수신한 음성 미디어의 잃어버리거나, 붕괴되었거나, 감소된 비트 속도 버전을 표시할 책임이 있다. 데이터 품질 스토어 및 매니저(74)는 데이터 품질 스토어에 표시된 음성 미디어(또는 그외 다른 종류의 수신 미디어)의 재송신 요청을 송신할 책임 역시 가지고 있다. 요청한 미디어가 재송신 요청이 충족된 후 수신되면, 이 미디어에 상응하는 표시(notation)가 데이터 품질 스토어로부터 삭제된다. 이 과정은 미디어의 완전한 사본을 수신하여 지속적으로 저장할 때까지 반복된다. 이때 완전한 사본이라 함은 원래의 장치에서 최초 인코딩될 때의 미디어의 풀 비트 속도 표현을 말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들 모두가 음성 대화 미디어(및 그외 다른 종류의 대화 미디어)의 동기적인 사본들을 유지관리할 수 있다.
통신 장치 A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 A의 사용자가 실시간 모드로 통신하고 있을 때, 지속적 저장 수단(22)과 병렬로 인코더(60)로부터 직접 음성 미디어나 그외 다른 미디어를 송신기(66)가 송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미디어가 저장 수단(22)에 먼저 저장된 후, 그 다음에 송신될 수 있다. 저장 후 송신의 경우, 저장과 관련하여 임의의 지연이 나타나는데, 사용자의 실시간 통신 경험을 방해하거나 이에 간섭하지 않을 정도로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수준으로 빠르게 이러한 지연이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수신한 미디어가, 실시간 모드시 지속적 저장 수단(22)과 병렬로, 또는 저장 수단(22) 다음으로 직렬로 장치(70)에 의해 렌더링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동일한 기술 및 원리가 무선 또는 유선 음성 네트워크에서 수신측과 발신측 간의 홉에도 적용될 수 있다. 홉(16)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음성 미디어가 이들 장치에서 발생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장치는 또다른 소스(가령, 전화, 라디오, 또는 네트워크 상의 또다른 홉)로부터 음성 미디어를 수신하며, 수신한 음성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고(선택적임)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음 홉이나 수신자 측에 음성 미디어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이동 전화 또는 셀 전화망, 경찰, 소방, 군, 택시, 제 1 리스판더 타입 통신 시스템, 레거시 회로 기반 네트워크, VoIP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이들 간의 임의의 조합 등등과 같은 임의의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장치 A는 육상 통신선로를 이용한 전화, 무선 전화, 셀 전화, 위성 전화, 컴퓨터, 라디오, 서버, 위성 라디오, 군용 라디오, 군용 전화 중 한가지일 수 있다. 장치 A에서 생성되어 송신될 수 있는 미디어의 종류로는 음성 미디어 이외에, 비디오, 텍스트, 센서 데이터, 위치 또는 GPS 정보, 라디오 신호, 또는 이들 간의 임의의 조합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통신이 처리량 임계치를 넘어 계속됨에 따라 무선 음성 네트워크의 범위가 실질적으로 확장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또는 유선 음성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유효 사용자 수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시스템 가용 비트 속도가 임계치보다 작을 때, 사용자들의 통화를 끊는 대신에, 본 발명에서는 가용 비트 속도 조건이 개선될 때까지 일부 사용자 또는 모든 사용자에 대해 처리량 임계치 아래로 가용 비트 속도를 낮출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외부 간섭 처리시 유선 및 무선 통신 시스템 모두의 견고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28)

  1.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성 미디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수신기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성 미디어의 제 1 비트 속도 표현을 발생시키도록 음성 미디어를 인코딩하는 인코더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성 미디어의 제 1 비트 속도 표현을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음성 미디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수단과,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로서, 상기 비트 속도 임계치는 실시간 통신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트 속도 처리량을 규정하고, 상기 송신기는, 확인된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보다 작을 때, 저장 수단으로부터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송신하며, 음성 미디어는 비트 속도 임계치 아래의 비트 속도로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며, 확인된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보다 작을 때, 음성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 및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확장하는, 상기 송신기
    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지를 확인하는 송신기의 기능은,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는 비트들이 지정 시간 주기동안 수신자 측에 안전하게 도달하게 되는 측정 송신 속도를 각기 포함하는 한개 이상의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한개 이상의 리포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상의 가용 비트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가용 비트 속도를 비트 속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실시간 통신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트 속도 처리량은, 음성 미디어를 최초 인코딩할 때와 동일한 속도로 음성 미디어의 제 1 비트 속도 표현을 송신 및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비트 속도 처리량의 80% 이상인,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네트워크 상의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를 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한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를 넘을 경우 지연없이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의 제 1 비트 속도 표현을 송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음성 미디어의 제 1 비트 속도 표현을 송신하는 송신기의 기능은,
    1) 송신 루프를 구획하는 단계와,
    2) 구획된 송신 루프에서 송신에 가용한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확인하는 단계와,
    3) 송신 루프 중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가용 음성 미디어의 제 1 비트 속도 표현을 송신하는 단계
    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일련의 송신 루프들을 구획하여, 각각의 루프에 대하여 상기 단계 1) 내지 3)을 반복하도록 상기 송신기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 수단으로부터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송신하는 상기 송신기의 구성은, 확인된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보다 작을 때, 송신 비트 속도가 네트워크 상의 가용 비트 속도와 부합하도록, 또는 네트워크 상의 가용 비트 속도보다 작도록, 송신 중 대기 시간의 양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 수단으로부터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송신하는 상기 송신기의 구성은,
    송신 루프를 구획하는 단계와,
    구획된 송신 루프에서 가용 음성 미디어를 송신함에 있어 확인된 가용 비트 속도가 충분치 않은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송신을 위한 모든 가용 음성 미디어 중에서,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음성 미디어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된 가용 비트 속도가,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만을 송신하기에 충분할 경우,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만을 송신하는 단계
    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저장 수단으로부터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송신하는 상기 송신기의 구성은,
    확인된 가용 비트 속도가,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만을 송신하기에 충분하지 않는 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의 감소된 비트 속도 표현을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감소된 비트 속도 표현은 제 1 비트 속도 표현에 비해 더 적은 수의 비트를 이용하는, 단계와,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의 감소된 비트 속도 표현을 송신하는 단계
    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를 패킷화할 때 제 1 비트 속도 표현에 비해 단위 시간당 더 적은 수의 비트를 이용함으로써 감소된 비트 표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송신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코덱 세팅을 이용하는 방식과,
    b)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코덱을 이용하는 방식과,
    c)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식
    중 한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감소된 비트 속도 표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송신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의 송신에 사용되는 패킷화 시간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된 비트 속도 표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송신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를 지닌 패킷들이 송신될 때의 송신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감소된 비트 속도 표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송신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1) 제 1 비트 속도 표현에 비해,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의 감소된 비트 속도 표현을 패킷화할 때 단위 시간당 더 적은 수의 비트를 이용하는 단계와,
    2)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를 송신할 때 패킷화 시간구간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3)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가용 음성 미디어를 지닌 패킷들이 송신될 때의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
    중 한가지 이상을 수행함으로써, 수신자 측에서 즉시 렌더링되어야할 음성 미디어의 감소된 비트 속도 표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송신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5.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성 미디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수신기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성 미디어의 제 1 비트 속도 표현을 발생시키도록 음성 미디어를 인코딩하는 인코더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성 미디어의 제 1 비트 속도 표현을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음성 미디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수단과,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로서, 상기 비트 속도 임계치는 실시간 통신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트 속도 처리량을 규정하고, 상기 송신기는, 확인된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보다 작을 때, 저장 수단으로부터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송신하며, 음성 미디어는 비트 속도 임계치 아래의 비트 속도로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며, 확인된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보다 작을 때, 음성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 및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확장하는, 상기 송신기
    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일련의 송신 루프들을 구획하는 단계와,
    일련의 송신 루프 각각에 대해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장치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음성 미디어의 잃어버리거나, 붕괴되었거나, 감소된 비트 속도 버전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품질 스토어(DQS)와,
    데이터 품질 스토어에 표시된 임의의 음성 미디어의 재송신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스토어 관리 수단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재송신 요청이 충족됨에 따라 음성 미디어의 잃어버리거나, 붕괴되었거나, 감소된 비트 속도 버전 표시를 삭제하도록 상기 데이터 스토어 관리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확인된 가용 비트 속도가 비트 속도 임계치보다 작아서, 네트워크 상의 가용 비트 속도가 0으로 감소하기 직전의 임의의 지점에 이를 때, 네트워크 상의 가용 범위가 확장되도록 상기 송신기 및 저장 수단이 협조하여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와 저장 수단이,
    네트워크 상의 가용 비트 속도가 0으로 감소하였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상의 가용 비트 속도가 0으로 감소하였을 때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저장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상의 가용 비트 속도가 0으로 감소하였을 때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의 송신을 지연시키는 단계와,
    네트워크 상의 가용 비트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장 수단으로부터 음성 미디어를 송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협조하여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대화를 규정하는 단계와, 대화에 관련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음성 미디어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대화 관리 수단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시간-본위 포맷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음성 미디어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된 미디어를 저장 수단으로부터 불러들여, 불러들인 미디어를 통신 장치 상에 렌더링함으로써, 저장된 음성 미디어를 시간 지연 모드로 리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렌더링 제어 수단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모드로 음성 미디어를 수신함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음성 미디어를 렌더링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렌더링 제어 수단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통신 장치 측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음성 미디어와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의 제 1 비트 속도 표현을 지속적으로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송신기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용량 및 가용 범위 중 한가지 이상을 확장시키도록 비트 속도 임계치보다 작은 비트 속도에서 저장 수단으로부터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송신기는, 유선 네트워크 상의 가용 용량을 확장시키도록 비트 속도 임계치보다 작은 비트 속도에서 저장 수단으로부터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음성 미디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육상선로의 전화, 무선 전화, 셀 전화, 위성 전화, 컴퓨터, 라디오, 서버, 위성 라디오, 군용 라디오 또는 군용 전화 중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음성 미디어의 송신에 부가하여, 비디오, 텍스트, 센서 데이터, 위치 또는 GPS 정보, 라디오 신호, 또는 이들 간의 임의의 조합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상기 송신기가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127023579A 2007-10-19 2008-10-08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와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319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961907P 2007-10-19 2007-10-19
US60/999,619 2007-10-19
US12/028,400 2008-02-08
US12/028,400 US8180029B2 (en) 2007-06-28 2008-02-08 Telecommunication and multimedi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8941708P 2008-08-15 2008-08-15
US12/192,890 2008-08-15
US12/192,890 US8090867B2 (en) 2007-10-19 2008-08-15 Telecommunication and multimedi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61/089,417 2008-08-15
PCT/US2008/079227 WO2009052000A1 (en) 2007-10-19 2008-10-08 Graceful degradation for voice communication services over wired and wireless network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999A Division KR101242801B1 (ko) 2007-10-19 2008-10-08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와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414A true KR20120120414A (ko) 2012-11-01
KR101319788B1 KR101319788B1 (ko) 2013-10-17

Family

ID=402636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579A KR101319788B1 (ko) 2007-10-19 2008-10-08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와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107010999A KR101242801B1 (ko) 2007-10-19 2008-10-08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와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999A KR101242801B1 (ko) 2007-10-19 2008-10-08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와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2375687B1 (ko)
KR (2) KR101319788B1 (ko)
CN (1) CN101904152B (ko)
AT (1) ATE514273T1 (ko)
AU (1) AU2008312740B2 (ko)
CA (1) CA2707474C (ko)
WO (1) WO2009052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9965B2 (en) 2013-08-29 2018-09-04 Unify Gmbh & Co. Kg Maintaining audio communication in a congested communication channel
CN111436048B (zh) * 2019-02-03 2022-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支持时间敏感通信的方法及通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0008A (en) 1955-06-17 1958-06-24 George D Lodvick Cable attachment and carrier
US6223210B1 (en) * 1998-10-14 2001-04-24 Radio Computing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broadcast system
US7177278B2 (en) * 1999-12-09 2007-02-13 Broadcom Corporation Late frame recovery method
US7321557B1 (en) * 2000-10-30 2008-01-22 Lucent Technologies Inc. Dynamic latency assignment methodology for bandwidth optimization of packet flows
US7305438B2 (en) 2003-12-09 2007-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oice on demand private message chat
JP4446768B2 (ja) * 2004-03-12 2010-04-07 三洋電機株式会社 Ip電話機
US7681100B2 (en) * 2004-08-18 2010-03-16 Pine Valley Investment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transmission of voice packe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346862B2 (en) 2005-04-28 2013-01-01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7876696B2 (en) * 2006-01-27 2011-01-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aptive upstream bandwidth estimation and sha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04152A (zh) 2010-12-01
WO2009052000A1 (en) 2009-04-23
KR101319788B1 (ko) 2013-10-17
AU2008312740A1 (en) 2009-04-23
AU2008312740B2 (en) 2011-11-17
CA2707474C (en) 2013-07-23
CN101904152B (zh) 2014-08-06
KR20100072086A (ko) 2010-06-29
EP2080341B1 (en) 2011-06-22
EP2375687A3 (en) 2013-05-22
CA2707474A1 (en) 2009-04-23
KR101242801B1 (ko) 2013-03-12
ATE514273T1 (de) 2011-07-15
EP2375687B1 (en) 2016-03-02
EP2080341A1 (en) 2009-07-22
EP2375687A2 (en)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1362B2 (en) Graceful degradation for voice communication services over wired and wireless networks
US83256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communication when network connectivity is reduced or lost during a conversation and for resuming the conversation when connectivity improves
US8391213B2 (en) Graceful degradation for communication services over wired and wireless networks
US10715575B2 (en) In-service quality monitoring system with intelligent retransmission and interpolation
US201102496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dia using either network efficient protocol or a loss tolerant transmission protocol
CN101828375B (zh) 通过网络的实时媒体同步的方法和系统
KR101286915B1 (ko) 통신 방법
AU201725488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layed Notifications in Communications Networks
EP2002682B1 (fr) Optimisation des ressources de transmission par bouclage local dans un réseau cellulaire de radiocommunication mobile
KR101242801B1 (ko) 네트워크의 가용 범위와 용량 중 한가지 이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통신 방법
US201100721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US7706341B2 (en) Accounting for telecommunications terminal mobility in call admission control
US20130070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Network Congestion Related to a Mass Notification System
KR20100033747A (ko)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하는 서버에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5175694A (ja) 音声通信装置、及び、音声通信方法
FR2898758A1 (fr) Procede d'optimisation des ressources de transmission par bouclage local dans un reseau cellulaire de radiocommunication mobile, reseau et adaptateurs locaux correspond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