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568A -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568A
KR20120119568A KR1020110037585A KR20110037585A KR20120119568A KR 20120119568 A KR20120119568 A KR 20120119568A KR 1020110037585 A KR1020110037585 A KR 1020110037585A KR 20110037585 A KR20110037585 A KR 20110037585A KR 20120119568 A KR20120119568 A KR 20120119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information
payment
card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구
박성수
최성훈
이민수
양수정
Original Assignee
루멘소프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멘소프트 (주) filed Critical 루멘소프트 (주)
Priority to KR102011003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568A/ko
Publication of KR2012011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전자 결제를 개시하는 사용자의 제1단말(11)과,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의 제2단말(12)로 이루어진 클라이언트: 제1단말(11)에 의해 선택된 물품 구입내역 정보를 전송하는 쇼핑몰 서버(13)와; 구입내역 정보를 수신하고, 통신망을 통해 접속가능한 자신의 주소를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에서 2차원코드를 포함한 영상코드로서 표시되도록 전송하고, 결제요청이 있을 시에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에 의해서 선택된 카드사의 결제승인을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14)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12)은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에 표시된 영상코드를 스캔하여 디코드하고, 추출된 구입내역을 기초로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카드사 서버 자신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14)에 접속한 후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결제승인용 카드사 서버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한 전자결제정보가 제1단말로부터 제2단말로 영상코드를 이용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리성과 정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System for Transferring of Electronic Payment Information Between User Terminals Using 2-Dimensional Code}
본 발명은 전자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상거래에 있어 물품구입 행위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제1단말과 신용카드를 이용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제2단말을 분리하여 구성한 시스템에서, 결제승인용 카드사 서버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한 전자결제정보가 제1단말로부터 제2단말로 영상코드를 이용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리성과 정보 보안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전자상거래는 사용자의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PC(personal computer)와 인터넷 웹서버를 구비하는 쇼핑몰 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근래 전자 통신 분야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의 웹 환경이 일명 스마트폰이라고도 하는 이동통신기능과 각종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다기능 휴대단말에까지 확장되어 있기는 하지만, 휴대단말의 경우 필연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이 소형인 점 등 여러 제약이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을 이용한 인터넷 전자상거래는 그다지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런데 개방된 인터넷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PC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어 처리되어야 하는 종래 전자상거래 결제 과정은 보안적으로 취약하다. 따라서 이러한 보안상의 취약점을 제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종래에 사용자의 PC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을 함께 이용하여 전자결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제안들이 있어 왔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국내 특허 출원번호 10-2011-0010599 "두 개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전자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는, 사용자가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할 물품을 선택하고, 결제수단으로서 신용카드를 지정하는 과정에서는 PC와 같은 고정단말(사용자의 제1단말)을 이용하고, 신용카드의 결제승인에 필요한 비밀번호 및/또는 카드정보 등을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여 전자결제를 완료하는 과정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사용자의 제2단말)을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PC는 전자서명 등의 행위를 수행하지 않는다. PC는 다만 카드사 서버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를 전송할 뿐이다. 카드사 서버는 이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콜백URL을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카드사 서버 주소(콜백URL)를 알려준다. 스마트폰은 이 문자메시지 내의 콜백URL을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필요한 전자결제과정을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품을 검색하고 선택하는 행위는 대화면 설비를 가진 PC를 이용하여 수행하면서, 한편으로 보안이 필요한 전자상거래를 위한 전자결제 과정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리성과 정보 보안성이 모두 향상될 수 있었다.
그런데 위와 같이 전자상거래 과정에서 사용자가 제1단말 이외에 별도의 제2단말을 신용카드를 이용한 전자결제에 이용하는 기술에 있어서, 제1단말은 카드사 서버에 제2단말의 주소(즉, 전화번호)를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알려주어야 하며, 카드사 서버는 제2단말에게 자신의 주소(즉, 카드사 서버의 URL)를 이동통신망의 SMS 통신망을 통해 알려주어야만 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PC에 자신의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야 하였으므로, 여전히 PC를 통한 개인정보 누출의 위험성이 잔존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전자상거래의 전자 결제 과정에 사용자의 PC와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함께 이용하여 전자 결제 과정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술에 있어서, 전자 결제 과정에 참여하는 기기들 사이의 정보 교환의 양을 줄이고, 정보 교환의 경로를 단축시키며, 동시에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행위가 최소화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증가시키고 정보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PC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을 추가로 이용하는 전자 결제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또 다른 장점을 제공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에 있어 물품구입 행위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제1단말과 신용카드를 이용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제2단말을 분리하여 구성한 시스템에서, 결제승인용 카드사 서버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한 전자결제정보가 제1단말로부터 제2단말로, 화면상에 표시된 2차원코드와 같은 영상코드를 이용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단말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리성과 정보 보안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은, 전자상거래의 전자 결제를 위하여,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으로서, 물품구입을 위한 선택과 특정 카드사의 신용카드를 선택하여 전자 결제를 개시하는 사용자의 제1단말과,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의 제2단말로 이루어진 클라이언트: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이 접속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이 페이지를 통해 물품을 선택하고 전자 결제를 개시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제1단말에 의해 선택된 물품 구입내역 정보를 전송하는 쇼핑몰 서버와;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구입내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입내역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가능한 자신의 주소를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에서 2차원코드를 포함한 영상코드로서 표시되도록 전송하고, 결제요청이 있을 시에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에 의해서 선택된 카드사의 결제승인을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에 표시된 영상코드를 스캔하여 디코드하여 원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구입내역을 기초로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카드사 서버 자신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접속한 후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에서 표시되는 2차원코드는 QR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에서 표시되는 2차원코드는 상기 카드사 서버에서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에서 표시되는 2차원코드는 상기 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로 전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에서 생성되는 결제요청정보에는 결제를 위한 카드정보가 포함되며, 이 카드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에서 생성되는 결제요청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카드사 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의 고유식별정보와 연관되는 사용자의 결제를 위한 카드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원코드에는 인증코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이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접속할 때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에 있어 물품구입 행위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제1단말과 신용카드를 이용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제2단말을 분리하여 구성한 시스템에서, 결제승인용 카드사 서버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한 전자결제정보가 제1단말로부터 제2단말로, 화면상에 표시된 2차원코드와 같은 영상코드를 이용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단말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리성과 정보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에서, 전자결제 과정에 참여하는 기기들 사이의 정보 교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정보 교환을 시간적인 순서로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의 신용카드 결제 방식 중 안심클릭 결제 과정을 예시하는 입력화면의 예시도.
도 4는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에서 구매할 물품을 선택한 다음 결제방식을 지정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차원코드가 표시된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10)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전자상거래의 전자 결제를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PC일 수 있는 제1단말(11)과 사용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는 제2단말(12)을 함께 한 세트의 클라이언트로서 사용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1단말(11)과 제2단말(12), 전자상거래용 쇼핑몰 서버(13), 및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을 처리하는 결제승인용 카드사 서버(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쇼핑몰 서버(13)는, 예컨대 인터넷의 웹 환경 하에서 접속한 사용자의 제1단말(11)에 물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구매하고 결제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웹서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쇼핑몰 서버(13)는 사용자가 제1단말(11)을 통해 구입 물품을 선택하고 전자결제 과정을 시작하면서 결제 수단으로서 신용카드를 선택하면, 카드사를 지정하도록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은 결제시작 화면(40)을 제공한다. 이 화면(40) 내에서 사용자가 카드사 선택란(41)에서 특정 카드사를 선택하면, 쇼핑몰 서버(13)는 선택된 카드사의 결제승인 업무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14)로 구매내역을 전송한다. 그러면 카드사 서버(14)는 쇼핑몰 서버(13)에 접속하여 있는 사용자의 제1단말(11)에 결제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화면(30)(도 3 참조)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 화면(30)에서 요구하는 신용카드 번호 또는 안심클릭 비밀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카드사 서버(14)에 결제승인요청을 전송한다. 카드사 서버(14)는 사용자로부터의 결제승인요청을 수신하면 이를 검증하여 결제승인을 하고 그 결과를 제1단말(11) 및 쇼핑몰 서버(13)에 통지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구성, 즉 사용자가 하나의 단말을 사용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구성에서, 사용자의 제1단말(11), 쇼핑몰 서버(13) 및 카드사 서버(14)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인터넷 상의 전자상거래 분야 특히 신용카드를 이용한 전자결제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위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자상거래시 사용자가 2개의 단말(11, 12)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예컨대 PC일 수 있는 사용자의 제1단말(11)로는 전자상거래에 있어 물품구입 행위를 수행하며, 예컨대 스마트폰일 수 있는 사용자의 제2단말(12)로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징적으로 결제승인용 카드사 서버(14)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한 전자결제와 관련된 정보가 카드사 서버(14)에서 제1단말(11)로, 그리고 제1단말(11)에서 제2단말(12)로 전달된다. 이 전달과정에서 전자결제와 관련된 정보는 영상코드, 즉 화면상에 표시된 2차원코드를 매개하여 전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단말(11)을 통해 개인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리성과 정보 보안성을 향상시킨다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카드사 서버(14)가 사용자의 제2단말(12)의 주소, 예컨대 전화번호를 제1단말(11)로부터 전송받을 필요가 없다. 카드사 서버(14)는 이미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의 제1단말(11)로 자신의 주소를 전송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즉 카드사 서버(14)는 사용자의 제2단말(12)로 자신의 주소를 "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카드사 서버(14)가 제1단말(11)에 전송하는 카드사 서버 주소(예컨대 URL)는 제1단말(11)의 화면상에 2차원코드로서 표시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2차원코드는 예컨대 덴소웨이브 사에서 발표한 QR코드와 같은 2차원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QR코드는 2차원코드 중에서 현재 널리 알려져 있고,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서 전용의 스캔 프로그램이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쉽게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QR코드만을 이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Symbol사의 PDF417, CI Matrix사의 DataMatrix, UPS사의 MaxiCode와 같은 다른 방식의 이미 알려지거나 앞으로 개발되어질 다양한 2차원코드도 역시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제1단말(11)은 통상적인 전자상거래에 있어서와 같이, 예컨대 인터넷의 웹환경하에서 웹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웹서버일 수 있는 쇼핑몰 서버(13)에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고 결제 수단으로서 신용카드를 선택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역할 이외에, 사용자의 제1단말(11)은 QR코드와 같은 2차원코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때, 2차원코드는 카드사 서버(14)에서 생성된 후 제1단말(11)에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카드사 서버(14)는 2차원코드를 인코딩할 수 있는 정보, 예컨대 QR코드 인코딩 프로그램 및/또는 인코딩될 카드사 서버 주소 데이터 등을 제1단말(11)로 전송할 수 있다. 제1단말(11)에서 구동 중인 웹브라우저는 예컨대 ActiveX 형태로 카드사 서버(14)에서 제공하는 QR코드 인코딩 프로그램과 카드사 서버 주소를 다운받아 설치함으로써, 제1단말(11)에서 QR코드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드사 서버(14)가 사용자의 제2단말(12)의 주소, 예컨대 전화번호를 제1단말(11)로부터 전송받을 필요가 없다는 사실은, 사용자가 제1단말(11)을 통해 사용자의 제2단말(5)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제2단말(12)이 전화번호를 통해 식별되어야할 필요성이 없다는 것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제2단말(12)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제2단말(12)은 제1단말(11)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2차원코드를 촬영 또는 스캔할 수 있어야 하며, 스캔된 2차원코드를 디코딩하여 원래 데이터(예컨대 카드사 서버의 주소)를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데이터를 2차원코드(또는 영상코드)로 인코드/디코드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목적에 맞추어 전용 소프트웨어로서 제작되거나 또는 플러그인/ActiveX 소프트웨어로서 제작된 후 사용자의 단말(11, 12)들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말(12)은 QR코드로부터 추출된 카드사 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14)에 접속하고, 신용카드 결제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신용카드 정보 및/또는 공인인증서에 의한 전자서명 정보 등을 전송함으로써 결제요청을 수행할 수 있어야만 한다. 결제요청을 위한 카드 정보 등의 개인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2단말(12)을 통해 입력됨으로써 사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제2단말(12) 내에 암호화된 상태로 미리 저장됨으로써 사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가 미리 카드사 서버(14)에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 제조시 부여되는 단말기 번호와 같이 제2단말(12)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단말기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이 단말기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연관하여 사용자의 성명, 주민번호, 카드번호, CVC번호 등의 결제에 필요한 카드정보를 등록해둘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단말(12)은 QR코드로부터 추출된 카드사 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14)에 접속하여 결제요청시, 결제요청정보로서 제2단말(12)의 고유식별정보 즉 전화번호 및/또는 단말기 번호만을 카드사 서버(14)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카드사 서버(14)는 수신된 제2단말(12)의 고유식별번호와 연관되어 카드사 서버(14)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2단말(12)에 전화번호나 단말기 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더 나아가 카드정보를 입력할 필요도 없고, 제2단말(12)에 카드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제1단말(11)은 예를 들어 인터넷의 웹 환경하에서 쇼핑몰 서버(13)에 접속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사용자의 제1단말(11)은 쇼핑몰 서버(13)가 제공하는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하기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고 결제 방식으로서 신용카드/카드사를 선택함으로써,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전자결제를 개시할 수 있다.
그 이후 쇼핑몰 서버(13)는 사용자가 제1단말(11)을 통해 구매하려고 선택한 물품들의 내역 즉 구매내역을 카드사 서버(14)로 전송한다. 구매내역에는, 사용자의 제1단말(11)의 정보(예컨대 접속 IP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사, 물품의 수량, 가격 등의 물품 목록 등이 포함된다.
쇼핑몰 서버(13)와 카드사 서버(14) 사이는, 인터넷 웹환경 또는 전용 통신망을 통해, 쇼핑몰 서버(13)에서 카드사 서버(14)에 구매내역 정보를 전송하고, 카드사 서버(14)는 결제승인 동작을 수행 후 그 결과를 쇼핑몰 서버(13)에 통지함으로써 구매 절차가 완료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라, 카드사 서버(14)의 결제승인 시점은 쇼핑몰 서버(13)로부터 구매내역을 수신한 시점이 아니라, 사용자의 제2단말(12)로부터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점이다.
구매내역을 수신한 카드사 서버(14)는, 카드사 서버(14)의 주소, 예컨대 인터넷의 웹환경하에서 접속가능한 웹주소 URL 정보를 QR코드와 같은 2차원코드로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의 제1단말(11)로 전송한다.
QR코드에는 구매내역, 카드사 서버 주소 및/또는 인증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구매내역은 결제요청정보의 생성시 필요한 정보이며, 카드사 서버 주소는 사용자의 제2단말(12)이 결제요청정보를 송신할 카드사 서버(14)에 접속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인증코드는 사용자의 제2단말(12)이 카드사 서버(14)에 접속할 때 해당 QR코드를 읽고 접속한 단말임을 카드사 서버(14)에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증코드는 카드사 서버(14)에서 예컨대 난수 발생 방식으로 생성된 난수일 수 있다.
카드사 서버(14)로부터 QR코드를 수신하면, 제1단말(11)에서는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QR코드가 화면에 표시되는 예가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화면(50)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이 예시적인 화면(50)은 QR코드란(51)을 포함하는 안심클릭서비스의 예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2단말(12)에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를 제1단말(11)의 모니터에 근접시켜, 이 모니터 상에 표시되어 있는 QR코드를 촬영함으로써 QR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이후 제2단말(12)은 QR코드를 스캔한 자가 진정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응하여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정당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제2단말(12)은 스캔된 QR코드를 디코드하여 구매내역, 카드사 서버 주소 및 인증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 이후 제2단말(12)은 추출된 구매내역에 카드정보 등을 추가하고 필요에 따라 공인인증서에 의한 전자서명 등의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말(12)은 추출된 카드사 서버 주소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14)에 접속하여, 필요한 경우 추출된 인증코드를 사용하여 자신이 정당한 사용자의 제2단말(12)임을 인증받을 수 있다.
제2단말(12)과 카드사 서버(14) 사이의 연결은 이동통신망 및/또는 유무선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TLS 프로토콜과 같이 잘 알려진 보안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2단말(12)로부터 결제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카드사 서버(14)는 통상의 방식으로 결제승인 동작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쇼핑몰 서버(13)와 사용자의 단말들(11, 12)에 통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따르면, 전자상거래에 있어 물품구입 행위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제1단말과 신용카드를 이용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제2단말을 분리하여 구성한 시스템에서, 결제승인용 카드사 서버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한 전자결제정보가 제1단말로부터 제2단말로 영상코드를 이용하여 전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단말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리성과 정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시스템(본 발명)
11, 12 : 사용자 단말
13 : 쇼핑몰 서버
14 : 카드사 서버

Claims (7)

  1. 전자상거래의 전자 결제를 위하여,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으로서,
    물품구입을 위한 선택과 특정 카드사의 신용카드를 선택하여 전자 결제를 개시하는 사용자의 제1단말(11)과,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의 제2단말(12)로 이루어진 클라이언트: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이 접속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이 페이지를 통해 물품을 선택하고 전자 결제를 개시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제1단말(11)에 의해 선택된 물품 구입내역 정보를 전송하는 쇼핑몰 서버(13)와;
    상기 쇼핑몰 서버(13)로부터 전송된 구입내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입내역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가능한 자신의 주소를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에서 2차원코드를 포함한 영상코드로서 표시되도록 전송하고, 결제요청이 있을 시에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에 의해서 선택된 카드사의 결제승인을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14)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12)은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에 표시된 영상코드를 스캔하여 디코드하여 원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구입내역을 기초로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추출된 상기 카드사 서버 자신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14)에 접속한 후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에서 표시되는 2차원코드는 QR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에서 표시되는 2차원코드는 상기 카드사 서버(14)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에서 표시되는 2차원코드는 상기 카드사 서버(14)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로 전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1단말(11)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12)에서 생성되는 결제요청정보에는 결제를 위한 카드정보가 포함되며, 이 카드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12)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12)에서 생성되는 결제요청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12)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카드사 서버(14)에는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12)의 고유식별정보와 연관되는 사용자의 결제를 위한 카드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원코드에는 인증코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사용자의 제2단말(12)이 상기 카드사 서버(14)에 접속할 때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KR1020110037585A 2011-04-22 2011-04-22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KR20120119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585A KR20120119568A (ko) 2011-04-22 2011-04-22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585A KR20120119568A (ko) 2011-04-22 2011-04-22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568A true KR20120119568A (ko) 2012-10-31

Family

ID=4728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585A KR20120119568A (ko) 2011-04-22 2011-04-22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95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2388A (zh) * 2015-03-26 2015-06-24 深圳市亚略特生物识别科技有限公司 电子支付方法及系统
CN112418881A (zh) * 2020-11-07 2021-02-26 许尧龙 一种二维码认证打码方法及溯源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2388A (zh) * 2015-03-26 2015-06-24 深圳市亚略特生物识别科技有限公司 电子支付方法及系统
CN112418881A (zh) * 2020-11-07 2021-02-26 许尧龙 一种二维码认证打码方法及溯源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3056A1 (en) Data interaction method, verification terminal, server, and system
RU2679550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мобильных расчетов
US9846863B2 (en) Techniques for automating a retail transaction
TWI634496B (zh) 一種資訊處理方法、裝置和系統
JP6128565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134538A1 (en) Application for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payment terminal, and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system and method
US20140040617A1 (en)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a code, and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horization of an operation
US10460316B2 (en) Two device authentication
CA295519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proximity based communication circuitry
TWI633506B (zh) 一種訊息傳輸方法、裝置和系統
US20140223520A1 (en) Guardian control over electronic actions
US20150248676A1 (en) Touchless signature
JP7071776B2 (ja) Qrコードを用いた情報送受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TWI574220B (zh) 電子支付方法、裝置與系統
KR101398021B1 (ko) 결제채널 관리방법
KR101983680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720250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119568A (ko)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전자결제용 정보 이동 시스템
US20160098712A1 (en) Online transaction verification system
JP202018758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86549A (ja) 決済装置、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US20160217442A1 (en) Method for Payment
KR20140127669A (ko) 이미지 기반 인증 방법 및 장치
JP727177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4741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