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129A - Tea pot of upper infusion method - Google Patents

Tea pot of upper infus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129A
KR20120119129A KR1020110036901A KR20110036901A KR20120119129A KR 20120119129 A KR20120119129 A KR 20120119129A KR 1020110036901 A KR1020110036901 A KR 1020110036901A KR 20110036901 A KR20110036901 A KR 20110036901A KR 20120119129 A KR20120119129 A KR 20120119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ump
tea pot
tray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연
정대중
성연수
주원일
정의성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129A/en
Publication of KR20120119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1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0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with a valve at the water heating container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4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with filters placed in or behind pouring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PURPOSE: An upper infusion type tea pot is provided to control the amount of fluid according to the kind of tea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CONSTITUTION: An upper infusion type tea pot comprises a housing(10), a main body member(20), a tray(30), a nozzle(40), a reservoir(50), a pump(60), a discharge control valve(70), and a heating member.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ase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main body member is placed inside the housing and is rounded. The tra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articles. The nozzle is placed inside the body. The reservoir is formed to be closed to receive fluid. The pump conveys fluid through a pipe. The discharge control valve controls tim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fluid. The heating member heats fluid. [Reference numerals] (AA) Fluid input

Description

상부 주수 방식 티 팟{Tea pot of upper infusion method}Tea pot of upper infusion method

본 발명은 티 팟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에 하는 유로관을 포함하는 바디 구조를 도입하고 제어부에 의해 펌프, 가열부재 및 개폐할 수 있는 트레이의 도어를 조절함으로써 유리관의 하부에서 상부로 주수되어 바디의 외측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양, 온도 및 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상부 주수 방식 티 팟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pot, and more particularly, by introducing a body structure including a flow path tube inside the housing, and by controlling the door of the pump, the heating member and the tray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unit, the upper part of the glass tube The upper pour type tea pot which can be injected into the water to control the amount,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the fluid flow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일반적인 티 팟들은 끓는점을 설정하여 끓인 후 전체의 물이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가열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정도이다. 하지만 현대인들의 생활 속에는 일단 끓인 물을 낮은 온도로 음용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가령, 갓난 아이의 분유를 탈 때나, 녹차나 보이차 등을 내려 마시려 할 때가 그런 경우이다. Typical tea pots have a function of heating again when the boiling point is set to the boiling point and the whole water drops below the set temperature. However, in modern life, it is necessary to drink boiled water at low temperature. For example, when you are trying to drink infant formula or try to drink green tea or tea.

하지만 현재의 티 팟을 사용하는 경우, 일단 끓인 물을 다른 용기에 따라낸 후 식혀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녹차 중에 새작(어린 찻잎), 중작(중간 크기의 찻잎), 보이차 등을 한 잔씩 우려 마시려할 경우, 새작은 65도, 중작은 75도, 보이차는 100도 이상의 각기 다른 온도의 물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you use the current tea pot, it is inconvenient to use it after cooling the boiled water in another container. For example, if you want to drink a cup of green tea (young tea), medium (medium sized tea), tea, etc. one by one, green tea is 65 degrees, medium, 75 degrees, and tea is 100 degrees or more.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is required.

그러므로 녹차를 마실 때에는 찻물을 식히는 별도의 도구가 추가로 필요하거나, 또는 감각이나 경험에 의존하여 물의 온도를 조정해야 하는 실정이다.
Therefore, drinking green tea requires an additional tool to cool the tea or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depending on the sense or experien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의 종류에 따라 유체의 양을 조절하고 유체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나은 차를 내릴 수 있는 티 팟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teapot that can make a better tea by adjusting the amount of fluid and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according to the type of tea.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기호 또는 차의 종류에 따라 트레이의 도어를 제어함으로써 차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티 팟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apot that can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ea by controlling the door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or the type of tea.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주수 방식 티 팟은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여 추출 대상물이 위치할 수 있는 트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유로관을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로관과 연통되는 토출제어밸브; 상기 토출제어밸브에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유로관의 하부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이르고, 상기 외부면을 따라 상기 트레이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prinkling tee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ray that can be located the extraction object; A body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including a flow path tube; A discharge control valve positioned below the body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path tube; A pump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discharge control valve; And a he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pump, wherein the fluid is supplie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low path tube to reach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flows to the tray along the outer surf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의 외측면과 평행한 지면 사이의 내각은 90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ner angle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ground parallel to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90 degrees.

바람직하게는, 상기 티 팟은, 상기 가열부재를 조절하여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ea po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by adjusting the heating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제어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by adjusting the discharge control valve.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레이는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를 조절하여 상기 트레이에 모인 유체의 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ray further comprises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luid collected in the tray by adjusting the door.

바람직하게는, 상기 티 팟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제어밸브와 연통하는 노즐 및 상기 펌프와 연통하는 저장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노즐과 상기 토출제어밸브를 연결하는 제 1 유로, 상기 토출제어밸브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제 2 유로, 상기 펌프와 상기 저장조의 제 3 유로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ee pod further includes a nozzle located inside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control valve and a reservoir communicating with the pump, wherein the heating member connects the nozzle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The first flow path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flow path, the second flow path connecting the discharge control valve and the pump, the third flow path of the pump and the reservoi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heating the fluid.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는 돔형, 각뿔대형 및 원뿔대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dome-shaped, pyramid-shaped and cone-shap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관의 직경은 상기 유로관의 중앙부에서 상기 바디의 상단 및 상기 바디의 하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top of the body and the bottom of the bod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ow path tube.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메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sh is located under the tray.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의 상부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upper edge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und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바디의 내부에 상하로 개방된 유리관을 형성하여 펌프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유리관의 하부에서 상부로 주수한 후 유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an open glass tube up and down inside the body to effect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after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is pumped from the bottom of the glass tube to the top.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하부와 탈부착할 수 있는 트레이 구조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차의 종류별로 다양하게 교체하여 차를 내릴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tray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be lowered by replacing the vehicle in various ways.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의 도어를 제어하여 개폐 여부를 조절함으로써 트레이 내부의 차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fference concentration inside the tray by controll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ntrol of the door of the tr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주수 방식 티 팟의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주수 방식 티 팟의 일 방향에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주수 방식 티 팟의 동작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주수 방식 티 팟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n one direction of an upper pour tee tea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one direction of the upper pour tea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upper pour tea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flow of the upper pour tea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주수 방식 티 팟(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pper spout type tea p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주수 방식 티 팟(100)은 중공의 하우징(10),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본체부(20), 하우징(10)의 하부와 탈부착이 가능한 트레이(30), 본체부(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노즐(40), 노즐(4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저장조(50), 노즐(40)과 연결되는 토출제어밸브(70), 저장조(50)와 토출제어밸브(70) 사이에 위치하여 저장조(50)와 토출제어밸브(70)에 연결되는 펌프(60), 펌프(60)의 일측에 위치하는 가열부재(80) 및 트레이(30), 토출제어밸브(70), 가열부재(8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한다.
The upper water pour teap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housing 10, the main body 20 located in the housing 10, the lower tray and the removable tray 10 30, a nozzle 40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20, a reservoir 5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nozzle 40, a discharge control valve 70 connected to the nozzle 40, and a reservoir 50. ) And the pump 60 connected to the reservoir 50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the heating member 80 and the tray 30 located at one side of the pump 60, are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 A control unit 90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and the heating member 80.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부 주수 방식 티 팟(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to FIG. 2, the upper sprinkling tee pot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케이스 형태로서, 소정의 두께를 지닌다. 도 2의 하우징(10)의 재질은 유리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용도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미적 효과를 고려해 보았을 때 유리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The housing 10 is in the form of a hollow case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lthough the material of the housing 10 of FIG. 2 is shown as glass, it may be freely changed and applied according to a user's use or intention. However, it may be desirable to apply the glass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effect.

이러한 하우징(10)은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의 침투를 막고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우징(10)은 펌프(60)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우징홀(11)을 포함한다.The housing 10 prevents the infiltration of foreign matter that may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prevents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housing 10 from flowing out. In addition, the housing 10 also serv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luid injected from the pump 60, and includes a housing hole 11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하우징홀(11)은 하우징(10)의 하부 중앙부에 원형으로 생성되며, 이러한 하우징홀(11)은 트레이(30)의 상부와 결합된다.The housing hole 11 is circularly formed in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housing hole 1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30.

본체부(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본체부(20)의 외면은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부(20)는 바디(21), 바디(21)와 결합되는 바디 지지함(22), 바디 지지함(22)의 하부에 형성되는 메쉬홀(22a) 및 바디(21)의 상부와 바디 지지함(22)의 하부와 연통하는 유로관(23)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20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is preferably rounded so that the fluid can flow smoothly. The main body 20 may include a body 21, a body support 22 coupled to the body 21, a mesh hole 22a formed under the body support 22,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21. It includes a flow path tube 23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support (22).

바디(2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케이스의 형태를 지닌다. 보다 상세하게 바디(21)의 내부에는 바디(21)의 상부로부터 바디(21)의 하부에 이르는 유로관(23)이 형성된다. 여기서, 바디(21)의 내측면과 유로관(23)의 외측면 사이에는 비어 있는 공간(21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21 has the form of a case with an empty interior. In more detail, a flow path tube 23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1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1 is formed inside the body 21. Here, an empty space 21a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ody 21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low path tube 23.

한편, 바디(21)의 외측면과 평행한 지면 사이의 내각은 예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바디(21)는 유체를 바디(21)의 외측면을 따라 순방향으로 하강하게 함으로써 원활하게 흐르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angl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 and the parallel surface is made of an acute angle. The body 21 having such a structure allows the fluid to flow smoothly by lowering the fluid for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

이러한 바디(21)의 형태는 돔형, 원뿔대형, 각뿔대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면이 하부면보다 넓은 것이라면 충분하다.The shape of the body 21 may be preferably any one of a dome shape, a truncated cone shape, and a pyramidal shape. As described above, it is sufficient that the upper surface is wider than the lower surface.

공간(21a)은 바디(21)의 내측면과 바디(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유로관(23)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21a)을 형성함으로써 티 팟(100)의 미적 효과를 가미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의 절감 측면을 감안한다면 보다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pace 21a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ow path tube 23 formed inside the body 21, and by forming such a space 21a, the aesthetic of the tee pod 100 is formed. It can be effective, and considering the reduction in production co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duced more economically.

바디 지지함(22)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펌프(60), 토출제어밸브(70) 및 가열부재(80)를 수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 지지함(22)은 펌프(60) 및 가열부재(80)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유체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펌프(60) 및 가열부재(80)의 재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보호하며, 중공의 회전체로 형성된다.The body support box 22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o accommodate the pump 60,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and the heating member 80 therein. More specifically, the body support 22 accommodates the pump 60 and the heating member 80 therein to block the contact with the fluid, thereby fully exhibiting the re-function of the pump 60 and the heating member 80. It is protected so that it is formed of a hollow rotor.

메쉬홀(22a)은 바디 지지함(22)의 하부 중앙부에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메쉬홀(22a)은 후술되는 메쉬(31)과 결합할 수 있도록 메쉬(31)의 직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mesh hole 22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lower center of the body support 22, and the mesh hole 22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mesh 31 so as to be coupled to the mesh 31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desirable.

유로관(23)은 상부 바디(21)의 상단 및 하단을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부 바디(2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유로관(23)의 직경은 유로관(23)의 중앙부에서 상부 바디(21)의 상부 및 상부 바디(21)의 하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관(23)은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후술되는 펌프(60)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노즐(40) 및 유로관(2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바디(20)의 상부로 주수된다.
The flow path tube 23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body 21, in particular,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tube 23 may be formed while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ow path tube 23. The flow path tube 23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60 to be described later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nozzle 40 and the flow path tube 23 and is injec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0.

트레이(30)는 투입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의 형태이며, 여기서 투입물은 차잎이다. 이러한 트레이(30)는 지지체(31), 메쉬(32) 및 도어(33)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레이(30)의 외경은 하우징홀(11)의 외경 및 도어(33)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유사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ray 30 is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at can hold the input, where the input is tea leaves. This tray 30 includes a support 31, a mesh 32 and a door 33. 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tray 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ousing hole 1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door 33 may be manufactured to be detachable in case of emergency.

지지체(31)는 일정한 두께를 지닌 원형의 띠로 형성되며, 구조적 안정감과 더불어 탈착이 용이해야 하므로 기계적 강도가 높은 재질을 적용함과 동시에 하우징홀(11)과 체결함에 있어서 나사체결방식, 억지끼움방식 등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The support 31 is formed of a circular band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should be easy to be detached with structural stability, while applying a material having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screwing a method and a force fitting method in fastening with the housing hole 11. Or the like.

메쉬(32)은 일정한 격자 구조로 형성되며, 원형의 지지체(31)의 하부 가장자리와 체결된다. 이때, 격자의 크기는 차잎이 메쉬(32)를 통과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2중 격자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The mesh 32 is formed in a uniform lattice structure and is fastened to the lower edge of the circular support 31.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grating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tea leaves do not pass through the mesh 32,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eferable to apply a double grating structure.

도어(33)는 반원형의 판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메쉬(32)의 하부 가장자리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의 도어(33)가 연결되어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도어(33)는 제어부(90)의 조절에 따라 개폐의 여부가 결정되며, 이를 통하여 차의 농도가 조절 및 결정된다.Door 33 is formed of a semi-circular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each door 33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dge of the mesh 32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door 33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through which the concentration of the car is adjusted and determined.

전술한 바에 따른 트레이(30)를 통하여 사용자는 트레이(30) 내부에 원하는 차잎을 넣고 차를 내릴 수 있으며, 도어(33)의 개폐 여부에 따라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rough the tray 3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user can put the desired tea leaves inside the tray 30 to lower the tea,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ncentr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33 is opened or closed.

노즐(40)은 원통형의 관으로 형성되어 바디(21)의 내부에 위치하되, 노즐홀(미도시)이 상하로 놓이도록 한다. 노즐(40)의 일측은 토출제어밸브(70)와 연통하며, 이러한 노즐(40)은 펌프(6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제 1 유로(B)에 의해 저장조(50)와 연결된다.
The nozzle 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tube to be located inside the body 21, so that the nozzle hole (not shown) is placed up and down. One side of the nozzle 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the nozzle 40 serves as a passage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60, the reservoir 50 by the first flow path (B) Connected with.

저장조(50)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닫혀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바디 지지함(22)의 내부에 저장조(50)가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저장조(50)의 형상은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저장조(50)는 펌프(60)와 제 3 유로(D)에 의해 연결되어 펌프(60)에 유체를 공급한다.
The reservoir 50 is formed such that all surfaces except one surface are closed to accommodate the flui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ervoir 50 is shown to be located inside the body support 22, 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shape of the reservoir 50 may be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fluid. The reservoir 50 is connected by the pump 60 and the third flow path D to supply fluid to the pump 60.

펌프(60)는 압력작용을 이용하여 관을 통하여 유체를 수송하는 기계로서 펌프(60)의 배출구(미도시)는 바디(21)의 상부를 향하고, 저장조(50)와 토출제어밸브(70)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연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펌프(60)는 제 2 유로에 의해 토출제어밸브(70)와 연결된다. 또한, 펌프(60)는 제 3 유로에 의해 저장조(50)와 연결된다. 이러한 펌프(60)는 유체를 공급하여 노즐(40) 및 바디(21) 내부의 유리관(2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주수되고, 주수된 유체는 바디(21)의 외측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Pump 60 is a machine for transporting the fluid through the pipe by using the pressure action, the outlet (not shown) of the pump 60 is dir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1, the reservoir 50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Located in between an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pump 6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by the second flow path. In addition, the pump 60 is connected to the reservoir 50 by a third flow path. The pump 60 is supplied with a fluid to be passed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nozzle 40 and the glass tube 23 inside the body 21, the injected fluid flow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

토출제어밸브(70)는 노즐(40)의 일측과 제 1 유로(B)에 의해 연통되며, 이러한 토출제어밸브(70)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펌프(6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시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is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nozzle 40 by the first flow path (B),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You can control the time by adjusting the amount.

가열부재(80)는 토출제어밸브(70)의 일측에 위치하며, 본 발명의 도 1에는 노즐(40)과 토출제어밸브(70) 사이의 제 1 유로(B)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펌프(60)와 토출제어밸브(70) 사이의 제 2 유로(C) 또는 저장조(50)와 펌프(60) 사이의 제 3 유로(D)와 연결되어 유체를 가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열부재(80)의 적용방식에는 제한됨이 없으며, 이러한 가열부재(80)는 제어부(90)의 조절에 따라 가열 온도가 결정된다.The heating member 8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and in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B between the nozzle 40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In addition, the flui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C between the pump 60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or the third flow path D between the reservoir 50 and the pump 60. Here,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heating member 80 is not limited, and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mber 8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제어부(90)는 트레이(30)의 도어(33), 토출제어밸브(70) 및 가열부재(8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0)는 지지체(31)의 일측 및 타측과 연결되는 도어(33)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트레이(30)에 모인 유체의 농도를 조절한다.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door 33,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and the heating member 80 of the tray 3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90 adjusts the concentration of the fluid collected in the tray 30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33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31.

예를 들어, 사용자는 최초로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된 하우징홀(11)과 체결되어 있는 트레이(30)를 분리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트레이(30)의 내부에 원하는 차잎을 넣은 후 다시 트레이(30)를 하우징홀(11)과 체결시킨다. 이후, 펌프(60)에서 공급된 유체가 트레이(30)로 유입되어 트레이(30) 내부에 차잎과 유체가 공존하게 되고,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만큼의 시간 동안 차잎과 유체를 담아둔 후 제어부(90)를 통하여 닫혀있던 도어(33)를 열어 차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first separates the tray 30 which is engaged with the housing hole 11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After that, the user puts the desired tea leaves into the tray 30 and then fastens the tray 30 with the housing hole 11 again. Thereafter,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60 flows into the tray 30 so that the tea leaf and the fluid coexist in the tray 30. In this case, the user holds the tea leaf and the fluid for a desired time and then the controller 90. By opening the door 33 that was closed through) can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car.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및 하부가 연통된 토출제어밸브(70)에 조절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제어부(90)를 통해 펌프(6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and lower parts to control the amount of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60 through the control unit 90. can do.

더불어, 제어부(90)는 가열부재(80)를 제어하여 펌프(6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90 may control the heating member 80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60.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주수 방식 티 팟(100)의 동작 흐름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4 will be described in sequence the operating flow of the upper pour te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시작(S110)에서는 본 발명의 하우징(10), 바디(20), 트레이(30), 노즐(40), 저장조(50), 펌프(60), 토출제어밸브(70), 가열부재(80) 및 제어부(90)가 연결 및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다.First, in the start (S110), the housing 10, the body 20, the tray 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40, the reservoir 50, the pump 60,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the heating member ( 80 and the controller 90 are connected and fastened.

다음, 하우징(10)과 체결되어 있는 트레이(30)를 분리한다. 그 후, 사용자는 원하는 차의 종류를 선택하여 트레이(30) 내부에 넣은 후 다시 트레이(30)를 하우징(10)과 체결한다(S120).Next, the tray 30 which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 is separated. Thereafter, the user selects a desired type of car, puts it into the tray 30, and then fastens the tray 30 to the housing 10 again (S120).

다음, 가열부재(80)를 통하여 유체를 가열한다(S130). 이때, 제어부(90)는 가열부재(80)를 제어하여 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의 종류마다 적정 온도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 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Next, the fluid is heated through the heating member 80 (S13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90 may control the heating member 80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Therefore, the user may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in consideration of this since the appropriate temperature varies for each type of car.

다음, 가열부재(80)에서 가열된 유체가 펌프(60)를 통하여 공급된다(S140). 공급된 유체는 토출제어밸브(70) 및 유로관(2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부로 주수되어 하우징(10)의 상부 내측면과 부딪혀 바디(21)의 외측면으로 흐르게 된다(A).Next, the fluid heated in the heating member 80 is supplied through the pump 60 (S140). The supplied fluid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control valve 70 and the flow path tube 23 to be pumped upwards to collide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flow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 (A).

다음, 도어(33)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차가 바디(21)의 외측면을 타고 흘러 트레이(30)의 내부로 모이며, 여기서 사용자는 원하는 정도의 시간 동안은 제어부(90)를 통하여 도어(33)를 열지 않는다(S150). 그 후, 적절한 시간이 되면 도어(33)를 열게 된다(S160).Next, the car flows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33 is closed, and collects into the tray 30, where the user wants the door 33 through the control unit 90 for a desired amount of time. Do not open (S150). Thereafter, when the appropriate time is reached, the door 33 is opened (S160).

열려진 도어(33)에 의해 차는 메쉬(32)를 통과하여 외부의 컵(미도시) 등에 유입되어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게 된다(S170).The car is opened by the door 33 and is introduced into an external cup (not shown) through the mesh 32 so that the user can drink it (S170).

위와 같은 과정이 종료(S180)되면 다음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above process is terminated (S180), the following process may be repeatedly perform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changed.

10 : 하우징
11 : 하우징홀
20 : 본체부
21 : 바디
21a : 공간
22 : 바디 지지함
23 : 유로관
30 : 트레이
31 : 지지체
32 : 메쉬
33 : 도어
40 : 노즐
50 : 저장조
60 : 펌프
70 : 토출제어밸브
80 : 가열부재
90 : 제어부
100 : 티 팟
10: Housing
11: housing hole
20: main body
21: body
21a: space
22: body support
23: Euro tube
30: tray
31: Support
32: mesh
33: door
40: nozzle
50: reservoir
60: pump
70: discharge control valve
80: heating member
90: control unit
100: tea pot

Claims (10)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여 추출 대상물이 위치할 수 있는 트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유로관을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로관과 연통되는 토출제어밸브;
상기 토출제어밸브에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유로관의 하부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이르고, 상기 외부면을 따라 상기 트레이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팟.
A tray positioned below the housing and in which the extraction object may be located;
A body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including a flow path tube;
A discharge control valve positioned below the body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path tube;
A pump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discharge control valve; And
And a he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pump.
The fluid is suppli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path to reac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flowing to the tray along the outer surface,
Tea p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측면과 평행한 지면 사이의 내각은 90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팟.
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angl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ground parallel to less than 90 degrees,
Tea p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 팟은, 상기 가열부재를 조절하여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팟.
The method of claim 1,
The tea po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by adjusting the heating member.
Tea po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제어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팟.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mount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mp by adjusting the discharge control valve,
Tea po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를 조절하여 상기 트레이에 모인 유체의 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팟.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y further includes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centration of the fluid collected in the tray by adjusting the door,
Tea po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티 팟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제어밸브와 연통하는 노즐 및 상기 펌프와 연통하는 저장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노즐과 상기 토출제어밸브를 연결하는 제 1 유로, 상기 토출제어밸브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제 2 유로, 상기 펌프와 상기 저장조의 제 3 유로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팟.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ea pot further includes a nozzle located inside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control valve and a reservoir communicating with the pump.
The heating member is connected to any one of a first flow path connecting the nozzle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a second flow path connecting the discharge control valve and the pump, and a third flow path of the pump and the reservoir to connect the fluid.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Tea p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돔형, 각뿔대형 및 원뿔대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팟.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dome-shaped, pyramid-shaped and cone-shaped,
Tea p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의 직경은 상기 유로관의 중앙부에서 상기 바디의 상단 및 상기 바디의 하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팟.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meter of the flow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top of the body and the bottom of the bod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ow pipe,
Tea p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메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팟.
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ray,
Tea po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팟.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pper edge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nding process,
Tea pot.
KR1020110036901A 2011-04-20 2011-04-20 Tea pot of upper infusion method KR201201191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901A KR20120119129A (en) 2011-04-20 2011-04-20 Tea pot of upper infus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901A KR20120119129A (en) 2011-04-20 2011-04-20 Tea pot of upper infus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129A true KR20120119129A (en) 2012-10-30

Family

ID=4728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901A KR20120119129A (en) 2011-04-20 2011-04-20 Tea pot of upper infus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912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2552A (en) * 2014-03-26 2014-07-23 陶梅生 Gushing square-base and circular-opening electric warming dis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2552A (en) * 2014-03-26 2014-07-23 陶梅生 Gushing square-base and circular-opening electric warming dis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83560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Coffee Extract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US7565860B1 (en) Multi-functional hot beverage brewing device
CA2723246C (en)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preinfusion device
US10123652B2 (en) Method of operating a tankless beverage brewing apparatus
KR101382254B1 (en) A duch coffee extracting equipment
US20140076168A1 (en) Hot Beverage Machine
JP2011528615A (en) Water treatment unit for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KR20120119129A (en) Tea pot of upper infusion method
US20140182458A1 (en) Microwave Beverage Cartridge Holder
RU2759376C2 (en) Coffee-maker
CN208876148U (en) Heating vessel
US20050188855A1 (en) Coffee and water dispenser
CN110613348A (en) Liquid heating container
KR101894843B1 (en) Hand dripper for coffee
CN107184037A (en) A kind of steam curing boils teapot
GB2488327A (en) Brewing device
CN208640270U (en) A kind of beverage pouring and boiling device
CN105744866B (en) Equipped with the production equipment of the infusion beverage of vapour-recovery unit
KR101613207B1 (en) A valve of Dutch Coffee
KR101433238B1 (en) Coffee maker
JP2012152363A (en) Electric kettle
CN209331649U (en) A kind of coffee pot
KR200472159Y1 (en) The drip port for barista
JP3134225U (en) Tea ceremony thermos
JP2009060931A (en) Handle structure of beverage container in beverag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