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59Y1 - The drip port for barista - Google Patents

The drip port for baris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159Y1
KR200472159Y1 KR2020120008227U KR20120008227U KR200472159Y1 KR 200472159 Y1 KR200472159 Y1 KR 200472159Y1 KR 2020120008227 U KR2020120008227 U KR 2020120008227U KR 20120008227 U KR20120008227 U KR 20120008227U KR 200472159 Y1 KR200472159 Y1 KR 200472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le
air
barista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2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1705U (en
Inventor
남승국
Original Assignee
남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국 filed Critical 남승국
Priority to KR2020120008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59Y1/en
Publication of KR20140001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0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5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커피 전문점에서 커피를 내리거나 표면에 우유로 각종 그림을 그리는 라떼아트를 할 때 사용하는 드립 포트가 보다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섬세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은 밀폐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내부에 액체가 담겨져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정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둥이와, 상부의 뚜껑과,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저면은 막히고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의하여 고정되되, 몸체 내부 공간과 손잡이 내부 공간이 상기 연결관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유량조절장치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p pot for baristas, and the drip pot used for the latte art when dispensing coffee in the coffee shop or drawing various paintings with milk on the surface allows the flow rate to be more easily adjusted to perform delicate work. Was developed to enable;
The combination of the body and the lid is sealed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In the drip pot for barista consisting of a body containing a liquid therein, a spout extending from the front lower end of the body to the top, a lid of the upper portion, a handle formed at the rear;
The handl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the bottom is blocked and the top is open, the handle is fixed by a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handle,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the handle inner spac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by the connecting pipe;
The upper end of the handle relates to a drip port for a barista,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low control device that can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Description

바리스타용 드립포트{The drip port for barista}Drip port for barista {The drip port for barista}

본 고안은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피 전문점에서 커피를 내리거나 표면에 우유로 각종 그림을 그리는 라떼아트를 할 때 사용하는 드립 포트가 보다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섬세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p pot for barista, and in more detail, the drip pot used for latte art to drop coffee in the coffee shop or draw various pictures with milk on the surface so that the flow rate can be easily adjusted. It is about a drip pot for baristas developed to enable delicate work.

우리나라에 원두커피가 일반화되고 커피 전문점이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전이 아니라고 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번화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커피전문점이 생기면서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It is not long ago that coffee beans have been generalized and coffee shops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 but recently, various coffee shops have been created, especially in downtowns.

이 중에서도 커피를 추출하는 다양한 방법 중 핸드 메이드 방법은 거름종이에 원두를 넣고 드립포트를 이용하여 적당한 유량으로 뜨거운 물을 붓도록 하여 커피를 내리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라떼아트와 같이 커피의 표면에 우유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데 여기에서도 드립포트가 사용된다.Among the various methods of extracting coffee, the handmade method is a method of pouring coffee by pouring coffee beans into the manure paper and pouring hot water at a proper flow rate using a drip pot. Drip pots are used here for drawing with milk.

원래 바리스타는 즉석에서 커피를 전문적으로 만들어 주는 사람을 일컫는 용어로 좋은 원두를 선택하고 커피 머신을 완벽하게 활용하여 고객의 입맛에 최대한의 만족을 주는 커피를 만들어내는 일을 하는 직업으로 이들은 무엇보다도 먼저 커피의 선택과 어떤 커피 머신을 사용할 것인지, 어떻게 커피 머신의 성능을 유지시킬 것인지에 대해 알아야 하며 완벽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알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 직업이다.Barista is a term that refers to a person who specializes in making coffee on the spot. It is a job that selects good beans and uses coffee machines to make coffee that satisfies customers' tastes best. You need to know your coffee choices, what coffee machine to use, how to maintain your machine's performance, and know how to extract the perfect espresso.

또 커피가 어떻게 생산되고, 여러 종류의 커피가 각각 어떤 향과 맛이 나며, 어떤 특징이 있고, 무슨 빵과 잘 어울리는지 등 커피에 관한 모든 것을 익혀야 하며, 아울러 손님에게 커피에 관한 조언을 해줄 수 있어야 한다. You will also need to learn everything about coffee, including how coffee is produced, what flavors and flavors of different types of coffees are, what characteristics they have, and what breads are well suited to. Should be

이때 커피를 내리거나 라떼아트를 할 경우 드립포트를 이용하여 섬세하게 기울기를 조절하여야 하며 이러한 유량의 조절이 커피의 맛과 라떼아트의 기술에 상당히 큰 역할을 하고 있다.At this time, when coffee is dropped or latte art, the drip pot should be used to finely adjust the tilt, and the adjustment of the flow rat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taste of coffee and the technology of latte art.

하지만 드립포트는 주둥이가 포트의 아래에서 시작하여 상부로 S자를 그리면서 형성되어 조절이 용이한 형상을 하고 있으나 그래도 섬세한 조절능력을 키우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drip pot has a snout starting from the bottom of the pot and forming an S-shape upward to form an easy adjustment,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increase the delicate control ability.

(특허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7-0073674호 (1997년12월10일)(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97-0073674 (December 10, 1997) (특허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93-0024971호 (1993년12월16일)(Patent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3-0024971 (December 16, 1993) (특허 문헌 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55703호 (2009년06월03일)(Patent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55703 (June 03, 200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의 주둥이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물 등의 액체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develop a drip port for barista that can easily control the liquid flow rate, such as water flowing through the spout of the drip port for barista .

또한, 유량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Moreover, it is to develop the drip pot for baristas which can easily adjust a flow volume in real t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액체가 담겨져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정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둥이와, 상부의 뚜껑과,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 which liquid is contained, a spout extending from the front lower end of the body to the top, a lid of the upper, and a handle formed at the rear of the barista drip To a port;

상기 몸체(1)와 뚜껑(3)의 결합은 밀폐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The combination of the body (1) and the lid (3) is sealed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상기 손잡이는 저면은 막히고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의하여 고정되되, 몸체 내부 공간과 손잡이 내부 공간이 상기 연결관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되고;The handl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the bottom is blocked and the top is open, the handle is fixed by a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handle,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the handle inner spac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by the connecting pipe;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유량조절장치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end of the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low rate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아울러, 상기 손잡이의 상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In addition, a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상기 제1 유량공급장치는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 상단을 막고, 하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천공되어 일측은 막혀 있고 타측은 개방되는 공기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출구의 막힌 측에서 상부로 수직 관통되여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면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상기 공기 유출구까지 관통 형성되되 상단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장착홀로 구성되는 캡과;The first flow supply device has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an upper end thereof to block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a lower side of the air outlet, and one side is blocked and the other side is opened, and the blocked side of the air outlet is upward. A cap formed of a vertically penetrating air inlet and a mounting hole penetrat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down to the air outlet vertically with a thread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단에는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홀의 나사산에 상응 결합하여 승하강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 하단에 장착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공기 유출구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공기차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 handle mounted at the top; An elevating shaf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ndle and correspondingly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 of the mounting hole; It is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shaf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air shiel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outlet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또한, 상기 손잡이의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손가락이 감싸는 내측에는 누름버튼의 누름에 따라 상기 손잡이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이 변화하는 제2 유량조절장치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is further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finger when the handle of the handle is gripped to change the air flow into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push button.

아울러, 상기 손잡이에는 제2 유량조절장치가 장착되도록 손잡이 내부로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이 추가로 형성되고;In addition, the handle is further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so that the second flow rate control device is mounted;

상기 제2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서 삽입되는 마지막단은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후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홀의 양측으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스프링 삽입홀과, 상기 가이드홀에서 일측방향으로 관통된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last e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through hole, the outer diameter is extended stepwise, in the center guide hole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ousing having a spring insertion hole extending inwardly to both sides of the guy hole, and an air discharge hole penetrat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guide hole;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고,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접시 모양의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가 인접한 곳의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1 단턱홈과, 중간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2 단턱홈과, 상기 누름부의 타측 끝단에서 누름부 방향으로 천공되어 제1 단턱홈과 연통하는 제1 연결홀 및 제2 단턱홈과 연통하는 제2 연결홀을 구비하는 공기관로가 형성되는 슬라이더와;A plate-shaped press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from one side, and the outer diameter formed at the other end stepwise, and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side is narrowly reduced and expanded. A stepped groove, a second stepped groove which is reduced in size and then expanded in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first connection hole and a second end which are drilled in the direction of the pushed portion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art and communicate with the first stepped groove; A slider having an air line having a second conn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jaw groove;

상기 스프링 삽입홀의 내경보다 작고 가이홀의 내경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관통된 결합홀이 형성되어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공기관로에 결합되는 스토퍼와;A stopper formed in a disc shape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spring insertion hole and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stopper being coupled to the air line of the slider by a fixing bolt;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되는 압축코일 스프링과;A compression coil spring inserted into the spring insertion hole;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된 일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cover is coupled to one end formed with the spring insertion hole of the hous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드립포트에서 빠져나가는 만큼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유량조절장치에 의하여 바리스타가 작업을 할 때 최적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barista can easily adjust the optimum flow rate when the barista is working by the first flow control device that can adjust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as it exits the drip pot. .

또한, 제2 유량조절장치에 의하여 바리스타가 실시간으로 손으로 버튼을 눌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여 유량을 원하는데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arista can freely adjust the flow rate to the desired amount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by pressing the button by hand in real time by 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량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유량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내부에 액체가 담겨져 있는 몸체(1)와, 상기 몸체의 정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둥이(2)와, 상부의 뚜껑(3)과,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4)로 구성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있어서;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 is contained therein and extends from the front lower end of the body to the top In the drip pot for barista consisting of the spout (2), the upper lid (3) and the handle (4) formed at the rear;

상기 몸체(1)와 뚜껑(3)의 결합은 밀폐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Combination of the body (1) and the lid (3) is sealed so that no air is introduced,

상기 손잡이(4)는 저면은 막히고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의 상부와 상기 손잡이(4)를 연결하는 연결관(5)에 의하여 고정되되, 몸체(1) 내부 공간과 손잡이(4) 내부 공간이 상기 연결관(5)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되고;The handle 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the bottom surface is blocked and the top surface is open, and is fixed by a connecting pipe 5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 and the handle 4, the interior space of the body (1) A handle (4) and an inner space are communicated by the connecting pipe (5);

상기 손잡이(4)의 상단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유량조절장치(6)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를 나타내었다.The top of the handle 4 has shown a drip port for the barista,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low control device 6 is installed to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

본원의 원리는 기본적으로 뚜껑(3)을 닫을 경우 뚜껑(3)과 몸체(1)의 틈으로 유입되는 공기 혹은 뚜껑에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에 그 기본적인 전제로 한다.The princi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basically assumes that when the lid 3 is clos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gap between the lid 3 and the body 1 or a hole is formed in the lid so that air is not introduced.

이러한 상황에서 내부의 액체를 따르게 되면 공기의 유입이 없으면 어느 정도가 지나면 더 이상 드립포트를 기울려도 액체가 주둥이(2)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In this situation, when the liquid is poured inside, there is a state in which the liquid does not escape to the spout 2 even after tilting the drip port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without the inflow of air.

이때 본원의 제1 유량조절장치(6)는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일정 압력에서 액체가 빠져나가는 양을 조절할 수 있기에 아주 가늘게 액체를 붓는 작업을 할때 손의 감각만에 의존하였던 기존의 드립포트보다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flow rate control device 6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adjust the amount of the liquid flowing out at a predetermined pressure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so that when the liquid is poured very thin, only the conventional sense of the hand It is more convenient than the drip pot.

이러한 제1 유량조절장치(6)는 기존에 다양하게 사용되었던 밸브의 형태를 적용할 수도 있다.
The first flow control device 6 may be applied to the form of the valve that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량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손잡이(4)의 상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operation of the first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ceptual diagram shown, a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4;

상기 제1 유량공급장치(6)는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4) 상단을 막고, 하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천공되어 일측은 막혀 있고 타측은 개방되는 공기 유출구(61)와, 상기 공기 유출구(61)의 막힌 측에서 상부로 수직 관통되여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62)와, 상면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상기 공기 유출구(61)까지 관통 형성되되 상단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장착홀(63)로 구성되는 캡(64)과;The first flow rate supply device 6 has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an upper end thereof to block an upper end of the handle 4, and a lower side of the air outlet 61, which is perfo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side is blocked and the other side is opened. An air inlet 62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blocked side of the air outlet 61 and an air inlet 62 form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mounting hole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cap 64 composed of 63);

상단에는 장착되는 핸들(65)과; 상기 핸들(65)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홀(63)의 나사산에 상응 결합하여 승하강하는 승강축(66)과; 상기 승강축(66) 하단에 장착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공기 유출구(61)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공기차폐부(6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A handle 65 mounted at an upper end thereof; An elevating shaft (66) extending below and below the handle (65)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reads of the mounting holes (63); Th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haft portion 67 is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shaft 66 to open and close the air outlet 61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상기 실시 예는 기존의 밸브의 구조를 응용한 것으로 핸들(65)에 의하여 공기차폐부(67)가 공기 유출구(61)를 단속하도록 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embodiment is to apply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valve is to allow the air shield 67 to control the air outlet 61 by the handle 65 to easily adjust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손잡이(4)의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손가락이 감싸는 내측에는 누름버튼(71)의 누름에 따라 상기 손잡이(4)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이 변화하는 제2 유량조절장치(7)가 추가로 장착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6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ip of the handle (4) when the finger wraps the inner side of the push button 7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flow rate control device 7 in which the air inflow amount into the handle 4 is changed is provided.

상기 실시 예는 제1 유량조절장치(6)가 있다고 하더라도 라떼아트와 같이 우유로 커피 표면에 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할 경우 흘러내리는 우유의 굵기를 자주 변화시켜야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기울기를 변화시켜야 하나 상당한 기술이 필요하고 오래 작업하면 손목에 무리가 오는 경우가 많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시한 실시 예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even when the first flow control device 6 is provided, the thickness of the flowing milk often needs to be changed frequently in the case of painting the coffee surface with milk like latte art, and in this case, the slope must be changed. However, if a considerable amount of technology is required and long work, the wrist is often the case presented to prevent this.

즉 제1 유량조절장치(6)를 잠그거나 작게 열어놓고 상기 제2 유량조절장치(7)의 누름버튼(71)을 누르는 정도에 따라 공기 유입량이 제2 유량조절장치(7)에 의하여 많아 지도록 하면 누르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 혹은 굵기의 액체줄기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air flow rate is increased by 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7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the push button 71 of 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7 while locking or opening the first flow control device 6 small. If you press the liquid of various thickness or thickness will be mad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유량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손잡이(4)에는 제2 유량조절장치(7)가 장착되도록 손잡이(4) 내부로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41)이 추가로 형성되고;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operation of 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ceptual diagram shown, the handle 4 is further formed with a through hole 41 penetrating into the handle 4 so that a second flow rate adjusting device 7 is mounted therein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제2 유량조절장치(7)는 상기 관통홀(41)에 삽입되면서 삽입되는 마지막단은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41)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후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711)과, 상기 가이드홀(711)의 양측으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스프링 삽입홀(712)과, 상기 가이드홀(711)에서 일측방향으로 관통된 공기 배출홀(715)이 형성되는 하우징(71)과;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7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41, the last e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through-hole 41, the outer diameter is extended to the center, A guide hole 711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pring insertion hole 712 having an inner diameter extending stepwise to both sides of the guide hole 711, and an air discharge hole penetrat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guide hole 711 A housing 71 in which 715 is formed;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711)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고,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접시 모양의 누름부(721)와, 상기 누름부(721)가 인접한 곳의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1 단턱홈(722)과, 중간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2 단턱홈(723)과, 상기 누름부(721)의 타측 끝단에서 누름부(721) 방향으로 천공되어 제1 단턱홈(722)과 연통하는 제1 연결홀(724) 및 제2 단턱홈(723)과 연통하는 제2 연결홀(725)을 구비하는 공기관로(726)가 형성되는 슬라이더(72)와;An outer diameter surface of a plate-shaped pressing portion 721 having an outer diameter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711 from one side, and the outer diameter formed at the other end stepwise, and the pressing portion 721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stepped groove 722 is shortened and expanded, the second stepped groove 723 is shortened and expanded in the middle portion, and presses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art 721. An air line 726 having a first connection hole 724 which is drilled in the direction of the portion 721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tepped groove 722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725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tepped groove 723. A slider 72 is formed;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의 내경보다 작고 가이드홀(711)의 내경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관통된 결합홀(731)이 형성되어 고정볼트(732)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72)의 공기관로(726)에 결합되는 스토퍼(73)와;It is formed in a disk shap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pring insertion hole 712 an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711 i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hole 731 in the center of the slider 72 by the fixing bolt 732 A stopper 73 coupled to the air line 726;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에 삽입되는 압축코일 스프링(74)과;A compression coil spring 74 inserted into the spring insertion hole 712;

상기 하우징(71)의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이 형성된 일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75)로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ver 75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pring insertion hole 712 of the housing 71.

이때 상기 슬라이더(72)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의 타측에는 단턱지게 내경이 확장되는 실링삽입부(713)가 형성되어 실링(714)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n order to smoothly move the slider 72, the other end of the spring insertion hole 71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aling inserting portion 713 extending inwardly, so that the sealing 714 is mounted.

이러한 제2 유량 조절장치(7)의 작동은 도 9와 같이 평상시에는 압축코일스프링(74)에 의하여 슬라이더(72)가 최대한 나온 상태로 제2 단턱홈(723)과 공기배출홀(715)이 어긋난 상태를 유지한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7 is normally the second stepped groove 723 and the air discharge hole 715 in the state that the slider 72 is maximized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74 as shown in FIG. Keep the shift.

이 경우 드립포트를 기울려도 아주 소량의 액체가 나오거나 거의 나오지 않는 상태가 된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drip pot is tilted, a very small amount of liquid comes out or hardly comes out.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누름부(721)을 누르면 최초 제2 단턱홈(723)과 공기배출홀(715)이 엇갈리며 작은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더욱 누르면 상기 제2 단턱홈(723)과 공기배출홀(715)가 완전히 일치하는 곳에서는 최대한의 공기가 유입되어 액체의 물줄기가 조절되는 것이다.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art 721 as necessary, the first second stepped groove 723 and the air discharge hole 715 are staggered and a small air passage is formed, and further, the second stepped groove 723 and the air discharge are pressed. Where the holes 715 are completely coincident, the maximum amount of air is introduced to control the flow of liquid.

이때 제1 단턱홈(722)은 슬라이더(72)를 누를 때 제1 연결홀(724)이 가이드홀(711)의 내부로 들어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In this case, the first stepped groove 722 is formed to prevent the first connection hole 724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guide hole 711 and being blocked when the slider 72 is pressed.

1 : 몸체
2 : 주둥이
3 : 뚜껑
4 : 손잡이
41 : 관통홀
5 : 연결관
6 : 제1 유량조절장치
61 : 공기 유출구 62 : 공기 유입구
63 : 장착홀 64 : 캡
65 : 핸들 66 : 승강축
67 : 공기차폐부
7 : 제2 유량조절장치
71 : 하우징
711 : 가이드홀 712 : 스프링 삽입홀
713 : 실링 삽입부 714 : 실링
715 : 공기 배출홀
72 : 슬라이더
721 : 누름부 722 : 제1 단턱홈
723 : 제2 단턱홈 724 : 제1 연결홀
725 : 제2 연결홀 726 : 공기관로
73 : 스토퍼
731 : 결합홀 732 : 고정볼트
74 : 압축코일스프링
75 : 하우징 커버
1: Body
2: spout
3: lid
4: Handle
41: through hole
5: connector
6: first flow control device
61 air outlet 62 air inlet
63: mounting hole 64: cap
65: handle 66: lifting shaft
67: air shield
7: second flow control device
71: housing
711: guide hole 712: spring insertion hole
713: sealing insert 714: sealing
715: air exhaust hole
72: Slider
721: pressing part 722: first stepped groove
723: second stepped groove 724: first connection hole
725: second connection hole 726: air pipe
73: stopper
731: coupling hole 732: fixing bolt
74: compression coil spring
75: housing cover

Claims (4)

내부에 액체가 담겨져 있는 몸체(1)와, 상기 몸체의 정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둥이(2)와, 상부의 뚜껑(3)과,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4)로 구성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1)와 뚜껑(3)의 결합은 밀폐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4)는 저면은 막히고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의 상부와 상기 손잡이(4)를 연결하는 연결관(5)에 의하여 고정되되, 몸체(1) 내부 공간과 손잡이(4) 내부 공간이 상기 연결관(5)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4)의 상단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유량조절장치(6)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For the barista consisting of a body (1) in which the liquid is contained therein, a spout (2) extending from the front lower end of the body to the top, a lid (3) at the top, and a handle (4) formed at the rear In a drip pot;
Combination of the body (1) and the lid (3) is sealed so that no air is introduced,
The handle 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the bottom surface is blocked and the top surface is open, and is fixed by a connecting pipe 5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 and the handle 4, the interior space of the body (1) A handle (4) and an inner space are communicated by the connecting pipe (5);
The drip port for the barista,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of the handle (4) is equipped with a first flow control device (6) that can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의 상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량공급장치(6)는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4) 상단을 막고, 하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천공되어 일측은 막혀 있고 타측은 개방되는 공기 유출구(61)와, 상기 공기 유출구(61)의 막힌 측에서 상부로 수직 관통되여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62)와, 상면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상기 공기 유출구(61)까지 관통 형성되되 상단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장착홀(63)로 구성되는 캡(64)과;
상단에는 장착되는 핸들(65)과; 상기 핸들(65)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홀(63)의 나사산에 상응 결합하여 승하강하는 승강축(66)과; 상기 승강축(66) 하단에 장착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공기 유출구(61)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공기차폐부(6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2.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4);
The first flow rate supply device 6 has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an upper end thereof to block an upper end of the handle 4, and a lower side of the air outlet 61, which is perfo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side is blocked and the other side is opened. An air inlet 62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blocked side of the air outlet 61 and an air inlet 62 form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mounting hole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cap 64 composed of 63);
A handle 65 mounted at an upper end thereof; An elevating shaft (66) extending below and below the handle (65)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reads of the mounting holes (63); The drip port for the barista,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haft portion 67 is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shaft (66) to open and close the air outlet (61)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의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손가락이 감싸는 내측에는 누름버튼(71)의 누름에 따라 상기 손잡이(4)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이 변화하는 제2 유량조절장치(7)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second amount of air inflow into the handle 4 changes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the push button 71 inside the finger when the handle 4 is gripped by the hand. Drip pot for barista,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control device (7) is further form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에는 제2 유량조절장치(7)가 장착되도록 손잡이(4) 내부로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41)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량조절장치(7)는 상기 관통홀(41)에 삽입되면서 삽입되는 마지막단은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41)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후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711)과, 상기 가이드홀(711)의 양측으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스프링 삽입홀(712)과, 상기 가이드홀(711)에서 일측방향으로 관통된 공기 배출홀(715)이 형성되는 하우징(71)과;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711)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고,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접시 모양의 누름부(721)와, 상기 누름부(721)가 인접한 곳의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1 단턱홈(722)과, 중간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2 단턱홈(723)과, 상기 누름부(721)의 타측 끝단에서 누름부(721) 방향으로 천공되어 제1 단턱홈(722)과 연통하는 제1 연결홀(724) 및 제2 단턱홈(723)과 연통하는 제2 연결홀(725)을 구비하는 공기관로(726)가 형성되는 슬라이더(72)와;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의 내경보다 작고 가이드홀(711)의 내경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관통된 결합홀(731)이 형성되어 고정볼트(732)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72)의 공기관로(726)에 결합되는 스토퍼(73)와;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에 삽입되는 압축코일 스프링(74)과;
상기 하우징(71)의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이 형성된 일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7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4. The handle (4)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handle (4) is further formed with a through hole (41) penetrating into the handle (4) such that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uch that 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7) is mounted thereon;
The second flow control device 7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41, the last e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through-hole 41, the outer diameter is extended to the center, A guide hole 711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pring insertion hole 712 having an inner diameter extending stepwise to both sides of the guide hole 711, and an air discharge hole penetrat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guide hole 711 A housing 71 in which 715 is formed;
An outer diameter surface of a plate-shaped pressing portion 721 having an outer diameter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711 from one side, and the outer diameter formed at the other end stepwise, and the pressing portion 721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stepped groove 722 is shortened and expanded, the second stepped groove 723 is shortened and expanded in the middle portion, and presses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art 721. An air line 726 having a first connection hole 724 which is drilled in the direction of the portion 721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tepped groove 722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725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tepped groove 723. A slider 72 is formed;
It is formed in a disk shap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pring insertion hole 712 an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711 i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hole 731 in the center of the slider 72 by the fixing bolt 732 A stopper 73 coupled to the air line 726;
A compression coil spring 74 inserted into the spring insertion hole 712;
The drip port for the barista,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ousing cover (75) coupled to one end formed with the spring insertion hole (712) of the housing (71).
KR2020120008227U 2012-09-14 2012-09-14 The drip port for barista KR2004721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27U KR200472159Y1 (en) 2012-09-14 2012-09-14 The drip port for baris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27U KR200472159Y1 (en) 2012-09-14 2012-09-14 The drip port for baris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05U KR20140001705U (en) 2014-03-24
KR200472159Y1 true KR200472159Y1 (en) 2014-04-17

Family

ID=5148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227U KR200472159Y1 (en) 2012-09-14 2012-09-14 The drip port for baris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159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136Y1 (en) 1999-06-10 2000-02-15 장윤석 A kettle with bamboo
JP2003210323A (en) 2002-01-21 2003-07-29 Sharp Corp Hot-water heater pot
JP2007244610A (en) 2006-03-15 2007-09-27 Tiger Vacuum Bottle Co Ltd Electric kettle
JP2011235078A (en) 2010-04-15 2011-11-24 Keigo Konishi Pot for drin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136Y1 (en) 1999-06-10 2000-02-15 장윤석 A kettle with bamboo
JP2003210323A (en) 2002-01-21 2003-07-29 Sharp Corp Hot-water heater pot
JP2007244610A (en) 2006-03-15 2007-09-27 Tiger Vacuum Bottle Co Ltd Electric kettle
JP2011235078A (en) 2010-04-15 2011-11-24 Keigo Konishi Pot for dr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05U (en)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6298B1 (en) System for making a beverage, as well as a restriction-element and a pad evidently intended for such a system, as well as a method for making a beverage and use of he system for making a beverage
US20110083560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Coffee Extract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WO2005096829A3 (en) Beverage brewing system
JP6835845B2 (en) How to drive a coffee maker and a coffee maker
KR101382254B1 (en) A duch coffee extracting equipment
US20140076168A1 (en) Hot Beverage Machine
TWI450696B (en) Infusion device
KR100920237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US10188235B2 (en) Filter cup
KR200472159Y1 (en) The drip port for barista
JP5563929B2 (en) Coffee pot
KR200451890Y1 (en) A Manual Espresso Coffee Machine
WO2006032597A3 (en) Coffee machine with a pouring vessel
JP4609739B1 (en) Beverage extractor
CN201398778Y (en) Portable infusing cup capable of cyclically infusing
JP4678006B2 (en) Liquid container stoppers for coffee makers
WO2019232109A1 (en) Stovetop coffee brewing device
CN204336473U (en) A kind of thermo jug
JP3131257U (en) Coffee dripper
JP2006305274A (en) Hot water supplier for steaming coffee
TWM570676U (en) Hand-held electric coffee machine
TWI627929B (en) Coffee filter
TWM527286U (en) Filtering maker for coffee
CN202191113U (en) Automobile-used tea making cup with straw
JP2012152363A (en) Electric ke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