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228A -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228A
KR20120118228A KR1020110035681A KR20110035681A KR20120118228A KR 20120118228 A KR20120118228 A KR 20120118228A KR 1020110035681 A KR1020110035681 A KR 1020110035681A KR 20110035681 A KR20110035681 A KR 20110035681A KR 20120118228 A KR20120118228 A KR 20120118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hythmia
time
heartbeat
detected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현
정동근
김기련
김광년
Original Assignee
(주)피지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지오랩 filed Critical (주)피지오랩
Priority to KR102011003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8228A/ko
Publication of KR2012011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1Emergency care

Landscapes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응급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부정맥 검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부정맥 검출부는 이전 심박동과 이후 심박동의 시간 간격인 박동시간을 이용하여 심박동의 부정맥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부정맥이 기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만큼 검출되면, 응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TO DETECT CARDIAC ARRHYTHMIA}
본 발명은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심장박동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전도 신호는 일정한 주기로 샘플링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심전도 장치, 또는 부정맥 검출장치의 신호처리장치로 입력된다. 신호처리장치에 입력된 심전도 신호는 디지털 처리를 거쳐 보정된 후, 기록장치에 기록되거나 심장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하여 진단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된다.
한편, 심장의 질병에 따라 정상 파형의 신호가 불규칙적 및 간헐적으로 이상 파형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심전도 신호는 병원 진단시 필요한 신호이며, 또한, 심장에 내재하는 위험성을 알려준다. 예를 들면, 심실조기수축(PVC), 심방조기수축(PAC), 결정성조기수축(PNC) 등이 대표적인 경우인데, 이러한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정상적으로 상당시간 진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미세한 파형의 변화를 감지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 기술에 따른 휴대형 부정맥 검출장치는 중량감과 크기가 휴대형에 적합하지 않고, 구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 알고리즘이 복잡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형에 적합하고,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간단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응급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부정맥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은, 이전 심박동과 이후 심박동의 시간 간격인 박동시간을 이용하여 심박동의 부정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정맥이 기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만큼 검출되면,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정맥을 검출하는 단계는, 현재 검출된 심박동의 시간인 현재박동시간과 설정된 적어도 두 개의 기준박동시간을 비교하여 후보 부정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후보 부정맥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박동시간이,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전박동시간의 b 배수보다 작거나 u 배수보다 크면, 부정맥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준박동시간은 최대박동시간과 최소박동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후보 부정맥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박동시간이 상기 설정된 최대박동시간보다 크거나 상기 최소박동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 검출된 심박동을 상기 후보 부정맥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부정맥 이벤트가 연속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만큼 발생하면 상기 응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부정맥을 검출하는 단계는, 최초 심박동이 검출되면 타이머를 가동하여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부정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측정되는 경과시간과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경과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유효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부정맥 이벤트를 카운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부정맥 이벤트의 카운팅 결과가 상기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응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장치는, 이전 심박동과 이후 심박동의 시간 간격인 박동시간을 이용하여 심박동의 부정맥을 검출하는 부정맥 검출부; 및 상기 부정맥이 기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만큼 검출되면,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정맥 검출부는, 현재 검출된 심박동의 시간인 현재박동시간과 설정된 적어도 두 개의 기준박동시간을 비교하여 후보 부정맥을 검출하는 후보 부정맥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후보 부정맥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박동시간이,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전박동시간의 b 배수보다 작거나 u 배수보다 크면, 부정맥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준박동시간은 최대박동시간과 최소박동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후보 부정맥 검출부는, 상기 현재박동시간이 상기 설정된 최대박동시간보다 크거나 상기 최소박동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 검출된 심박동을 상기 후보 부정맥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정맥 이벤트가 연속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만큼 발생하면 상기 응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부정맥 검출부는, 최초 심박동이 검출되면 가동되어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및 상기 부정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측정되는 경과시간과 상기 기설정된 유효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경과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부정맥 이벤트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정맥 이벤트의 카운팅 결과가 상기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응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형에 적합하고,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간단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응급상황을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 방법 및 장치가 제공할 수 있다.
응급상황 인지용 부정맥 알고리즘은 휴대용 장비 또는 심전도 모니터링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서 응급상황 인지용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장박동의 규칙성 만을 판별하여 부정맥을 진단하므로, 심전도의 자동진단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 응급상황 인지가 가능하며, 따라서, 고속 판별이 가능하고 낮은 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도 2의 220단계 및 230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부동맥을 검출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의 응급상황은 어지러움증, 실신, 심장마비 등으로 대별된다. 심장박동의 일정시간 정지는 뇌혈류량을 감소시켜 자세유지가 불가능해지며 실신상태가 될 수 있다. 휴대용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비, 즉, 휴대용 부정맥 검출 장치에서 심박동을 이용한 응급상황 인지는 뇌혈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장박동상태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심박동수가 기준(예를 들어, 60회/1분) 이하이면 서맥으로 정하고, 기준(100회/1분) 이상은 빈맥으로 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생리적으로 적응된 상태의 서맥 또는 빈맥은 비교적 규칙적이며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다. 따라서, 심박동을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생리적인 변화를 제거, 즉, 고려하기 위하여 서맥과 빈맥의 판단 기준은 상술한 기준보다 작거나 크게, 예를 들어, 30회/1분 이하, 또는 120회/1분 이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전도장애 또는 이소성 박동에 의한 부정맥은 이전 심박동과 이후 심박동의 시간 간격(즉, 시간차)의 규칙성을 조사하여, 시간 간격의 기준을 초과하는 이벤트 발생 시 유효한 응급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심장의 기능 이상은 돌발적으로 발생하며 불규칙적이고 예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응급상황 인지는 피검자의 상태가 안정적인 상황에서 적용이 되며, 심전도 상의 아티펙트(artifact)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지만 응급상황에 대해서는 반응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심박동의 불규칙성 정도는 기준 설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심장박동시간 변화, 지속시간 그리고 발생 횟수를 기준치와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응급상황을 검출하고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심장박동의 규칙성만을 판별하여 부정맥을 진단하는 방법은 심전도의 자동진단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 응급상황 인지가 가능하므로 고속 판별이 가능하고 낮은 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응급상황 인지용 부정맥 알고리즘은 휴대용 장비 또는 심전도 모니터링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서 응급상황 인지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부정맥 검출장치(100)는 피검사자에게 착용되어 피검사자의 심박동을 검출하고, 부정맥이 검출되면 경고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부정맥 검출장치(100)는 흉곽 부위, 손목, 복부 등 다양한 부위에 착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부정맥 검출장치(100)는 수신부(110), 부정맥 검출부(120),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경고 발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센싱부(10)로부터 감지되는 심전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싱부(10)는 피검사자의 심장 부위 또는 심전도 신호를 센싱할 수 있는 부위에 착용되어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수신부(110)에게 전송한다. 부정맥 검출장치(100)는 센싱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신부(110)와 센싱부(1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부정맥 검출부(12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심전도 신호로부터, 심박동을 검출하고, 이전 심박동과 이후 심박동의 시간 간격인 박동시간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심박동의 부정맥을 검출할 수 있다. 부정맥 검출부(12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저장부(13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심전도 신호, 부정맥이 검출되는 시간, 부정맥을 검출하는데 필요한 항목들의 초기값, 심전도 신호 검출에 따라 변하는 각 항목의 변화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항목들의 초기값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표 1]에서 현재박동시간과 이전박동시간은 연속하는 심박동의 시간간격을의미한다. 또한, 이벤트경과 타이밍(Tc), 이벤트경과시간(Tet), 부정맥이벤트횟수(COUNT), 심박동검출횟수(N), 현재박동시간(TR(n)) 및 이전박동시간(TR(n-k))은 심박동이 검출되고 타이머(123)가 가동됨에 따라 초기값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표 1]과 같이 설정되는 초기값은 피검사자의 몸 상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부정맥 검출부(120)에서 검출되는 부정맥이 기설정된 유효시간(Te) 이내에 연속하여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AR)를 초과하여 검출되면, 응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정맥 검출부(120) 및 제어부(140)의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정맥 검출부(120)는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 타이머(123), 이벤트 발생부(125) 및 카운터(127)를 포함할 수 있다.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입력되는 심전도 신호로부터 심박동을 검출한다.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심박동으로서 QRS 군(QRS Complex)을 검출할 수 있다. 심전도에서는 심장이 한 번 순환할 때마다 P파-QRS군-T파가 한 번씩 생성되며, 주기적으로 유사한 파형이 연속적으로 만들어진다. P파는 심장의 수축(심방의 탈분극)을 반영하며, QRS군은 심실의 수축(심실의 탈분극)을 반영하며, T파는 심실의 재분극을 위한 정지상태의 불응기를 반영한다. 이러한 일련의 심주기로부터 QRS군의 검출을 통해 심박동을 검출할 수 있다.
처음 심박동이 검출되면,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타이머(123)를 가동시키며, 타이머(123)에 의해 측정되는 경과시간(Tc)이 이벤트경과시간(Tet)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즉, 처음 심박동이 검출되면, 타이머(123)가 가동되기 시작하면서, Tet의 값은 Tc값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Tet의 시간은 증가한다.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이전에 검출된 심박동으로부터 현재 검출된 심박동까지의 시간간격인 현재박동시간(TR(n))을 확인하고, 심박동 검출횟수(N)를 카운팅(N=N+1)한다.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심박동이 검출된 시간을 타이머(12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현재박동시간(TR(n))과 설정된 적어도 두 개의 기준박동시간을 비교하여 후보 부정맥을 검출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기준박동시간은 최대박동시간(max)과 최소박동시간(min)을 포함한다. 검출된 현재박동시간(TR(n))이 최대박동시간(max)을 초과하거나, 최소박동시간(min) 미만이면,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현재 검출된 심박동을 후보 부정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부정맥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최대박동시간은 예를 들어, 2초이며, 최소박동시간은 예를 들어, 0.5초일 수 있다. 이는, 서맥 또는 빈맥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1분에 30회 이하의 심박동이 검출되는 경우 서맥으로 판단하고, 1분에 120회 이상인 경우 빈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심박동이 2초 간격으로 1회 검출되면 서맥으로 판단하고, 0.5초 간격으로 1회 검출되면 빈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타이머(123)는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에서 최초 심박동이 검출되었다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가동을 시작하여 이벤트 경과 시간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측정되는 경과 시간은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와 이벤트 발생부(125)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벤트 발생부(125)는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에서 검출된 후보 부정맥에 대응하는 현재박동시간(TR(n))이,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전박동시간(TR(n-k), k는 1, 2, 3, …)의 b배수보다 작거나 u배수보다 크면, 부정맥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부정맥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발생부(125)는 부정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대응하는 경과시간(Tet)을 타이머(12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B는 예를 들어, 0.7, u는 1.3일 수 있다.
현재박동시간(TR(n))은 현재 검출된 현재 심박동과 이전에 검출된 이전 심박동의 시간간격, 이전박동시간(TR(n-1))은 이전에 검출된 이전 심박동과 그 이전에 검출된 이이전 심박동의 시간간격이다. 즉, 이이전 심박동, 이전 심박동 및 현재 심박동은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심박동이며, TR(n-2), TR(n-1) 및 TR(n)은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심박동 시간간격이다.
이전부터 현재까지 순차적으로 확인된 박동시간을 TR(n-3), TR(n-2), TR(n-1), TR(n)이라 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부(125)는 TR(n)<b*TR(n-1) 또는, TR(n)<b*TR(n-2) 또는, TR(n)<b*TR(n-3)이거나, TR(n)>u*TR(n-1), 또는, TR(n)>u*TR(n-2), 또는, TR(n)>u*TR(n-3)인지 판단한다.
TR(n)<b*TR(n-1) 또는, TR(n)<b*TR(n-2) 또는, TR(n)<b*TR(n-3)이거나, TR(n)>u*TR(n-1), 또는, TR(n)>u*TR(n-2), 또는, TR(n)>u*TR(n-3)이면, 이벤트 발생부(125)는 부정맥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부정맥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발생부(125)는 부정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측정된 경과시간(Tet)과 기설정된 유효시간(Te)을 비교한다. 측정된 경과시간(Tet)이 기설정된 기준시간(Te)보다 작으면, 카운터(127)는 이벤트 발생부(125)의 제어에 의해 부정맥 이벤트 횟수(COUNT)를 카운팅한다.
제어부(140)는, 카운터(127)에서 카운팅되는 부정맥 이벤트 횟수와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AR)를 비교하여, 부정맥 이벤트 횟수(즉, 연속적으로 발생한 부정맥 이벤트 횟수)가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AR)만큼 연속적으로 검출되면 응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경고 발생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발생부(150)는 경고음을 주변에 출력하며, 이를 위하여 스피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발생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보호자 또는 병원 관계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보내거나 응급센터로의 자동 전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고 발생부(150)는 RF 전송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모든 항목의 값을 리셋하여 초기값을 갖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AR=3, b=0.7, u=1.3, Te=3, Tc=0, Tet=0, N=0, TR(n-1)=1, TR(N-2)=1, TR(n-3)=1, COUNT=0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1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복수의 항목들을 [표 1]과 같이 초기화할 수 있다.
220단계에서, 부정맥 검출부(120)는 센싱부(10)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신호 중 심박동을 검출하고, 이전 심박동과 이후 심박동의 시간 간격인 박동시간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심박동의 부정맥을 검출할 수 있다.
230단계에서, 220단계에서 검출되는 부정맥이 부정맥이 기설정된 유효시간(Te) 이내에 연속하여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만큼 검출되면, 24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응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250단계에서, 경고 발생부(150)는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경고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26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모든 항목의 값을 리셋하여 초기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220단계 및 230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0단계에서,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수신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심전도 신호로부터 심박동을 검출할 수 있다.
310단계에서,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처음 심박동이 검출되면, 이벤트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123)를 가동시키고, 타이머(123)에 의해 측정되는 경과시간(Tc)을 이벤트경과시간(Tet)으로 설정할 수 있다.
320단계에서,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가 현재 심박동이 검출된 시간간격인 현재박동시간(TR(n))을 검출하면, 330단계에서,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심박동 검출횟수(N)를 1씩 증가시킨다(N=N+1).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심박동이 검출된 시간을 타이머(123)를 통해 확인하여, 현재박동시간(TR(n))을 산출할 수 있다.
340단계에서,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심박동이 누적 검출된 횟수(N)와 임계값을 비교하거나, 또는, 현재박동시간(TR(n))과 설정된 적어도 두 개의 기준박동시간(예를 들어, 2초, 0.5초)을 비교하여 후보 부정맥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심박동이 누적 검출된 횟수(N)가 임계값(예를 들어, 10)을 초과하거나, 320단계에서 검출된 현재박동시간(TR(n))이 최대박동시간(max)을 초과하거나, 또는 현재박동시간(TR(n))이 최소박동시간(min) 미만인지 판단한다.
350단계에서, 340단계의 조건들 중 하나에 부합하면,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후보 부정맥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후보 부정맥 검출부(121)는 현재 검출된 심박동을 후보 부정맥으로 판단할 수 있다.
360단계에서, 이벤트 발생부(125)는 350단계에서 검출된 후보 부정맥에 대응하는 현재박동시간(TR(n))이,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전박동시간(TR(n-k), k는 1, 2, 3, …)의 b배수보다 작거나 u배수보다 크면, 부정맥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부정맥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60단계에서, 이벤트 발생부(125)는 TR(n)<b*TR(n-1) 또는, TR(n)<b*TR(n-2) 또는, TR(n)<b*TR(n-3)이거나, TR(n)>u*TR(n-1), 또는, TR(n)>u*TR(n-2), 또는, TR(n)>u*TR(n-3)이면, 이벤트 발생부(125)는 부정맥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발생부(125)는 부정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측정된 경과시간(Tet)을 타이머(12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7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현재박동시간(TR(n))을 이전박동시간(TR(n-1))으로 대체하고, 타이머(123)를 초기화할 수 있다. 즉, 37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TR(n-3)을 TR(n-2)로 대체하고, TR(n-2)를 TR(n-1)로 대체하며, TR(n-1)을 TR(n)으로 대체한다.
380단계에서, 이벤트 발생부(125)는 부정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측정된 경과시간(Tet)과 기설정된 유효시간(Te)을 비교한다.
390단계에서 측정된 경과시간(Tet)이 기설정된 기준시간(Te)보다 작으면, 카운터(127)는 이벤트 발생부(125)의 제어에 의해 부정맥 이벤트 횟수(COUNT)를 카운팅한다.
395단계에서, 제어부(140)는 390단계에서 카운팅되는 부정맥 이벤트 횟수가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AR)에 도달하면, 응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부정맥을 검출하는 경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맥의 경우 타이머(123)에서 측정된 시점(t1)에서 응급상황이 판단되어 경고(A: Alarm)신호가 발생되었음을 보여준다. 즉, 서맥의 경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조건에 부합하는 부정맥이 t1시점에서 검출되었음을 보여준다. TR(n)은 현재 부정맥이 검출된 시간과 이전 부정맥이 검출된 시간의 간격, TR(n-1)과 TR(n-2)는 그 이전 부정맥들이 검출된 시간의 간격이다.
도 4에 도시된 빈맥은 t2 시점에서 심박동이 빈맥으로 판단되어, 경고(A: Alarm)신호가 발생되었음을 보여주며, 방실차단, 심실빈맥 및 심실제동 역시 상술한 방법에 의해 검출되어 경고신호가 발생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이전 심박동과 이후 심박동의 시간 간격인 박동시간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심박동의 부정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정맥이 기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만큼 검출되면,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맥을 검출하는 단계는,
    현재 검출된 심박동의 시간인 현재박동시간과 설정된 적어도 두 개의 기준박동시간을 비교하여 후보 부정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후보 부정맥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박동시간이,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전박동시간의 b 배수보다 작거나 u 배수보다 크면, 부정맥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부정맥 이벤트가 연속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만큼 발생하거나 상기 부정맥 이벤트의 카운팅 결과가 상기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정맥을 검출하는 단계는,
    최초 심박동이 검출되면 타이머를 가동하여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부정맥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측정된 경과시간과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경과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유효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부정맥 이벤트를 카운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준박동시간은 최대박동시간과 최소박동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후보 부정맥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박동시간이 상기 설정된 최대박동시간보다 크거나 상기 최소박동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 검출된 심박동을 상기 후보 부정맥으로 검출하는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4. 이전 심박동과 이후 심박동의 시간 간격인 박동시간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심박동의 부정맥을 검출하는 부정맥 검출부; 및
    상기 부정맥이 기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기설정된 부정맥 기준횟수만큼 검출되면,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장치.
KR1020110035681A 2011-04-18 2011-04-18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및 장치 KR20120118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681A KR20120118228A (ko) 2011-04-18 2011-04-18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681A KR20120118228A (ko) 2011-04-18 2011-04-18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228A true KR20120118228A (ko) 2012-10-26

Family

ID=4728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681A KR20120118228A (ko) 2011-04-18 2011-04-18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82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407A (ko) * 2018-10-30 2020-05-08 우효림 심장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407A (ko) * 2018-10-30 2020-05-08 우효림 심장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4251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fidence level determination of ambulatory hr algorithm based on a three-way rhythm classifier
US10699811B2 (en) Methods and systems to determine multi-parameter managed alarm hierarchy during patient monitoring
US10321823B2 (en) System and method to flag arrhythmia episodes for urgent review
CN102458240B (zh) 具有减少的心搏停止假警报的ecg 监测
US20040010201A1 (en) Portable ECG monitor and method for atrial fibrillation detection
US10791952B2 (en) Electrocardiogram device and methods
CA26055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tachyarrhythmia using cycle lengths
GB2448975A (en) False positive alarm reduction in atrial fibrillation detection
CN105902265B (zh) 一种房颤检测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智能可穿戴设备
JP6692498B2 (ja) ユーザの心臓活動を監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1744524B2 (en) Statistical display method for physiological parameter of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apparatus
US201000819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real-time ultrasound signal within a time window
US20120277609A1 (en) Distinguishing premature contractions in a medical device
US8620414B2 (en) Detection of T-wave alternans phase reversal for arrhythmia prediction and sudden cardiac death risk stratification
US116842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robability for a person to have arrhythmia
Couceiro et al. Real-time prediction of neurally mediated syncope
JP2020517337A (ja) アーチファクト耐性脈拍変動測定
KR20120118228A (ko)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방법 및 장치
CN112512419A (zh) 提供对象的时间信息
EP3708071A1 (en)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atrial fibrillation
KR102521294B1 (ko) 연속 혈압 측정을 이용한 생체활력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10025355A (ko) 응급상황 인지를 위한 부정맥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107490B1 (ko) 피크 심장 박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0479A (ko) 심장박동 감시 시스템
US20130123650A1 (en) Health monitor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