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469A -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469A
KR20120117469A KR1020110035242A KR20110035242A KR20120117469A KR 20120117469 A KR20120117469 A KR 20120117469A KR 1020110035242 A KR1020110035242 A KR 1020110035242A KR 20110035242 A KR20110035242 A KR 20110035242A KR 20120117469 A KR20120117469 A KR 20120117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ervice
information
applica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Priority to KR102011003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7469A/ko
Priority to PCT/KR2012/002836 priority patent/WO2012141537A2/ko
Publication of KR2012011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음원 서비스 이용에 따른 비용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음원 서비스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해주기 위한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METHOD, SERVER,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MUSIC SOURCE SERVICE}
본 발명은 음원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음원 서비스 이용에 따른 비용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음원 서비스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해주기 위한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원 서비스 사이트는 저장하고 있는 전체 음원들을 음원 서비스의 대상으로 하여 전체 음원들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사용자는 전체 음원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원만을 따로 선별하여 음원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또한, 종래, 사용자가 음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용 권한이 정의된 이용권을 소정의 비용으로 구매한 이후, 구매한 이용권을 이용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이때, 종래에는 애플리케이션마다 별도의 이용권이 이용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음원 서비스 사이트에서 제공된 것이더라도, 이용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 개수만큼의 이용권을 구매해야 하는 금전적 부담이 있어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원 대상을 저장된 전체 음원들만으로 하지 않고, 여러 기준에 따라 전체 음원들로부터 음원 세트를 세분화하여 구성해두고, 이렇게 구성된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음원 세트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음원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는 하나의 이용권만을 구매하였음에도, 구매한 하나의 이용권만으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기 다른 다양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한 금전적 부담을 느끼지 않고 다양한 음원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로부터 복수의 음원 세트를 구성하는 음원 세트 구성부; 사용자의 이용권 구매에 따라 저장된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 관리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중에서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및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 요청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확인하여, 별도의 과금 없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하고,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원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버가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로부터 복수의 음원 세트를 구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용권 구매에 따라 저장된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Sub-Application) 중에서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 요청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확인하여, 별도의 과금 없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하고,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를 통하여 음원 서비스 사이트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로부터 구성된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부;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 요청 정보를 음원 제공 서버로 송신하여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서비스 요청부; 및 상기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실행하는 음원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전체 음원들로부터 구성된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서브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승인 정보는,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제공 서버가 별도의 과금 없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음원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음원별 검색 빈도 정보, 음원별 UI 접근성 정보, 음원별 가수 정보 및 음원별 앨범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전체 음원들로부터 구성된 복수의 음원 세트 중 하나인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서버로 요청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버가 별도의 과금 없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한다는 내용의 승인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에 따른 음원 서비스에 포함되는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원 대상을 저장된 전체 음원들만으로 하지 않고, 여러 기준에 따라 전체 음원들로부터 음원 세트를 세분화하여 구성해두고, 이렇게 구성된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음원 세트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음원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하나의 이용권만을 구매하였음에도, 구매한 하나의 이용권만으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기 다른 다양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한 금전적 부담을 느끼지 않고 다양한 음원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개념화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을 공유하여, 별도의 과금 없이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개념화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0)은, 음원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제공 주체인 음원 제공 서버(110, 이하 "서버"라 칭함)와, 음원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주체인 모바일 단말기(120) 등을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App Store Server, 이하, "앱 스토어 서버"라 함,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음원 서비스"는, 일 예로, 모바일 단말기(120)가 서버(110)에 저장된 음원을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 서비스와, 모바일 단말기(120)가 서버(110)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는 듣기 서비스와, 모바일 단말기(120)가 서버(110)에 저장된 음원을 임대 형태로 일정 기간 동안 다운로드 받거나 재생할 수 있는 임대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서버(110)는 전체 음원들 중에, 일부 음원만을 골라 음원 세트를 구성하여 음원 관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대별, 나이별, 계절별, 성별 등의 기준에 따른 음원 선호 정보, 음원별 UI(User Interface) 접근성 정보, 가수 정보 및 앨범 정보 중 등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테마 정보를 미리 설정하고 이러한 복수의 테마 정보에 따라 복수의 음원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음원 세트 각각에는 해당 테마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음원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음원별 UI 접근성 정보는 사용자가 특정 음원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에서 몇 단계를 거쳐야만 특정 음원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연대별 음원 선호 정보를 포함하는 테마 정보를 미리 설정하고, 테마 정보에 포함된 연대별 음원 선호 정보에 따라 80, 90년대 높은 음원 선호도를 갖는 음원만을 골라 음원 세트 1을 구성할 수 있고, 계절별 음원 선호 정보가 포함된 테마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테마 정보에 포함된 계절별 음원 선호 정보에 따라 가을에 높은 음원 선호도를 갖는 음원만을 골라 음원 세트 2를 구성할 수 있으며, 나이별 음원 선호 정보와 음원별 UI 접근성 정보를 포함하는 테마 정보를 미리 설정하고, 테마 정보에 포함된 나이별 음원 선호 정보와 음원별 UI 접근성 정보에 따라, 20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원 중에서 접근 단계가 일정 단계 이상이 되어 UI 접근성이 떨어지는 음원만을 골라 음원 세트 3을 구성함으로써, 음원 세트 1, 음원 세트 2 및 음원 세트 3을 포함하는 복수의 음원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음원 관리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음원 서비스"는, 서버(110)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을 음원 서비스의 대상으로 하여 제공하는 음원 서비스(이를 "풀(Full) 음원 서비스"라고도 함)와, 서버(110)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 중 일부 음원(이를 "음원 세트"라고도 함)만을 음원 서비스의 대상으로 하여 제공하는 음원 서비스(이를 "서브(Sub) 음원 서비스"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음원 관리 및 음원 서비스 종류와 관련하여, 서버(110)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을 음원 서비스의 대상으로 하여 제공하는 풀 음원 서비스를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120)에는 "풀 애플리케이션(Full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서버(110)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 중 일부 음원인 음원 세트만을 음원 서비스의 대상으로 하여 제공하는 서버 음원 서비스를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120)에는 해당 음원 세트에 대한 "서브 애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서브 애플리케이션은 풀 애플리케이션의 부분 집합 개념(완전한 부분이지 않을 수 있음)으로서, 전체 음원들이 아닌 일부 음원의 집합인 음원 세트만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 음원들을 음원 서비스의 대상으로 하지 않고, 전체 음원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성된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서브 음원 서비스)를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음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 소정의 비용을 결제하고 결제한 비용에 따라 정해진 음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사용자는 음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 소정의 비용으로 이용권을 구매하고 구매한 이용권에서 정의된 이용 권한에 맞는 음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는 이용 권한이 정의된 이용권을 소정의 비용으로 구매한 이후 구매한 이용권을 이용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즉, 종래에는 애플리케이션마다 별도의 이용권이 이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음원 서비스 사이트에서 제공된 것이더라도, 이용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 개수만큼의 이용권을 구매해야 하는 금전적 부담이 있어왔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나의 이용권만을 구매하고도 구매한 하나의 이용권만으로도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는 과도한 금전적 부담을 느끼지 않고 음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서버(110) 및 앱 스토어 서버(13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도 2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110) 및 앱 스토어 서버(13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또한, 서버(110) 및 앱 스토어 서버(130)는,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서버(11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이하 "DB"라 칭함)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버(110) 및 앱 스토어 서버(13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110) 및 앱 스토어 서버(130)는 애플 아이폰 iOS, 구글 안드로이드, 윈도우 모바일 등의 단말기(120)의 운영 체제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전술한 모바일 단말기(120)는 유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앱 스토어 서버(130)에 접속하여 앱 스토어를 통해 음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110)에 저장된 음원 또는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로서, 일 예로, 애플 아이폰 iOS, 구글 안드로이드, 윈도우 모바일 등의 운영 체제가 탑재되어 있고,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 모바일 단말기(120) 및 앱 스토어 서버(130)는 유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망(140)은, 서버(110) 및 모바일 단말기(120) 간의 연결을 위한 제1네트워크와, 모바일 단말기(120) 및 앱 스토어 서버(130) 간의 연결을 위한 제2네트워크와, 서버(110) 및 앱 스토어 서버(130) 간의 연결을 위한 제3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네트워크, 제2네트워크 및 제3네트워크는 동일한 네트워크이거나 각기 다른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네트워크, 제2네트워크 및 제3네트워크는 모두 인터넷 망일 수도 있고, 서버(110) 및 모바일 단말기(120) 간의 연결을 위한 제1네트워크와 모바일 단말기(120) 및 앱 스토어 서버(130) 간의 연결을 위한 제2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 망을 포함하고, 서버(110) 및 앱 스토어 서버(130) 간의 연결을 위한 제3네트워크는 인터넷 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11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1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10)는, 음원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제공 주체로서, 음원 저장 및 관리 기능과,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에 대한 관리 기능과, 애플리케이션의 제공 기능과, 음원 전송 등의 음원 서비스를 실제로 제공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10)는 전술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음원 세트 구성부(210), 이용 권한 공유 정보 관리부(220),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 음원 서비스 제공부(240) 등을 포함한다.
음원 세트 구성부(210)는 DB(250)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로부터 복수의 음원 세트를 구성한다.
이용 권한 공유 정보 관리부(220)는 사용자의 이용권 구매에 따라 저장된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사용자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생성한다.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음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 요청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면, 이용 권한 공유 정보 관리부(220)에 의해 생성된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확인하여, 별도의 과금 없이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하고,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한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은, 몇 곡의 음원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얼마의 기간 동안 이용할 수 있고, 어떠한 종류의 음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권리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은, 1개월간 40곡의 음원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이용 권한, 1개월간 전곡 듣기만 가능한 이용 권한, 1개월간 40곡의 음원에 대한 다운로드 및 전곡 듣기가 모두 가능한 이용 권한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사용자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는, 사용자가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를 이용할 때,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 각각에 대하여 이용권을 구매하지 않고도, 하나의 이용권만으로도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 모두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생성되는 정보로서, 일 예로, 하나의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정보를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 정보에 모두 매칭시킨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음원 세트 구성부(210)는, DB(250)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로부터 복수의 음원 세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음원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음원별 검색 빈도 정보, 음원별 UI 접근성 정보, 음원별 가수 정보 및 음원별 앨범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테마 정보를 복수 개만큼 미리 설정해두고, 이러한 복수의 테마 정보에 따라 복수의 음원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음원 세트 각각은 해당 테마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는,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서브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앱 스토어(App Store, Application Store)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는,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앱 스토어 서버(130)로 전송해주어 앱 스토어(App Store, Application Store)를 통해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게시한다. 앱 스토어 서버(130)는 앱 스토어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120)로부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 중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해당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해준다.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는, 전체 음원들에 대한 음원 서비스(풀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풀 애플리케이션을 앱 스토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 각각은, 전체 음원들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서브 애플리케이션은 풀 애플리케이션의 부분 집합의 개념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는,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에 따른 음원 서비스에 포함되고, 특정 음원 세트에 포함된 음원의 다운로드 서비스, 듣기 서비스 및 임대 서비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개월간 40곡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이용권을 구매한 겅우, 구매한 이용권에 대한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은, 1개월간 음원 40곡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이용 권한이 된다. 이용 권한 공유 정보 관리부(220)는, 이러한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사용자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이용 권한 공유 정보가 생성된 이후, 사용자가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하는 경우, 별도의 과금 없이 미리 구매한 이용권을 이용하여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1개월간 음원 40곡 다운로드)에 따라 특정 음원 세트에 포함된 음원 40곡을 1개월간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버(110)가 음원 세트를 구성하고 구성된 각 음원 세트별로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원 서비스(서브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개념화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10)의 DB(250)에는 음원1, 음원2, ... , 음원N을 포함하는 N개의 음원(300)이 저장되어 있고, 서버(110)는 이러한 N개의 음원(300)을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선정된 m(m≥1)개의 음원(음원11, ... ,음원1m)을 포함하는 음원 세트 1(310), UI 접근성에 따라 선정된 n(n≥1)개의 음원(음원21, ... , 음원2n)을 포함하는 음원 세트 2(320) 및 검색 빈도에 따라 선정된 k(k≥1)개의 음원(음원31, ... , 음원3k)을 포함하는 음원 세트 3(330)을 구성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해당 음원 서비스 사이트는 N개의 전체 음원들(300)에 대한 음원 서비스(풀 음원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기(120)에 설치된 풀 애플리케이션(FULL APP, 30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해당 음원 서비스 사이트는, 음원 세트 1(310)에 대한 음원 서비스 1(서브 음원 서비스)을 모바일 단말기(120)에 설치된 서브 애플리케이션 1(SUB APP 1, 31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고, 음원 세트 2(320)에 대한 음원 서비스 2(서브 음원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기(120)에 설치된 서브 애플리케이션 2(SUB APP 2, 32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음원 세트 3(330)에 대한 음원 서비스 3(서브 음원 서비스)을 모바일 단말기(120)에 설치된 서브 애플리케이션 3(SUB APP 3, 33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을 공유하여, 별도의 과금 없이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개념화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해당 음원 서비스 사이트에서 이용권을 구매하여, 이 이용권을 이용하여, 풀 애플리케이션(3000)을 통해 서버(110)의 DB(250)에 저장된 N개의 전체 음원들(300) 중에서 40곡의 음원을 1개월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면, 서버(110)에는 사용자 정보(예: 사용자 ID)와 연계된 해당 이용 권한(1개월 40곡 다운로드)이 정의된 이용권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구매했던 하나의 이용권을 이용하여, 서브 애플리케이션 1(3100)을 통해 음원 세트 1에 대한 음원 서비스 1을 이용할 수 있고, 서브 애플리케이션 2(3200)를 통해 음원 세트 2에 대한 음원 서비스 2를 이용할 수 있고, 서브 애플리케이션 3(3300)을 통해 음원 세트 3에 대한 음원 서비스 3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버(110)는 이용권 정보를 공유시켜준다. 즉, 서버(110)는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음원 세트(310, 320, 330)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가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음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가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DB(250)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300)로부터 복수의 음원 세트(310, 320, 330)를 구성하는 단계(S500)와, 사용자의 이용권 구매에 따라 저장된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복수의 음원 세트(310, 320, 330)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502)와, 사용자 요청에 따라, 복수의 음원 세트(310, 320, 330)별 서브 애플리케이션(3100, 3200, 3300) 중에서 특정 음원 세트(310, 320 및 330 중 하나)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3100, 3200 및 3300 중 하나)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제공하는 단계(S504)와,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 요청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면, S502 단계에서 생성된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확인하여, 별도의 과금 없이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하고,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506) 등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12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120)는, 서버(110) 및 앱 스토어 서버(13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610)와, 서버(110) 및 앱 스토어 서버(130)와의 통신 기능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음원 서비스 실행 등을 수행하는 제어부(620)와, 서버(110) 및 앱 스토어 서버(130)와의 통신 기능을 통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거나 음원 서비스의 실행에 따른 해당 음원이 저장되는 메모리(63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어부(620)는,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앱 스토어 서버(130)를 통하여 음원 서비스 사이트의 DB(250)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300)로부터 구성된 특정 음원 세트(310, 320 및 330 중 하나)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3100, 3200 및 3300 중 하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부(621)와, 애플리케이션 설치부(621)에 의해 설치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 요청 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하여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서비스 요청부(622)와, 수신한 승인 정보에 따라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예: 다운로드, 듣기 등)를 실행하는 음원 서비스 실행부(623) 등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은, 서버(110)의 DB(250)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300)로부터 구성된 복수의 음원 세트(310, 320, 330)별 서브 애플리케이션(3100, 3200, 3300) 중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서브 애플리케이션이다.
그리고,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 요청 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하여 수신한 승인 정보는,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복수의 음원 세트(310, 320, 330)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에 따라, 서버(110)가 별도의 과금 없이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한 정보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음원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음원별 검색 빈도 정보, 음원별 UI 접근성 정보, 음원별 가수 정보 및 음원별 앨범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전체 음원들로부터 구성된 복수의 음원 세트 중 하나인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서버(110)로 요청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에 의거하여 서버(110)가 별도의 과금 없이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한다는 내용의 승인 정보를 서버(110)로부터 수신하는 기능과,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에 따른 음원 서비스에 포함되는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실행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바일 단말기(1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서브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서버(110)가 앱 스토어 서버(13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20)로 제공하여 모바일 단말기(120)에 다운로드 되어 설치되는 서브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앱 스토어 서버(130) 또는 서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되고 서브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기록매체(예: 하드 디스크 등)이거나, 앱 스토어 서버(130) 또는 서버(110) 자체로 해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원 대상을 저장된 전체 음원들만으로 하지 않고, 여러 기준에 따라 전체 음원들로부터 음원 세트를 세분화하여 구성해두고, 이렇게 구성된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서브 음원 서비스)를 음원 세트별 애플리케이션(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음원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하나의 이용권만을 구매하였음에도, 구매한 하나의 이용권만으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풀 애플리케이션,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기 다른 다양한 음원 서비스(풀 음원 서비스, 서브 음원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한 금전적 부담을 느끼지 않고 다양한 음원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로부터 복수의 음원 세트를 구성하는 음원 세트 구성부;
    사용자의 이용권 구매에 따라 저장된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 관리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및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 요청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확인하여, 별도의 과금 없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하고,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원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세트 구성부는,
    음원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음원별 검색 빈도 정보, 음원별 UI 접근성 정보, 음원별 가수 정보 및 음원별 앨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테마 정보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테마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를 구성하며,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 각각에는 해당 테마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음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접속된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 각각은,
    상기 전체 음원들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는,
    상기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에 따른 음원 서비스에 포함되고,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포함된 음원의 다운로드 서비스, 듣기 서비스 및 임대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6. 서버가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로부터 복수의 음원 세트를 구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용권 구매에 따라 저장된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 요청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이용 권한 공유 정보를 확인하여, 별도의 과금 없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하고,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를 통하여, 음원 서비스 사이트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음원들로부터 구성된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애플리케이션 설치부;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 요청 정보를 음원 제공 서버로 송신하여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서비스 요청부; 및
    상기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실행하는 음원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서브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전체 음원들로부터 구성된 복수의 음원 세트별 서브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서브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승인 정보는,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제공 서버가 별도의 과금 없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8.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음원별 사용자 선호도 정보, 음원별 검색 빈도 정보, 음원별 UI 접근성 정보, 음원별 가수 정보 및 음원별 앨범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전체 음원들로부터 구성된 복수의 음원 세트 중 하나인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서버로 요청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이 상기 복수의 음원 세트별 음원 서비스의 이용시 공유되도록 하는 이용 권한 공유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버가 별도의 과금 없이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의 이용을 승인한다는 내용의 승인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이용권 정보에 정의된 이용 권한에 따른 음원 서비스에 포함되는 상기 특정 음원 세트에 대한 음원 서비스를 실행하는 기능
    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35242A 2011-04-15 2011-04-15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20117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242A KR20120117469A (ko) 2011-04-15 2011-04-15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
PCT/KR2012/002836 WO2012141537A2 (ko) 2011-04-15 2012-04-13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242A KR20120117469A (ko) 2011-04-15 2011-04-15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469A true KR20120117469A (ko) 2012-10-24

Family

ID=4700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242A KR20120117469A (ko) 2011-04-15 2011-04-15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117469A (ko)
WO (1) WO2012141537A2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947A (ko) * 2002-12-23 2004-06-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을 통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미디어 패키지 컨텐츠판매 방법
JP2005128810A (ja) * 2003-10-24 2005-05-19 Sourcenext Corp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100766593B1 (ko) * 2005-04-15 2007-10-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게임 컨텐츠 및 아이템 파일의 전송 방법, 시스템 및 서버
GB0702587D0 (en) * 2006-05-05 2007-03-21 Omnifone Ltd Digital rights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1537A2 (ko) 2012-10-18
WO2012141537A3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0953B2 (en) Software distribution service federation
EP3149650B1 (en) System for managing personal data
CN101681489B (zh) 内容分发基础结构
US845865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building a software appliance
CN102934079B (zh) 按承租人和用户的特征集合区分的方法
US77304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pattern installation by cloning software installed another computer
CN105812479B (zh) 使用权限的请求方法和装置及获取方法和装置
US8924920B2 (en) Providing a software appliance based on a role
EP26281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drm module
US20130283298A1 (en) Managing mobile execution environments
US20200319911A1 (en) Configurable virtual machines
US2009030058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demo appliance and migrating the demo appliance to a production appliance
US20120290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uter Services
CN105210033A (zh) 多屏应用启用和分发服务
EP2691925A2 (en) Integrated mobile/server applications
CN103906034A (zh) 移动应用提供方法、服务器
KR101030309B1 (ko) 개인 pc와 연동하는 웹 pc 제공 시스템 및 그 웹 pc 제공 방법
US7813964B2 (en) Click and run software purchasing
EP2972829A1 (en) Modification of compiled applications and application management using retrievable policies
CN107958140B (zh) 加密许可文件的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090177755A1 (en) Script serving apparatus and method
JP4054626B2 (ja) 情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17469A (ko)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101304565B1 (ko)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US200901510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righ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