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290A -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290A
KR20120117290A KR1020110034958A KR20110034958A KR20120117290A KR 20120117290 A KR20120117290 A KR 20120117290A KR 1020110034958 A KR1020110034958 A KR 1020110034958A KR 20110034958 A KR20110034958 A KR 20110034958A KR 20120117290 A KR20120117290 A KR 20120117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raspberry
licorice
mugwort
cinna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용
Original Assignee
최석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용 filed Critical 최석용
Priority to KR102011003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7290A/ko
Publication of KR2012011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2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01C21/007Determining fertilization requi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법에 관한 것으로, 산딸기의 당도 및 유기산 함량을 관행 재배법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감초,계피,쑥,부추 추출액 및 산딸기 수액으로 조성된 한방 영양제를 물에 희석하여 엽면 및 관주 시비하되 봄식제 후 10일 간격으로 2회 관주하고, 개화 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고, 수확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A chinese herb nutrient and method of cultivation of a chinese herb wild berries }
본 발명은 한방 산딸기 재배 관한 것으로, 특히 당도 및 유기산의 함량이 높은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딸기(학명:Rubus crataegifolius)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아관목으로 높이가 2m에 이르며, 5?6월에 흰색의 꽃이 피고, 6?7월에 구형의 붉은색 열매를 맺는 다년생 식물로서 줄기에는 복분자와 달리 하얀분이 끼지 않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이남지방과 일본,중국에서도 야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야산이나 산악지역에 널리 분포되고 있으나 특히, 경상남도 일원에서는 가장 많이 재배 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산딸기를 복분자로 잘못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산딸기과 복분자는 표1, 표2 및 그림1 및 그림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양학적 측면, 식물계통적 측면, 재배방법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구 분 함유량(%) 함유량(mg/100g)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섬유소 비타민C 칼륨
복 분 자 0.8 0.2 8.9 0.5 17 156 27
산 딸 기 1.3 0.4 6.7 2.7 28 130 31
출 처 농촌자원개발연구소 “식품성분표”
구 분 복 분 자 산 딸 기
품 종 장미과coreanus종 장미과crataegifolius종
줄 기 표면에 흰가루로 덮여 있음 적갈색으로 흰분이 없음
열 매 완숙시 홍흙색으로 변함 완숙 후에도 붉은색
번 식 휘묻이번식 분지번식
현재는 산딸기의 수익성, 기능성이 많이 알려지면서 대단위의 시설 및 노지 형태의 집약재배를 하고 있다.
집약재배를 하는 과원의 경우 산딸기의 품질은 과원의 밀집도, 병해충의 침해,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품종. 비료, 시비 방법 및 시비량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산딸기의 기능성 성분이라 할 수 있는 유기산, 미네랄류 및 비타민류 의 함유량은 생육 초기, 개화기, 수확기에 사용하는 비료의 조성, 시비량 및 시비주기에 따라 좌우 된다.
이러한 유실수의 기능성을 부여 하기위한 종래의 기술을 보면 “셀레늄을 함유하는 과수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셀레늄을 함유하는 과수의 재재방법(공개특허 10-0047555)”에서는 무기 셀레늄과 톳 엑기스를 함유하는 양액을 배 재배시에 관주 또는 엽면 살포함으로서 셀레늄이 배에 흡수되도록 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비제 및 제조방법(등록특허 10-0777258)“에서는 삽주,무화과,담배풀 추출물을 이용하여 점박이 응애의 방제 효과 등이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한방 재료인 감초, 계피, 쑥, 쇠비름 및 산딸기 수액을 함께 사용함으로서 기능성을 가지는 산딸기 수확을 위한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산딸기 재배에 사용되는 한방 영양제는 물에 희석하여 엽면 및 관주 시비하되, 봄식제 후 10일 간격으로 2회 관주하고, 개화 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고, 수확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방 영양제는 감초,계피,쑥,쇠비름 추출물 5?30중량%, 산딸기 수액 70?95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감초,계피,쑥,쇠비름을 물에 넣고 추출하는 단계, 이것을 산딸기 수액과 혼합하여 한방 영양제를 완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은 한방 영양제를 산딸기 나무를 식제 후 10일 간격으로 2회 관주하고, 개화 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고, 수확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는 단계로 구성 된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서.개화기는 6~7월이고 결실기는 7~9월이며, 뿌리에는 단맛을 내는 성분인 glycyrrhizin, liquiritigenin, liquiri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쇠비름은 쇠비름과 쇠비름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로서 다량의 칼륨염(말린 것에는 17% 들어 있다)이 들어 있다. 그밖에 또 dopamine, DOPA, malic acid, citric acid,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sucrose, glucose, fructose 등이 들어 있다.
본 발명의 감초,계피,쑥,쇠비름 추출물은 감초 5.0?15.0 중량%, 계피 2.0?10.0 중량%, 쑥 3.0?12.0 중량%, 쇠비름 3.0?10.0 중량%를 53?87 중량%의 물에 넣고 60?90℃에서 4?10시간 가열 추출하고, 여과한 여과액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산딸기 수액은 산딸기(잎,가지,열매) 50?80중량%, 물 20?50중량%를 섞어 그 혼합물을 200?300℃로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 정제한 것으로서 주성분은 수분이 70?90중량%, 유기산 0.5?2.0중량% 함유된 것이다
본 발명은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으로서 한방 추출물과 산딸기 수액의 기능성 성분이 엽면살포 및 관주 과정에서 산딸기에 흡수되어 유기산 함유량 및 당도가 높아 기존의 재배방법에 의해 수확된 산딸기에 비하여 상품성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방 영양제의 제조
감초 1.0kg, 계피 0.5kg, 쑥 0.8kg, 쇠비름 0.5kg를 중탕기에 넣고, 물 7.2kg를 넣어 80℃에서 6시간 중탕 가열한 후 여과한 여과액 2kg와 산딸기 수액 8kg를 혼합한다.
시험구
(실시예1) 에서 제조된 한방 영양제를 물에 희석하여 봄식제 후 10일 간격으로 2회 관주하고, 낙화 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고, 수확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였다.
대조구
(실시예1)의 한방 영양제 대신 전질소 2중량%, 수용성인산(P2O%로서) 3중량%, 수용성 칼륨(K2O로서) 1중량%가 함유된 액상비료를 물로 희석하여 봄식제 후 10일 간격으로 2회 관주하고, 낙화 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고, 수확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였다.
약효 시험
1) 시험방법
가. 시비구당 시험면적: 난괴법 3반복
처리수 반복수 총구수 구당면적 소요면적 총소요면적
3 3 9 20㎡ 180㎡ 225㎡
3 3 9 5㎡ 45㎡
나. 시비내용 및 희석배수
시비구 희석배수 및 처리물량
시험구 500배 (500L/10a)
대조구 500배 (500L/10a)
* 10a(10아르) = 300평 = 990m2
2) 조사방법
조사항목 조사횟수 조사시기 조 사 방 법
초장, 엽폭, 엽장,
생체중, 엽수
3 회 수확전 수확전 최종 시비 5,10,15일 후 구당 15주에 대한 생육조사
3) 시험결과
시험약제 초장 엽폭 엽장
1 증가율(%)2 증가율(%) 증가율(%)
대조구 9.3 a 6.9 10.9 a 10.1 10.1 a 9.8
시험구 9.2 a 5.7 11.3 a 14.1 10.2 a 10.9
무처리구 8.7 a - 9.9 b - 9.2 b -
시험약제 생체중 근중 엽수
g1 증가율(%)2 g 증가율(%) 3 증가율(%)
대조구 23.46 a 18.5 2.02 a 5.2 9.9 a 12.5
시험구 23.83 a 20.4 2.05 a 6.8 10.0 a 13.6
무처리구 19.80 b - 1.92 a - 8.8 b -
* Ducan's Multiple Range Test 5% 유의수준
* 증가율은 무처리구의 값을 기준으로 한 증가율(%)임.
* 2㎝ 이하의 소엽은 제외하였음.
상기 결과에 의하면 시험구는 엽폭 14.1%, 엽장 10.9%, 생체중 20.4%, 엽수 13.6%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대조구는 엽폭 10.1%, 엽장 9.8%, 생체중 18.5%, 엽수 12.5%의 증가율을 보여 본 발명의 한방 영양제를 시비한 시험구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성분분석
산딸기의 품질을 평가 위하여 (실시예2) 및 (실시예3)에 따라 수확된 산딸기에 대하여 유기산 및 당도를 분석한 결과 표1 과 같았다.
성 분 (실시예2)
시험구
(실시예3)
대조구
Ascorbic acid(mg/100g) 34 28
Citric acid(mg/100g) 123.8 116.2
Malic acid(mg/100g) 83.7 64.8
Tartaric acid(mg/100g) 54.1 63.2
당도(Brix,%) 12.8 11.2
본 발명의 한방 영양제을 시비한 (실시예2)의 시험구와 (실시예3)의 대조구를 비교해 보면 유기산 및 당도의 함유량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시험구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3)

  1. 감초,계피,쑥,부추 추출액 및 산딸기 수액으로 조성된 한방 영양제를 물에 희석하여 엽면 및 관주 시비하되 봄식제 후 10일 간격으로 2회 관주하고, 개화 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고, 수확전 7일 간격으로 2회 엽면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한방 영양제는 감초,계피,쑥,쇠비름 추출물 5?30중량%, 산딸기 수액 70?95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감초,계피,쑥,쇠비름을 물에 넣고 추출 후 산딸기 수액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
  3. 청구항2.에 있어서 감초,계피,쑥,쇠비름 추출물은 감초 5.0?15.0 중량%, 계피 2.0?10.0 중량%, 쑥 3.0?12.0 중량%, 쇠비름 3.0?10.0 중량%를 53?87 중량%의 물에 넣고 60?90℃에서 4?10시간 가열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
KR1020110034958A 2011-04-15 2011-04-15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 KR20120117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58A KR20120117290A (ko) 2011-04-15 2011-04-15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58A KR20120117290A (ko) 2011-04-15 2011-04-15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290A true KR20120117290A (ko) 2012-10-24

Family

ID=4728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958A KR20120117290A (ko) 2011-04-15 2011-04-15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72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85B1 (ko) * 2012-09-19 2014-04-10 박용대 과수 생육촉진용 기능성 오메가3 함유 비타민 영양제
CN104098392A (zh) * 2014-06-25 2014-10-15 周瑛 一种韭菜专用化肥
CN104177171A (zh) * 2014-08-12 2014-12-03 淮南市益农瓜果产销服务有限公司 一种具有高能活性的草莓包膜肥料及其制备方法
CN108513994A (zh) * 2018-05-15 2018-09-11 河北农业大学 一种果蝇诱杀剂及制备方法和使用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85B1 (ko) * 2012-09-19 2014-04-10 박용대 과수 생육촉진용 기능성 오메가3 함유 비타민 영양제
CN104098392A (zh) * 2014-06-25 2014-10-15 周瑛 一种韭菜专用化肥
CN104177171A (zh) * 2014-08-12 2014-12-03 淮南市益农瓜果产销服务有限公司 一种具有高能活性的草莓包膜肥料及其制备方法
CN108513994A (zh) * 2018-05-15 2018-09-11 河北农业大学 一种果蝇诱杀剂及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8513994B (zh) * 2018-05-15 2020-12-25 河北农业大学 一种果蝇诱杀剂及制备方法和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 et al. The effect of Ascophyllum nodosum extract on the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tomato grown under tropical conditions
KR101482038B1 (ko) 유황비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황비료
Goda et al. Effect of shoot pruning on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husk tomato (Physalis pubescens L.)
KR20120117290A (ko) 한방 영양제 및 한방 산딸기 재배방법
JP5254281B2 (ja) 植物のストレス緩和剤および生長促進剤
KR20170044834A (ko) 기능성 순무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순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de Queiroga et al. Melon fruit yield and quality as a function of doses and times of biostimulant application
Bartual et al. Nutrient status and irrigation management affect anthocyanins in ‘Mollar de Elche’pomegranate
Kamel Response of Manfalouty pomegranate transplants to foliar spray and soil drench applications with some natural extracts
Caruso et al. Yield and quality of greenhouse organic pepper as affected by shading net in Mediterranean area
Nache Gowda et al. Growth, yield and quality of Bangalore Blue grapes as influenced by foliar applied polyfeed and multi-K
CN111543434A (zh) 一种防治芋艿烂芋皮病的方法
CN111264280A (zh) 一种新会柑的种植方法
Sabu et al. Cultivation of Solanum nigrum under controlled environment using organic fertilizer
Pasternak et al. Moringa research and cultivation in Niger
Gupta et al. Impact of sprout management on growth, quality and yield of pointed gourd (Trichosanthes dioica Roxb.)
Abdurhman et al. The influence of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plant aqueous extracts on grain and protein yield in soybean production
Uwakiem Growth and Productivity of Red Globe Grapevines as Affected with Spraying of Fenugreek Seed Sprout, Nano-Boron and Moringa Extract
Abdurhman et al. INFLUENCE OF AQUEOUS EXTRACT APPLICATION ON YIELD GRAIN AND PROTEINE IN SOYBEAN PRODUCTION
Galambosi et al. Experiences with different methods of harvesting borage (Borago officinalis L.)
Gora et al. Production Management of citrus fruits under arid region of Rajasthan
Shafshak et al. Improving growth and productivity of strawberry via soil addition and foliar application of some safety growth stimulating compounds
Zurbano et al. Growth, yield and quality of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under organic fertilization schemes
BHUYAN et al. ADVANCED YIELD TRIAL OF BANANA CV. SABRI (MS JAI-024)
de Queiroga et al. Rendimento e qualidade do fruto de melão em função de doses e épocas de aplicação de bioestimulante Melon fruit yield and quality as a function of doses and times of biostimulant application Rendimiento y calidad del fruto del melón en función de las dosis y tiempos de aplicación del bioestimul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