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288A -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288A
KR20120117288A KR1020110034954A KR20110034954A KR20120117288A KR 20120117288 A KR20120117288 A KR 20120117288A KR 1020110034954 A KR1020110034954 A KR 1020110034954A KR 20110034954 A KR20110034954 A KR 20110034954A KR 20120117288 A KR20120117288 A KR 20120117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holder
cultivation facility
printed circuit
moto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892B1 (ko
Inventor
정기태
Original Assignee
에이비씨배터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씨배터리 (주) filed Critical 에이비씨배터리 (주)
Priority to KR102011003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89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Abstract

본발명에서는 농작물 재배시설의 천장에 설치되어 회전작동되면서 바람을 발생시켜 외부와 차단된 재배시설 내부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내부의 온도편차를 줄이고,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재배시설내의 이산화탄소를 순환시켜 재배시설내 농작물의 생육환경을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재배시설내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야간은 물론, 우천시와 같이 광량이 부족한 경우 자체적으로 확보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대하여 자동으로 조명빛을 비춰줄 수 있도록 하여 농작물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시설을 구성하는 구조물에 끼워져 걸리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가 내장된 모터하우징과; 상기 모터하우징에 내장된 모터의 축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날개홀더와; 상기 날개홀더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날개홀더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모터의 구동에 따른 샤프트의 회전동작시 날개홀더와 함께 회전되면서 바람을 일으키는 다수개의 회전날개와; 상기 각각의 회전날개의 저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발광되면서 농작물 재배시설내의 경작지에 재배된 농작물에 조명빛을 조사하는 다수개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가 장착된 엘이디모듈과; 상기 날개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셀모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날개홀더의 외주면에 설치된 솔라셀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라셀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축전 및 분배하는 배터리와; 상기 날개홀더의 외주면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날개홀더의 외주면상에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등스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며, 조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점등스위치가 "ON"된 상태에서 조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값 보다 낮으면 엘이디모듈을 구성하는 엘이디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조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값에 비하여 높으면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AIR-CIRCULATION FAN DEVICE FOR CULTIVATION FACILITIES OF AGRICULTURAL PRODUCE}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와 같이 딸기, 상추, 토마토 등 각종 채소류 또는 과일류를 재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농작물 재배시설의 천장에 설치되어 회전작동되면서 바람을 발생시켜 외부와 차단된 재배시설 내부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내부의 온도편차를 줄이고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재배시설내의 이산화탄소를 순환시켜 재배시설내 농작물의 생육환경을 최적화(最適化)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재배시설내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야간은 물론, 우천시와 같이 광량(光量)이 부족한 경우 자체적으로 확보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대하여 자동으로 조명빛을 비춰줄 수 있도록 하여 농작물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식생활에서는 쌀, 보리 등의 곡물류가 주식(主食)으로 이용되는 이외에 배추, 무, 열무, 오이, 상추, 쑥갓, 파, 고추, 마늘, 딸기, 토마토, 참외 같은 각종 채소와 과일 등이 다양한 형태로 조리 및 가공되어 주식 또는 육류요리나 생선요리에 곁들여 먹는 반찬류나 양념류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각종 채소류 및 과일류 등의 농작물들은 개개 농작물 특유의 특성 때문에 파종(播種)으로부터 수확할 때 까지 각각 정해진 시기가 있는바, 예로서, 고추는 2월에 씨파종을 한 후 5월에 고추모를 정식(定植)하여 재배하고 7월에 풋고추를, 8월부터는 붉은 고추를 수확하게 되며, 봄상추와 봄배추는 4월에 씨뿌리기를 한 후 5월에 밭에 정식하여 솎아주면서 재배하고 6월부터 수확하게 되는 한편, 여름 상추와 김장 배추는 8월에 씨뿌리기를 한 후 9월에 정식하여 솎아주면서 재배하여 각각 10월과 11월에 수확하게 된다.
또, 토마토는 5월에 토마토 모종을 밭에 정식하여 재배하고 7월부터 수확하게 되며, 호박은 4월에 씨파종을 한 후 5월에 정식하여 재배한 다음 7월부터는 애호박을, 9월부터는 늙은 호박을 수확하게 된다.
한편, 경제성장과 더불어 생활여건이 크게 개선되고 경제적으로 윤택해지면서 주식과 곁들여 먹는 김치 등의 전통적인 반찬류 이외에 갓 채취한 신선한 채소류의 수요(需要)가 급증하고 있으며, 육류 또는 생선류를 이용한 음식의 수요가 많아지면서 육류요리 및 생선류 요리와 곁들여 섭취할 수 있는 각종 채소류 및 과일류의 수요 또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채소류 및 과일류 등을 농작물을 전통적인 노지(露地)재배 방식으로만 재배하는 경우 그 수확량이 매우 제한적인 것은 물론,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맞추어 농작물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년중 신선한 농작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같은 농작물 재배시설을 이용한 농작물의 재배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 같은 농작물 재배시설은 경작지 위에 파이프 등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터널형태로 형성한 다음, 그 위에 광투과성(光透過性)이 매우 우수한 비닐을 덮고, 내부에는 난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내부의 온도가 농작물의 생육(生育)에 적합해지도록 하여 외부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도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배시설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보온성(保溫性)을 높이기 위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때문에 환기 및 통풍성이 매우 불량하고, 내부 경작지에서 발생된 습기가 고르게 순환되지 못하기 때문에 습도가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로 유지되면서 병해충이 발생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농작물 재배시설의 경우 광량(光量)이 풍부한 낮에는 지나치게 고온(高溫)의 상태가 유지되고, 광량이 없는 야간에는 지나치게 낮은 온도가 유지되는 등 일교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농작물이 열해(熱害)를 입거나 냉해(冷害)를 입을 수 있는 등 농작물의 생육에 커다란 지장이 초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선한 외부 공기의 유입이 거의 차단된 구조이기 때문에 농작물의 뿌리에 대한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뿌리 활착율과 입모율이 낮아지며, 재배시설 내부에서의 작업자의 작업능률 또한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야간은 물론 우천시와 같이 상대적으로 광량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 광합성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농작물의 성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농작물의 생산성 또한 크게 저하되고, 수확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닐하우스와 같이 딸기, 상추, 토마토 등 각종 채소류 또는 과일류를 재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농작물 재배시설의 천장에 설치되어 회전작동되면서 바람을 발생시켜 외부와 차단된 재배시설 내부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내부의 온도편차를 줄이고,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작물 재배시설내의 이산화탄소(CO2)를 순환시켜 재배시설내 농작물의 생육환경을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재배시설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간은 물론, 우천시와 같이 광량이 부족한 경우 자체적으로 확보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대하여 자동으로 조명빛을 비춰줄 수 있도록 하여 농작물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시설을 구성하는 구조물에 끼워져 걸리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가 내장된 모터하우징과; 상기 모터하우징에 내장된 모터의 축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날개홀더와; 상기 날개홀더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날개홀더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모터의 구동에 따른 샤프트의 회전동작시 날개홀더와 함께 회전되면서 바람을 일으키는 다수개의 회전날개와; 상기 각각의 회전날개의 저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발광되면서 농작물 재배하우스내의 경작지에 재배된 농작물에 조명빛을 조사하는 다수개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가 장착된 엘이디모듈과; 상기 날개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셀모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날개홀더의 외주면에 설치된 솔라셀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라셀모듈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축전 및 분배하는 배터리와; 상기 날개홀더의 외주면상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날개홀더의 외주면상에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등스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며조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점등스위치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조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값 보다 낮으면, 엘이디모듈을 구성하는 엘이디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조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값에 비하여 높으면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날개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절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공의 윗쪽으로부터 엘이디모듈이 끼워진 상태에서 엘이디모듈상의 엘이디가 회전날개의 저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모듈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은 날개홀더의 측면에 형성된 전선입입공을 통하여 날개홀더의 내부로 끼워진 후 인쇄회로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공기순환팬 장치가 농작물 재배시설의 천장에 설치되어 회전작동되면서 바람을 발생시켜 외부와 차단된 재배시설 내부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때문에 주야간 내부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고, 내부에서 발생된 습기가 순환되도록 하기 때문에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되어 병해충의 발생이 크게 저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공기순환팬 장치의 작용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농작물 재배시설내의 이산화탄소(CO2)를 순환되면서 재배시설내 농작물의 생육환경이 최적화되는 것은 물론, 재배시설내 작업자의 작업능률 또한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광량이 없는 야간이나 우천시와 같이 광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부족한 경우 솔라셀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확보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대하여 자동으로 엘이디 조명빛을 비춰주면, 농작물의 엽면에서의 광합성작용에 의하여 농작물의 성장이 촉진되기 때문에 농작물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수확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에서 회전날개와 엘이디모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정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에서 회전날개와 엘이디모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가 비닐하우스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10)는 비닐하우스 등 농작물 재배시설(12)의 형태를 잡아주는 파이프 같은 구조물(14)에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M)가 내장된 모터하우징(Motor Housing:16)이 마련되고, 상기 모터하우징(16)에 내장된 모터(M)의 축(18)에는 모터(M)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샤프트(20)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20)의 하단에는 내부에 공간부(22a)가 형성되는 날개홀더(22)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날개홀더(22)의 내부 공간부(22a)에는 인쇄회로기판(24)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날개홀더(22)의 외주면에는 모터(M)의 구동에 따른 샤프트(20)의 회전동작시 날개홀더(22)와 함께 회전되면서 주변에 바람을 일으키는 다수개의 회전날개(26)가 일정 간격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회전날개(26)의 저면에는 날개홀더(22) 내부에 설치된 상기 인쇄회로기판(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엘이디모듈(28)이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엘이디모듈(28)상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발광되면서 농작물 재배시설(12)내의 경작지(30)에 재배된 농작물(32)의 생육 및 성장을 활성화시키는 빛을 조사(照射)하는 다수개의 엘이디(LED:34)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날개홀더(22)의 외측 둘레면상에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셀모듈(36)이 부착?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4)상에는 솔라셀모듈(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라셀모듈(36)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축전 및 분배하는 배터리(B)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날개홀더(22)의 외측 둘레면상에는 주변의 조도(照度)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38)가 설치되며, 상기 날개홀더(22)의 외주면상의 또 다른 위치에는 날개홀더(22) 내부의 인쇄회로기판(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등스위치(4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24)상의 일측에는 별도의 콘트롤러(42)가 상기 조도센서(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러(42)는 점등스위치(40)가 "ON"된 상태에서 조도센서(38)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값 보다 낮으면, 엘이디모듈(28)을 구성하는 엘이디(34)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38)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값에 비하여 높으면 상기 엘이디(34)가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엘이디모듈(28)의 설치를 위하여, 회전날개(26)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절개공(26a)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공(26a)의 윗쪽으로부터 아랫쪽으로 엘이디모듈(28)이 끼워진 상태에서 엘이디모듈(28)상의 각각의 엘이디(34)가 회전날개(26)의 저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엘이디모듈(28)은 다수개의 스크류(44)에 회전날개(26)의 상부면에 고정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26)에 설치되는 엘이디모듈(28)에는 인쇄회로기판(24)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전선(28a)이 연결되며, 상기 전선(28a)은 날개홀더(22)의 측면에 형성된 전선입입공(22b)을 통하여 날개홀더(22)의 내부로 끼워진 후 인쇄회로기판(24)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하우징(16)의 상단부에는 농작물 재배시설(12)을 구성하는 구조물(14)에 끼워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리(16a)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하우징(16)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M)는 외부의 전원과 별도의 전선(16b)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전선(16b)을 통하여 모터(M)로 인가되는 전류는 농작물 재배시설(12)의 제어패널상에 설치되는 통상의 전원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일괄적으로 "ON 또는 OFF"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팬 장치(10)는 모터하우징(16)의 상단에 형성된 고리(16a)를 비닐하우스 같은 농작물 재배시설(12)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천장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파이프 등의 구조물(14)에 끼워 걸어줌으로써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농작물 재배시설(12)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고자 하는 경우, 농작물 재배시설(12)내에 마련된 제어패널상의 전원스위치를 "ON"상태로 조작하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선(16b)을 통하여 모터(M)쪽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모터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M)의 축(18)에 결합된 샤프트(20)가 모터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18)의 하단에 고정?결합된 날개홀더(22) 및 상기 날개홀더(22)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회전날개(26)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26)가 회전되면 그 주변에서 바람이 형성되면서 농작물 재배시설(12)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며, 그 결과 광량이 많은 주간의 지나치게 높은 온도를 낮추어 주고, 광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야간에는 온도를 높여주게 된다.
또, 농작물 재배시설(12)의 내의 공기가 순환되면서 내부의 습기가 고르게 순환되면서 내부 습도가 낮아지고 그에 따라 결로(結露)현상이 줄어들며, 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가 경작지(30)에 심어진 농작물(32)의 뿌리에 공급되면서 뿌리의 활착율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농작물의 입모율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낮에 태양광이 농작물 재배시설(12)의 내부로 조사되면 상기 날개홀더(2)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된 솔라셀(36)을 통하여 태양광이 전기에너지로 변하여 인쇄회로기판(24)상에 설치된 배터리(B)에 축전된다.
한편, 햇볕이 전혀 들지 않는 야간(夜間) 또는 우천시와 같이 기후가 불량하여 맑은 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광량이 적은 날씨에는 농작물(32)의 생육에 적합한 인위적인 조명빛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팬 장치(10)를 구성하는 날개홀더(22)의 외주면에 설치된 점등스위치(40)을 "ON"상태로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점등스위치(40)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조도센서(38)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면, 콘트롤러(42)에서는 설정된 조도값과 조도센서(38)로부터 출력된 조도값을 비교하여, 조도센서(38)로부터 출력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값 보다 작은 경우 엘이디모듈(28)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여 엘이디모듈(28)상의 엘이디(34)가 점등되도록 한다.
상기 엘이디모듈(28)상의 엘이디(34)가 점등되면서 발생된 조명빛은 아랫쪽으로 직사(直射)됨과 동시에 회전날개(26)의 저면에 의하여 반사되면서 농작물 재배시설(12)내의 경작지(30)에 심어진 농작물(32)에 고르게 조사되어 농작물(32)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이와 같이 작용하다가 상기 조도센서(38)에서 출력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값에 비하여 높아지면 콘트롤러(42)는 상기 엘이디모듈(28)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엘이디(34)가 소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야간이나 우천시와 같이 광량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한 경우에 엘이디(34)를 이용한 인위적인 조명빛을 농작물(32)에 조사하는 경우 조명빛에 의하여 농작물의 엽면(葉面)에서 광합성작용이 이루어지면서 농작물의 성장이 촉진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농작물의 생산성이 증대된다.
12 : 농작물 재배시설 M : 모터(Motor)
16 : 모터하우징 20 : 샤프트(Shaft)
22 : 날개홀더 24 : 인쇄회로기판
26 : 회전날개 28 : 엘이디모듈
34 : 엘이디(LED) 36 : 솔라셀모듈
38 : 조도센서 40 : 점등스위치
42 : 콘트롤러 B : 배터리(Battery)
16b,28a : 전선.

Claims (2)

  1. 농작물 재배시설(12)을 구성하는 구조물(14)에 끼워져 걸리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M)가 내장된 모터하우징(16)과;
    상기 모터하우징(16)에 내장된 모터(M)의 축(18)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모터(M)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22a)가 형성되는 날개홀더(22)와;
    상기 날개홀더(22)의 내부 공간부(22a)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24)과;
    상기 날개홀더(22)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모터(M)의 구동에 따른 샤프트(20)의 회전동작시 날개홀더(22)와 함께 회전되면서 바람을 일으키는 다수개의 회전날개(26)와;
    상기 각각의 회전날개(26)의 저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발광되면서 농작물 재배시설(12)내의 경작지(30)에 재배된 농작물(32)에 조명빛을 조사하는 다수개의 엘이디(LED:34)가 장착된 엘이디모듈(28)과;
    상기 날개홀더(22)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셀모듈(36)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4)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날개홀더(22)의 외주면에 설치된 솔라셀모듈(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라셀모듈(36)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축전 및 분배하는 배터리(B)와;
    상기 날개홀더(22)의 외주면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변의 조도(照度)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38)와;
    상기 날개홀더(22)의 외주면상에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등스위치(4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4)상에 설치되며 조도센서(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점등스위치(40)가 "ON"된 상태에서 조도센서(38)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값 보다 낮으면, 엘이디모듈(28)을 구성하는 엘이디(34)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조도센서(38)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값에 비하여 높으면 상기 엘이디(34)가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26)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절개공(26a)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공(26a)의 윗쪽으로부터 아랫쪽으로 엘이디모듈(28)이 끼워진 상태에서 엘이디모듈(28)상의 엘이디(34)가 회전날개(26)의 저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모듈(28)로부터 인출되는 전선(28a)은 날개홀더(22)의 측면에 형성된 전선인입공(22a)을 통하여 날개홀더(22)의 내부로 끼워진 후 인쇄회로기판(24)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
KR1020110034954A 2011-04-15 2011-04-15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 KR10122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54A KR101228892B1 (ko) 2011-04-15 2011-04-15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54A KR101228892B1 (ko) 2011-04-15 2011-04-15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288A true KR20120117288A (ko) 2012-10-24
KR101228892B1 KR101228892B1 (ko) 2013-02-15

Family

ID=4728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954A KR101228892B1 (ko) 2011-04-15 2011-04-15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8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043B1 (ko) * 2015-06-10 2015-12-16 구기승 오염 공기 살균 및 정화 부재가 구비된 천정 부착 복합 기능 선풍기
KR101886231B1 (ko) 2017-12-29 2018-08-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공기 순환팬
KR102216519B1 (ko) * 2019-09-11 2021-02-17 박상진 다기능 실링팬
CN112913530A (zh) * 2021-02-04 2021-06-08 浙江大学 集成化智能种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1523B2 (ja) * 2019-08-06 2023-10-16 株式会社プランテックス 植物栽培装置
KR20220093861A (ko) 2020-12-28 2022-07-05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공기순환시 실내의 온도변화를 방지하는 자율냉열히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390Y1 (ko) 2002-04-24 2002-07-22 이효심 다목적 환풍기
KR100754022B1 (ko) 2006-03-24 2007-09-03 강용기 문양을 구현하기 위한 선풍기의 구동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장치
JP2010071085A (ja) 2008-09-16 2010-04-02 Panasonic Corp シーリングファン
KR101565779B1 (ko) * 2008-09-30 2015-11-05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조명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043B1 (ko) * 2015-06-10 2015-12-16 구기승 오염 공기 살균 및 정화 부재가 구비된 천정 부착 복합 기능 선풍기
WO2016200047A1 (ko) * 2015-06-10 2016-12-15 구기승 오염 공기 살균 및 정화 부재가 구비된 천정 부착 복합 기능 선풍기
CN106247443A (zh) * 2015-06-10 2016-12-21 丘冀昇 具有污染空气杀菌及净化部的天花板附着式复合功能风扇
KR101886231B1 (ko) 2017-12-29 2018-08-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공기 순환팬
KR102216519B1 (ko) * 2019-09-11 2021-02-17 박상진 다기능 실링팬
CN112913530A (zh) * 2021-02-04 2021-06-08 浙江大学 集成化智能种植装置
CN112913530B (zh) * 2021-02-04 2022-04-26 浙江大学 集成化智能种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892B1 (ko)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892B1 (ko) 농작물 재배시설의 공기순환팬 장치
US9528694B2 (en) Plant-growing lamp capable of effecting change in local environment
KR101415842B1 (ko) 실내용 식물 재배 장치
US20160109107A1 (en) Cooling system for horticultural lighting
JP2001028947A (ja) 有用植物の育成方法
CN105104158A (zh) 智能水培蔬菜种植柜
JPWO2014162848A1 (ja) 植物育成用空気放射装置
KR101451911B1 (ko) 줄기식물 재배용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CN205018017U (zh) 智能水培蔬菜种植柜
KR101703170B1 (ko) 식물공장의 환경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경제어 방법
CN204929810U (zh) 具有光伏发电功能的农业大棚
CN214758159U (zh) 一种林业工程苗木培育保温大棚
WO20081142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imal or plant husbandry with reduced energy usage
CN104813857A (zh) 一种基于无自然光条件下led植物灯的西瓜秧苗培育技术
Ragnarsson et al. Geothermal energy in horticulture
Gunnlaugsson et al. Interlight and plant density in year-round production of tomato at northern latitudes
CN204762487U (zh) 一种节能温室
JP2006340689A (ja) 葉菜類の栽培方法および装置
EP3918908A1 (en) Device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and/or mushrooms
JP2014176374A (ja) 電照栽培装置
KR101979258B1 (ko) 식물 재배기의 생장 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14385295U (zh) 一种基于物联网的生态农业用大棚
CN214758174U (zh) 一种可调节温湿度的育苗大棚
RU192890U1 (ru) Автономная ферма
KR20190108907A (ko) 식물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