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637A - 목재 방화문 - Google Patents

목재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637A
KR20120116637A KR1020110034194A KR20110034194A KR20120116637A KR 20120116637 A KR20120116637 A KR 20120116637A KR 1020110034194 A KR1020110034194 A KR 1020110034194A KR 20110034194 A KR20110034194 A KR 20110034194A KR 20120116637 A KR20120116637 A KR 20120116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ame retardant
glass fiber
fiber fabric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6637A/ko
Publication of KR2012011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화 효과는 유지하면서 방화문을 경량화시켜 제작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목재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재 방화문은, 목재 합판에 난연제가 함침된 구조를 구비하는 제 1 난연합판층; 상기 제 1 난연합판층과 접촉하여 구비되는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상기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과 접촉하며 구비되고, 난연 종이가 벌집 모양으로 짜여진 조직을 포함하는 내장재층; 상기 내장재층과 접촉하여 구비되는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및 상기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과 접촉하여 구비되고, 목재 합판에 난연제가 함침된 구조를 구비하는 제 2 난연합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 방화문{WOOD FIRE DOOR}
본 발명은 목재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비하여 경량화된 목재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두 장의 철판을 문짝 형상으로 절단하고, 프레스 가공에 의해 필요한 구멍을 형성한 후, 철판의 가장자리를 소요 치수로 절곡하고, 도어록 등의 기능부재를 부착하며, 단열 기능을 지니는 종이 재질의 허니컴을 철판에 부착하고, 두 장의 철판을 맞대어 압착 및 용접하여 도어를 생성한 다음 소정의 문양이 표현되도록 수차례 도장하는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근래에는 이러한 방화문의 기능성에 더하여 장식성도 강조되면서 도장 외에 엠보싱 등의 소성가공, 에칭 등의 화학적 가공, 또는 아예 별도의 가공 없이 목재(MDF 등)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 관련법에 의한 방화 규정에 부합되어야 하는 점을 간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은 내부에 마그네슘(Mg) 보드를 적어도 두 겹으로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방화문의 무게가 상당히 나가게 된다. 이 결과 방화문의 무게는 건물 하중에도 부담을 주고, 제작 공정 및 설치 공정 또한 복잡하게 되어 제작자나 사용자에게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화문 구조에서 마그네슘 보드 구성을 생략함으로써 방화 효과는 유지하면서 방화문을 경량화시키고 제작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목재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목재 합판에 난연제가 함침된 구조를 구비하는 제 1 난연합판층; 상기 제 1 난연합판층과 접촉하여 구비된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상기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과 접촉하며 구비되는 내장재층; 상기 난연 내장재층과 접촉하여 구비된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및 상기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과 접촉하여 구비되고, 목재 합판에 난연제가 함침된 구조를 구비하는 제 2 난연합판층을 포함하여, 방화문 구조에서 마그네슘 보드 구성을 생략함으로써 방화 효과는 유지하면서 방화문을 경량화시키고 제작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및 상기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은 내화 실리카 직물원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및 상기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은 상기 내화 실리카 직물원단에 코팅되는 실리콘(Si)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및 상기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은, 이산화규소(SiO2) 함량이 약 54 %이고, 밀도는 950 g/m2이며, 인장강도(경사)는 58.23 Kgf, 인장강도(위사)는 31.61 Kg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및 상기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은, 최대 1000°C 온도에서 1시간 내화 성능을 가지고 잔염(불꽃 지속시간)이 10초 이내이며, 외관은 무취의 백색 또는 회색 유리섬유이고 인화점은 815°C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및 상기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은, 0.5mm 이상 0.9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0.7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 1 난연합판층 및 상기 제 2 난연합판층에 코팅되는 난연제는, 폴리크랄(polychlal), 모다크릴(modacrylic),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스티렌ㅇ아크릴로나이트릴ㅇ뷰타디엔의 세 성분으로 이루어진 ABS수지에 자기 소화성을 부여해 난연성을 높인 스티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난연합판층 및 상기 제 2 난연합판층은 4.6mm 이상 5.0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 난연합판층 및 상기 제 2 난연합판층은 4.8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장재층은, 난연 종이가 벌집 모양으로 짜여진 조직을 포함하는 난연 종이 허니컴층, 글라스울 및 난연 스티로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난연 종이 허니컴층은 34.3mm 이상 34.7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34.5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재 방화문은 방화 효과는 유지하면서 방화문을 경량화시켜 제작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목재 방화문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목재 방화문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목재 방화문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방화문은 제 1 난연(難燃)합판층(10),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20), 내장재층(30),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40) 및 제 2 난연합판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중, 제 1 난연합판층(10) 및 제 2 난연합판층(50)은 방화문의 최외곽에 형성되며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6mm 이상 5.0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4.8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방화 성능 및 비용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난연합판층(10, 20)은 목재 합판에 대하여 난연 가공이 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목재 합판에 난연제가 함침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 1 및 제 2 난연합판층(10, 20)에 함침되는 난연제로는 폴리크랄(polychlal), 모다크릴(modacrylic), 폴리염화비닐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티렌ㅇ아크릴로나이트릴ㅇ뷰타디엔의 세 성분으로 이루어진 ABS수지에 자기 소화성을 부여해 난연성을 높인 스티렌 수지가 적용될 경우 방화 효과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난연성을 높인 스티렌 섬유가 코팅될 경우, 인장강도와 굴곡강도가 뛰어나고, 광택성이 좋으며 충격과 약품에 견디는 성질도 우수하여 제 1 및 제 2 난연합판층(10, 20)의 여러 가지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내장재층(30)은 방화문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단열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34.3mm 이상 34.7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34.5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방화 성능 및 비용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 내장재층(30)은 난연 종이 허니컴으로 형성??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허니컴층(honeycomb layer)'이란 벌집과 같은 모양으로 짜여진 섬유 조직으로 '봉소직'이라도 지칭되며, 난연 종이 허니컴층(30)이란 난연 종이가 벌집과 같은 모양으로 짜여진 조직을 의미한다. 이 내장재 층(30)은 난연 종이 허니컴층 외에 글라스울(glass wool)이나 난연 스티로폼으로 대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20)은 제 1 난연합판층(10)과 내장재층(30)의 사이에 접합되어 구비되는 구성이고,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40)은 제 2 난연합판층(50)과 난연 종이 허니컴층(3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역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1 및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20, 40)은 각각 0.5mm 이상 0.9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0.7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방화 성능 및 비용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20, 40)은 최대 1000°C 온도에서 1시간 내화 성능을 가지고 잔염(불꽃 지속시간)이 10초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20, 40)의 외관은 무취의 백색 또는 회색 유리섬유이고 인화점은 815°C 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20, 40)은 내화 실리카 직물원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팅되지 않은 경우 방화(내화) 성능이 떨어지고 늘어지거나 비틀림에 의해 특정 형태를 제작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내구성이 약해진다. 따라서 코팅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코팅에 의해 원단의 인장강도 및 형태유지 성능을 유지하고 절단면의 풀림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코팅 소재는 실리콘(Si)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결과 인화시 유독가스도 발생하지 않고 오물에 의한 때도 발생하지 않으며, 복원력 및 내수성이 강하고 원단끼리 서로 달라붙은 문제점도 해소되며 잔염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20, 40)은 이산화규소(SiO2) 함량이 약 54 %이고, 밀도는 950 g/m2이며, 인장강도(경사)는 58.23 Kgf, 인장강도(위사)는 31.61 Kgf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목재 방화문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난연 합판층(10),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20), 내장재층(30)인 난연 종이 허니컴층,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40) 및 제 2 난연합판층(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구조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난연합판층(10),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20), 내장재층(30),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40) 및 제 2 난연합판층(50)이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면서 연속하는 구조로 방화문을 형성할 경우, 마그네슘 보드를 내장하지 않더라도 종래의 방화문과 같은 방화 효과는 유지하면서 방화문을 경량화시켜 제작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제 1 난연합판층
20 :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30 : 내장재층
40 :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50 : 제 2 난연합판층

Claims (6)

  1. 목재 합판에 난연제가 함침된 구조를 구비하는 제 1 난연합판층;
    상기 제 1 난연합판층과 접촉하여 구비된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상기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과 접촉하며 구비되는 내장재층;
    상기 난연 내장재층과 접촉하여 구비된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및
    상기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과 접촉하여 구비되고, 목재 합판에 난연제가 함침된 구조를 구비하는 제 2 난연합판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및 상기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은 내화 실리카 직물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 및 상기 제 2 내화 유리섬유 원단층은 상기 내화 실리카 직물원단에 코팅되는 실리콘(Si)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난연합판층 및 상기 제 2 난연합판층에 함침되는 난연제는,
    폴리크랄(polychlal), 모다크릴(modacrylic),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난연합판층 및 상기 제 2 난연합판층에 함침되는 난연제는,
    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 및 뷰타디엔의 세 성분으로 이루어진 ABS수지에 자기 소화성을 부여해 난연성을 높인 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층은,
    난연 종이가 벌집 모양으로 짜여진 조직을 포함하는 난연 종이 허니컴층, 글라스울 및 난연 스티로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KR1020110034194A 2011-04-13 2011-04-13 목재 방화문 KR20120116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94A KR20120116637A (ko) 2011-04-13 2011-04-13 목재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94A KR20120116637A (ko) 2011-04-13 2011-04-13 목재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637A true KR20120116637A (ko) 2012-10-23

Family

ID=4728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194A KR20120116637A (ko) 2011-04-13 2011-04-13 목재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663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002A (ko) * 2013-01-25 2014-08-04 주식회사 삼양사 신규 방향족 아민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KR20170021988A (ko) 2015-08-19 2017-03-02 이용규 목재 차열 방화문
KR20190058272A (ko) 2017-11-20 2019-05-29 이인태 목재 방화문
CN110104007A (zh) * 2019-03-25 2019-08-09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环保型高速列车平顶板及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002A (ko) * 2013-01-25 2014-08-04 주식회사 삼양사 신규 방향족 아민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KR20170021988A (ko) 2015-08-19 2017-03-02 이용규 목재 차열 방화문
KR20190058272A (ko) 2017-11-20 2019-05-29 이인태 목재 방화문
CN110104007A (zh) * 2019-03-25 2019-08-09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环保型高速列车平顶板及制备方法
CN110104007B (zh) * 2019-03-25 2020-07-14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环保型高速列车平顶板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7229A (ko) 내화성 라미네이트
DE60117344D1 (de) Feuerfeste komposit-panele und diese verwendende dekorative feuerfeste komposit-panele
KR20120116637A (ko) 목재 방화문
RU2008125424A (ru) Половые панели с огнестойким слоем
KR100777422B1 (ko) 목질계 방화도어
KR200460639Y1 (ko) 불연성 조립식 패널
GB2450799A (en) Fire resistant door
CN101963033A (zh) 低碳防火门板
JP4087967B2 (ja) 目地構造
CN218463196U (zh) 一种具有阻燃隔音功能的三聚氰胺饰面板
CN206554366U (zh) 防火吸音板
KR20100025799A (ko)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CN213143672U (zh) 一种仿釉阻燃型pvc扣板
CN214785616U (zh) 一种具有隔音功能的复合地板
JP2531591Y2 (ja) 防火ドア
CN214834295U (zh) 一种吊顶用环保装饰板
KR102546819B1 (ko) 친환경성을 갖춘 준불연 방화문
CN217680189U (zh) 一种玄武岩纤维保温装饰板
CN211542652U (zh) 一种耐高温的石膏制品
KR20240008435A (ko) 흡음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38921A1 (ja) 内装パネル及び内装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436561Y1 (ko) 불연성 이중바닥재
CN205476211U (zh) 一种用于装修的防火隔音板材
JP3702914B2 (ja) 耐火パネル
JPH08246641A (ja) 複合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