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591A -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591A
KR20120116591A KR1020110034115A KR20110034115A KR20120116591A KR 20120116591 A KR20120116591 A KR 20120116591A KR 1020110034115 A KR1020110034115 A KR 1020110034115A KR 20110034115 A KR20110034115 A KR 20110034115A KR 20120116591 A KR20120116591 A KR 20120116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video
video frame
page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317B1 (ko
Inventor
주병선
이원주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31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적 정보와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동영상 재생 장치에 다운로드 받은 후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와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서적의 페이지를 확인하고, 확인한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시키는 동영상 재생 장치와, 단말기에 전자 북 콘텐츠 또는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 받아 서적을 보면서 단말기에 서적의 페이지를 인식시켜 서적 내용에 매칭되는 동영상을 재생시키도록 동영상 재생 장치에 요청하는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적과 동영상을 연동하도록 구현하여 서적과 동영상을 모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보다 능동적인 독서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VIDEO PLAYING APPARATUS, TERMINAL WITH VIDEO REMOTE CONTROL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자 북 또는 서적을 보면서 전자 북 또는 서적의 내용에 매칭되는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페이지에 동기화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장치, 페이지에 동기화된 동영상의 재생을 동영상 재생 장치에 요청할 수 있는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서의 중요성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텔레비전, 컴퓨터, 스마트 폰 등 전자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가 다양해 지고 방대해짐에 따라 사람들의 책 읽는 시간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사람들은 영상 매체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서 독서의 기회를 갖기가 쉽지 않으며 영상을 통해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적인 집중이 필요한 독서를 귀찮게 여긴다. 따라서 현격히 떨어지고 있는 독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유아나 학생들의 독서 지도에 있어서도 동일한 이유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재미와 몰입도를 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독서 방식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정적이고 따분한 독서에서 벗어나 흥미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독서를 유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서적을 보면서 동시에 관련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현재 서적 페이지와 매칭되는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하여 책 읽기와 영상 보기 간의 줄거리 연관성을 통해 사용자의 독서 재미를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은,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서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확인한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장치는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는 페이지 확인부;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부; 상기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전자 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북 콘텐츠의 특정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부; 상기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는 페이지 확인부;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은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 단계;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는 페이지 확인 단계;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 단계;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 상기 전자 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북 콘텐츠의 특정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전자 북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 상기 전자 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전자 북 콘텐츠와 연관된 동영상의 재생을 동영상 재생 장치에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 단계; 상기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는 페이지 확인 단계;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 단계;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동영상 재생 장치에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동영상 콘텐츠와 서적을 매칭시켜 서적의 페이지 전환시 페이지에 대응하는 부분의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게 함으로써, 책 읽기와 영상 보기 간의 줄거리 연관성을 통해 새로운 독서 경험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재생 장치를 별도의 조작 없이 서적에 매칭되는 내용을 재생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 북 기기 또는 스마트 폰 등의 단말기를 통해 전자 북 또는 서적을 보면서 현재 읽고 있는 부분과 연관된 동영상의 재생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독서의 흥미를 유발하는 한편 동영상 재생 장치를 별도의 리모컨 없이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요청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의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요청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의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장치(10), 카메라(20), 동영상 재생 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동영상은 DVD(Digital Versatile Disc)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운로드 하여 동영상 재생 장치(30) 내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동영상 재생 장치(30)로부터 상기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적 정보란 서적의 페이지에 붙여지는 고유한 식별 정보로서, 서적 정보에는 책의 제목 정보와 페이지 정보가 담겨있어, 서적 정보를 확인하면 어떤 책의 몇 페이지인지를 알 수 있다.
예컨대, 국제적으로 책에 붙여지는 고유한 식별자인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국제 표준 도서 번호) 코드의 13자리 수와 해당 페이지의 넘버를 붙여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출판사의 콩쥐팥쥐의 13페이지의 서적 정보는 책의 ISBN인 97889***21557에 페이지 13을 붙인, 97889***21557 13 일 수 있다.
참고로, ISBN 코드는 국제적으로 책에 붙여지는 고유한 식별자로서 ISO2108 및 KSX6004로 표준화된 것이다. 13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EAN에 맞추기 위해 부가된 3자리 접두어(978), 제조업체의 국가를 식별하는 2자리 국가언어코드(대한민국의 경우 '89'이다), 제조원 또는 판매원에 부여하는 3자리 출판사코드, 4자리의 제목코드, 바코드의 오류를 검증하는 1자리의 체크 디지트 등 총 13자리로 이루어진다.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란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작 타임 및 종료 타임이 기록된 데이터 테이블을 의미한다.
다음 표 1은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의 일 예이다.
동영상 프레임 넘버 재생 시작 타임(초) 종료 타임(초)
1 0:00 4:59
2 5:00 8:59
... ... ...
N 55:00 59:59
카메라(20)는 렌즈,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로부터의 광신호를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 전기 신호를 영상 밝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을 약간의 처리를 거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카메라(20) 촬영에 의해 생성된 서적 이미지는 디지털 데이터이며 동영상 재생 장치(30)에 전송된다.
동영상 재생 장치(30)는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서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확인한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동영상 재생 장치(30)의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동영상 재생 장치(30)는 통신 인터페이스(I/F)(31), 다운로드부(32), 메모리부(33), 페이지 확인부(34), 프레임 추출부(35), 재생부(36), 영상 표시부(37), 사용자 인터페이스(I/F)(38)를 포함한다.
통신 I/F(31)는 동영상 재생 장치(30)가 콘텐츠 제공 장치(10) 등의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다운로드부(32)는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부(33)는 다운로드부(32)로부터 받은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페이지 확인부(34)는 카메라가 촬영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페이지 확인부(34)는 먼저 서적 이미지로부터 컴퓨터가 해독 가능한 데이터 형태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문자열, 숫자열 또는 문자/숫자의 조합)를 추출하여, 추출된 식별 정보와 메모리부(33)에 저장된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서적 페이지를 확인한다.
프레임 추출부(35)는 페이지 확인부(34)에서 확인한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추출부(35)는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기 위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와 서적 정보를 매칭시킨다.
재생부(36)는 프레임 추출부(35)에서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재생부(36)는 프레임 추출부(35)에서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시키고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영상 표시부(37)에 요청한다.
영상 표시부(37)는 영상 표시부(37)는 재생부(36)의 요청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표시부(30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터치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다.
사용자 I/F(38)는 사용자가 동영상 구동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조작수단의 역할을 한다. 사용자 I/F(38)는 키패드나 터치패드일 수 있다.
다음, 상기 동영상 재생 장치(30)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영상 재생 장치(30)의 통신 I/F(31)를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10)에 접속하여,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서적 정보와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동영상 재생 장치(30)의 메모리부(33)에 저장한다(S100).
다음, 카메라(20)를 이용하여, 촬영범위 내에 펼쳐져 있는 서적의 페이지를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한다(S110). 생성된 서적 이미지는 카메라(20)에 연결된 동영상 재생 장치(30)로 전송된다.
생성된 서적 이미지를 전송받은 동영상 재생 장치(30)의 페이지 확인부(34)는 상기 서적 이미지에서 식별코드를 인식한다(S120).
다음, 페이지 확인부(34)는 인식된 식별코드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변환한 후(S130), 변환된 식별코드를 메모리부(33)에 저장된 서적 정보와 비교하여 어떤 서적의 몇 페이지인지 서적 페이지를 확인한다(S140). 확인된 서적 페이지에 대한 정보는 프레임 추출부(35)에 전송된다.
서적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프레임 추출부(35)는 메모리부(33)에 저장된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송받은 정보인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한다(S150). 추출된 동영상 프레임 정보가 재생부(36)에 전송된다.
동영상 프레임 정보가 재생부(36)에 전송되면, 재생부(36)는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시키고(S160), 재생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 표시부(37)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동영상 재생 장치(30)가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고 있는 중에 카메라로부터 새로운 서적 페이지의 서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서적 이미지의 서적 정보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고, 재생 중인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정지시킬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을 위해, 재생부(36)는 동영상 프레임이 재생된 시간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했는지를 확인한다.
이전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이전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유지하고, 이전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이 완료되면, 다음 추출된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시킨다.
이전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이전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중지시킨 후, 다음 추출된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시킨다.
다음,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이하,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라 칭함)(40)의 기술적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동영상 재생 요청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장치(10),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 동영상 재생 장치(130)를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로부터 상기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는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 상기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자 북 콘텐츠의 특정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 북 콘텐츠는 오프라인으로 출판되는 서적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전자 북(E-Book)을 말하며 기존의 종이책 대신 인터넷의 표준 언어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응용해 만든 디지털화된 책을 말한다.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는 사용자가 전자 북에 담긴 데이터를 읽기 위한 전자 북 리딩용 단말기(이하,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라 약칭함)의 기능을 갖고 있다.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에는 전자 북 전용 리더기, 이동 통신 단말기나 PDA 등의 컨버전스형 통합 단말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동영상 재생 장치(130)는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의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는 다운로드부(41), 메모리부(42), 디스플레이부(43), 동영상 재생 요청부(44), 사용자 입력부(45)를 포함한다.
다운로드부(41)는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부(42)는 상기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43)는 사용자 입력부(45)의 입력에 의해 메모리부(42)에 저장된 전자 북 콘텐츠를 불러와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43)는 LCD 또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동영상 재생 요청부(44)는 디스플레이부(43)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자 북 콘텐츠의 특정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동영상 재생 요청부(44)는 액세서리 형태로 구현되어 단말기(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의 다운로드부(41)는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메모리부(42)에 저장한다(S200).
사용자 입력부(45)를 통해 메모리부(42)에 저장된 전자 북 콘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43)에 디스플레이 한다(S210).
동영상 재생 요청부(44)는 디스플레이부(43)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자 북 콘텐츠의 특정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상기 추출은, 전자 북 콘텐츠의 페이지 마다에 심어져 있는 식별코드와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동영상 재생 요청부(44)는 추출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기기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동영상 재생 장치(130)에 송출한다(S220).
상기 전자기기간 근거리 통신 방식의 예에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ZigBee, UWB(ultra wideband), WiFi, DLNA(Digital Living Area Network) 방식 등이 있다.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전자 북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메모리부(42)에 저장한다(S205).
다음,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45)를 통해 원하는 전자 북 콘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콘텐츠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S210). 선택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부(43)는 전자 북 콘텐츠의 페이지 상에 페이지 전환 버튼을 디스플레이 한다(S215).
상기 페이지 전환 버튼이 터치되면 터치스크린에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한다(S225). 상기 재생 요청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전자 북 콘텐츠의 페이지를 넘기는 터치가 감지되면 이전 또는 다음 프레임의 동영상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동영상 재생 장치(130)에 송출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페이지 전환 버튼과 상관없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전자 북 콘텐츠의 페이지를 넘기는 터치가 감지되면 이전 또는 다음 프레임의 동영상으로 이동시키는 신호가 송출되어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일부면에 동영상의 재생 정지, 일시 정지 등의 재생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재생 설정 버튼, 다른 프레임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시작 버튼, 검색 중지 버튼 등의 검색 설정 버튼을 표시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상의 각종 버튼이 터치되면 각종 버튼에 해당하는 재생, 정지, 검색 등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자기기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동영상 재생 장치(130)에 송출한다.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로부터의 재생, 재생 중치, 검색 시작, 검색 중지 등의 요청 신호를 수신한 동영상 재생 장치(13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재생 및 검색을 실행한다.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요청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동영상 재생 요청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장치(10),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140), 동영상 재생 장치(130)를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140)로부터 상기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140)는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 서적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서적 이미지와 다운로드 받은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확인한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동영상 재생 장치(130)는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14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140)는 통신 I/F(141), 다운로드부(142), 메모리부(143), 촬영부(144), 페이지 확인부(145), 프레임 추출부(146), 동영상 재생 요청부(147)를 포함한다.
통신 I/F(141)는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40)가 콘텐츠 제공 장치(10) 또는 카메라(20) 등의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다운로드부(142)는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부(143)는 다운로드부(142)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상기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촬영부(144)는 렌즈,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모듈(미도시)은 렌즈로부터의 광신호를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 전기 신호를 영상 밝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을 약간의 처리를 거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페이지 확인부(145)는 촬영부(144)에서 촬영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페이지 확인부(145)는 서적 이미지로부터 컴퓨터가 해독 가능한 데이터 형태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문자열, 숫자열 또는 문자/숫자의 조합)를 추출하여, 추출된 식별 정보와 메모리부(143)에 저장된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서적 페이지를 확인한다.
프레임 추출부(146)는 페이지 확인부(145)에서 확인한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추출부(146)는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기 위해 메모리부(143)에 저장된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와 서적 정보를 매칭시킨다.
동영상 재생 요청부(147)는 프레임 추출부(146)에서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동영상 재생 요청부(147)는 액세서리 형태로 구현되어 단말기(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140) 는 통신 I/F(141)를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10)에 접속하여, 이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서적 정보와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동영상 재생 장치(10)의 메모리부(143)에 저장한다(S300).
다음, 촬영부(144)는 촬영범위 내에 펼쳐져 있는 서적의 페이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서적 페이지의 서적 이미지를 생성한다(S310). 생성된 서적 이미지는 페이지 확인부(145)에 전송된다.
전송받은 페이지 확인부(145)는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인식한다(S320).
다음, 페이지 확인부(145)는 인식된 식별코드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변환한 후(S330), 변환된 식별 정보를 메모리부(143)에 저장된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서적의 몇 페이지인지 서적 페이지를 확인한다(S340). 확인된 서적 페이지에 대한 정보는 프레임 추출부(146)에 전송된다.
전송받은 프레임 추출부(146)는 메모리부(143)에 저장된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송받은 정보인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한다(S350). 상기 프레임 추출부(146)는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 정보를 동영상 재생 요청부(147)에 전송한다.
상기 동영상 프레임 정보를 수신한 동영상 재생 요청부(147)는 해당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하는 신호를 동영상 재생 장치(130)에 송출하여 해당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요청한다(S360).
재생 요청 신호를 수신한 동영상 재생 장치(130)는 상기 재생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시킨다. 동영상 재생 장치(130)는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 중에 있더라도 새로운 재생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재생중인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멈추고 새로운 재생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책과 DVD 등의 동영상 콘텐츠를 연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교육 도구 및 엔터테인먼트 기기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증가한다.
또한, 책과 매핑되는 DVD를 찾아 재생시키는 방법이 간단하므로, 기계를 다루기 어려워하는 사람들의 매체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10 : 콘텐츠 제공 장치 30, 130 : 동영상 재생 장치
40, 140 : 동영상 재생 요청 단말기
31 : 통신 I/F 32, 41, 142 : 다운로드부
33, 42, 143 : 메모리부 34, 145 : 페이지 확인부
35, 146 : 프레임 추출부 36 : 재생부
37 : 영상 표시부 38 : 사용자 I/F
44, 147 : 동영상 재생 요청부 45 : 사용자 입력부
144 : 촬영부

Claims (23)

  1.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서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확인한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장치
    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시스템.
  2.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는 페이지 확인부;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는 재생부
    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확인부는 상기 촬영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다운로드부;
    상기 재생하는 동영상 프레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는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작 타임과 정지 타임을 설정해 놓은 데이터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장치.
  6. 통신망을 통해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부;
    상기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전자 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북 콘텐츠의 특정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동영상 동영상 재생 장치에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부
    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
  7. 통신망을 통해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부;
    상기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는 페이지 확인부;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동영상 재생 장치에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부
    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재생 요청부는 전자기기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동영상 프레임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
  9.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 단계;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는 페이지 확인 단계;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 단계;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
    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페이지 확인 단계에서는 상기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고 상기 프레임 추출 단계에서는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한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확인 단계는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과정;
    상기 인식한 식별코드를 컴퓨터가 해독 가능한 데이터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중에 새로운 서적 페이지가 확인되면 해당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고 재생 중인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정지한 후 새로운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중에 새로운 서적 페이지가 확인되면 이전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이전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유지하고 이전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이 완료되면, 다음 추출된 동영상 프레임을 재생시키는 단계;
    이전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이전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정지하고 새로운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14. 통신망을 통해 전자 북 콘텐츠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
    상기 전자 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북 콘텐츠의 특정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동영상 재생 장치에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재생 요청 단계는 전자기기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동영상 프레임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16. 통신망을 통해 전자 북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
    상기 전자 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전자 북 콘텐츠와 연관된 동영상의 재생을 동영상 재생 장치에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전자 북 콘텐츠의 페이지 및 페이지 전환 버튼을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재생 요청 단계는 상기 페이지 전환 버튼이 터치되면 이전 또는 다음 프레임의 동영상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전자 북 콘텐츠의 페이지를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동영상 재생 요청 단계는 페이지를 넘기는 터치가 감지되면 이전 또는 다음 프레임의 동영상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20. 통신망을 통해 서적 정보 및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단계;
    서적을 촬영하여 서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 단계;
    상기 서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 페이지를 확인하는 페이지 확인 단계;
    상기 동영상 프레임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적 페이지에 매칭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 단계;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을 동영상 재생 장치에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 요청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확인 단계는 상기 생성한 서적 이미지로부터 서적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과정;
    상기 인식한 식별코드를 컴퓨터가 해독 가능한 데이터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재생 요청 단계는 상기 추출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작을 명령하는 신호를 송출하고 해당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간 경과 후 재생 정지를 명령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23. 제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34115A 2011-04-13 2011-04-13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 KR101335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15A KR101335317B1 (ko) 2011-04-13 2011-04-13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15A KR101335317B1 (ko) 2011-04-13 2011-04-13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591A true KR20120116591A (ko) 2012-10-23
KR101335317B1 KR101335317B1 (ko) 2013-12-03

Family

ID=4728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115A KR101335317B1 (ko) 2011-04-13 2011-04-13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3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3165A1 (de) 2012-10-19 2014-04-24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zum Schutz eines Kühlgebläsemotors
CN106448113A (zh) * 2016-11-09 2017-02-22 微鲸科技有限公司 遥控器配对控制方法及多媒体播放终端
KR20220106486A (ko) * 2021-01-22 2022-07-29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렉티브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239A (ko) * 2001-04-14 2002-10-19 이언식 학습기
KR100631790B1 (ko) * 2003-05-19 2006-10-11 주식회사 씨엘씨소프트 음향도서장치 및 페이지 인식 방법
KR100788961B1 (ko) 2006-06-28 2007-12-27 주식회사 케이티 에이알 북스테이션
KR20080090117A (ko) * 2007-04-04 2008-10-08 주식회사 지팡이 페이지를 자동 인식하는 도서내용출력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3165A1 (de) 2012-10-19 2014-04-24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zum Schutz eines Kühlgebläsemotors
CN106448113A (zh) * 2016-11-09 2017-02-22 微鲸科技有限公司 遥控器配对控制方法及多媒体播放终端
KR20220106486A (ko) * 2021-01-22 2022-07-29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렉티브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317B1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74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 page interac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664754B1 (ko) 정보 취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15203B1 (ko) 컨텐츠 서비스 방법
WO2016095384A1 (zh) 一种弹幕显示方法及系统
CN108235086A (zh) 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及相应的终端
CN107613404A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终端
TW201104644A (en) Interactive information system, interactive inform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KR20110118613A (ko) 재생가능 콘텐츠를 관리하는 저장 디바이스
CN103269455A (zh) 一种信源接入的方法及装置
JP3168253U (ja) 受付案内装置
KR101335317B1 (ko)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요청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그 구동 방법
CN108401173B (zh) 移动直播的互动终端、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895092B1 (ja) 投稿情報提供装置および端末装置
US106917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N106201301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201906144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82467A1 (en) Method for content coordination, and system, apparatus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JP2010027017A (ja) データ検索装置およびデータ検索システム
CN101448110A (zh) 内置说明书的电视机
WO2015178014A1 (ja) 学習支援システム、学習支援サーバ、学習支援方法、及び学習支援プログラム
KR20140025720A (ko) 교재의 인식 코드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N104111980B (zh) 网页内容的提取方法、装置和终端
CN115132007A (zh) 服务器装置、学习支援方法以及记录介质
JP5490618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944958B1 (ko) 특정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캡션 데이터를 제공하는장치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