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059A - 창틀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창틀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059A
KR20120116059A KR1020110033574A KR20110033574A KR20120116059A KR 20120116059 A KR20120116059 A KR 20120116059A KR 1020110033574 A KR1020110033574 A KR 1020110033574A KR 20110033574 A KR20110033574 A KR 20110033574A KR 20120116059 A KR20120116059 A KR 20120116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
vertical
mounting groove
connection bracke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한동
Original Assignee
서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동 filed Critical 서한동
Priority to KR1020110033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6059A/ko
Publication of KR2012011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용, 선박용 등의 창틀에서 2개의 수직부재가 미리 설치되어 있어도 2개의 수직부재에 수평부재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창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틀의 조립구조는,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이격되어 있는 제2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장착되는 윈도우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재는,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윈도우가 장착되며, 장착홈이 개방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제1연결브라켓과 제2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1연결브라켓을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1수직부재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2연결브라켓을 상기 수평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수직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장착홈을 덮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틀의 조립구조 { ASSEMBLY STRUCTURE OF WINDOW FRAME }
본 발명은 창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용, 선박용 등의 창틀에서 2개의 수직부재가 미리 설치되어 있어도 2개의 수직부재에 수평부재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창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창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창틀 조립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0)의 측면에 수평부재(20)를 장착할 때 브라켓(120)을 이용하여 장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부재(10)의 측면에 상기 브라켓(120)을 체결수단(40)을 이용하여 먼저 결합시키고, 그 후에 상기 수평부재(20)를 상기 브라켓(120) 방향으로 밀어 상기 브라켓(120)이 상기 수평부재(2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부재(10)와 수평부재(20)를 결합시켰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1개의 수직부재(10)에 수평부재(20)를 결합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수직부재(20)가 먼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부재(10)를 2개의 상기 수직부재(20) 사이에 배치하여 결합시키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2개의 수직부재가 상호 이격되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2개의 수직부재 사이에 수평부재를 배치하여 수직부재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창틀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창틀의 조립구조는,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이격되어 있는 제2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장착되는 윈도우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재는,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윈도우가 장착되며, 장착홈이 개방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제1연결브라켓과 제2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1연결브라켓을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1수직부재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2연결브라켓을 상기 수평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수직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장착홈을 덮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홈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가 배치된 좌우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되게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장착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체결부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딩체결부에 결합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장착홈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1수직부재 또는 제2수직부재와 대면하는 정면부와; 상기 정면부의 양측에서 절곡 형성된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정면부를 상기 제1수직부재 및 제2수직부재에 결합시키고, 상기 측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시킨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가 배치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착홈을 덮으면서 동시에 상기 전선삽입홈도 덮는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전선삽입홈을 다수개로 분할하는 분할판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전선삽입홈을 덮는 전선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창틀의 조립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2개의 수직부재가 상호 이격되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2개의 수직부재 사이에 수평부재를 배치하여 수직부재에 용이하게 조립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연결브라켓을 베이스부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베이스부를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 사이에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브라켓을 고정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커버부를 베이스부에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연결브라켓을 베이스부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베이스부를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 사이에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브라켓을 고정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커버부를 베이스부에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틀의 조립구조는,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와, 수평부재(300)와, 윈도우(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는 동일한 형상의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에는 상기 윈도우(40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는 유리홈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부재(210)는 제2수직부재(220)는 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그 내부에 전선 등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부재(300)는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 사이에 배치되고, 하면이 바닥면에 접하고 있다.
상기 윈도우(400)는 유리, 플라스틱 등의 평판형상 이루어져 상기 수평부재(300)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와 수평부재(300)가 결합하여 상기 원도우(400)가 장착되는 창틀을 이루고, 상기 윈도우(400)와의 사이에는 가스켓이 장착되어 상기 윈도우(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부재(300)는 베이스부(310)와 연결브라켓(320)과 체결부재(330)와 커버부(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하면이 바닥면에 접하고 상부에 상기 윈도우(400)가 장착되며,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장착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311)은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가 배치된 좌우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되게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310)에는 상기 장착홈(311)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체결부(312)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체결부(312)는 상기 장착홈(311)과 달리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걸림부(313)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10)에는,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가 배치된 좌우방향으로 전선삽입홈(314)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삽입홈(314)은 상기 장착홈(311)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전선(450)이 삽입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부(310)에는 상기 전선삽입홈(314)을 다수개로 분할하는 분할판(315)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할판(315)에 의해 상기 전선삽입홈(314)을 다수개로 분할되어 서로 다른 전선(450)을 분할하여 배치할 수 있는바, 서로 다른 전선(450)이 섞이거나 상호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320)은 상기 장착홈(311)에 장착되고, 제1연결브라켓(321)과 제2연결브라켓(32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연결브라켓(320)은, 상기 제1수직부재(210) 또는 제2수직부재(220)와 대면하는 정면부(323)와, 상기 정면부(323)의 양측에서 절곡 형성된 측면부(324)로 이루어져,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위와 같은 상기 연결브라켓(320)은 상기 제1연결브라켓(321)이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대면하고, 상기 제2연결브라켓(322)이 상기 제2수직부재(220)와 대면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330)는 볼트, 나사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연결브라켓(321)을 상기 수평부재(300)의 일단과 상기 제1수직부재(210)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2연결브라켓(322)을 상기 수평부재(300)의 타단과 상기 제2수직부재(22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체결부재(330)는 상기 정면부(323)를 상기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에 결합시키고, 상기 측면부(324)를 상기 베이스부(310)에 결합시킨다.
상기 커버부(34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장착홈(311) 및 연결브라켓(3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다.
이때, 상기 커버부(340)는 상기 장착홈(311)을 덮으면서 동시에 상기 전선삽입홈(314)도 함께 덮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340)와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호 후크형상에 의해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40)에는 상기 전선삽입홈(314)의 상부를 덮는 전선덮개부(34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덮개부(345)는 상기 분할판(315)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할판(315)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된 상기 전선삽입홈(314) 상부 전체를 덮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부재(300)의 하면이 바닥면에 접하고, 상기 장착홈(311)이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윈도우(400)가 상기 수평부재(300)의 상부에 장착된 것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수평부재(300)는 상기 윈도우(4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착홈(311)이 하방향으로 개방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윈도우(400)는 좌측과 우측이 각각 상기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에 삽입 장착되고, 상부와 하부는 각각 상기 윈도우(4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수평부재(300)에 삽입 장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수직부재(210), 제2수직부재(220) 및 수평부재(300)는 측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는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미리 설치되어 있다.
가장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320)을 상기 베이스부(310)에 장착한다.
상기 연결브라켓(320)은 상기 베이스부(310)에 장착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체결부재(330)를 상기 연결브라켓(320)의 측면부(324)에 헐겁게 장착한다.
그 후 상기 체결부재(330)의 머리부를 양단이 개방된 상기 슬라이딩체결부(312)에 삽입한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브라켓(320)은 상기 체결부재(330)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31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320)은 상기 체결부재(330)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체결부(312)에 결합되어 있지만, 상기 체결부재(330)가 헐겁게 장착되어 있는바, 상기 연결브라켓(320)은 상기 장착홈(311)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태로 놓여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320)을 상기 베이스부(310)에 장착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320)이 장착된 상기 베이스부(310)를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 사이에 삽입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베이스부(310)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한다.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 사이에 상기 베이스부(310)를 배치하고 나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브라켓(321)을 상기 제1수직부재(21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연결브라켓(322)을 상기 제2수직부재(22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상기 체결부재(3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연결브라켓(321)을 상기 제1수직부재(210) 및 베이스부(310)에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제2연결브라켓(322)을 상기 제2수직부재(220) 및 베이스부(310)에 고정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310)재는 상기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와 고정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전선삽입홈(314)에 전선(450)을 삽입한다.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340)를 상기 베이스부(310)에 장착하고, 상기 제1수직부재(120), 제2수직부재(220) 및 수평부재(300)에 의해 제작된 창틀에 상기 윈도우(4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340)는 상기 장착홈(311) 및 전선삽입홈(314)을 덮어, 상기 연결브라켓(320) 및 전선(45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340)에 형성된 상기 전선덮개부(345)가 상기 전선삽입홈(314)을 덮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선삽입홈(314)에 배치된 전선(450)이 뒤섞이거나 전선삽입홈(314)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윈도우(400)의 상부에도 상기 수평부재(300)를 장착하여 상기 윈도우(400)의 상하좌우 모두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직부재(210), 제2수직부재(220) 및 수평부재(300)는 측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길고 넓게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창틀의 조립구조에 의해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1수직부재(210)와 제2수직부재(220) 사이에 상기 수평부재(300)를 용이하게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틀 조립구조는 일반적인 건축용 창틀뿐만 아니라, 선박 등의 창틀에도 적용하여 용이하게 조립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창틀의 조립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210 : 제1수직부재, 220 : 제2수직부재,
300 : 수평부재,
310 : 베이스부, 311 : 장착홈, 312 : 슬라이딩체결부, 313 : 걸림부, 314 : 전선삽입홈, 315 : 분할판,
320 : 연결브라켓, 321 : 제1연결브라켓, 322 : 제2연결브라켓, 323 : 정면부, 324 : 측면부,
330 : 체결부재,
340 : 커버부, 345 : 전선덮개부,
400 : 윈도우, 450 : 전선,

Claims (5)

  1.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이격되어 있는 제2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장착되는 윈도우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재는,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윈도우가 장착되며, 장착홈이 개방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제1연결브라켓과 제2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1연결브라켓을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1수직부재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2연결브라켓을 상기 수평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수직부재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장착홈을 덮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가 배치된 좌우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되게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장착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체결부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딩체결부에 결합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장착홈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조립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1수직부재 또는 제2수직부재와 대면하는 정면부와;
    상기 정면부의 양측에서 절곡 형성된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정면부를 상기 제1수직부재 및 제2수직부재에 결합시키고, 상기 측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조립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가 배치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착홈을 덮으면서 동시에 상기 전선삽입홈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조립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전선삽입홈을 다수개로 분할하는 분할판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전선삽입홈을 덮는 전선덮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조립구조.


KR1020110033574A 2011-04-12 2011-04-12 창틀의 조립구조 KR20120116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574A KR20120116059A (ko) 2011-04-12 2011-04-12 창틀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574A KR20120116059A (ko) 2011-04-12 2011-04-12 창틀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59A true KR20120116059A (ko) 2012-10-22

Family

ID=4728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574A KR20120116059A (ko) 2011-04-12 2011-04-12 창틀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60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647A1 (ko) * 2013-12-18 2015-06-25 주식회사 이노탑 고정창 프레임
KR102066658B1 (ko) * 2019-03-28 2020-02-11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내부 전선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는 창호 프레임 결합 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647A1 (ko) * 2013-12-18 2015-06-25 주식회사 이노탑 고정창 프레임
KR102066658B1 (ko) * 2019-03-28 2020-02-11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내부 전선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는 창호 프레임 결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9846B (zh) 具备排水口形成用支撑部件的玻璃护栏
US8967227B2 (en) Roller curtain fixing bracket assembly
KR20120116059A (ko) 창틀의 조립구조
CN105520401B (zh) 用于抽屉的具有框架主体的框架以及抽屉和具有抽屉的家具
KR101099373B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연결구조
KR200448088Y1 (ko)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CN108678635B (zh) 隐形防护网的型材结构
EP2695547B1 (en) Assembly for shelving device, comprising a support for displaying articles, a lighting device and a mounting element
KR101248575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CN205678466U (zh) 一种led灯具
CN205048860U (zh) 冰箱的顶盖组件和冰箱
CN210002622U (zh) 一种多功能室内金属隔断
CN203016713U (zh) 电饭煲盖及具有该电饭煲盖的电饭煲
CN202280153U (zh) 淋浴房固定挡板卡接型材
CN105135803A (zh) 冰箱的顶盖组件和冰箱
KR100767842B1 (ko) 냉장고의 데코어셈블리
CN2891858Y (zh) 一种屏风组件的拆装结构
CN210369554U (zh) 组合式建筑结构单元
CN220382375U (zh) 安装架和电子设备
JP6262538B2 (ja) 建築構造体
CN214272522U (zh) 一种便于安装的格栅条组件
KR20130070787A (ko) 커넥터
CN211286491U (zh) 新型墙板安装结构
JP2013087601A (ja) 浴室構造
WO2016172813A1 (zh) 一种磁性照片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