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746A -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 - Google Patents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746A
KR20120115746A KR1020110033232A KR20110033232A KR20120115746A KR 20120115746 A KR20120115746 A KR 20120115746A KR 1020110033232 A KR1020110033232 A KR 1020110033232A KR 20110033232 A KR20110033232 A KR 20110033232A KR 20120115746 A KR20120115746 A KR 20120115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lcro
target unit
frame
extens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448B1 (ko
Inventor
서상옥
Original Assignee
서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2843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157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서상옥 filed Critical 서상옥
Priority to KR102011003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4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02Games using bal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non-electronic means for locating the point of impact on a target or the point of entry in the go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은,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몸체를 형성하되, 각각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 인접한 프레임을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이 삽입되는 분지관이 상기 인접한 프레임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분지관 중 동일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분지관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에 노출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며, 벨크로가 구비된 연장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결링크 및 모서리 부분에 상기 연장부의 벨크로에 대응되는 벨크로가 구비된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탈착 구비되는 타겟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Assembly Type Target Unit Having Connection Link Having Extension Part}
본 발명은 조립식 타겟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관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조립식 타겟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발전되고 여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여가 및 레저 활동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특히 각종 스포츠 등을 취미로 즐기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시간이 부족하거나 장소를 섭외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가 고안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것을 뉴스포츠(New Sports)라 칭하기도 하며, 실제 가정은 물론 학교 등지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뉴스포츠가 적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별도의 점수판이 복수 개 구비된 타겟유닛에 공이나 원반 등을 던져 점수를 획득하는 형태의 뉴스포츠가 일반적으로 많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타겟유닛의 경우, 타겟유닛의 몸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리 등의 걸림 후크를 형성하여 점수판을 걸어 놓거나, 홈을 형성하여 점수판을 끼워 넣는 형태의 결합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지속적인 충격에 의해 후크 등의 결합 수단이 쉽게 고장나며, 어느 하나의 점수판에 가해지는 충격이 다른 점수판에 전달되어 다른 점수판이 함께 떨어지는 등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결합 구조로 인해, 한번 떨어져 나간 점수판을 다시 부착하는 작업에 노력이 많이 소요되어, 놀이를 반복하려는 의욕이 상실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점수판 자체가 떨어져 나가지 않고 그대로 붙어 있는 경우도 많아, 놀이의 흥이 반감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한 결합 구조 외의 또 다른 결합 구조로서, 벨크로에 의한 결합 구조가 제시되기도 하였다. 도 8에는, 종래의 타겟유닛(200)에 있어 점수판(230)이 벨크로(240)에 의해 부착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타겟유닛(200)은 점수판(230)의 둘레 부분에 벨크로(240)가 구비되며,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210)에는 상기 점수판(230)의 벨크로(240)에 대응되는 다른 벨크로가 구비된다. 따라서, 점수판(230)을 프레임(2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프레임(210)은,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제작 단가를 절감하기 위해 단면이 원형인 관 형태로 제작되고, 각 관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 프레임(210)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역시 프레임(210)의 둘레의 곡면을 따라 곡선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타겟유닛(200)의 경우, 점수판(230)의 벨크로(240)를 부착 시 접촉 면적이 극도로 좁아지게 되며, 기준 이하의 접착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유닛(200) 몸체 내측 부분에 위치된 프레임(210)의 경우, 하나의 관에 양측의 점수판(230)을 모두 부착하여야 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전체 무게가 증가하고, 생산 단가가 증가하며, 외관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점수판(230)이 차지하는 타격 면적 외의 잉여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점수판(230)을 타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해 게임의 재미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나열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 또는 원반 등을 타격 시 타겟보드가 몸체로부터 탈락되지 않거나, 다른 타겟보드가 떨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하고, 결합 수단이 쉽게 고장나는 현상 등을 해결하기 위한 조립식 타겟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몸체에 타겟보드를 결합하는 데 많은 노력이 소요되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립식 타겟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은,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몸체를 형성하되, 각각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 인접한 프레임을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이 삽입되는 분지관이 상기 인접한 프레임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분지관 중 동일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분지관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에 노출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며, 벨크로가 구비된 연장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결링크 및 모서리 부분에 상기 연장부의 벨크로에 대응되는 벨크로가 구비된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탈착 구비되는 타겟보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벨크로는 상기 연장부의 양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벨크로는 상기 고정부의 양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복수의 면을 가지는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타겟보드의 탈착이 매우 용이하여 설치에 부담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타겟보드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타겟보드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타겟보드가 용이하게 분리된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프레임, 연결링크 및 타겟보드의 조합으로 다양한 형상의 몸체를 제작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이 방대하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결합 구조가 간단하여, 충격 및 노후에 의한 고장이 크게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에 있어서, 연결링크 및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에 있어서, 연결링크 및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에 있어서, 타겟보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에 있어서, 지지다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에 있어서, 연결링크, 프레임 및 타겟보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납박스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종래 타겟유닛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겟유닛(1)이 도시되며, 이를 통해 조립식 타겟유닛(1)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타겟유닛(1)은, 전체적으로 프레임(10), 연결링크(20) 및 타겟보드(30)를 포함한다.
먼저, 프레임(10)은 조립식 타겟유닛(1)의 전체 골격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몸체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프레임(10)은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연결링크(20)는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0) 중 서로 인접한 프레임(10)을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프레임(10)의 일단이 삽입되는 분지관이 인접한 프레임(10)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즉, 각각의 프레임(10)은 연결링크(20)에 의해 고정되어 조립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설명한 프레임(10) 및 연결링크(20)의 연결 모습이 더욱 자세히 도시된다. 그리고, 본 도면에서의 연결링크는 몸체의 최상단에 위치된 것으로 예시하였다. 따라서, 연결되는 프레임(10a, 10b, 10c)은 총 3개이며, 연결링크는 총 3개의 분지관(21a, 22a, 23a)을 가진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연결링크는 제1연결링크(20a)라 하고, 왼쪽에 도시된 프레임을 제1프레임(10a), 오른쪽에 도시된 프레임을 제2프레임(10b), 아래쪽에 도시된 프레임을 제3프레임(10c)이라 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프레임(10a)에 대응되는 분지관은 제1분지관(21a), 제2프레임(10b)에 대응되는 분지관은 제2분지관(22a), 제3프레임(10c)에 대응되는 분지관은 제3분지관(23a)이라 칭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a, 10b, 10c)은 단면이 원형인 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전체적인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 각각의 프레임(10a, 10b, 10c)은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프레임(10a, 10b, 10c)을 어느 위치에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제1프레임(10a), 제2프레임(10b) 및 제3프레임(10c)는 서로 동일한 규격을 가지므로, 서로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제1연결링크(2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분지관(21a), 제2분지관(22a) 및 제3분지관(23a)을 가지며, 각각의 분지관(21a, 22a, 23a)에 형성된 중공의 지름은 각 프레임(10a, 10b, 10c)의 전체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물론, 더욱 견고한 고정을 위해 각 프레임(10a, 10b, 10c)의 전체 지름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제2프레임(10b), 제3프레임(10c)과 함께 제4프레임(10d), 제5프레임(10e)이 각각 결합되어 하나의 개구부(o)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프레임(10)의 결합 부분마다 연결링크(20)가 구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조립식 타겟유닛(1)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된 연결링크(20)는 2개의 분지관을 가지며, 변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 경우에는 3개의 분지관을, 몸체의 내측 부분에 위치된 경우에는 4개의 분지관을 가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립식 타겟유닛(1)은, 각 프레임(10)이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개구부(o)는 정사각형 형태로 총 9개가 형성되며, 이들로 구성된 조립식 타겟유닛(1)의 몸체 전체 역시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와 달리 프레임(10)의 규격이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하나의 연결링크(20)에 형성된 각 분지관 간의 각도에 따라 개구부(o)가 사각형 외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프레임(10) 역시 직선 형태 외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조립식 타겟유닛(1)의 전체 몸체 역시 사각형 외의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하나의 연결링크(20)에 형성된 분지관 중 동일 개구부(o)를 형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10)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분지관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o)에 노출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며, 벨크로가 구비된 연장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동일 개구부(o)를 형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10)이란,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이 하나의 개구부(o)의 변을 구성하는 경우를 말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각형 형상의 개구부(o)는 총 4개의 프레임(10b, 10c, 10d, 10e)에 의해 이루어지며, 따라서 제2프레임(10b) 및 제3프레임(10c)은 동일 개구부(o)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동일 개구부(o)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10b) 및 제3프레임(10c)에 각각 대응되는 제2분지관(22a) 및 제3분지관(23a) 사이에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연장부(25a)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연결링크(20a)는 또 하나의 연장부(24a)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각 연장부(24a, 25a)는 삼각형 형상을 가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는 개구부(o)에 노출되며. 벨크로가 구비된다. 이때, 벨크로란 일반적으로 후크형의 벨크로 및 상기 후크형의 벨크로가 걸릴 수 있는 직물형의 벨크로가 서로 대응됨으로써 고정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연장부에는 어느 형태의 벨크로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즉, 연장부에 후크형의 벨크로 및 직물형의 벨크로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경우, 후술할 상기 연장부에 탈착되는 타겟보드(30)에 구비되는 벨크로는 이에 대응되는 다른 하나가 구비될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후크형의 벨크로 및 직물형의 벨크로를 모두 벨크로라 통합해 칭하도록 하며, 이는 서로 대응되는 재질의 벨크로가 각각 반대 측에 위치된다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개구부(o)에는 각각 4개의 연장부가 노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장부에는 타겟보드(30)가 부착되어 개구부(o)를 차폐하게 된다. 도 4에는, 타겟보드(30)의 모습이 자세히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타겟보드(30)는 개구부(o)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숫자 등 다양한 인쇄 문구가 인쇄되는 표시부(32)가 구비된다. 그리고,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연장부의 벨크로에 대응되는 벨크로가 구비된 고정부(3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개구부(o)에 노출되는 연장부는 총 4개이므로, 고정부(34) 역시 4개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타겟보드(30)를 개구부(o)에 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연장부 및 고정부(34)에 구비된 벨크로의 치밀도를 조절하여 접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사용 대상 및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접착 강도를 가지도록 제품을 출하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연장부의 벨크로는 연장부의 양면에 구비되고, 고정부(34)의 벨크로는 고정부(34)의 양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타겟보드(30)를 몸체의 어느 방향에도 부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황에 따라 타겟보드(30)를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부착시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타겟유닛(1)은, 지지다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다리(40)는 조립식 타겟유닛(1)의 몸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다리(4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동시에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지지부(44a, 44b), 지지부(44a, 44b)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42) 및 지지부(44a, 44b) 및 연결부(42)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조부(50)를 포함한다.
즉, 지지부(44a, 44b)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 인해 전체 몸체가 전후 방향의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지지력이 확보되며, 특히 보조부(50)가 더 구비되므로 지지력이 더욱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4a, 44b) 및 연결부(42)는 모두 전술한 프레임(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링크(2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프레임(10), 연결링크(20) 및 타겟보드(30) 외에 별도의 부품이 추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0)과 혼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조립성이 크게 향상된다.
여기서, 몸체와 연결부(42)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는 제2연결링크(20b), 연결부(42)와 지지부(44a, 44b)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는 제3연결링크(20c)라 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분지관은 전술한 제1연결링크(20a)와 동일한 방법으로 일련번호를 할당한다.
이를 고려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지지부(44a, 44b)는 총 2개의 프레임이 서로 제3연결링크(20c)의 제7분지관(21c) 및 제8분지관(22c)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며, 제9분지관(23c)에는 연결부(42)의 일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부(42)의 타단은 제2연결링크(20b)의 제5분지관(22b)에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5분지관(22b) 및 제6분지관(23b)의 사이, 그리고 제3연결링크(20c)의 각 분지관(21c, 22c, 23c) 사이에도 연장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모든 연결링크(20)를 구분 없이 혼용 가능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보조부(50)는 지지대(52) 및 상기 지지대(52)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54a, 54b)를 포함한다. 이 중 지지대(52)는 지지부(44b)와 연결부(42) 사이를 지지하여 조립식 타겟유닛(1)의 몸체가 충격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후크(54a, 54b)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44b) 또는 연결부(42)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후크(54a, 54b)의 구조로 인해, 보조부(50)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조부(50)는 양측 지지다리(40)의 후방에만 각각 하나씩 구비되었으나, 전방에도 각각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다리(40)가 프레임(10)과 연결링크(20)의 조립으로써 제작되었으나, 이와 달리 지지다리(40)는 별도 부품의 조립에 의해 제작되거나, 더 나아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조립식 타겟유닛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립식 타겟유닛의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겟유닛(100)의 모습이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110), 타겟보드(130a, 130b, 130c) 및 지지다리(140)는 전술한 일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전술한 일실시예의 경우, 조립식 타겟유닛(1)의 몸체에는 9개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각 개구부는 동일 평면에 형성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조립식 타겟유닛(100)의 몸체는 복수의 면을 가지는 다면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구축하기 위해, 전술한 일실시예에서 사용된 연결링크(20) 중 일부가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의 꼭지점에 위치된 연결링크(120a)와, 모서리 부분에 위치된 연결링크(120b)에는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분지관이 더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겟유닛(100)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서로 다른 면에 구비된 타겟보드(130a, 130b, 130c)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인쇄 문구가 인쇄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면에는 서로 다른 인쇄 문구를 인쇄하여 별도의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그리고, 각 면에서는 서로 다른 사용자가 동시에 게임을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타겟유닛의 몸체는 평면뿐 아니라 다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육면체 형상 외에도 분지관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육면체의 각 면이 하나의 개구부만을 갖도록 조립된 조립식 타겟유닛의 모습이 도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타겟유닛은 개구부의 개수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전체 몸체의 크기를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내부에 수납공간(s)이 형성되며, 이는 기타의 물품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이 하나의 개구부만을 갖는 조립식 타겟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최소의 프레임(110), 연결링크(120a) 및 타겟보드(130) 외의 여분의 부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조립식 타겟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도록 보관할 수 있으며, 이동 시에도 그 부담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하나의 면에 할당되는 개구부의 개수를 변경하여, 상황에 적합한 크기의 수납박스로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조립식 타겟유닛
10: 프레임
20: 연결링크
30: 타겟보드
40: 지지다리
50: 보조부
O: 개구부
s: 수납공간

Claims (4)

  1.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몸체를 형성하되, 각각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
    인접한 프레임을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이 삽입되는 분지관이 상기 인접한 프레임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분지관 중 동일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분지관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에 노출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며, 벨크로가 구비된 연장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결링크; 및
    모서리 부분에 상기 연장부의 벨크로에 대응되는 벨크로가 구비된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탈착 구비되는 타겟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타겟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겟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벨크로는 상기 연장부의 양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벨크로는 상기 고정부의 양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겟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복수의 면을 가지는 다면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겟유닛.
KR1020110033232A 2011-04-11 2011-04-11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 KR10119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232A KR101196448B1 (ko) 2011-04-11 2011-04-11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232A KR101196448B1 (ko) 2011-04-11 2011-04-11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746A true KR20120115746A (ko) 2012-10-19
KR101196448B1 KR101196448B1 (ko) 2012-11-01

Family

ID=4728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232A KR101196448B1 (ko) 2011-04-11 2011-04-11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1854A (zh) * 2012-12-04 2014-02-19 株式会社万代 靶装置
KR20160043500A (ko) 2014-10-13 2016-04-21 (주)프리원 타겟유닛의 프레임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71B1 (ko) * 2013-03-27 2014-09-26 (주) 화신알미늄 골프 연습용 타깃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5184A1 (en) 2004-12-10 2006-06-15 Todd Benson Game system and method of playing
US20080032826A1 (en) 2006-08-06 2008-02-07 Earl Mubarak Soccer Train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1854A (zh) * 2012-12-04 2014-02-19 株式会社万代 靶装置
KR20160043500A (ko) 2014-10-13 2016-04-21 (주)프리원 타겟유닛의 프레임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448B1 (ko)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8934B1 (en) System for realising complex assemblies
KR101196448B1 (ko)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링크를 가지는 조립식 타겟유닛
EP3865185A1 (en) Trampoline frame and trampoline
PL2062622T3 (pl) Bramka do gier z piłką
CA3070250A1 (fr) Espace multisports pour la pratique de plusieurs sports de buts et sports de filets
KR101658319B1 (ko) 타겟유닛의 프레임 구조체
KR102249215B1 (ko) 놀이용 인디언 텐트
CN212141384U (zh) 一种多功能儿童篮球架
JP5188645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CN208018086U (zh) 一种可收纳的儿童篮球架
KR200474399Y1 (ko) 의자용 조립 키트
US20050275168A1 (en) Size adjustable soccer goal
CN205390901U (zh) 一种可拆装式的多功能儿童家具
RU58937U1 (ru) Игра (варианты)
RU101370U1 (ru) Спортивно-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JP3134040U (ja) ゲーム性を有するスポーツ用具
CN102530035B (zh) 购物车的儿童座位及其小儿坐板
US20210069578A1 (en) Three-dimensional game board
CN206167712U (zh) 一种儿童攀爬架
CN201894852U (zh) 组合方格玩教具
CN217645744U (zh) 一种便于拆装的、具有多娱乐性的攀爬架
CN211186579U (zh) 一种便于放置的儿童床
KR200443464Y1 (ko) 조립식 찻상
CN214232764U (zh) 一种新型空间组合玩具
JP3140024U (ja) 剣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627

Effective date: 201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