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140A - Cart with container - Google Patents

Cart with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140A
KR20120115140A KR1020120035946A KR20120035946A KR20120115140A KR 20120115140 A KR20120115140 A KR 20120115140A KR 1020120035946 A KR1020120035946 A KR 1020120035946A KR 20120035946 A KR20120035946 A KR 20120035946A KR 20120115140 A KR20120115140 A KR 20120115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all
wall
bottom plate
folded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께시 데라우찌
마사시 다니자끼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5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1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6Securing devices for bags or toys ; Arrangements of racks, bins, trays or other devices for transpor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Abstract

PURPOSE: A cart with a container is provided to accurately receive articles with the obtained depth of a container because at least a part of a rear wall of the container can be folded along a height direction. CONSTITUTION: A cart has a container of which lower part is surrounded by a front wall(13), a pair of side walls(14), and a rear wall(15). The container is upwardly opened. At least a part of the rear wall is folded to reduce the height of the rear wall.

Description

수납 용기를 구비한 손수레 {CART WITH CONTAINER}Cart with Storage Container {CART WITH CONTAINER}

본 발명은, 차체의 적재부의 하방에 상자 형상의 수납 용기가 설치된 베이비 카 등의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lley such as a baby car provided with a box-shaped storage container under a loading portion of a vehicle body.

손수레의 일종으로서, 프레임 구조의 차체에 적재부로서의 시트부가 설치되고, 그 시트부의 하방의 스페이스에, 사용자가 개인 소지품 등의 짐을 수납하기 위한 상자 형상의 수납 용기가 배치된 베이비 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시트부의 하방에, 장 바구니를 싣기 위한 바구니 지지 기구를 설치한 베이비 카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As a kind of trolley, there is known a baby car in which a seat portion as a loading portion is provided in a vehicle body having a frame structure, and a box-shaped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luggage such as personal belongings by the user in a space below the seat portion is known (exampl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lso known is a baby car provided with a basket support mechanism for carrying a long basket under the seat portion (see Patent Document 2, for example).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1053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210533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6204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162047

종래의 베이비 카의 수납 용기는, 저부의 주위가 전방벽, 한 쌍의 측벽 및 후방벽으로 둘러싸인 상자 형상의 구조이다. 그로 인해, 장 바구니와 같은 부피가 커지는 물품을, 시트부와 수납 용기의 상부 테두리부 사이의 한정된 간극을 통해 수납 용기 내에 출납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장 바구니의 지지 기구를 설치한 예에서는, 장 바구니 등의 수납 용기가 없으면 애당초 물품을 시트부 아래에 수납할 수 없다.The storage container of the conventional baby car is a box-shaped structur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art is surrounded by a front wall, a pair of side walls, and a rear wall.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take out a bulky article such as a long basket into the storage container through a limited gap between the sheet portion and the upper edge of the storage container. 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in which the support mechanism of the long basket is provided, if there is no storage container, such as a long basket, initially, an article cannot be stored under a sheet part.

따라서, 본 발명은 적재부의 하방의 수납 용기에 물품을 수납하는 본래의 기능을 확보하면서, 장 바구니와 같은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적재부의 하방에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t that makes it possible to mount a relatively bulky article such as a long basket under the loading section while securing the original function of storing the article in a storage container below the loading section. do.

본 발명은, 저부(12)의 주위가 전방벽(13), 한 쌍의 측벽(14) 및 후방벽(15)으로 둘러싸이고, 또한 상방을 향해 개방되는 수납 용기(11, 11A 내지 11H)를 차체의 적재부의 하방에 구비한 손수레이며, 상기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상기 후방벽의 높이를 감소시키도록 절첩 가능하게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container 11, 11A to 11H, which is surrounded by the front wall 13, the pair of side walls 14, and the rear wall 15, and is open upward. It is a trolley provided below the loading part of a vehicle body, and at least one area | region is foldable so that the height of the said rear wall may be reduced from the upper edge part of the said rear wall along a height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벽을 절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부의 주위를 전방벽, 측벽 및 후방벽으로 둘러싸고, 수납 용기의 깊이를 확보하여 물품을 확실하게 그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한편, 후방벽의 적어도 일부를 절첩하여 그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수납 용기의 개구부를 확대하고, 본래의 상태, 즉 후방벽의 전체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출납이 곤란한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이어도 수납 용기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where the rear wall is not folded,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ortion is surrounded by the front wall, the side wall, and the rear wall, the depth of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ensured, and the article can be reliably stored therein. On the other hand, by fol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wall and reducing its height, the opening of the storage container as seen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is enlarged, and a relatively large volume that is difficult to put in and out in the original state, that is, the entire rear wall is erected. Even a large article can be easily mounted in a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의 손수레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벽이 상기 저부와의 경계의 하부 테두리부를 꺾은선(15c)으로서 저부와 겹치도록 절첩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후방벽을 그 전체 높이에 걸쳐 절첩하여 수납 용기를 크게 개방시켜, 물품의 출납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후방벽을 저부와 포갬으로써, 후방벽 그 자체를 수납 용기의 저부의 일부로서 실질적으로 기능시켜 그 위에 물품을 탑재할 수 있다.In the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all may be folded so that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oundary with the bottom portion overlaps the bottom portion as a broken line 15c. According to this, the rear wall can be folded over its entire height to greatly open the storage container, thereby facilitating the in and out of the article. By enclosing the rear wall with the bottom, the rear wall itself can function substantially as part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to mount the article thereon.

상기 후방벽을 상기 저부와 겹칠 때까지 절첩하였을 때에 상기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와 상기 저부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는 단차 저감 수단(20;30;33;38;39, 40;41;42)이 상기 저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단차 저감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절첩된 후방벽과 저부의 단차에 물품이 걸릴 우려를 저감하고, 그에 의해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Step reducing means (20; 30; 33; 38; 39,40; 41) filling up at least a part of the step generated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rear wall and the bottom when the rear wall is folded until overlapped with the bottom; (42)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By providing the step reducing mean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article is caught in the step between the folded rear wall and the bottom,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moothly take out the article.

상기 저부의 상기 후방벽과 겹치지 않는 영역(A1)에는 바닥측 벨트(20)가 장착되고, 상기 바닥측 벨트의 후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되꺾임부(20b)가 형성되고, 상기 되꺾임부는, 상기 단차 저감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절첩된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와 이어지도록 하여 상기 저부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바닥측 벨트를 따라 물품을 취출함으로써, 그 물품이 단차에 걸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A bottom side belt 20 is mounted in an area A1 not overlapping with the rear wall of the bottom portion, a rear end portion 20b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bottom side belt, and the back portion is It may be fixed to the bottom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folded rear wall so as to function as the step reduction means. In this case, by taking the article out along the bottom side be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that the article is caught in a step.

상기 바닥측 벨트의 전단부(20a)는 상기 전방벽을 따라 되꺾인 상태로 상기 전방벽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바닥측 벨트의 전단부가 저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므로, 그 전단부에 물품이 걸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The front end portion 20a of the bottom side belt may be fixed to the front wall in a state of being turned along the front wall. According to this, since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ide belt is located above the bottom, the possibility that an article may get caught in the front end can be reduced.

상기 후방벽의 외면측에는 후방벽 벨트(21)가 장착되고, 상기 후방벽측 벨트의 단부(21a)는 상기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를 돌아 넣어 상기 후방벽의 내면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후방벽을 절첩하였을 때에 상기 후방벽측 벨트의 상기 단부가 상기 바닥측 벨트의 상기 되꺾임부에 이어지도록 상기 후방벽측 벨트가 배치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바닥측 벨트의 되꺾임부와 후방벽측 벨트의 상단부를 연속시키고 있으므로, 그들 벨트를 따라 물품을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다.A rear wall belt 21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side of the rear wall, and an end portion 21a of the rear wall belt extends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rear wall by turning an upper edge of the rear wall and extends the rear wall. When folded, the rear wall side belt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end portion of the rear wall side belt is connected to the bending portion of the bottom side belt. According to this, since the bending part of the bottom side belt and the upper end part of the rear wall side belt are continued, the article can be taken out smoothly along those belts.

후방벽을 저부와 겹칠 때까지 절첩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벽을 상기 저부와 겹칠 때까지 절첩한 상태로 구속하는 후방벽 구속 수단(20, 21;31A, 31B;33;34, 36, 37;38)을 또한 설치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물품을 취출할 때에,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에 물품이 걸려 후방벽이 부상(浮上)할 우려를 배제하여,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case where the rear wall can be folded until overlapped with the bottom, the rear wall restraining means 20, 21; 31A, 31B; 33; 34, 36 which restrains the rear wall in a folded state until the rear wall overlaps with the bottom. , 37; 38) may also be provided. According to this, when the article is taken out, the article is caught by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rear wall, and the rear wall can be eliminated and the article can be taken out smoothly.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에는, 상기 후방벽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후방벽의 절첩 시에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에 소정의 되꺾임선(L)을 따라 되꺾이도록 변형 가능한 가요성 벽부(14c)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후방벽을 절첩할 때에 가요성 벽부가 되꺾임선을 따라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되꺾인다. 후방벽을 세운 상태에서는 후방벽과 측벽이 연속하고, 벽면으로서의 일체성,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side walls is a flexible wall portion which is continuous to the rear wall and deformable to be folded along a predetermined fold line L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when the rear wall is folded. 14c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is, when folding the rear wall, the flexible wall portion is folded back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along the fold line. In the state where the rear wall is erected, the rear wall and the side wall are continuous, and the unity and continuity as the wall surface can be ensured.

상기 차체에 후방 다리(4)가 설치되고,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후방벽이 차체의 상기 후방 다리를 넘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가요성 벽부의 상기 되꺾임선의 상단부 위치(P)를 상기 차체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당해 후방 다리와 개략 일치시켜도 된다. 이에 따르면, 후방벽을 절첩하였을 때에, 수납 용기의 후방 다리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대략 전체가 수납 용기 내에 후퇴하고, 그에 의해 큰 개구부가 얻어진다. 한편, 후방벽을 세웠을 때에는, 후방 다리보다도 후방에서, 상향으로 충분한 개구부가 발생하여, 물품의 출납에 유리하다.In the case where the rear leg 4 is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and the storage container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such that the rear wall protrudes rearward beyond the rear leg of the vehicle body, the bending of the flexible wall portion is performed. The upper end position P of the line may roughly coincide with the rear leg when the vehicle body is viewed from the side. According to this, when the rear wall is folded, approximately the entirety of the portion projecting rearward from the rear leg of the storage container retreats in the storage container, whereby a large opening is obtai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ar wall is erected, sufficient openings are generated upwardly from the rear of the rear leg, which is advantageous for taking in and out of the article.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수레는 베이비 카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차체에 장착된 시트부(9)이며,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시트부의 하방으로 현수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그에 따르면, 베이비 카의 수납 용기에 관해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발휘시켜, 베이비 카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t may be a baby car. 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may be a seat portion 9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storage container may be provided to be suspended below the seat portion. According to this,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is exhibited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ntainer of a baby car, and the usability of a baby car can be improved.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 쓰기로 부기하였지만, 그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n order to make understanding of this invention easy, the reference numeral of the accompanying drawing is attached by the parenthesis,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illustration.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용기의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상기 후방벽의 높이가 감소하도록 절첩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후방벽을 절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납 용기의 깊이를 확보하여 물품을 확실하게 그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한편, 후방벽의 적어도 일부를 절첩하여 그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본래의 상태에서는 출납이 곤란한 부피가 큰 물품이어도 수납 용기 상에 탑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납 용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wall of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fol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rear wall is reduced, so that the rear wall is not folded. In the state, the depth of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ensured and the article can be reliably stored therein. On the other hand, by folding at least a part of the rear wall and reducing its height, even a bulky article which is difficult to put in and out in the original state can be mounted on the storage container.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a storag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베이비 카의 측면도.
도 2는 시트부의 하방에 설치된 박스의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의 사시도.
도 3은 박스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
도 4는 박스의 후방벽을 바닥판에 겹칠 때까지 절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후방벽을 절첩하였을 때의 박스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
도 6은 박스 내에 장 바구니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박스의 후방벽에 플랩을 추가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박스의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후방벽을 절첩한 모습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10은 박스의 후방벽과 바닥판에 연결구를 추가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박스의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후방벽을 절첩한 모습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13은 박스의 후방벽에 플랜지부를 추가하고, 또한 바닥판에 플랩을 추가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박스의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상태로부터 후방벽을 절첩한 모습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16은 박스를 쓰러뜨려 넣기 위한 코드 등을 추가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박스의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상태로부터 후방벽을 절첩한 모습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19는 박스의 바닥판 상에 착탈 가능한 밑판을 추가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박스의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상태로부터 후방벽을 절첩한 모습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22는 박스의 바닥판 상에 코어재를 추가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박스의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
도 24는 도 23의 상태로부터 후방벽을 절첩한 모습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25는 박스의 바닥판 상의 일부에 두께부를 형성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박스의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상태로부터 후방벽을 절첩한 모습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28은 박스의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에 슬로프를 설치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박스의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
도 30은 도 29의 상태로부터 후방벽을 절첩한 모습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1 is a side view of a baby c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x provided below the sheet portion in normal use.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x.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until the rear wall of the box overlaps the bottom plate;
5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x when the rear wall is fold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binet is mounted in a box;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flap is added to the rear wall of the box.
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normal use of the box of FIG.
9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wall is folded from the state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connector is added to the rear wall and the bottom plate of the box.
FIG. 1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normal use of the box of FIG. 10. FIG.
1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wall is fold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form which added the flange part to the rear wall of the box, and added the flap to the bottom plate.
1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normal use of the box of FIG. 13.
FIG. 15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wall is fold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4; FIG.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cord for knocking out a box is added.
FIG. 1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normal use of the box of FIG. 16. FIG.
1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wall is folded from the state of FIG. 17.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removable base plate is added on a bottom plate of a box.
20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normal use of the box of FIG. 19.
FIG. 2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wall is folded from the state of FIG. 20;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form which added the core material on the bottom plate of the box.
FIG. 2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normal use of the box of FIG. 22; FIG.
FIG. 2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wall is fold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3.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thickness portion is formed on a part of a bottom plate of a box;
FIG. 26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normal use of the box of FIG. 25. FIG.
2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wall is fold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6;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slope is provided at an upper edge portion of a rear wall of the box.
FIG. 29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normal use of the box of FIG. 28; FIG.
30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wall is folded from the state of FIG. 29;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손수레의 일종으로서의 베이비 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베이비 카(1)는, 프레임 구조의 차체(2)를 갖고 있다. 차체(2)는, 좌우 한 쌍의 전방 다리(3)와, 좌우 한 쌍의 후방 다리(4)를 갖고 있다. 차체(2)의 한쪽 측의 전방 다리(3)와 후방 다리(4)는, 그들의 상단부에서 암레스트(5)에 접합되어 있다. 전방 다리(3) 및 후방 다리(4)의 하단부에는 차륜(6)이 장착되어 있다. 차체(2)에는, 수동 프레임(7)이 또한 설치되어 있다. 수동 프레임(7)은 전방 다리(3), 후방 다리(4) 및 암레스트(5)의 각각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동 프레임(7)의 상단부는 차체(2)의 경사 후방으로 돌출되고, 그곳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밀기 위한 핸들부(7a)가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의 전단부에는 가드 프레임(8)이 장착되어 있다. 차체(2)에는,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부(적재부)(9)가 장착되어 있다. 시트부(9)는, 우레탄 등의 내장재를 천, 기타로 이루어지는 커버로 덮은 구성을 갖고 있다. 시트부(9)의 상방에는 셰이드부(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시트부(9)의 하방에는, 수납 용기로서의 박스(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차체(2)는 절첩 가능한 구조이지만, 이하에서는 사용 시의 상태를 전제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whole structure of the baby car as a kind of trolley which concerns on one form of this invention is shown. The baby car 1 has a vehicle body 2 having a frame structure. The vehicle body 2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legs 3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legs 4. The front leg 3 and the rear leg 4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2 are joined to the armrest 5 at their upper ends. Wheels 6 are attached to lower ends of the front leg 3 and the rear leg 4. The vehicle body 2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nual frame 7. The manual frame 7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front leg 3, the rear leg 4 and the armrest 5. The upper end of the manual frame 7 protrudes behind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body 2, and a handle portion 7a for pushing by a user by hand is provided there. The guard frame 8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armrest 5. The vehicle body 2 is equipped with a seat portion (loading portion) 9 for carrying an infant. The sheet part 9 has the structure which covered the interior materials, such as urethane, with the cover which consists of cloth and other things. The shade part 10 is provided above the seat part 9. On the other hand, the box 11 as a storage container is attached below the sheet portion 9. In addition, although the vehicle body 2 is a structure which can be folded, it demonstrates on the assumption of the state at the time of use below.

도 2는 박스(11)를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베이비 카(1)의 전후 방향을 따른 박스(11)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박스(11)는, 개략 직사각 형상의 바닥판(저부)(12)의 주위가, 전방벽(13), 한 쌍의 측벽(14) 및 후방벽(15)으로 둘러싸이고, 또한 상방을 향해 개방되는 바스켓 형상의 구조를 갖고 있다. 바닥판(12)은, 평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재(12a)를, 수지제 필름 등의 가요성 소재를 이용한 시트(12b)로 덮은 구성을 갖고 있다. 가요성 소재는, 절곡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소재이면 충분하고, 수지제 필름 이외에도, 메쉬 시트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ox 11 is viewed from an inclined upper side, and FIG.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box 11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aby car 1. As apparent from these figures, the box 11 has a roughly rectangular bottom plate (bottom) 12 around the front wall 13, the pair of side walls 14, and the rear wall 15. It has a basket-shaped structure that is enclosed and opened upward. The bottom plate 12 has the structure which covered the core material 12a for maintaining flat form with the sheet 12b using flexible materials, such as a resin film. The flexible material is sufficient as long as it is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hat can be bent and includes a mesh sheet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resin film.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전방벽(13)은 코어재가 생략되고, 수지제 필름 등의 가요성 소재를 이용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벽(13)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보강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13a)는 프레임 등의 코어재를 시트 내에 삽입하여 형성되어도 되고, 전방벽(13)의 소재의 시트를 되꺾어 꿰매 맞춤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전방벽(13)은, 바닥판(12)의 시트(12b)와 1매의 가요성 소재로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바닥판(12)의 전방 테두리부와 접합되어도 된다. 접합 방법으로서는, 접착, 용착, 봉합 등의 각종 방법이 적당하게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전방벽(13)은, 차체(2)로부터 현수된 상태 하에 있어서, 박스(11)의 개구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적어도 그 상부 테두리부에 갖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보강부(13a)는 그 강성 확보를 위해 형성되어 있지만, 전방벽(13)의 내부에 코어재를 설치하고, 그에 의해 전방벽(13)의 전체가 형상 유지에 필요한 강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방벽(13)의 상부 테두리부에 거듭 보강부(13a)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The front wall 13 omits the core material and is formed in a sheet shape using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resin film. The reinforcement part 13a is formed in the upper edge part of the front wall 13 over the full length. The reinforcing portion 13a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core material such as a frame into the sheet, or may be formed by stitching back the sheet of material of the front wall 13. The front wall 1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eet 12b of the bottom plate 12 and one flexible material, or may be joined to the front edge of the bottom plate 12. As a joining method, various methods, such as adhesion | attachment, welding, and sealing, may be employ | adopted suitably. Moreover, the front wall 13 should just be a structure which has the rigidity of the grade which can maintain the opening shape of the box 11 at least in the upper edge part in the state suspended from the vehicle body 2. Although the reinforcement part 13a is formed in order to ensure the rigidity, the core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front wall 13, and the whole of the front wall 13 may have the rigidity required for shape maintaining by this.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repeatedly form the reinforcing portion 13a i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front wall 13.

측벽(14)은, 전방벽(13)과 마찬가지로 코어재가 생략되고, 수지제 필름 등의 가요성 소재를 이용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측벽(14)은, 바닥판(12)의 시트(12b) 및 전방벽(13)과 접합되어 있다. 접합 방법으로서는, 접착, 용착, 봉합 등의 각종 방법이 적당하게 채용된다. 측벽(14)의 상부 테두리부에도 보강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14a)의 전단부는 전방벽(13)의 보강부(13a)의 좌우 방향의 단부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한편, 보강부(14a)의 후단부는, 차체(2)를 측방으로부터 보아, 후방 다리(4)와 대략 겹치는 위치 P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보강부(14a)의 후단부는, 측벽(14)의 후단부보다도 차체(2)의 전방으로 다소 이격된 위치에 있다. 보강부(14a)는, 연결대(16)(도 1 참조)를 통해 차체(2)의 수동 프레임(7)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박스(11)는, 시트부(9)의 하방으로 현수되도록 하여 차체(2)에 장착되어 있다. 도 2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차체(2)에 박스(11)가 현수 상태에 있어서, 바닥판(12)은, 후방 다리(4)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레버(17)와 대략 동일 높이나, 또는 연결 레버(17)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다. 보강부(14a)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에 있어서, 측벽(14)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별도의 보강부가 형성되어도 되고,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별도의 보강부를 형성하는 경우, 그 보강부의 강성은, 위치 P를 경계로 하여, 보강부(14a)에 대하여 박스(11)의 내측으로 절첩 가능한 정도로 제한된다.The core material is omitted like the front wall 13, and the side wall 14 is formed in the sheet form using flexible materials, such as a resin film. Each side wall 14 is joined to the sheet 12b and the front wall 13 of the bottom plate 12. As a joining method, various methods, such as adhesion | attachment, welding, and sealing, are employ | adopted suitably. The reinforcement part 14a is formed also in the upper edge part of the side wall 14. As shown in FIG. The front end of the reinforcement part 14a is integrally joined to the left-right direction end part of the reinforcement part 13a of the front wall 13.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rear end of the reinforcement part 14a is set to the position P which substantially overlaps the rear leg 4 by looking at the vehicle body 2 from the side. That is, the rear end of the reinforcing portion 14a is located at a position slightly spaced forward of the vehicle body 2 than the rear end of the side wall 14. The reinforcement part 14a is connected with the manual frame 7 of the vehicle body 2 via the connecting table 16 (refer FIG. 1). Thereby, the box 11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2 so that it may suspend below the seat part 9. As apparent from FIG. 2, when the box 11 is suspended from the vehicle body 2, the bottom plate 12 is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connecting lever 17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rear legs 4. Or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coupling lever 17. Behind the rear end of the reinforcing portion 14a, a separate reinforcing portion may or may not be formed i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ide wall 14. When forming another reinforcement part, the rigidity of the reinforcement part is restrict | limited so that it can be folded inward of the box 11 with respect to the reinforcement part 14a on the position P as a boundary.

보강부(14a)가 후방벽(15)까지 연장되는 일 없이, 위치 P에서 단속하고 있으므로, 측벽(14)은, 그 상부 테두리부의 도중의 위치 P와 박스(11)의 후방측의 코너[후방벽(15)의 하부 테두리부의 양단부에 상당함.]를 연결하는 가상적인 되꺾임선(L)(도 2 참조)을 경계로 하여, 제1 벽부(14b)와 제2 벽부(14c)로 구분 가능하다. 제2 벽부(14c)는, 박스(11)의 내측으로 절첩 가능한 가요성, 혹은 유연성을 갖고, 본 발명의 가요성 벽부에 상당한다. 단, 제2 벽부(14c)의 적어도 상부 테두리부에는, 제2 벽부(14c)에 요구되는 가요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경도의 강성을 부여해도 된다. 되꺾임선(L)의 위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15)을 바닥판(12)과 겹치는 상태까지 절첩할(바꿔 말하면, 쓰러뜨려 넣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 벽부(14b)는, 차체(2)로부터 현수된 상태에 있어서, 전방벽(13)과 협동하여 박스(11)의 개구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적어도 그 상부 테두리부에 갖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보강부(14a)는 그 강성 확보를 위해 형성되어 있지만, 제1 벽부(14b)의 내부에 코어재를 설치하고, 그에 의해 제1 벽부(14b)의 전체가 형상 유지에 필요한 강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벽부(14b)의 상부 테두리부에 거듭 보강부(14a)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측벽(14)을 구성하는 시트는, 측벽(14)의 전체에 걸쳐 1매의 가요성 소재로 형성되어도 되고, 2매의 가요성 소재를 되꺾임선(L)에서 접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Since the reinforcement part 14a is interrupted at the position P without extending to the rear wall 15, the side wall 14 has the position P in the middle of the upper edge part and the corner of the rear side of the box 11 (rear). Corresponds to both ends of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arrier 15.], divided into a first wall portion 14b and a second wall portion 14c, with an imaginary fold line L (see FIG. 2)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he 2nd wall part 14c has the flexibility or flexibility which can be folded inside the box 11, and corresponds to the flexible wall part of this invention. However, the rigidity of the hardness may be provided to at leas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wall portion 14c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flexibility required for the second wall portion 14c. As shown in FIG. 4, the position of the bending line L is set so that the rear wall 15 can be folded (in other words, knocked down) to the state which overlaps with the bottom plate 12. As shown in FIG. The 1st wall part 14b has the rigidity of the grade which can maintain the opening shape of the box 11 at least in the upper edge part in cooperation with the front wall 13 in the state suspended from the vehicle body 2. Is enough. Although the reinforcement part 14a is formed in order to ensure the rigidity, the core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1st wall part 14b, and the whole 1st wall part 14b may have the rigidity required for shape maintenance by this. .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reinforcement part 14a repeatedly in the upper edge part of the 1st wall part 14b. The sheet constituting the side wall 14 may be formed of one flexible material over the whole of the side wall 14, or may be formed by joining two flexible materials at a fold line L.

후방벽(15)은, 평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재(15a)를, 수지제 필름 등의 가요성 소재를 이용한 시트(15b)로 덮은 구성을 갖고 있다. 후방벽(15)의 코어재(15a)는, 바닥판(12)의 코어재(12a)와는 별도 부재이다. 시트(15b)는, 바닥판(12)의 시트(12b)와 1매의 가요성 소재로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바닥판(12)의 후방 테두리부와 접합되어도 된다. 후방벽(15)의 시트(15b)는, 그들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에 있어서, 측벽(14)의 후단부와 일체화되어 있다. 후방벽(15)의 시트(15b)는, 측벽(14)의 적어도 제2 벽부(14c)와 1매의 가요성 소재로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측벽(14)과 접합되어도 된다.The rear wall 15 has the structure which covered the core material 15a for maintaining flat form with the sheet 15b which used flexible materials, such as a resin film. The core material 15a of the rear wall 15 is a member separate from the core material 12a of the bottom plate 12. The sheet 15b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eet 12b of the bottom plate 12 and one flexible material, or may be joined to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2. The sheets 15b of the rear wall 15 are integrated with the rear ends of the side walls 14 at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of. The sheet 15b of the rear wall 1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the second wall portion 14c of the side wall 14 and one flexible material, or may be joined to the side wall 14.

이상으로 서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12)의 시트(12b)와 후방벽(15)의 시트(15b)가 모두 가요성 소재로 구성되고, 그들의 코어재(12a, 15a)가 서로 분리되고, 또한, 측벽(14)의 되꺾임선(L)을 경계로 하여 후방측의 영역의 제2 벽부(14c)에는 가요성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화살표 F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15)은 그 하부 테두리부를 꺾은선(15c)으로 하여, 바닥판(12)에 대하여 박스(11)의 내측으로 절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heet 12b of the bottom plate 12 and the sheet 15b of the rear wall 15 are both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ir core materials 12a and 15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flexibility is imparted to the second wall portion 14c in the region on the rear side with the return line L of the sidewall 14 as a boundary. Therefore, as shown by the arrow F in FIG. 2, the rear wall 15 can be folded inside the box 11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12 using the lower edge part as the broken line 15c.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15)은, 바닥판(12)과 겹칠 때까지 박스(11)의 내부에 절첩할 수 있다. 바닥판(12)은, 후방벽(15)과 겹치지 않는 영역(A1)과, 겹치는 영역(A2)으로 구분된다(도 3 참조). 그들 영역(A1, A2)의 사이에서는, 후방벽(15)의 두께에 대응하는 단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바닥판(12)의 상면에는, 차체(2)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벨트(20)가 차체(2)의 좌우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이들 벨트(20)에 대응하여, 후방벽(15)의 외면(도 2의 세운 상태에 있어서의 외면임.)에도 동수의 벨트(21)가 장착되어 있다. 벨트(20)는 바닥측 벨트에 상당하고, 벨트(21)는 후방벽측 벨트에 상당한다. 벨트(21)는, 후방벽(15)이 바닥판(12)과 포개졌을 때에, 바닥판(12)의 벨트(20)와 전후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이어지도록 위치 결정되어 후방벽(15)에 고정되어 있다(도 4 참조). 벨트(20, 21)는 모두 천 등을 소재로 하고,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다. 벨트(20, 21)의 고정 방법에는, 접착, 봉합, 그 밖의 각종 고정 방법이 사용되어도 된다.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rear wall 15 can be folded inside the box 11 until it overlaps with the bottom plate 12. The bottom plate 12 is divided into an area A1 that does not overlap the rear wall 15 and an area A2 that overlaps (see FIG. 3). Between those areas A1 and A2, a ste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15 occurs. Accordingly, a plurality of belts 20 (three in the drawing)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2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2. Corresponding to these belts 20, the same number of belts 21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wall 15 (outer surface in the upright state in Fig. 2). The belt 20 corresponds to the bottom side belt, and the belt 21 corresponds to the rear wall side belt. The belt 21 is positioned so as to exten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belt 20 of the bottom plate 12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rear wall 15 is overlapped with the bottom plate 12 and is fixed to the rear wall 15. (See FIG. 4). The belts 20 and 21 are made of cloth or the like and have a constant thickness. As the fixing method of the belts 20 and 21, adhesion, sealing, and other various fixing methods may be used.

바닥판(12)의 벨트(20)는, 바닥판(12)의 후방벽(15)과 겹치지 않는 영역(A1)에 한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벨트(20)의 전단부(20a)는, 전방벽(13)을 따라 상방으로 되꺾여 전방벽(13)에 고정되어 있다. 각 벨트(20)의 후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되꺾임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그 되꺾임부(20b)는, 후방벽(15)이 쓰러뜨려졌을 때에, 그 후방벽(15)의 상단부와 대략 접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한편, 벨트(21)는, 후방벽(15)의 상단부를 돌아 넣어 그 일부가 후방벽(15)의 내면측에 노출되도록 하여 후방벽(15)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5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후방벽(15)을 바닥판(12)과 포갠 경우, 벨트(21)의 상단부(21a)는 후방벽(15)의 이측에 숨겨지고, 또한, 후방벽(15)과 바닥판(12) 사이의 단차의 일부가 되꺾임부(20b)로 메워진다.The belt 20 of the bottom plate 12 is provided only in an area A1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rear wall 15 of the bottom plate 12. The front end portion 20a of each belt 20 is fixed upward to the front wall 13 by turning upward along the front wall 13. At the rear end of each belt 20, a bending portion 20b is formed downward. The return portion 20b is positioned so as to substantially contac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ar wall 15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On the other hand, the belt 21 is attached to the rear wall 15 by turning the upper end of the rear wall 15 so that a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rear wall 15. Thus, as apparent from FIG. 5, when the rear wall 15 is folded with the bottom plate 12, the upper end portion 21a of the belt 21 is hidden on the back side of the rear wall 15, and further, the rear wall 15. A part of the step between 15 and the bottom plate 12 is filled with the return portion 20b.

이상으로 설명한 베이비 카(1)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15)을 세움으로써, 박스(11)를, 그 바닥판(12)의 주위가 벽(13 내지 15)으로 둘러싸인 상자형 형상으로 하고, 그 박스(11)의 내부에 사용자의 개인 소지품 등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후방벽(15)을 바닥판(12)과 겹칠 때까지 절첩함으로써, 후방벽(15)의 높이를 최대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차체(2)의 후방으로부터 보아, 박스(11)에 비교적 큰 개구부가 발생하고, 그 개구부를 통해, 본래의 상태[즉 후방벽(15)을 세운 상태]에서는 출납이 곤란한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이어도 용이하게 출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쇼핑 센터 등에서 이용되는 수지제의 장 바구니(SB)를 박스(11) 내에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절첩된 후방벽(15)은 실질적으로 바닥판(12)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장 바구니(SB)의 수납에 대하여 방해되는 일은 없다.According to the baby car 1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rear wall 15 is erected so that the box 11 is surrounded by the walls 13 to 15. The user's personal belongings, etc., can be stored in the box shape enclosed by the inside of the box 11 inside. On the other hand, by folding the rear wall 15 until it overlaps with the bottom plate 12, the height of the rear wall 15 can be reduced to the maximum. As a result, a relatively large opening occurs in the box 11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2, and a relatively large volume is difficult to put in and out of the original state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rear wall 15 is erected) through the opening. Even large items can be easily put in and ou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resin long basket SB used in a shopping center etc. in the box 11. As shown in FIG. In that case, the folded rear wall 15 functions substantially as a part of the bottom plate 12 and is not disturbed with respect to the storage of the cabinet basket SB.

벨트(20)의 전단부(20a)가 전방벽(13)을 따라 상방으로 되꺾이고, 후방벽(15)을 쓰러뜨렸을 때의 바닥판(12)과 후방벽(15) 사이의 단차의 일부가 벨트(20)의 되꺾임부(20b)로 메워지고, 또한, 후방벽(15)의 벨트(21)의 상단부(21a)가 후방벽(15)의 하측에 말려들어 숨겨져 있다. 따라서, 장 바구니(SB)를 탑재해도, 벨트(20), 벨트(21)의 단부, 후방벽(15)의 상단부 등의 엣지 부분에 장 바구니(SB)가 걸릴 우려가 없어, 장 바구니(SB)를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다. 특히, 벨트(20)의 되꺾임부(20b)와 벨트(21)의 상단부(21a)가 연속함으로써, 장 바구니(SB)를 벨트(20)를 따라 취출함으로써, 후방벽(15)과 바닥판(12) 사이의 단차에 장 바구니(SB)가 걸릴 우려를 저감하여, 장 바구니(SB)를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벨트(20),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되꺾임부(20b)가 단차 저감 수단으로서 기능한다.The front end portion 20a of the belt 20 is turned upward along the front wall 13, and a part of the step betwee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rear wall 15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is The upper end portion 21a of the belt 21 of the rear wall 15 is rolled up and hidden under the rear wall 15. Therefore, even if the long basket SB is mounted, there is no fear that the long basket SB may be caught at edge portions such as the belt 20, the end of the belt 21,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wall 15, and the long basket SB. ) Can be put in and out smoothly. In particular, the retracted portion 20b of the belt 20 and the upper end portion 21a of the belt 21 are continuous, and the rear basket 15 and the bottom plate are removed by taking out the long basket SB along the belt 20. The possibility of catching the long basket SB at the step between 12 can be reduced, and the long basket SB can be taken out smoothly. Thereby, the belt 20, More specifically, the bending part 20b functions as a step reduction means.

후방벽(15)을 쓰러뜨린 상태에서 벨트(20)의 되꺾임부(20b)와 벨트(21)를 서로 접촉시킴으로써, 그들 사이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경우, 후방벽(15)의 바닥판(12)으로부터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벨트(20, 21)는 후방벽(15)을 바닥판(12)과 겹친 상태에서 구속하는 후방벽 구속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물품을 취출할 때에 그 물품이 후방벽(15)의 상단부에 걸려 부상할 우려를 저감하여,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다. 벨트(20, 21)의 표면의 마찰 계수를 적절하게 높여 둠으로써, 후방벽(15)이 절첩되어 있을 때의 물품의 탈락 방지를 도모할 수도 있다.By bringing the belt 20 into contact with the turning portion 20b of the belt 20 in the state where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frictional resistance can be generated between them. In that case, the injury from the bottom plate 12 of the rear wall 15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belts 20 and 21 function as rear wall restraining means for restraining the rear wall 15 in a state where it overlaps with the bottom plate 12. This reduces the risk of the article being caught in the upper end of the rear wall 15 when the article is taken out, and the article can be taken out smoothly. By appropriately increasing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urfaces of the belts 20 and 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rticle from falling off when the rear wall 15 is folded.

측벽(14)의 되꺾임선(L)의 상단부 위치 P가, 차체(2)의 측방으로부터 보아 후방 다리(4)와 개략 일치하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후방벽(15)을 바닥판(12)측에 쓰러뜨려 넣었을 때에는, 박스(11)의 후방 다리(4)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대략 전체가 박스(11) 내에 후퇴하고, 그에 의해 큰 개구부가 얻어진다. 한편, 후방벽(15)을 세운 상태에서는, 후방 다리(4)보다도 후방에서 박스(11)가 상향으로 충분히 개방되어, 물품의 출납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end position P of the fold line L of the side wall 14 is set to the position which roughly coincides with the rear leg 4 when seen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body 2, the rear wall 15 is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12 When it is knocked down to the side), substantially the whole of the part which protrudes behind the rear leg 4 of the box 11 retreats in the box 11, and a big opening part is obtained by this.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rear wall 15 is erected, the box 11 is sufficiently opened upward from the rear of the rear leg 4, so that the article can be easily taken in and out.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적당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도 7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다른 형태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수납 용기(박스)의 후방벽을 절첩하기 위한 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어느 형태도, 박스의 사시도, 후방벽을 세운 상태의 단면도 및 후방벽을 쓰러뜨린 상태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다.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above, A suitabl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Hereinafter, another form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24. In addition, below,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e structure for folding the rear wall of a storage container (box),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is used for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shown in FIGS. In addition, any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erspective view of the box,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rear wall standing up, and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rear wall knocked down.

도 7 내지 도 9의 박스(11A)에서는, 후방벽(15)에, 그 상단부를 축으로 하여 절곡 가능한 플랩(30)이 추가되어 있다. 플랩(30)은, 후방벽(15)을 세웠을 때에 후방벽(15)의 상단부를 꺾은 자국으로서 외측에 포개져 있다. 후방벽(15)을 바닥판(12) 상에 쓰러뜨릴 때, 도 9에 화살표 R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30)을 바닥판(12) 상에서 펼침으로써, 바닥판(12)의 상면을 후방벽(15)과 플랩(30)으로 대략 전면적으로 덮고, 그에 의해, 후방벽(15)을 쓰러뜨렸을 때의 박스(11A)의 저면을 대략 평탄면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박스(11A)에서는, 플랩(30)이 단차 저감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벨트(20, 21)는 불필요하다. In the box 11A of FIGS. 7-9, the flap 30 which can be bent by the upper end part as an axis is added to the rear wall 15. The flap 30 is superimposed on the outer side as a mark which bent the upper end of the rear wall 15 when the rear wall 15 was erected.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on the bottom plate 12,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2 is reared by unfolding the flap 30 on the bottom plate 12 as shown by arrow R in FIG. 9.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11A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can be formed as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by covering the entire surface with the barrier 15 and the flap 30. In this box 11A, the flap 30 functions as a step reducing means. The belts 20 and 21 described above are unnecessary.

도 10 내지 도 12의 박스(11B)에서는, 후방벽(15)의 내면측의 상단부와, 바닥판(12)에,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소정 조수(도면에서는 2조)의 연결구(31A, 31B)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구(31A, 31B)에는, 예를 들어 면 파스너, 스냅 등의 공지의 연결구를 적당하게 사용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15)을 쓰러뜨렸을 때에 연결구(31A, 31B)를 서로 연결하여 후방벽(15)의 바닥판(12)으로부터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 바구니(SB) 등의 물품을 박스(11B)로부터 취출할 때에, 후방벽(15)의 상단부가 물품과 걸려 부상할 우려를 저감하여,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다. 이 박스(11B)에서는, 연결구(31A, 31B)가 후방벽 구속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박스(11B)에 있어서는, 상술한 벨트(20, 21)가 병용되어도 된다.In the box 11B of FIGS. 10-12, the connector 31A, 31B of predetermined | prescribed tide (two sets in drawing) which connects them to the upper end part of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rear wall 15, and the bottom plate 12 is mutually. Is installed. As the connector 31A, 31B, for example, a known connector such as a cotton fastener or a snap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this aspect, as shown in FIG. 12,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the connector 31A, 31B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jury from the bottom plate 12 of the rear wall 15 can be prevented. . Therefore, when taking out articles, such as the long basket SB, from the box 11B, the possibility that the upper end part of the rear wall 15 may catch with an article can be reduced, and an article can be taken out smoothly. In this box 11B, the connector 31A, 31B functions as a back wall restraining means. In the box 11B, the above-mentioned belts 20 and 21 may be used together.

도 13 내지 도 15의 박스(11C)에서는, 후방벽(15)의 상단부에 두께를 증가시킨 플랜지부(32)가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바닥판(12)에는 플랩(33)이 설치되어 있다. 플랩(33)은, 그 전방 테두리부(33a)를 축으로 하여 절곡 가능한 상태로 바닥판(12)에 고정되어 있다. 이 형태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15)을 쓰러뜨렸을 때, 그 상단부의 플랜지부(32)를 플랩(33)의 하측에 삽입하고, 그에 의해 후방벽(15)의 바닥판(12)으로부터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부(32)가 삽입된 플랩(33)이 그 전방 테두리부(33a)를 향해 하강 구배를 그리도록 기우므로, 후방벽(15)과 바닥판(12) 사이의 불연속인 단차를 해소하여, 장 바구니(SB) 등의 물품의 걸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박스(11C)에서는, 플랩(33)이 단차 저감 수단 및 후방벽 구속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벨트(20, 21)는 불필요하다.In the boxes 11C of FIGS. 13 to 15, flange portions 32 having increased thicknesses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rear wall 15, and correspondingly, flaps 33 are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12. have. The flap 33 is being fixed to the bottom plate 12 in the state which can be bend | folded around the front edge part 33a. 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as shown in FIG. 15, the flange 32 of the upper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flap 33, thereby lowering the bottom of the rear wall 15. Injury from the plate 12 can be prevented. Since the flap 33 into which the flange portion 32 is inserted tilts to draw a downward gradient toward the front edge portion 33a, the discontinuous step between the rear wall 15 and the bottom plate 12 is eliminated, The jam of articles, such as the long basket SB, can be suppressed. In this box 11C, the flap 33 functions as a step reducing means and a rear wall restraining means. The belts 20 and 21 described above are unnecessary.

도 16 내지 도 18의 박스(11D)에서는, 후방벽(15)의 상단부의 적소(도시예에서는 좌우의 단부)에 코드(34)가 고정되어 있다. 그들 코드(34)는, 바닥판(12)에 형성된 통과 구멍(35)을 통과하여 바닥판(12)의 이면측에 둘러쳐지고, 또한 바닥판(12)의 후단부의 결속구(36)를 통과하여 후방벽(15)의 후방으로 인출되어 있다. 결속구(36)로부터 인출된 부분에는, 코드 스토퍼(37)가 장착되어 있다. 이 형태에 따르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벽(15)이 세워진 상태로부터, 코드 스토퍼(37)에 의한 코드(34)의 로크를 해제하여 코드(34)를 화살표 T의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후방벽(15)을 바닥판(12)측에 쓰러뜨려 넣을 수 있다. 그리고 후방벽(15)이 바닥판(12)에 겹친 상태에서 코드 스토퍼(37)로 코드(34)의 느슨함을 저지하면, 코드 스토퍼(37)가 결속구(36)에 맞부딪쳐 후방벽(15)의 부상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도 10 내지 도 12의 박스(11B)와 마찬가지로, 물품을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다. 이 박스(11D)에서는, 코드(34), 결속구(36) 및 코드 스토퍼(37)가 후방벽 구속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박스(11D)에 있어서는, 상술한 벨트(20, 21)가 병용되어도 된다.In the boxes 11D of FIGS. 16 to 18, the cord 34 is fix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left and right ends in the illustrated example) of the rear wall 15. These cords 34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35 formed in the bottom plate 12, are enclosed by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bottom plate 12, and furthermore, the binding holes 36 of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12 are closed. It passes through and is led out to the rear of the rear wall 15. The cord stopper 37 is attached to the part drawn out from the binding hole 36.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lock of the cord 34 by the cord stopper 37 is released and the cord 34 is pulled ou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 from the state in which the rear wall 15 is standing as shown in FIG. The rear wall 15 can be knocked down on the bottom plate 12 side. If the cord stopper 37 stops the looseness of the cord 34 in the state where the rear wall 15 overlaps the bottom plate 12, the cord stopper 37 strikes the binding hole 36 and the rear wall ( 15) Injuries are prevented. Thereby, similarly to the box 11B of FIGS. 10-12, an article can be taken out smoothly. In this box 11D, the cord 34, the binding hole 36, and the cord stopper 37 function as rear wall restraining means. In the box 11D, the belts 20 and 21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combination.

도 19 내지 도 21의 박스(11E)에서는, 바닥판(12)의 대략 전체면을 덮는 밑판(38)이 준비된다. 밑판(38)은, 바닥판(12)과는 별체이고, 바닥판(12)에 대하여 적당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15)이 세워져 있는 경우에는, 바닥판(12) 상에 밑판(38)을 실어 보관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15)이 쓰러뜨려질 때에는, 미리 밑판(38)을 바닥판(12) 상으로부터 제거하고, 후방벽(15)을 쓰러뜨린 후에, 그 위로부터 밑판(38)을 씌운다. 이에 의해, 후방벽(15)을 쓰러뜨렸을 때의 후방벽(15)과 바닥판(12) 사이의 단차를 모두 덮어 숨기고, 또한, 후방벽(15)을 바닥판(12)과 겹치는 상태로 구속하여, 박스(11E)의 저면을 대략 평탄면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장 바구니(SB) 등의 물품의 출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박스(11E)에서는, 밑판(38)이 단차 저감 수단 및 후방벽 구속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벨트(20, 21)는 불필요하다. 이 예에서는, 밑판(38)이 박스(11E)의 저면을 제공하므로, 바닥판(12)은 밑판(38)의 지지 수단으로서 기능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바닥판(12) 상에 적당한 배출 구멍을 형성하여 경량화를 도모하고, 혹은 바닥판(12) 대신에, 예를 들어 뼈대 구조의 바닥 구조를 채용하고, 그 바닥 구조와 밑판(38)으로 저부가 구성되어도 된다.In the boxes 11E of FIGS. 19-21, the base plate 38 which covers the substantially whol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2 is prepared. The bottom plate 38 is separate from the bottom plate 12,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12.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0, when the rear wall 15 is erected, the bottom plate 38 can be stored on the bottom plate 12. As shown in Fig. 21,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the bottom plate 38 is removed from the bottom plate 12 in advance, and after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the bottom plate (from above) is removed. Cover 38). As a result, all the steps between the rear wall 15 and the bottom plate 12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are covered and hidden, and the rear wall 15 is restrained in an overlapping state with the bottom plate 12. Thus, the bottom of the box 11E can be configured as an approximately flat surface. Therefore,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articles such as the long basket SB can be performed smoothly. In this box 11E, the base plate 38 functions as a step reducing means and a rear wall restraining means. The belts 20 and 21 described above are unnecessary. In this example, since the bottom plate 38 provides the bottom face of the box 11E, it is sufficient that the bottom plate 12 functions as a supporting means of the bottom plate 38. Therefore, a suitable discharge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12 to reduce the weight, or instead of the bottom plate 12, for example, a bottom structure having a skeleton structure is adopted, and the bottom structure and the bottom plate 38 are used. The bottom part may be comprised.

도 22 내지 도 24의 박스(11F)에서는, 바닥판(12)에 둥근 막대 형상의 코어재(39)가 배치되고, 그 코어재(39)에 커버(40)가 씌워지고, 그 커버(40)가 바닥판(12)과 접합되어 있다. 코어재(39)는 바닥판(12)의 좌우 방향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코어재(39)의 직경은, 이것을 덮는 커버(40)의 가장 높은 부분이 후방벽(15)을 쓰러뜨렸을 때의 후방벽(15)의 외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코어재(39)의 장착 위치는, 이것을 덮는 커버(40)가 바닥판(12) 상에 쓰러뜨려진 후방벽(15)의 상부 테두리부와 대략 간극 없이 이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박스(11F)에 따르면, 후방벽(15)과 바닥판(12) 사이의 불연속인 단차를 코어재(39) 및 커버(40)에 의해 해소하여, 장 바구니(SB) 등의 물품의 걸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박스(11F)에서는, 코어재(39) 및 커버(40)가 단차 저감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벨트(20, 21)는 불필요하다. 코어재(39)는 단면 반원형이어도 된다. 코어재(39)를 바닥판(12)에 직접 접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커버(40)가 생략되어도 된다. 코어재(39)는, 바닥판(12)의 시트(12b)와 코어재(12a) 사이에 장착되어도 된다.In boxes 11F of FIGS. 22 to 24, a round rod-shaped core material 39 is disposed on the bottom plate 12, the cover 40 is covered by the core material 39, and the cover 40. ) Is joined to the bottom plate 12. The core material 39 extends over approximately the entir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ttom plate 12. The diameter of the core material 39 is set so that the highest part of the cover 40 which covers it may be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wall 15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In additio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core material 39 is set so that the cover 40 which covers this may be continued with the upper edge part of the rear wall 15 felled on the bottom plate 12, without substantially clearance. According to the box 11F, the discontinuous step between the rear wall 15 and the bottom plate 12 is eliminated by the core material 39 and the cover 40 to catch an article such as a long basket SB. Can be suppressed. In this box 11F, the core material 39 and the cover 40 function as step reduction means. The belts 20 and 21 described above are unnecessary. The core material 39 may be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When the core material 39 can be directly bonded to the bottom plate 12, the cover 40 may be omitted. The core material 39 may be attached between the sheet 12b of the bottom plate 12 and the core material 12a.

도 25 내지 도 27의 박스(11G)에서는, 바닥판(12)의 후방벽(15)과 겹치지 않는 영역(A1)의 전체가, 후방벽(15)과 겹치는 영역(A2)보다도 두께가 큰 두께부(41)로서 구성되어 있다. 두께부(41)는, 바닥판(12)의 영역(A2)과 비교하여, 후방벽(15)의 두께와 대략 동등한 정도 돌출되도록 그 두께가 조정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벽(15)을 쓰러뜨렸을 때, 두께부(41)와 후방벽(15)이 대략 평탄하게 이어진다. 따라서, 후방벽(15)과 바닥판(12) 사이의 불연속인 단차를 해소하여, 장 바구니(SB) 등의 물품의 걸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박스(11G)에서는, 두께부(41)가 단차 저감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벨트(20, 21)는 불필요하다. 두께부(41)는, 예를 들어 벨트(20)와 마찬가지로, 바닥판(12)의 좌우 방향(폭 방향)에 관해 일부의 범위로 한정되어 형성되어도 된다.In the box 11G of FIGS. 25-27, the thickness of the whole area | region A1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rear wall 15 of the bottom plate 12 is thicker than the area | region A2 which overlaps with the rear wall 15 It is comprised as the part 41. The thickness is adjusted so that the thickness part 41 may protrude approximate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15 compared with the area A2 of the bottom plate 12. According to this,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as shown in Fig. 27, the thickness portion 41 and the rear wall 15 are substantially flat. Therefore, the discontinuous step between the rear wall 15 and the bottom plate 12 can be eliminated, and the jam of articles, such as the long basket SB, can be suppressed. In this box 11G, the thickness part 41 functions as a step reduction means. The belts 20 and 21 described above are unnecessary. For example, the thickness part 41 may be limited to a partial range with respect to the left-right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2 similarly to the belt 20.

도 28 내지 도 30의 박스(11H)에서는, 후방벽(15)의 상부 테두리부에 슬로프(42)가 설치되어 있다. 슬로프(42)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15)을 쓰러뜨린 상태에서, 후방벽(15)의 상부 테두리를 향해 하강 구배를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코어재(15a)를 그러한 슬로프(542)가 발생하도록 성형하면 된다. 이 예에 따르면, 후방벽(15)을 쓰러뜨렸을 때, 바닥판(12)과 후방벽(15) 사이의 높이가 슬로프(42)에 의해 원활하게 변화되고, 불연속인 단차가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발생해도 근소한 단차가 된다. 따라서, 장 바구니(SB) 등의 물품을 취출할 때의 걸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박스(11H)에서는, 슬로프(42)가 단차 저감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벨트(20, 21)는 불필요하다.In the box 11H of FIGS. 28-30, the slope 42 is provided in the upper edge part of the rear wall 15.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0, the slope 42 is formed so as to draw a downward gradient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rear wall 15 in a state where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For exampl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hape the core material 15a so that such slope 542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According to this example, when the rear wall 15 is knocked down, the height betwee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rear wall 15 is smoothly changed by the slope 42, and a discontinuous step does not occur, or Even if it occurs, there is a slight step. Therefore, the jam at the time of taking out goods, such as the long basket SB, can be suppressed. In this box 11H, the slope 42 functions as a step reduction means. The belts 20 and 21 described above are unnecessary.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박스(11)에서는, 측벽(14)과 후방벽(15)의 시트(15b)를 연속시키고, 측벽(14)의 제2 벽부(14c)를 가요성 벽부로서 구성함으로써, 후방벽(15)을 절첩할 때에 측벽(14)의 제2 벽부(14c)를 되꺾임선(L)을 따라 내측으로 되꺾음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후방벽(15)을 세운 상태에서 후방벽(15)과 측벽(14)이 연속하여 바닥판(12)의 주위를 둘러싸고, 그에 의해, 벽면으로서의 일체성, 연속성이 확보된다. 그러한 측벽(14)의 구조는, 상술한 박스(11A 내지 11H)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의 측벽을 갖는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측벽(14)과 후방벽(15)을 분리 가능하게 하고, 후방벽(15)만을 단독으로 바닥판(12)측으로 되꺾을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후방벽(15)을 세웠을 때에는, 후방벽(15)과 측벽(14)을 면 파스너, 스냅, 그 밖의 연결 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해도 된다.In the box 11 shown in FIGS. 1-6, the side wall 14 and the sheet | seat 15b of the rear wall 15 are continued, and the 2nd wall part 14c of the side wall 14 is comprised as a flexible wall part. As a result, when the rear wall 15 is folded, the second wall portion 14c of the side wall 14 can be turned inward along the fold line L.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rear wall 15 and the side wall 14 are continuously enclosed around the bottom plate 12 in a state where the rear wall 15 is up, thereby ensuring the integrity and continuity as the wall surface. The structure of such side wall 14 is applicable also to boxes 11A-11H mentioned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having the side wall of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side wall 14 and the rear wall 15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only the rear wall 15 may be returned to the bottom plate 12 side alone. In this case, when the rear wall 15 is erected, the rear wall 15 and the side wall 1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surface fasteners, snaps, and other connecting means.

이상의 형태에서는, 후방벽(15)을 그 높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바닥판(12)측으로 절첩 가능하게 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방벽(15)의 상부 테두리부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도중까지의 영역을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후방벽(15)의 높이를, 장 바구니(SB) 등의 목적 물품의 출납에 지장이 없는 높이까지 감소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후방벽(15)의 하부 테두리부로부터 일부의 영역이 선 상태로 잔존하므로, 그 잔존 부분을, 장 바구니(SB) 등의 물품의 후방으로의 빠짐 방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후방벽(15)은 그 상부 테두리부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일부의 영역이 후방벽(15)의 외면측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차체(2)의 좌우 방향(폭 방향)에 관해서도, 박스(11) 내에 출납해야 할 목적 물품의 폭 이상의 범위에서 후방벽(15)을 절첩할 수 있는 한, 반드시 후방벽(15)의 폭 방향 전체를 절첩 가능하게 할 필요는 없다.In the above aspect, although the rear wall 15 was made possible to be folded to the bottom plate 12 side over the whole height direc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aspect. For example, by making the area | region from the upper edge part of the rear wall 15 to the middle along a height direction possible, the height of the rear wall 15 is prevented from putting in and out of object goods, such as a long basket SB. It may be reduced to the height without a tooth. In this case, since a part of area | region remains in a line state from the lower edge part of the rear wall 15, the remainder part can be used as fall prevention to the back of articles, such as the long basket SB. Moreover, the rear wall 15 may be comprised so that a part of area | region may be fold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rear wall 15 along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edge part. Also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 as long as the rear wall 15 can be folded in the range of the width | variety or more of the objective object which should be put in and out in the box 11,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wall 15 must be carried out.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whole foldable.

본 발명은 베이비 카에 한해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차체의 후방측으로부터 손으로 밀 수 있고, 차체의 적재부의 하방에 수납 용기가 배치되는 한에 있어서, 쇼핑 카트, 반송 대차, 그 밖의 적당한 손수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비 카 등의 타입에 관해서도, 여러 가지 타입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의 방향을 전후에서 전환할 수 있는 타입의 베이비 카에도 대응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납 용기는, 저부의 주위가 전방벽, 한 쌍의 측벽 및 후방벽으로 둘러싸이고, 또한 상방을 향해 개방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면 충분하다. 그 상향의 개구부에는, 착탈 가능, 혹은 수납 가능한 덮개재가 또한 장착 가능이어도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baby car, but a shopping cart, a transfer cart, and other suitable carts are provided so long as the user can push it by hand from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storage container is arranged under the loading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pplicable to In addition, the types such as baby cars can also be supported by various types.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respond to the baby car of the type which can switch the direction of a steering wheel back and forth.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fficient that the storage container has a shap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bottom is surrounded by the front wall, the pair of side walls, and the rear wall, and is opened upward. The cover material which can be attached or detached or can be stored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upward opening.

1 : 베이비 카(손수레)
2 : 차체
9 : 시트부(적재부)
11, 11A, 11B, 11C, 11D, 11E, 11F, 11G, 11H : 박스(수납 용기)
12 : 바닥판(저부)
13 : 전방벽
14 : 측벽
14b : 제1 벽부
14c : 제2 벽부(가요성 벽부)
15 : 후방벽
15c : 후방벽의 꺾은선
20 : 바닥판의 벨트(바닥측 벨트, 단차 저감 수단, 후방벽 구속 수단)
20a : 벨트의 전단부
20b : 벨트의 되꺾임부(단차 저감 수단)
21 : 후방벽의 벨트(후방벽측 벨트, 후방벽 구속 수단)
21a : 벨트의 상단부
30 : 플랩(단차 저감 수단)
31A, 31B : 연결구(후방벽 구속 수단)
33 : 플랩(단차 저감 수단, 후방벽 구속 수단)
34 : 코드(후방벽 구속 수단)
36 : 결속구(후방벽 구속 수단)
38 : 코드 스토퍼(후방벽 구속 수단)
38 : 밑판(단차 저감 수단, 후방벽 구속 수단)
39 : 코어재(단차 저감 수단)
40 : 커버(단차 저감 수단)
41 : 두께부(단차 저감 수단)
42 : 슬로프(단차 저감 수단)
A1 : 바닥판의 후방벽과 겹치지 않는 영역
L : 측벽의 되꺾임선
P : 되꺾임선의 상단부 위치
SB : 장 바구니
1: baby car (cart)
2: body
9: sheet part (loading part)
11, 11A, 11B, 11C, 11D, 11E, 11F, 11G, 11H: Box (Storage Container)
12: bottom plate (bottom)
13: front wall
14: sidewall
14b: first wall portion
14c: second wall (flexible wall)
15: rear wall
15c: line of the rear wall
20: bottom plate belt (bottom side belt, step reducing means, rear wall restraining means)
20a: front end of belt
20b: bending portion of the belt (step reduction means)
21: belt of rear wall (rear wall side belt, rear wall restraining means)
21a: upper part of the belt
30: flap (step reduction means)
31A, 31B: connector (rear barrier constraining means)
33: flap (step reduction means, rear wall restraining means)
34 code (rear barrier constraining means)
36: binding port (rear barrier confining means)
38: cord stopper (rear barrier constraining means)
38: base plate (step reduction means, rear wall restraining means)
39 core material (step reduction means)
40: cover (step reduction means)
41 thickness portion (step reduction means)
42 slope (step reduction means)
A1: area that does not overlap the rear wall of the base plate
L: fold line of side wall
P: position of upper part of the line
SB: Jean Basket

Claims (10)

저부의 주위가 전방벽, 한 쌍의 측벽 및 후방벽으로 둘러싸이고, 또한 상방을 향해 개방되는 수납 용기를 차체의 적재부의 하방에 구비한 손수레이며, 상기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상기 후방벽의 높이를 감소시키도록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손수레.It is a trolley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ading part of the vehicle body by the front wall, the pair of side walls, and the rear wall, and having the storage container opened upwar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edge of the rear wall. At least part of the cart is foldable so as to reduce the height of the rear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이 상기 저부와의 경계의 하부 테두리부를 꺾은선으로서 저부와 겹치도록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손수레.The trolle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wall is foldable so that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oundary with the bottom portion overlaps the bottom portion as a broken li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을 상기 저부와 겹칠 때까지 절첩하였을 때에 상기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와 상기 저부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는 단차 저감 수단이 상기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손수레.The step bottom reducing mean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tep reduction means for filling at least a part of the step generated between the upper edge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rear wall when the rear wall is folded until overlapped with the bottom is provided. c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의 상기 후방벽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는 바닥측 벨트가 장착되고, 상기 바닥측 벨트의 후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되꺾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되꺾임부는, 상기 단차 저감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절첩된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와 이어지도록 하여 상기 저부에 고정되어 있는, 손수레.The bottom side belt is attached to the area | region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said rear wall of the said bottom part, The back end part of the said bottom side belt is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said back part is the said step reduction means. A cart, which is secured to the bottom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with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folded rear wall so as to function a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측 벨트의 전단부는 상기 전방벽을 따라 되꺾인 상태로 상기 전방벽에 고정되어 있는, 손수레.The trolley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ottom side belt is fixed to the front wall in a state of being turned along the front wall.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의 외면측에는 후방벽측 벨트가 장착되고, 상기 후방벽측 벨트의 단부는 상기 후방벽의 상부 테두리부를 돌아 넣어 상기 후방벽의 내면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후방벽을 절첩하였을 때에 상기 후방벽측 벨트의 상기 단부가 상기 바닥측 벨트의 상기 되꺾임부에 이어지도록 상기 후방벽측 벨트가 배치되어 있는, 손수레.The rear wall side belt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side of the rear wall, and an end portion of the rear wall side belt extends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rear wall by turning an upper edge of the rear wall. And said rear wall side belt is arranged so that said end of said rear wall side belt is connected to said bending portion of said bottom side belt when said rear wall is folded.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을 상기 저부와 겹칠 때까지 절첩한 상태로 구속하는 후방벽 구속 수단을 구비한, 손수레.The cart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2-5 provided with the rear wall restraining means which restrains the said rear wall in the folded state until it overlaps with the said bottom part.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에는, 상기 후방벽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후방벽의 절첩 시에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에 소정의 되꺾임선을 따라 되꺾이도록 변형 가능한 가요성 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손수레.6. A predetermined fold line is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side walls, which is continuous to the rear wall an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when the rear wall is folded. A trolley with a flexible wall that can be deformed to be turned alo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후방 다리가 설치되고,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후방벽이 상기 후방 다리를 넘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가요성 벽부의 상기 되꺾임선의 상단부 위치가 상기 차체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당해 후방 다리와 개략 일치하는, 손수레.The vehicle body of claim 8, wherein the vehicle body is provided with a rear leg, and the storage container is mounted to the vehicle body such that the rear wall protrudes rearward beyond the rear leg and is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fold line of the flexible wall portion. The cart which corresponds approximately to the said rear leg when the said vehicle body was seen from the sid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수레가 베이비 카이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차체에 장착된 시트부이며,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시트부의 하방으로 현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손수레.The trolle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art is a baby car, the stacking portion is a seat portion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nd the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to be suspended below the seat portion.
KR1020120035946A 2011-04-08 2012-04-06 Cart with container KR2012011514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6292A JP5804754B2 (en) 2011-04-08 2011-04-08 Wheelbarrow with storage container
JPJP-P-2011-086292 2011-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140A true KR20120115140A (en) 2012-10-17

Family

ID=4727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946A KR20120115140A (en) 2011-04-08 2012-04-06 Cart with contain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04754B2 (en)
KR (1) KR20120115140A (en)
CN (1) CN202911768U (en)
HK (1) HK1172781A2 (en)
TW (1) TWI560092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8339A1 (en) * 2019-12-18 2021-06-24 Wonderland Switzerland Ag Stroller with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7791B1 (en) 2015-07-20 2016-12-13 Gen 7, Inc. Detachab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814Y2 (en) * 1989-07-20 1996-08-28 コンビ株式会社 Shopping cart for baby carriage
DE9415275U1 (en) * 1994-09-21 1994-11-17 Graco Childrens Prod Inc Collapsible sports car for children
US6139046A (en) * 1996-10-25 2000-10-31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with improved features
JP2005329844A (en) * 2004-05-20 2005-12-02 Aprica Kassai Inc Article storage basket, and folding stroller having the same
JP5019501B2 (en) * 2006-02-10 2012-09-05 ピジョン株式会社 strol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8339A1 (en) * 2019-12-18 2021-06-24 Wonderland Switzerland Ag Stroller with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US11584422B2 (en) * 2019-12-18 2023-02-21 Wonderland Switzerland Ag Stroller with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911768U (en) 2013-05-01
JP2012218575A (en) 2012-11-12
HK1172781A2 (en) 2013-04-26
TWI560092B (en) 2016-12-01
TW201247460A (en) 2012-12-01
JP5804754B2 (en)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503B2 (en) Product display and carrying bag
CN101298236B (en) Vehicle seat with a storage compartment
US5226576A (en) Vehicle trash container
CA2626937C (en) Securable consumer goods transportation apparatus
US20100101908A1 (en) Traveling bag
JP2018531117A (en) Baggage supplies with external compartments
JP2018531117A6 (en) Baggage supplies with external compartments
JPH07277067A (en) Cargo organizer for cargo compartment at rear of vehicle
KR20120115140A (en) Cart with container
JP5739316B2 (en) Luggage storage
JP5631046B2 (en) Pickup and delivery vehicle
US20130032500A1 (en) Safety cardboard packaging in particular for beverage dispensers
US9663171B2 (en) Article carrier for bicycle
TWI643776B (en) Cart with pet carrier
JP5391180B2 (en) Truck storage structure
JP3682653B2 (en) bag
JP3227469U (en) Cargo fall prevention fence for car seats
JP4345991B1 (en) Wheelchair storage basket
KR102219085B1 (en) shopping cart
KR102415899B1 (en) Load kit for electric golf car
US20160007703A1 (en) Hybrid luggage bag
JP2017114458A (en) Vehicle structure
JP2010137899A (en) Packaging material and packing material
KR100946230B1 (en) Traveling bag
JP6690374B2 (en) Luggage c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49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22

Effective date: 2019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