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851A - 무동력 쟁기 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쟁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851A
KR20120113851A KR1020110031501A KR20110031501A KR20120113851A KR 20120113851 A KR20120113851 A KR 20120113851A KR 1020110031501 A KR1020110031501 A KR 1020110031501A KR 20110031501 A KR20110031501 A KR 20110031501A KR 20120113851 A KR20120113851 A KR 2012011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soil
moisturizing
powered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037B1 (ko
Inventor
신형순
Original Assignee
신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순 filed Critical 신형순
Priority to KR1020110031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03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24Tractor-drawn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4Sha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6Discs; Scrapers for cleaning discs; Sharpening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00Ploughs with rolling non-driven tools, e.g. discs
    • A01B5/04Ploughs with rolling non-driven tools, e.g. discs drawn by 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에 견인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부착되며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종설된 다수의 성에와, 상기 각 성에의 하부에 부착되는 암과, 상기 암의 결합된 쟁기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무동력 쟁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쟁기 어셈블리는, 상기 암의 하부에 결합되는 볕과, 상기 볕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1차로 좁은 범위의 흙을 갈아 골을 형성하고 반전시켜 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반분된 삼각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보습과, 상기 볕의 측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베어링 결합되어 무동력 회전에 의해 2차로 넓은 범위의 흙을 갈아 파쇄와 동시에 반전시켜 경사방향으로 흙을 밀어내는 원판형 쟁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판형 쟁기는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진행함에 따라 흙을 파내고 일방향으로 갈아 엎어 반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동력 쟁기 장치{A PLOW DEVICE OF NON-POWERED }
본 발명은 트랙터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무동력 쟁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습과 무동력 원판형 쟁기를 상호 근접 설치하여 1차로 보습에 의해 골을 형성하여 좁은 범위의 흙을 갈고 반전시키는 작업과 동시에 2차로 원판형 쟁기에 의해 넓은 범위의 흙을 더 깊게 갈고 파쇄하여 반전시키는 작업을 재차 가능케 할 수 있어 작은 동력으로 최대의 흙갈이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무동력 쟁기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농지 개량용 트랙터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트랙터의 후방에 농지를 일구어 토양을 잘게 분해하는 로터리가 있고, 이의 후방에는 로터리에 의해 잘게 분해된 토양을 편편하게 분산시키는 써레판이 있으며, 또한 써레판의 후방에는 써레판에 의해 편편하게 분산된 토양을 파종이 용이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밭고랑 또는 밭이랑을 내는 작업을 수행하는 쟁기가 있다.
여기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쟁기의 형태로는 트랙터의 후방에 다수개의 'V'자형 또는 'ㄷ' 자형의 앵글을 지면과 수직되게 일정간격으로 고정한 형태로 트랙터의 이동함에 따라 'V'자형 또는 'ㄷ'자형 앵글이 지면밑으로 들어가 흙을 끌면서 진행하여 밭이랑 또는 밭고랑을 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진행 저항이 커서 많은 동력이 소비되거나 작업이 상당히 어렵게 되는 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원판형 쟁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경운기 또는 트랙터의 동력으로 회전시키면서 흙을 갈게 되면, 상기한 원판을 회전시키는데 따른 전달 기어, 연결축등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쟁기의 구성이 복잡하게 됨과 아울러 쟁기의 제작비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운기 또는 트랙터에서 동력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쟁기를 끄는 경운기 또는 트랙터의 동력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원판형 쟁기의 외주면에 밋밋하게 형성되어 흙을 갈아 엎는 효율 및 흙을 파쇄하는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원판형 쟁기가 견인되는 위치에 보습이 설치되어 않아 흙을 갈아 엎을 때 부하가 많이 생겨 흙갈이의 깊이를 깊게 할 경우 트랙터의 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경운기 또는 트랙터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습과 무동력 원판형 쟁기를 상호 근접 설치하여 1차로 보습에 의해 골을 형성하여 좁은 범위의 흙을 갈고 반전시키는 작업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2차로 원판형 쟁기에 의해 넓은 범위의 흙을 더 깊게 갈고 파쇄하여 반전시키는 작업을 재차 가능케 할 수 있어 작은 동력으로 최대의 흙갈이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무동력 쟁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원판형의 쟁기가 견인에 의해 회전하게 함으로서 진행저항을 최소로 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동력 쟁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원판형 쟁기에서 미흡한 흙갈이 깊이를 보습에서 상쇄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원판형 쟁기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최소화시켜 작은 동력으로 흙갈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의 무동력 쟁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무동형 쟁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에 견인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저면에 부착되며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종설된 다수의 성에(20,21,22,23,24)와, 상기 각 성에(20,21,22,23,24)의 하부에 부착되는 암(30)과, 상기 암(30)의 결합된 쟁기 어셈블리(40)로 이루어지는 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쟁기 어셈블리(40)는, 상기 암(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볕(41)과, 상기 볕(41)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1차로 좁은 범위의 흙을 갈아 골을 형성하고 반전시켜 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반분된 삼각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보습(42)과, 상기 볕(41)의 측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회전축(43)에 베어링 결합되어 무동력 회전에 의해 2차로 넓은 범위의 흙을 갈아 파쇄와 동시에 반전시켜 경사방향으로 흙을 밀어내는 원판형 쟁기(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판형 쟁기(44)는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431)가 형성되어 진행함에 따라 흙을 파내고 일방향으로 갈아 엎어 반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원판형 쟁기(44)는 중앙이 오목한 형태로 보습(42)과 동일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보습(42)에 의해 반전된 흙을 파쇄하여 연속 처리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기 보습(42)과 갭(G)을 두고 근접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성에는 제 1성에(20) 내지 제 5성에(24)가 5열 설치되고, 상기 각 쟁기 어셈블리(40)는 진행하면서 2개의 이랑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 2성에(21) 및 제 4성에(23)의 우측 전방과, 제 1성에(20) 및 제 3성에(22)의 우측 중단과, 제 3성에(22) 및 제 5성에(24)의 좌측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프레임(10)에는 흙갈이 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다수의 웨이트발란스(1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보습(42)은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면적이 상기 원판형 쟁기의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쟁기 장치에 따르면, 경운기 또는 트랙터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습과 무동력 원판형 쟁기를 상호 근접 설치하여 1차로 보습에 의해 골을 형성하여 좁은 범위의 흙을 갈고 반전시키는 작업과 동시에 2차로 원판형 쟁기에 의해 넓은 범위의 흙을 더 깊게 갈고 파쇄하여 반전시키는 작업을 재차 가능케 할 수 있어 작은 동력으로 최대의 흙갈이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판형의 쟁기가 견인에 의해 회전하게 함으로서 진행저항을 최소로 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판형 쟁기에서 미흡한 흙갈이 깊이를 보습에서 상쇄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원판형 쟁기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최소화시켜 작은 동력으로 흙갈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동력 쟁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쟁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쟁기 어셈블리의 배치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쟁기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동력 쟁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쟁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랙터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보습(42)과 무동력 원판형 쟁기(44)를 상호 근접 설치하여 1차로 보습(42)에 의해 골을 형성하여 좁은 범위의 흙을 갈고 반전시키는 작업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2차로 원판형 쟁기에 의해 넓은 범위의 흙을 더 깊게 갈고 파쇄하여 반전시키는 작업을 재차 가능케 할 수 있어 작은 동력으로 최대의 흙갈이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무동력 쟁기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쟁기 장치(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트랙터에 견인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부착되며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종설된 다수의 성에(20,21,22,23,24)와, 상기 각 성에(20,21,22,23,24)의 하부에 부착되는 암(30)과, 상기 암(30)의 결합된 쟁기 어셈블리(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에는 트랙터와 연결되는 수 있는 연결대(11)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흙갈이 깊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다수의 웨이트발란스(12)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성에(20,21,22,23,24)는 프레임(10)의 하부에 부착되어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종설된 제 1성(20)에 내지 제 5성(24)에가 5열로 배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각 성에(20,21,22,23,24)에는 쟁기 어셈블리(4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통상의 암(30)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쟁기 어셈블리(40)는 좁은 범위의 흙을 갈고 반전시키는 작업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반전된 흙을 파쇄하면서 넓은 범위의 흙을 더 깊게 갈고 반전시키는 작업을 재차 가능케 할 수 있도록 기능 하는 것으로, 보습과, 원판형 쟁기(44)가 상호 근접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쟁기 어셈블리(40)는 상기 암(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볕(41)의 자유단에 보습(42)이 설치되고, 볕(41)의 측면에는 중앙이 오목하고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원판형 쟁기(44)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습(42)은 흙을 갈아 골을 형성하고 반전시켜 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반분된 삼각 형태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원판형 쟁기(44)는 상기 볕(41)의 측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회전축(43)에 베어링 결합되어 상기 보습(42)과 동일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습(42)에 의해 유도되는 흙을 파쇄하는 기능을 한다.(도 2의 (a),(b)에 도시)
또한 상기 원판형 쟁기(44)는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431)가 형성되어 트랙터가 진행함에 따라 흙의 간섭에 의해 회전하여 흙을 더 깊게 갈아 파내고 설치각도에 의해 일방향으로 갈아 엎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보습(42)에 의해 1차로 흙을 갈아 엎고 골을 형성하면 연속적으로 2차로 흙을 넓은 범위에서 더 깊게 갈아 파쇄와 동시에 경사방향으로 흙을 반전시켜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습(42)은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원판형 쟁기(44)의 1/3 이하인 크기로 제작하여 동력 손실을 최소화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보습(42)에 의해 1차로 흙을 갈아 엎어 2차로 흙을 갈아 엎는 원판형 쟁기(44)에 길을 내주게 되어 결과적으로 원판형 쟁기(44)의 부하 역시 최소화하여 작은 동력으로 최대의 흙갈이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 것이다.
이는 상기 원판형 쟁기(44)에서 미흡한 흙갈이 깊이를 보습에서 상쇄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원판형 쟁기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최소화시켜 작은 동력으로 흙갈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쟁기 어셈블리의 배치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쟁기 어셈블리(40)는 진행하면서 5열 배치된 성에(20,21,22,23,24)의 폭만큼 흙갈이를 행할 수 있도록 제 2성(21)에 및 제 4성에(23)의 우측 전방과, 제 1성에(20) 및 제 3성에(22)의 우측 중단과, 제 3성에(22) 및 제 5성에(24)의 좌측 후방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1성에(20)와, 제 2성에(21)와 제 3성에(22)의 구간에서 첫번째 이랑을 형성하고, 제 3성에(22)와 제 4성에(23)와, 제 5성에(24)의 구간에서 두번째 이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성에(20) 및 제 2성에(21) 결합된 쟁기 어셈블리(40)를 통해 갈아 엎은 흙을 우측으로 밀어내면 제 3성에(22) 결합된 쟁기 어셈블리(40)가 최종적으로 흙을 갈아 좌측으로 밀어내면서 제 1성에(20) 및 제 3성에(22) 구간에서 첫번째의 이랑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배치이다.
또한 제 3성에(22)에 및 제 4성에(23) 결합된 쟁기 어셈블리(40)를 통해 갈아 엎은 흙을 우측으로 밀어내면 제 5성에(24) 결합된 쟁기 어셈블리(40)가 최종적으로 흙을 갈아 좌측으로 밀어내면서 제 3성에(22) 및 제 5성에(24) 구간에서 두번째의 이랑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배치이다.
따라서 상기 쟁기 어셈블리(40)의 배치도에 따라 진행하면서 5열 배치된 성에의 폭만큼 흙갈이를 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 프레임 11: 연결대 12: 웨이트발란스
20: 제 1성에 21: 제 2성에 22: 제 3성에
23: 제 4성에 24: 제 5성에
30: 암
40: 쟁기 어셈블리 41: 볕 42: 보습
43: 회전축 44: 원판형 쟁기
431: 톱니
G: 갭
100: 무동력 쟁기 장치

Claims (5)

  1. 트랙터에 견인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저면에 부착되며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종설된 다수의 성에(20,21,22,23,24)와, 상기 각 성에(20,21,22,23,24)의 하부에 부착되는 암(30)과, 상기 암(30)의 결합된 쟁기 어셈블리(40)로 이루어지는 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쟁기 어셈블리(40)는,
    상기 암(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볕(41)과,
    상기 볕(41)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1차로 좁은 범위의 흙을 갈아 골을 형성하고 반전시켜 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반분된 삼각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보습(42)과,
    상기 볕(41)의 측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회전축(43)에 베어링 결합되어 무동력 회전에 의해 2차로 넓은 범위의 흙을 갈아 파쇄와 동시에 반전시켜 경사방향으로 흙을 밀어내는 원판형 쟁기(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판형 쟁기(44)는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431)가 형성되어 진행함에 따라 흙을 파내고 일방향으로 갈아 엎어 반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쟁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쟁기(44)는 중앙이 오목한 형태로 보습(42)과 동일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보습(42)에 의해 반전된 흙을 파쇄하여 연속 처리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기 보습(42)과 갭(G)을 두고 근접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무동력 쟁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에는 제 1성에(20) 내지 제 5성에(24)가 5열 설치되고,
    상기 각 쟁기 어셈블리(40)는 진행하면서 2개의 이랑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 2성에(21) 및 제 4성에(23)의 우측 전방과, 제 1성에(20) 및 제 3성에(22)의 우측 중단과, 제 3성에(22) 및 제 5성에(24)의 좌측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쟁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흙갈이 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다수의 웨이트발란스(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쟁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42)은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면적이 상기 원판형 쟁기의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쟁기 장치.
KR1020110031501A 2011-04-06 2011-04-06 무동력 쟁기 장치 KR10126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501A KR101268037B1 (ko) 2011-04-06 2011-04-06 무동력 쟁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501A KR101268037B1 (ko) 2011-04-06 2011-04-06 무동력 쟁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851A true KR20120113851A (ko) 2012-10-16
KR101268037B1 KR101268037B1 (ko) 2013-05-28

Family

ID=4728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501A KR101268037B1 (ko) 2011-04-06 2011-04-06 무동력 쟁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65Y1 (ko) * 2018-12-28 2019-09-02 신정호 트랙터용 배토 및 두둑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403Y1 (ko) 2002-04-03 2002-10-09 박노식 무동력 회전원판 배토기
KR200329006Y1 (ko) 2003-07-04 2003-10-04 성준태 트랙터용 이랑 쟁기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65Y1 (ko) * 2018-12-28 2019-09-02 신정호 트랙터용 배토 및 두둑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037B1 (ko) 201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9252B2 (en) Plough device comprising two cutting elements
CN202285502U (zh) 一种侧向开沟的旋耕机
KR20200044657A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US3185220A (en) Plow device
KR101268037B1 (ko) 무동력 쟁기 장치
CN206542710U (zh) 带状种床整备装置
US5417238A (en) Tillage implements
CN213245629U (zh) 一种开沟深度调节的耕具组件
KR102185477B1 (ko) 쟁기로터리
KR101556569B1 (ko) 이랑쟁기의 가름흙 분배장치
KR200212505Y1 (ko) 트랙터용 배토기
CN213485551U (zh) 一种土壤耕翻作业用圆盘犁
JP2016013121A (ja) ブレードユニット、および、エアレータを形成するためのその組立体
CN201171266Y (zh) 水旱田两用旋耕机
KR200250363Y1 (ko) 쟁기틀의 경운흙 안내장치
CN106922230A (zh) 带状种床整备装置
KR200454326Y1 (ko) 트랙터용 쟁기틀 보습
CN207410688U (zh) 一种深旋旋耕机
GB2249008A (en) "Tillage discs"
KR200207879Y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AU646102C (en) Tillage implements
KR100199084B1 (ko)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KR200222296Y1 (ko) 배토기의 보습구조
KR200182598Y1 (ko) 쟁기의 보습구조
CN2080742U (zh) 水旱两用浅耕碎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