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693A - 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 Google Patents

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693A
KR20120113693A KR1020120094625A KR20120094625A KR20120113693A KR 20120113693 A KR20120113693 A KR 20120113693A KR 1020120094625 A KR1020120094625 A KR 1020120094625A KR 20120094625 A KR20120094625 A KR 20120094625A KR 20120113693 A KR20120113693 A KR 20120113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wire rope
pipe
large concrete
connec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김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기 filed Critical 김상기
Priority to KR102012009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3693A/en
Publication of KR2012011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6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nection to anchor insert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PURPOSE: A large concrete bloc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lift large concrete blocks again by connecting a connection wire rope because problems like corrosion are not generated at all. CONSTITUTION: A large concrete block(100) comprises a large concrete block body(110) and a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120).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is formed by concrete.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 is formed by a synthetic resin pipe and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hope is embedded on the concrete block body. Both ends of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 are upwardly arranged on the top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 is formed into the shape of an arc downwardly reces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작 방법{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Large concrete block for crane lif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concrete blo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항만 공사, 관로 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형 콘크리트 블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Large concrete blocks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ort construction and pipeline construction.

대형 콘크리트 블록은 통상 콘크리트 구조체를 말하며, 이하에서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하나의 예로써 항만공사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크레인에 의하여 인양되는 모든 콘크리트 구조체를 지칭하는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arge concrete block generally refers to a concrete structure,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aking a large concrete block for port construction as an example of a large concrete block.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ll concrete structures to be lifted by the crane,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은 그 상부에 크레인으로 인양하기 위한 인양고리부재(20)가 마련된다.The large concrete block 10 shown in Figures 1 and 2 is provided with a lifting ring member 20 for lifting with a crane on the top.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은 수직 방향으로 쌓아지기 때문에, 인양고리부재(20)가 상부로 튀어나올 경우 상부에 안치되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과 간섭된다.Since the large concrete block 10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ifting ring member 20 protrudes upward, the large concrete block 10 interferes with the large concrete block placed in the upper portion.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인양고리부재용 홈(11)이 형성되며, 아울러 인양고리부재(20)의 상부는 인양고리부재용 홈(11)의 내부에 위치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lurality of lifting ring member grooves 1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ring member 20 is inside the lifting ring member groove 11. Is located in.

물론 인양고리부재(20)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의 타설전에 미리 거푸집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며, 인양고리부재(20)의 하부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에 고정된다. 또한 통상 인양고리부재(20)의 하부는 콘크리트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Of course, the lifting ring member 20 is located inside the formwork before the large concrete block 10 is placed in advance,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ring member 20 is embedded in the poured concrete is fixed to the large concrete block 10. .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ring member 20 generally has a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o concrete.

한편 도 3은 중공블록 형태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으로서, 그 내부 및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다.
Meanwhile, FIG. 3 is a large concrete block 10 in the form of a hollow block, the inside and the top of which are open.

상기에서 인양고리부재(20)는 철근이나 와이어로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lifting ring member 2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such as rebar or wire rope.

이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Such a large concrete block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인양고리부재는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나, 인양고리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양고리부재는 재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된다.(1) The lifting ring member is used only for the lifting of the concrete block. However, the lifting ring member is discarded without being reused because the lifting ring member is fixed to the concrete block.

특히 해수면 아래에 설치되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인양고리부재는 스테인리스 와이어로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가의 인양고리부재가 폐기된다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arge concrete block installed below the sea level, the lifting ring member has a problem that the expensive lifting ring member is discarded because the stainless steel wire rope is used.

(2) 콘크리트 자체는 부식이 발생하지 않으나, 금속으로 된 인양고리부재는 부식이 발생하며, 인양고리부재에 부식이 발생하면 그 부피가 팽창되며, 그 부피 팽창이 심할 경우 콘크리트 블록 자체를 파괴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해상 공사용으로 해수면 아래에 설치되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더욱 문제가 된다.(2) The concrete itself does not cause corrosion, but the lifting ring member made of metal causes corrosion, and if the lifting ring member is corroded, its volume expands. Can be.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problematic for large concrete blocks installed below sea level for offshore construction.

(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쌓게 되는 구조를 가진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인양고리부재로 인하여 인양고리부재용 홈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며, 이 경우 인양고리부재용 홈을 형성하는 것은 블록 제작을 매우 어렵게 하며, 아울러 공기를 늘리는 요인이 된다.(3)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large concrete block having a structure that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fting ring member grooves should be separately formed due to the lifting ring member, and in this case, forming the grooves for the lifting ring member may be performed. It is very difficult and also increases the air.

(4)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 후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다시 인양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미 인양고리부재가 부식되어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4) If it is necessary to lift the large concrete block again after a long time after passing the large concrete bloc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ting ring member is corroded and cannot lift the large concrete block.

(5) 인양고리부재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에 고정되어 있는 힘이 약할 경우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 도중 인양고리부재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에서 이탈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물론 이 경우 낙하되어 충격을 받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은 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5) If the lifting ring member is weakly fixed to the large concrete block, the lifting ring member is released from the large concrete block during the lifting of the large concrete block, which may cause a safety accident. In this case, of course, the large concrete blocks that were dropped and impacted would be impossible to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형 콘크리트 블록이,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와, 그 중앙부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매립되며 양단이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거에 해결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large concrete block, a large concrete block body made of concrete, and its central portion is embedded in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It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t a time by being made of a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made of a synthetic resin pipe disposed towar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 ; 합성수지관으로서, 중앙부는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되, 양단이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rge concrete block for lifting the crane, a large concrete block body made of concrete; A synthetic resin pipe, the central portion is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toward the top; And a control unit.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중앙부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로 볼록한 호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is arranged to form an arc convex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은 주름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has a corrugated pipe shape.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양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관 마개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In the above, through pipe plug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may be provided.

상기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인양고리를 포함하는 연결 와이어로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는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한 쌍의 인양고리는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으로부터 각각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wire rope including a lifting ring is provided on each end, the connection wire rope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pipe to be freely movable along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pipe. Arranged along, the pair of lifting hooks of the connection wire rope is preferably exposed from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pipe,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대형 콘크리트 블록 제작 방법에 있어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위한 거푸집 내부에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U자 형태로 미리 고정한 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형성하며, 아울러 이에 의하여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중앙부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양단은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arge concrete block, after fixing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made of a synthetic resin pipe in a U-shape inside the formwork for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in advance,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A large concrete block body made of concrete is formed, whereby a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is embedded in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towar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본 발명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를 제작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된 인양고리부재가 불필요하며, 다만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이 필요할 뿐이다. 따라서 인양고리부재로 인한 많은 문제가 일거에 해결된다.(1)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lifting ring member made of metal to manufacture a large concrete block, but only a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made of a synthetic resin pipe. Therefore, many problems due to the lifting member are solved at once.

즉, 인양고리부재의 부식 문제 및 이로 인한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파괴 문제, 인양고리부재를 위한 인양고리용 홈, 인양고리부재의 폐기 문제 등이 일거에 해결된다.That is, the problem of corrosion of the lifting ring member and the resulting destruction of the large concrete block, the lifting ring groove for the lifting ring member, the problem of discarding the lifting ring member is solved in one step.

(2) 본 발명의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은 부식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든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재인양하고자 할 경우 연결 와이어로프를 연결하여 재인양할 수 있다.(2) Since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ause any problems such as corrosion, it can be re-lifted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wire rope at any time when re-lifting a large concrete block.

(3) 종래의 인양고리부재의 경우 대형 콘크리트 블록에 강한 고정력을 발휘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인양고리부재가 종종 대형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이탈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이 아래로 볼록한 호형, 즉 U자 형태를 이루므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상부에 위치한 콘크리트 전체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인양 및 거치 작업 도중에 연결 와이어로프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이탈된다는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3)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lifting ring member, it is difficult to exert a strong fixing force on the large concrete block,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lifting ring member is often separated from the large concrete block. On the contrar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forms a convex downward shape, that is, a U-shape, the entire concrete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stably supports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connecting wire rope is separated from the large concrete block during the lifting and mounting operation.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의 도 4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4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arge concrete block of FIG.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a large concrete block of FIG.
9 and 10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as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ducing the large concrete block of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ortion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similar por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 large concrete block for lifting a crane, which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a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은,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와,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으로 이루어진다.The large concrete block 100 is composed of a large concrete block body 110 made of concrete and a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made of a synthetic resin pip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그 중앙부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내부에 매립되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로 볼록한 호형을 이룬다. 즉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U자 형태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forms an arc having its center portion convex downward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embedded in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110. That is,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is disposed in a U shape.

또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그 양단이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부는 직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중앙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상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are disposed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is shown to be disposed toward the upper portion, but this is just one example, and is disposed obliquely up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110. Could be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합성수지관이므로, 해수 등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부식 등이 발생할 위험이 없다.Since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pipe 120 is a synthetic resin pipe, there is no danger of corrosion even when exposed to sea water for a long time.

한편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주름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관의 하나의 형태로서 전선 배설를 위한 ELP관이 언급될 수도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주름관은 가요성을 가지므로 현장에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설치할 때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아래로 볼록한 호형으로 굽히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Meanwhile,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tube 12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As one type of corrugated pipe, an ELP pipe for wire excretion may be mentioned. This is because the corrugated pipe is generally flexible, and therefore, when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is installed in the field, it is easy to bend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into a convex shape.

아울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이 주름관 형태를 가진다면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와의 긴밀한 결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f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 120 has a corrugated pipe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lose coupling with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110 is possible.

이와 같은 도 4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large concrete block as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의 (a)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거푸집의 형태이다.Figure 6 (a) is the form of the formwork before concrete pouring.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거푸집을 설치하며, 거푸집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세파볼트 및 세파너트 등이 마련된다.Formwork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and the formwork is provided with sepa bolts and separ nuts to withstand the lateral pressure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이와 같은 거푸집 및 세파볼트 등의 배치 및 해체는 일반적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 제작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uch arrangement and dismantling of formwork and sepa bolts can be regarded as the same as the general production of large concrete block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거푸집 내부에 세파볼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고정한다.Fix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using a sepabol, etc. in the formwork.

이때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U자 형태로 고정되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미리 U자 형태로 제작이 완료된 관이거나 혹은 가요성을 가진 직관으로서 현장에서 U자 형태로 성형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is fixed in a U-shape,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is formed in a U-shape in advance in the form of a tube or a flexible tube having a flexible shape in the U-shape in the field It may be.

아울러 연결 와이어 관통관(120)의 양단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연결 와이어 관통관(12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연결 와이어 관통관(120)의 양단을 테이프 등으로 밀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both ends of the connection wire through pipe 120 is open, it is necessary to seal both ends of the connection wire through pipe 120 with a tape or the like so that concrete does not enter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wire through pipe 120 when concrete is poured. desirable.

도 6의 (b)는 콘크리트 타설 후의 거푸집의 형태이다.6B is a form of the formwork after concrete is poured.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이에 의하여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가 완성되며, 아울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중앙부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내부에 매립되며, 아울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부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된다.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110 is completed thereby,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is embedded in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110, and the connecting wire rope pipe Both ends of the clearance 120 is expo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110.

도 6의 (c)는 완성된 형태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단면도이다.Figure 6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of the completed form.

도 6의 (b) 상태에서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 세파볼트 등을 해체하고, 아울러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부를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상면의 높이에 맞추어 절단 제거하면 도 6의 (c) 상태가 된다. 도 6의 (c)에서는 세파볼트 등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구멍 등은 도시되지 않은 것이다.
When the concrete curing is completed in the state of FIG. When the cutting is remov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110), the state of Fig. 6 (c). In Figure 6 (c) is not shown a hole formed due to the Sepha bolt and the like.

도 6에 의하여 제작된 도 4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method for installing a large concrete block as shown in FIG. 4 manufactured by FIG. 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의 (a)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에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의 (b)는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7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is installed in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and FIG. 7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is installed.

본 실시예에서 연결 와이어로프(130)는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제작된 것으로, 그 양단에 인양고리(131)가 각각 마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is manufactured by a wire rope, and the lifting ring 131 is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일단이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관통하여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일단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타단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타단으로부터 노출되어야 한다. 즉 한 쌍의 인양고리(131) 모두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노출되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wire rope 130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ng wire rope 130 is exposed from one end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The other end should be expose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That is, all of the pair of lifting hooks 131 should be exposed from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이때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직경은 작은 것이 유리하며, 인양고리(131)의 직경 내지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굵기는 굵은 것이 유리하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pipe 120 is advantageous, the diameter of the lifting ring 131 to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130 is advantageously thick.

따라서 이러한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인양고리(131)의 직경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직경보다 조금 작도록 한다.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lifting ring 131 of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is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 120.

이와 같은 크기 관계에서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관통하는 것은 용이한 작업이 아니다. In such a size relationship, it is not an easy task for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to penetrate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tube 120.

이를 위하여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일단에 형성된 인양고리(131)에 미리 가는 직경의 예인선(132)를 연결하고, 먼저 예인선(132)을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관통시키도록 한다.To this end, as shown in (a) of FIG. 7, the tow hook 132 having a preliminary diameter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ing 131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wire rope 130, and the first tow wire 13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wire. To pass through the rope through-pipe (120).

이후 예인선(132)을 계속하여 당겨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도 7의 (b) 상태로 되도록 한 후 예인선(132)을 제거한다.Thereafter, the tugboat 132 is continually pulled so that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is in the state of FIG. 7B and then the tugboat 132 is removed.

도 7의 (b) 상태에서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은 인양 및 거치 작업을 시행하기 위한 준비 상태가 된다. In the state of FIG. 7B,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is in a ready state for carrying out a lifting and mounting operation.

도 7의 (c)는 도 7의 (b) 상태의 사시도이다.(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b)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에 2개의 연결 와이어로프(130), 즉 4개의 인양고리(131)가 마련되는 것이다.
As shown in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two connecting wire ropes 130, that is, four lifting rings 131 are provided.

도 8의 (a)는 크레인인 연결 와이어로프(130), 구체적으로는 인양고리(131)를 이용하여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을 인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도 8의 (b)는 크레인이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을 특정 위치에 거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FIG. 8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large concrete block 100 is lifted using a connecting wire rope 130 that is a crane, specifically, a lifting hook 131, and FIG. 8B illustrates a crane. It is a state which mounts this large concrete block 100 to a specific position.

도 8의 (c)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의 거치가 완료된 후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인양고리(131)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그 연결 상태를 해제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이 상태에서 도 8의 (d)와 같이 크레인이 다른 하나의 인양고리(131)를 이용하여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인양하면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8 (c) shows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lifting ring 131 of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is released after the mounting of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is completed, and in this state, FIG. When the crane lifts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using another lifting ring 131 as shown in (d) of FIG. 8,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is separated from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물론 분리된 연결 와이어로프(130)는 다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 및 거치 작업을 위하여 재이용될 수 있다.Of course, the separated connection wire rope 130 may be reused for the lifting and mounting of other large concrete blocks.

도 8의 (c) 및 도 8의 (d)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이 수중에 설치된다는 전제하에 매우 편리하게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대형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즉 도 8의 (c) 및 (d)는 잠수부가 하나의 인양고리에 대해서만 분리 작업을 시행하여도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분리된다는 것을 보여준다.8 (c) and 8 (d) are intended to show that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large concrete block very conveniently, provided that the large concrete block is installed in water. That is, (c) and (d) of FIG. 8 show that the connecting wire rope 130 is separated from the large concrete block even when the diver performs a separation operation only for one lifting ring.

육상에서 진행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 작업이라면 작업자가 단순히 인양고리(131) 두 개 모두를 크레인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어느 한 쪽 방향으로 당기면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If the concrete block installation work is carried out on land, the operator simply disconnects both lifting hooks (131) from the crane and pulls the connecting wire rope 130 in either direction, the connecting wire rope 130 is a large concrete block ( Easily separated from).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로서 중공블록 형태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9 and 10 sh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arge concrete block in the form of a hollow block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a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연결 와이어로프(130)는 양단의 인양고리(131)에서 인장하중이 적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한 방향으로만 인장하중이 적용되는 인양고리부재에 비하여 약 2배의 응력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굵기는 굵어져야 하며, 이에 따라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직경도 확장되어야 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nnecting wire rope 130 is applied to the tensile load in the lifting ring 131 at both ends, it takes about twice as much stress as the lifting ring member to which the tensile load is applied only in one direction as in the prior art. Can be.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has to be thick,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 120 should also be expanded.

이에 대하여 도 11과 같이, 원래 하나의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이 설치될 부위에 두 개의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설치한다면, 하중이 분담되는 결과 종래의 굵기와 동일한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11, if two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pipes 120 are originally installed at the site where the on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pipe 120 is to be installed, the load is shared and the connection wire rope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a conventional thickness It is possible to use 130.

즉 도 11에서는 총 4개의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이는 총 4개의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함.)이 마련됨으로써 일반적인 굵기의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채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직경도 작아질 수 있다.
That is, in FIG. 11, a total of four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s 120 (which means using a total of four connecting wire ropes 130) are provided, so that a connecting wire rope 130 having a general thickness can be adopted.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may also be reduced.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rge concrete block as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을 거치 직전에 장기간 보관하거나 혹은 거치후 장기간이 경과한 경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면 그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할 위험이 있다.If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is stored for a long time just before mounting or if a long time has passed after the mounting, if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hole 120 is open, there is a risk of foreign matter penetrating therein.

만일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내부로 큰 크기의 이물질이 침투한다면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관통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If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penetrates into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tube 120, it becomes difficult to penetrate the connection wire rope 130.

이를 위하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 각각에 관통관 마개(140)를 마련하여, 관통관 마개(140)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면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To this end, a through pipe stopper 140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so that the through pipe stopper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It can be prevented.

아울러 관통관 마개(140)의 하부에는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41)가 형성되며, 관통관 마개(140)의 상면에는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조작부(142)가 형성된다면,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에 대한 밀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으로부터 관통관 마개(140)를 분리해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즉 관통관 마개(140)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볼트와 너트의 관계에 대응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 male screw portion 141 that is screwed to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tube 12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tube stopper 140, and a rotation manipulation unit 142 for rotating opera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tube stopper 140. If formed, not only the sealing of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is possible, but also it is easy to separate the through pipe plug 140 from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That is, the through tube stopper 140 and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correspon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lt and the nut.

도 13은 도 12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arge concrete block of FIG. 12.

도 13의 (a)는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3 (a) shows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거푸집을 설치하며, 거푸집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세파볼트 및 세파너트 등이 마련된다.Formwork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and the formwork is provided with sepa bolts and separ nuts to withstand the lateral pressure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거푸집 내부에 세파볼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고정하며, 아울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에는 관통관 마개(140)가 결합되어 있다.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ormwork using a sepabol bolt, and the through wire stopper 14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20.

아울러 거푸집의 상단에는 관통관 고정대(200)가 마련되며, 관통관 고정대(200)에는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에 나사결합된 관통관 마개(140)가 임시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이 관통관 고정대(200)에 고정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formwork is provided with a through-pipe holder 200, the through-pipe stopper 200 is temporarily fixed to the through-pipe stopper 140 screwed to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pipe 120, as a result of the connection wire The rope through pipe 120 is fixed to the through pipe holder 200.

이와 같이 관통관 고정대(200)를 이용하게 된다면 관통관 마개(140)의 높이를 정교하게 배치하는 것이 쉽게 된다.Thus, if the through-pipe holder 200 is used, it is easy to precisely arrange the height of the through-pipe stopper 140.

이와 같은 상태와 도 6의 (b) 상태를 비교하면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로부터 노출되는 부위가 없으므로, 따라서 도 6의 (b)와 같이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일부를 절단 제거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다.Comparing this state with the state of FIG. 6 (b),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tube 120 has no exposed portion from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110, and thus, the connection wire rope tube as shown in FIG. 6 (b). It is unnecessary to cut off a part of the clearance 120.

도 13의 (b)는 도 13의 (a) 상태에서 콘크리트 양생 이후 거푸집 등이 철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3 (b) shows a form, such as formwork is demolished after the concrete curing in the state of Figure 13 (a).

이 상태에서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이 장기관 보관되어도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할 염려가 없다.
In this state, even if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is stored in the long-term tube there is no fear that foreign matter penetrates inside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pipe 120.

도 13의 (c)는 인양 및 거치를 위하여 관통관 마개(140)를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3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through-pipe plug 140 is separated from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for lifting and mounting.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의 인양 및 거치가 완료된 후 그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을 다시 사용할 필요가 있다면 도 13의 (b)와 같이 관통관 마개(140)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막아두면 된다.
After lifting and mounting of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is completed, if the large concrete block 100 needs to be used again,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through pipe stopper 140 as shown in FIG. You can stop i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but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대형 콘크리트 블록 110 :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
120 :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
130 : 연결 와이어로프 131 : 인양고리
132 : 예인선
140 : 관통관 마개 141 : 수나사부
142 : 회전조작부
100: large concrete block 110: large concrete block body
120: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130: connection wire rope 131: lifting ring
132: tug
140: through-pipe stopper 141: male thread portion
142: rotation control unit

Claims (6)

제1장소에서 제작된 후 상기 제1장소와 다른 장소인 제2장소에 거치되는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 ;
합성수지관으로서, 중앙부는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되, 양단이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In the large concrete block for crane lifting produced in the first place and mounted in the second pla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lace:
Large concrete block bodies made of concrete;
A synthetic resin pipe, the central portion is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toward the top;
Crane lifting large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중앙부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로 볼록한 호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A central concrete block for crane lif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tube is arranged to form a convex down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은 주름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is a large concrete block for crane lif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ugated pip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양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관 마개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A large concrete block for crane lifting, characterized in that each through pipe stopper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인양고리를 포함하는 연결 와이어로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는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한 쌍의 인양고리는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으로부터 각각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wire rope including a lifting ring provided on each end, the connection wire rope is disposed along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pipe to be freely movable along the connection wire rope through pipe, A pair of lifting hook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is a large concrete block for crane lifting,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from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respectively.
제1장소에서 제작된 후 상기 제1장소와 다른 장소인 제2장소에 거치되는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위한 거푸집 내부에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U자 형태로 미리 고정한 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형성하며, 아울러 이에 의하여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중앙부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양단은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제작 방법.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rge concrete block for lifting the crane is manufactured in a first place and mounted in a second pla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lace,
After fixing in advance the U-shaped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made of a synthetic resin pipe in the formwork for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and then cast concrete in the form to form a large concrete block body made of concrete, thereby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is embedded in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concrete block body to manufacture a large concrete block for lifting the crane. Way.
KR1020120094625A 2012-08-29 2012-08-29 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KR201201136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625A KR20120113693A (en) 2012-08-29 2012-08-29 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625A KR20120113693A (en) 2012-08-29 2012-08-29 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901A Division KR101220995B1 (en) 2011-02-23 2011-02-23 Installing method of concrete block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767A Division KR20120119889A (en) 2012-09-19 2012-09-19 Installation method of concrete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693A true KR20120113693A (en) 2012-10-15

Family

ID=4728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625A KR20120113693A (en) 2012-08-29 2012-08-29 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369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43B1 (en) * 2018-08-09 2019-05-15 에스에스이 주식회사 Assembly Block for concrete mattr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43B1 (en) * 2018-08-09 2019-05-15 에스에스이 주식회사 Assembly Block for concrete mattr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995B1 (en) Installing method of concrete block
US9267287B1 (en) Pre-fabricated threaded bar assemblies
JP5536788B2 (en) Lifting device and lifting method for concrete member
JP5584744B2 (en) Lifting device, rebar top edge positioning jig, rebar lifting method, and rebar erection method
KR101215356B1 (en) Device for sling pile
US1903907A (en) Metal pole with reenforcing pipes
CN107762135B (en) Construction method of scaffold wall connecting piece of building outer wall
KR200474975Y1 (en) Mooring bollard apparatus for ship
KR20120113693A (en) 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KR20150116738A (en) A assist device for refloating of concreat structure in the sea
CN204125943U (en) For the end plate of steel strand centrifugal concrete pile
CN202622987U (en) Tensioning tool for simultaneously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prestressed concrete pipe piles
KR20120119889A (en) Installation method of concrete block
CN108797381B (en) Suspender dismantling and replacing method
KR101618797B1 (en) A auxilliary lifting device of marine concrete strucyures and a lifting methode using lifting equipment
JP5087154B2 (en) Construction method and scaffold structure of water structure
CN205638435U (en) Mud liquid level warning automatic control appearance
CN108756012B (en) Tensioning rope connection assembly for connecting concrete wall panel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8018933A (en) Pontoon construction method
JP2014108060A (en) Anchor block
KR101372899B1 (en) Deck plate spacer
KR102014593B1 (en) Recycle round bar moodle ring manufacturing method
KR101411719B1 (en) A assist device for refloating of concreat structure in the sea
CN213805377U (en) Pile head breaking structure of occlusive pile
CN205716027U (en) A kind of buried go out family pipeline anti-sett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