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998A - 전류제한이 없는 유에스비 커넥터가 장착된 컴퓨터 - Google Patents

전류제한이 없는 유에스비 커넥터가 장착된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998A
KR20120112998A KR1020110030647A KR20110030647A KR20120112998A KR 20120112998 A KR20120112998 A KR 20120112998A KR 1020110030647 A KR1020110030647 A KR 1020110030647A KR 20110030647 A KR20110030647 A KR 20110030647A KR 20120112998 A KR20120112998 A KR 20120112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usb connector
power supply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424B1 (ko
Inventor
김철현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브이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엘시스템 filed Critical (주)브이엘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30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42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2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제한이 없는 USB커넥터가 장착된 컴퓨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는, 전원공급부; 제1전원단자, 제1 접지단자 및 제1데이터단자쌍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전원단자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이 전류제한회로를 거쳐 인가되는 USB포트; 외부 기기의 연결을 위해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USB포트의 각 상기 단자에 대응하는 제2전원단자, 제2접지단자 및 제2 데이터단자쌍을 구비하며, 상기 제2데이터단자쌍이 상기 제1데이터단자쌍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USB커넥터; 상기 USB커넥터의 상기 제2전원단자를 상기 전원공급부의 5V 출력단 또는 상기 제1전원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된 전류제한이 없는 DC 5V가 직접 USB커넥터를 통해 출력되므로 USB커넥터의 출력전류를 종래에 비해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배터리를 컴퓨터의 USB커넥터를 통해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외장형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USB커넥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류제한이 없는 유에스비 커넥터가 장착된 컴퓨터{Computer comprising non-limited current USB 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스에 유에스비(Universal Serial Bus, USB) 커넥터가 장착된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USB커넥터의 전원단자(VBUS)의 전류제한을 해소한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자기기에는 휴대폰 등의 다른 전자기기나 주변장치(마우스, 프린터, 키보드, 디스크드라이브 등)와의 데이터통신 및 전원공급을 위하여 USB커넥터가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USB커넥터는 전원단자(VBUS),접지단자(GND) 및 2개의 데이터단자(D+, D-)를 포함하며, 특히 USB호스트의 전원단자(VBUS)에서 출력되는 DC전원은 USB클라이언트의 구동전원이나 충전전원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USB호스트인 데스크톱 컴퓨터를 살펴보면, 도 1의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CPU등이 탑재되는 메인보드(20), AC입력전원을 DC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부(30), 메인보드(20)에 설치된 USB포트(22), 케이스(10)에 설치된 USB커넥터(40), USB커넥터(40)와 메인보드의 USB포트(22)를 연결하는 케이블(50)을 포함한다.
USB포트(22)는 USB커넥터(40)와 마찬가지로 전원단자(VBUS),접지단자(GND) 및 2개의 데이터단자(D+, D-)를 구비하며, 케이블(40)은 USB포트(22)와 USB커넥터(40)의 대응하는 단자들을 서로 연결한다.
전원공급부(30)는 3.3V, 5V, 12V, 5Vsb 등 다양한 레벨의 DC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구비하며, 각 출력단의 출력전류는 통상 수십 암페어(A)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DC 12V는 쿨링팬, 하드디스크드라이브, 그래픽카드 등을 구동하는데 사용되고, DC 5V는 마우스나 키보드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며, DC 3.3V는 메인보드의 각종 IC회로를 구동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5Vsb는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 종료되었을 때 메인보드(20)로 공급되는 전원으로서 통상적으로 출력전류가 0.5 ~ 2.5A 로 제한되어 있다.
메인보드(20)에는 중앙처리장치(CPU) 이외에도 USB표준에 의거하여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IC칩 등이 탑재되며, 특히 USB 1.1 이나 USB 2.0 표준에서는 USB호스트의 출력이 5V, 500mA로 제한되므로 메인보드(20)에는 이를 위한 전류제한회로가 탑재된다.
한편 메인보드(20)의 USB포트(22)에서 출력되는 5V, 500mA의 DC 전원은 USB커넥터(40)의 전원단자(VBUS)를 통해 USB클라이언트로 공급되며, USB클라이언트는 이를 이용하여 장치를 구동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한다. 따라서 USB클라이언트 사용자들은 충전용 어댑터가 없더라도 컴퓨터만 있으면 USB클라이언트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은 충전소비전류가 USB 출력전류에 비해 훨씬 크기 때문에 종래처럼 컴퓨터의 USB커넥터(40)를 통해서는 충전이 불가능하거나 충전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소비전류가 700~1000mA정도이고, 태블릿PC 의 배터리는 2000mA 정도의 충전전류가 필요하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을 USB커넥터(40)에 연결하면 전용어댑터에 비해 수 배의 충전시간이 필요하고, 태블릿 PC를 USB커넥터(40)에 연결하면 충전이 거의 불가능하다.
한편 외장형 하드디스크드라이브는 USB커넥터(40)에 연결하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현재의 USB커넥터(40)에서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초기 스핀업 동작에 필요한 약 700~900mA의 구동전류를 출력하지 못하므로 USB커넥터(40)에 연결하여도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충전하거나 외장형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을 구동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USB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원공급부; 제1전원단자, 제1 접지단자 및 제1데이터단자쌍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전원단자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이 전류제한회로를 거쳐 인가되는 USB포트; 외부 기기의 연결을 위해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USB포트의 각 상기 단자에 대응하는 제2전원단자, 제2접지단자 및 제2 데이터단자쌍을 구비하며, 상기 제2데이터단자쌍이 상기 제1데이터단자쌍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USB커넥터; 상기 USB커넥터의 상기 제2전원단자를 상기 전원공급부의 5V 출력단 또는 상기 제1전원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USB포트의 상기 제1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단자와, 상기 USB커넥터의 상기 제2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와,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 사이의 도전경로를 스위칭하는 신호가 인가되는 제3단자를 구비한 스위칭소자; 일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5V출력단과 상기 USB커넥터의 상기 제2전원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부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칭소자의 상기 제3단자에 연결되는 스위칭신호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는, 애노드가 상기 전원공급부의 5V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는 접지된 제1 LED; 캐소드가 접지된 제2 LED; 상기 USB커넥터의 상기 제2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단자와, 상기 제2 LED의 애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와,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 사이의 도전경로를 스위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제3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3단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5V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된 전류제한이 없는 DC 5V가 직접 USB커넥터를 통해 출력되므로 USB커넥터의 출력전류를 종래에 비해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배터리를 컴퓨터의 USB커넥터를 통해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외장형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USB커넥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컴퓨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LED의 연결회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CPU등이 탑재된 메인보드(20), AC전원을 DC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부(30), 메인보드(20)에 설치된 USB포트(22), 케이스(10)에 장착된 USB커넥터(100), USB커넥터(100)와 USB포트(22)의 대응하는 단자들을 연결하는 케이블(50)을 포함한다.
USB포트(22)와 USB커넥터(100)는 각각 전원단자(VBUS),접지단자(GND) 및 2개의 데이터단자(D+, D-)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를 전원공급부연결선(130)을 통해 전원공급부(30)의 5V출력단에 직접 연결한다. 다만, 컴퓨터의 OS가 종료되거나, 절전모드(구체적으로는 S3, S4, S5 모드)로 전환되면 전원공급부(30)의 5V 출력단의 출력은 중단되므로 이 때에는 종래처럼 USB포트(22)를 통한 전원공급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칭수단(120)을 사용하여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를 전원공급부(30)의 5V출력단 또는 USB포트(22)의 전원단자(VBUS)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하였다. 즉, 스위칭수단(120)을 USB전원라인(52)을 통해 USB포트(22)의 전원단자(VBUS)에 연결하고 전원공급부연결선(130)을 통해 전원공급부(30)의 5V출력단에 연결한 상태에서, 스위칭수단(120)의 후단을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에 연결하였다.
USB커넥터(100)는 주변회로가 탑재된 PCB(110)에 장착되므로 스위칭수단(120)도 PCB(1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케이블(50)의 중간에 스위칭수단(12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USB포트(22)의 전원단자(VBUS)에서 출력되는 DC 5V 전원을 'USB 5V' 라 하고, 전원공급부(30)의 5V출력단에서 출력되는 DC 5V 전원을 'PSU 5V'라 칭하기로 한다.
스위칭수단(120)은 도 3의 회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소자(Q1)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칭소자(Q1)의 제1단자는 USB전원라인(52)에 연결하고, 제2단자는 VBUS연결선(112)을 통해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에 연결하고, 제3단자는 스위칭신호선(116)에 연결한다.
스위칭신호선(116)은 VBUS연결선(112)의 분기점(P1)과 전원공급부연결선(130)을 연결하는 PSU연결선(114)에서 분기된다. PSU연결선(114)에서 스위칭신호선(116)이 분기되는 분기점(P2)의 후단에는 다이오드(D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VBUS연결선(112)에는 노이즈제거 등을 위하여 여러 유형의 커패시터(C1, C2)가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채널증가형 MOSFET을 스위칭소자(Q1)로 사용하였으며, MOSFET의 소스(source) 단자에 USB전원라인(52)을 연결하고, 드레인(drain) 단자에 VBUS연결선(112)을 연결하였으며, 게이트(gate) 단자에 스위칭신호선(116)을 연결하였다.
따라서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PSU 5V' 가 전원공급부연결선(130), PSU연결선(114), VBUS연결선(112)을 거쳐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로 공급된다. 이때 PSU 5V 는 스위칭신호선(116)을 통해서 스위칭소자(Q1)의 게이트단자에도 입력되므로 p채널증가형 MOSFET 인 스위칭소자(Q1)는 차단상태가 되어 USB 5V의 공급이 차단된다. PSU 5V 는 통상 수십 암페어에 달하므로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의 출력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충전전원이나 외장형 하드디스크의 구동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만일 이 상태에서 컴퓨터의 OS가 종료되거나 절전모드로 전환되어 전원공급부(30)에서 PSU 5V의 출력이 중단되면, 스위칭소자(Q1)가 도통되므로 USB포트(22)에서 출력되는 USB 5V가 VBUS연결선(112)을 거쳐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로 공급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30)가 PSU 5V를 출력하는 상태이면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에서 수십 암페어의 PSU 5V가 출력되며, 전원공급부(30)에서 PSU 5V의 출력이 중단되면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는 종래와 같은 500mA의 USB 5V를 출력한다.
한편 전원공급부(30)에서 출력되는 PSU 5V는 전류제한이 없으므로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적절히 제한해 줄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원공급부연결선(130), PSU연결선(114), VBUS연결선(112) 중 적당한 위치에 전류제한회로를 설치하면 된다.
또한 사용자로서는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의 출력이 USB 5V인지 PSU 5V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용 LED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LED(121)의 캐소드와 제2 LED(122)의 캐소드를 공통접지한 상태에서 제1 LED(121)의 애노드를 전원공급부연결선(130)에 연결한다. 또한 제2 LED(122)의 애노드를 스위칭소자(Q2)의 제1 단자에 연결하고, 스위칭소자(Q2)의 제2단자를 VBUS연결선(112)에 연결하고, 제3단자를 전원공급부연결선(130)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칭소자(Q2)에 pnp 형 바이폴라트랜지스터를 사용하였으며, 컬렉터(collector)를 제2 LED(122)의 애노드에 연결하고 에미터(emitter)를 VBUS연결선(112)에 연결하고, 베이스(base)를 전원공급부연결선(130)에 연결하였다.
따라서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로 PSU 5V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제1 LED(121)는 발광하지만, pnp형의 바이폴라트랜지스터(Q2)는 차단상태이므로 제2 LED(122)는 발광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USB커넥터(100)의 전원단자(VBUS)로 USB 5V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pnp형의 바이폴라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어 제2 LED(122)는 발광하지만 제1 LED(121)는 PSU 5V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발광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스위칭소자(Q1)에 p채널증가형 MOSFET를 사용하고, 스위칭소자(Q2)에 pnp형 바이폴라트랜지스터를 사용하였으나, 스위칭소자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스위칭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소자뿐만 아니라 자기력에 의해 도전경로를 개폐하는 릴레이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스위칭소자 및 주변회로를 USB커넥터(100)가 장착되는 PCB(110)에 설치하였으나, 그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메인보드(20)상에 또는 케이블(10)의 중간에 스위칭소자와 주변회로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스크톱 컴퓨터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노트북컴퓨터, 산업용 컴퓨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 컴퓨터 20: 메인보드
22: USB포트 30: 전원공급부
50: 케이블 52: USB전원라인
100: USB커넥터 110: PCB
112: VBUS연결선 114: PSU연결선
116: 스위칭신호선 120: 스위칭수단
121: 제1 LED 122: 제2 LED
130: 전원공급부연결선

Claims (4)

  1. 전원공급부;
    제1전원단자, 제1 접지단자 및 제1 데이터단자쌍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전원단자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이 전류제한회로를 거쳐 인가되는 USB포트;
    외부 기기의 연결을 위해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USB포트의 각 상기 단자에 대응하는 제2전원단자, 제2접지단자 및 제2 데이터단자쌍을 구비하며, 상기 제2데이터단자쌍이 상기 제1 데이터단자쌍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USB커넥터;
    상기 USB커넥터의 상기 제2전원단자를 상기 전원공급부의 5V 출력단 또는 상기 제1전원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수단;
    을 포함하는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USB포트의 상기 제1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단자와, 상기 USB커넥터의 상기 제2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와,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 사이의 도전경로를 스위칭하는 신호가 인가되는 제3단자를 구비한 스위칭소자;
    일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5V출력단과 상기 USB커넥터의 상기 제2전원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부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칭소자의 상기 제3단자에 연결되는 스위칭신호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USB커넥터가 장착된 PCB기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4. 제1항에 있어서,
    애노드가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5V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는 접지된 제1 LED;
    캐소드가 접지된 제2 LED;
    상기 USB커넥터의 상기 제2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단자와, 상기 제2 LED의 애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와,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 사이의 도전경로를 스위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제3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3단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5V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소자;
    를 포함하는 컴퓨터
KR1020110030647A 2011-04-04 2011-04-04 전류제한이 없는 유에스비 커넥터가 장착된 컴퓨터 KR10123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647A KR101237424B1 (ko) 2011-04-04 2011-04-04 전류제한이 없는 유에스비 커넥터가 장착된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647A KR101237424B1 (ko) 2011-04-04 2011-04-04 전류제한이 없는 유에스비 커넥터가 장착된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998A true KR20120112998A (ko) 2012-10-12
KR101237424B1 KR101237424B1 (ko) 2013-02-26

Family

ID=4728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647A KR101237424B1 (ko) 2011-04-04 2011-04-04 전류제한이 없는 유에스비 커넥터가 장착된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4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8105A1 (en) * 2013-09-27 2015-04-0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change current limit
US9361200B2 (en) 2013-06-27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USB termin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based on current of USB devices connected to USB terminals
US10317922B2 (en) 2015-09-02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management circuit configured to manage power transfer with limiting current intensity, and storage device and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76B1 (ko) * 2003-06-03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Usb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디지털 카메라
KR100534110B1 (ko) * 2003-07-03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Usb전원공급장치
KR101028245B1 (ko) * 2003-12-05 2011-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72526B1 (ko) * 2008-06-20 2010-07-28 주식회사 씨모텍 Usb 장치를 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1200B2 (en) 2013-06-27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USB termin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based on current of USB devices connected to USB terminals
WO2015048105A1 (en) * 2013-09-27 2015-04-0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change current limit
US10317922B2 (en) 2015-09-02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management circuit configured to manage power transfer with limiting current intensity, and storage device and communication cab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424B1 (ko)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2801B2 (en) System for detecting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method thereof
TWI494863B (zh) 雙介面讀卡機模塊
CN105917288B (zh) 电力状态控制信号
US9235248B2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circuit
CN102147652A (zh) 关机节能系统及关机节能方法
US7634674B2 (en) Power regulator circuit of a motherboard
US999172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harging voltage regulation circuit
US7493507B2 (en) System for protecting a motherboard while a component is not connected properly to its power source
KR101237424B1 (ko) 전류제한이 없는 유에스비 커넥터가 장착된 컴퓨터
US9489025B2 (en) I/O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9087548B2 (en) Control circuit for hard disk drive
US9952640B2 (en) Power control system
US9122469B2 (en) Expansion card and motherboard for supporting the expansion card
JP6230425B2 (ja) バッテリ及び電源供給装置並びに電子装置
TW201305802A (zh) 連接模組用於耦接主端裝置之輸出端至外接式儲存裝置及其耦接方法
US20080301481A1 (en) Power control system for car computer
KR101529640B1 (ko) 절전형 usb 포트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US8253602B2 (en) Keyboard with circuit for clearing CMOS data
TWI444817B (zh) 計算機裝置
US20130021161A1 (en) Indication circuit for indicating running status of electronic devices
US20140160678A1 (en) Fan driv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325052B2 (en) Over-current protection apparatus
US20070153440A1 (en) Circuit for protecting motherboard
KR20120086971A (ko)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
US20100293394A1 (en) Motherboard and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