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262A - 광합성 학습 교구 - Google Patents

광합성 학습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262A
KR20120110262A KR1020110028009A KR20110028009A KR20120110262A KR 20120110262 A KR20120110262 A KR 20120110262A KR 1020110028009 A KR1020110028009 A KR 1020110028009A KR 20110028009 A KR20110028009 A KR 20110028009A KR 20120110262 A KR20120110262 A KR 20120110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photosynthesis
oxygen
carbon dioxide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466B1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46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3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botan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92Nutr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otan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학년의 학습자가 식물의 광합성을 쉽게 이해하도록 학습할 수 있는 광합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면부에 수분이 이동하는 수분경로와 포도당이 이동하는 포도당경로를 표시하고, 저면에는 받침대의 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 줄기부 일측에 나뭇잎을 형상화한 나뭇잎부를 구성한 식물모형을 구성하고, 상기 식물모형이 자립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상면에 수직으로 구성한 받침대를 구성하며, 광합성에 필요한 태양을 형상화한 태양모형을 구성하고, 식물이 흡수하는 수분을 형상화한 수분칩을 구성하며, 광합성에 따라 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를 형상화한 이산화탄소칩을 구성하고,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산소를 형상화한 산소칩을 구성하며,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포도당을 형상화한 포도당칩을 구성하고, 덮개를 구비한 케이스본체에 다수개의 이산화탄소칩을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이산화탄소박스를 구성하며, 덮개를 구비한 케이스본체에 다수개의 산소칩을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산소박스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때 상기 식물모형의 나뭇잎부에는 정면이 개방된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것과,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이산화탄소칩, 산소칩, 수분칩, 포도당칩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다수개의 칩수용홈을 형성하며, 상기 나뭇잎부의 수용공간 정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2등분으로 나누어 구성하되, 일측단부에 구성된 회전축을 상기 수용공간 정면에 결합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회동덮개와, 상기 수용공간 외주면에 소정 갯수의 자성체를 매립하고, 매립된 자성체와 반대되는 극성의 자성체를 체결수단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탈부착하는 탈착덮개로 구성하여, 식물이 태양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는 과정을 줄기부와 나뭇잎부를 형상화한 식물모형에 이산화탄소칩, 산소칩, 수분칩, 포도당칩을 선택적으로 교환 및 수용하는 것을 블록놀이를 하듯 학습을 진행하여, 식물의 광합성에 따른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및 포도당 생성, 수분이 식물에 주는 영향 들을 입체적으로 표현해 저학년의 학습도 알기 쉬게 학습하도록 하는 광합성 학습 교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합성 학습 교구{Photosynthesis studying teaching tools}
본 발명은 저학년의 학습자가 식물의 광합성을 쉽게 이해하도록 학습할 수 있는 광합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면부에 수분이 이동하는 수분경로와 포도당이 이동하는 포도당경로를 표시하고, 저면에는 받침대의 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 줄기부 일측에 나뭇잎을 형상화한 나뭇잎부를 구성한 식물모형을 구성하고, 상기 식물모형이 자립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상면에 수직으로 구성한 받침대를 구성하며, 광합성에 필요한 태양을 형상화한 태양모형을 구성하고, 식물이 흡수하는 수분을 형상화한 수분칩을 구성하며, 광합성에 따라 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를 형상화한 이산화탄소칩을 구성하고,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산소를 형상화한 산소칩을 구성하며,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포도당을 형상화한 포도당칩을 구성하고, 덮개를 구비한 케이스본체에 다수개의 이산화탄소칩을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이산화탄소박스를 구성하며, 덮개를 구비한 케이스본체에 다수개의 산소칩을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산소박스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때 상기 식물모형의 나뭇잎부에는 정면이 개방된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것과,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이산화탄소칩, 산소칩, 수분칩, 포도당칩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다수개의 칩수용홈을 형성하며, 상기 나뭇잎부의 수용공간 정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2등분으로 나누어 구성하되, 일측단부에 구성된 회전축을 상기 수용공간 정면에 결합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회동덮개와, 상기 수용공간 외주면에 소정 갯수의 자성체를 매립하고, 매립된 자성체와 반대되는 극성의 자성체를 체결수단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탈부착하는 탈착덮개로 구성한 광합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합성은 녹색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부터 유기물(포도당)을 합성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일어난다.
광합성은 주로 녹색식물의 세포 속에 들어 있는 엽록체에서 일어나며,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포도당과 같은 유기물을 합성하면서 산소를 방출시킨다.
에너지 면에서 볼 때 광합성은 태양 에너지를 유기물인 화학 에너지로 바꾸어서 저장하는 작용이다.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식물은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나뭇잎의 기공을 통해 들어온 이산화탄소와 뿌리에서 올라온 물로 산소와 포도당을 만든다.
광합성에 의해 생성된 산소는 나뭇잎의 기공을 통해 다시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포도당은 녹말로 변환되어 식물의 체내 또는 뿌리로 저장을 한다.
이것을 식물의 광합성이라고 하며 빛에너지(태양)를 화학적 에너지(녹말)로 변화시켜 저장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광합성에 필요한 환경 요인은 빛, 이산화탄소, 온도이고, 빛의 세기가 셀수록, 이산화탄소가 많을수록, 온도가 적당할 때 잘 일어난다.
이러한 식물의 광합성에 따른 학습은 종래에는 애니메이션과 같은 그림을 통해 이론적 학습이 이루어져 저학년의 어린이들은 이를 이해하기 매우 어려워, 저학년의 어린이들의 광합성학습에 대한 이해를 도울 입체적인 학습 교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학년의 학습자가 식물의 광합성을 쉽게 이해하도록 학습할 수 있는 교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식물이 태양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는 과정을 줄기부와 나뭇잎부를 형상화한 식물모형에 이산화탄소칩, 산소칩, 수분칩, 포도당칩을 선택적으로 교환 및 수용하는 것을 블록놀이를 하듯 학습을 진행하여, 식물의 광합성에 따른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및 포도당 생성, 수분이 식물에 주는 영향 들을 입체적으로 표현해 저학년의 학습도 알기 쉬게 학습하도록 하는 광합성 학습 교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면부에 수분이 이동하는 수분경로와 포도당이 이동하는 포도당경로를 표시하고, 저면에는 받침대의 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 줄기부 일측에 나뭇잎을 형상화한 나뭇잎부를 구성한 식물모형을 구성하고, 상기 식물모형이 자립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상면에 수직으로 구성한 받침대를 구성하며, 광합성에 필요한 태양을 형상화한 태양모형을 구성하고, 식물이 흡수하는 수분을 형상화한 수분칩을 구성하며, 광합성에 따라 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를 형상화한 이산화탄소칩을 구성하고,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산소를 형상화한 산소칩을 구성하며,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포도당을 형상화한 포도당칩을 구성하고, 덮개를 구비한 케이스본체에 다수개의 이산화탄소칩을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이산화탄소박스를 구성하며, 덮개를 구비한 케이스본체에 다수개의 산소칩을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산소박스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식물모형의 나뭇잎부에는 정면이 개방된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것과,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이산화탄소칩, 산소칩, 수분칩, 포도당칩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다수개의 칩수용홈을 형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나뭇잎부의 수용공간 정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2등분으로 나누어 구성하되, 일측단부에 구성된 회전축을 상기 수용공간 정면에 결합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회동덮개와, 상기 수용공간 외주면에 소정 갯수의 자성체를 매립하고, 매립된 자성체와 반대되는 극성의 자성체를 체결수단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탈부착하는 탈착덮개로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합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으로, 식물이 태양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는 과정을 줄기부와 나뭇잎부를 형상화한 식물모형에 이산화탄소칩, 산소칩, 수분칩, 포도당칩을 선택적으로 교환 및 수용하는 것을 블록놀이를 하듯 학습을 진행하여, 식물의 광합성에 따른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및 포도당 생성, 수분이 식물에 주는 영향 들을 입체적으로 표현해 저학년의 학습도 알기 쉬게 학습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신규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 광합성 학습 교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수분칩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산소칩과 포도당칩을 준비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광합성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합성 학습 교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정면부에 수분이 이동하는 수분경로(112)와 포도당이 이동하는 포도당경로(113)를 표시하고, 저면에는 받침대(200)의 지지대(210)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 줄기부(110)를 구성하고, 상기 줄기부(110)의 일측에는 나뭇잎을 형상화한 나뭇잎부(120)를 구성한 식물모형(100)과;
상기 식물모형(100)이 자립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210)를 상면에 수직으로 구성한 받침대(200)와;
광합성에 필요한 태양을 형상화한 태양모형(300)과;
식물이 흡수하는 수분을 형상화한 수분칩(400)과;
광합성에 따라 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를 형상화한 이산화탄소칩(500)과;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산소를 형상화한 산소칩(600)과;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포도당을 형상화한 포도당칩(700)과;
덮개(820)를 구비한 케이스본체(810)에 다수개의 이산화탄소칩(500)을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이산화탄소박스(800)와;
덮개(920)를 구비한 케이스본체(910)에 다수개의 산소칩(600)을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산소박스(9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식물모형(100)의 나뭇잎부(120)에는 정면이 개방된 소정의 수용공간(121)을 형성한 것과;
상기 수용공간(121)에는 상기 이산화탄소칩(500), 산소칩(600), 수분칩(400), 포도당칩(700)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다수개의 칩수용홈(122)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나뭇잎부(120)의 수용공간(121) 정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2등분으로 나누어 구성하되,
일측단부에 구성된 회전축(131)을 상기 수용공간(121) 정면에 결합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131)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공간(121)을 개폐하는 회동덮개(130)와,
상기 수용공간(121) 외주면에 소정 갯수의 자성체(141)를 매립하고, 매립된 자성체(141)와 반대되는 극성의 자성체(141)를 체결수단으로 상기 수용공간(121)을 개폐하도록 탈부착하는 탈착덮개(140);로 구성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식물의 광합성 과정을 학습하기 위한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합성을 실시하는 식물을 형상화한 식물모형(100)과, 광합성에 필요한 태양을 형상화한 태양모형(300)과, 식물이 흡수하는 수분을 형상화한 수분칩(400)과, 광합성에 따라 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를 형상화한 이산화탄소칩(500)과,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산소를 형상화한 산소칩(600)과,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포도당을 형상화한 포도당칩(700)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이산화탄소칩(500)에는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요인의 삽화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식물모형(100)은 정면부에 수분이 이동하는 수분경로(112)와 포도당이 이동하는 포도당경로(113)를 표시하고, 저면에는 받침대(200)의 지지대(210)가 삽입되는 삽입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줄기부(110)를 구성하고, 상기 줄기부(110)의 일측에는 나뭇잎을 형상화한 나뭇잎부(120)로 구성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분경로(112)에는 자성체(도시하지 않음)를 매입하여, 학습이 이루어질 시 상기 수분칩(400)의 저면에 자성체 또는 자성체과 반응하는 금속판을 구비하도록 해 수분경로(112)에 수분칩(400)을 탈부착하도록 하여, 수분이 식물에서 이동하는 것을 구현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모형(100)의 나뭇잎부(120)에는 정면이 개방된 소정의 수용공간(121)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121)에는 상기 이산화탄소칩(500), 산소칩(600), 수분칩(400), 포도당칩(700)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다수개의 칩수용홈(122)을 형성한다.
상기의 칩수용홈(122)을 상기 이산화탄소칩(500), 산소칩(600), 수분칩(400), 포도당칩(700)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해 식물의 나뭇잎에서 광합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이산화탄소, 수분 흡수와 산소의 배출, 포도당의 생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뭇잎부(120)의 수용공간(121) 정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2등분으로 나누어 회동덮개(130)와 탈착덮개(140)로 구성하는데, 상기 회동덮개(130)는 일측단부에 구성된 회전축(131)을 상기 수용공간(121) 정면에 결합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131)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공간(121)을 개폐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탈착덮개(140)는 상기 수용공간(121) 외주면에 소정 갯수의 자성체(141)를 매립하고, 매립된 자성체(141)와 반대되는 극성의 자성체(141)를 체결수단으로 상기 수용공간(121)을 개폐하도록 탈부착하도록 한다.
상기 식물모형(100)을 자립하도록 받침대(200)를 구성하는데, 상기 받침대(200)의 상면에는 지지대(210)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210)가 상기 식물모형(100)의 줄기부(110) 저면에 형성된 삽입공(111)에 삽입되어 상기 식물모형(100)이 받침대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자립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칩(500)와 산소칩(600)을 별도로 수납하도록 다수개의 이산화탄소칩(500)을 수납하는 이산화탄소박스(800)와, 다수개의 산소칩(600)을 수납하는 산소박스(900)를 구성하는데, 상기 이산화탄소박스(800)와 산소박스(900)는 덮개(820,820)를 구비한 케이스본체(810,910)로 각각 별도로 구성하되, 다수개의 이산화탄소칩(500)과 산소칩(600)을 각각 수납하는 수납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육자는 학습에 앞서 식물모형(100)을 광합성 학습을 위해 설치(셋팅)하게 되는데, 상기 식물모형(100)을 학습자의 눈에 잘 보이도록 세우기(자립) 위해 받침대(200)를 테이블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대(200)의 상면에 구성된 지지대(210)에 상기 식물모형(100)의 줄기부(110) 저면에 형성된 삽입공(도시하지 않음)과 결합시켜 식물모형(100)을 자립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세워진 식물모형(100)의 나뭇잎부(120)에는 산소칩(600)을 먼저 채워 넣는데, 상기 나뭇잎부(120)의 덮개 중 회동덮개(130)를 회전축(131)을 축으로 회동시켜, 산소칩(600)을 채울 다수개의 칩수용홈(122)을 형성한 수용공간(121)을 개방한 후 산소박스(900)의 덮개(920)를 케이스본체(910)에서 분리하여 개방하고, 내부에 수용된 산소칩(600)을 상기 수용공간(121)에 형성된 칩수용홈(122)에 삽입하여 채운다.
이때 포도당칩(700)도 지정된 칩수용홈(122)에 삽입하여 채운다.
상기의 과정을 마치면 다시 회동덮개(130)를 다시 회전축(131)을 축으로 회동시켜 나뭇잎부(120)의 수용공간(121)을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칩(400)을 줄기부(110)의 수분경로(112)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도록 다수개의 수분칩(400)을 수분경로(112)에 부착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과정을 마치면 학습을 실시하는데, 먼저 식물의 광합성에 대한 간략한 이론학습이 선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녹색식물은 뿌리를 통해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고, 태양빛을 받으면 나뭇잎으로 광합성을 하게 되는데,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나뭇잎의 기공을 통해 흡수하면 산소로 교환하여 다시 대기중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포도당을 생성해 뿌리 도는 줄기에 저장하는 것을 미리 이론 학습을 통해 주지시킨다.
학습을 이행하기 위해 교육자는 태양을 형상화한 태양모형(300)을 치켜들어 학습자들에게 일조 시간대임을 주지시킨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모형(100)의 나뭇잎부(120)의 덮개 중 탈착덮개(140)를 상기 나뭇잎부(120)에서 분리한다.
이때 상기 탈착덮개(140)는 체결수단으로 자성체(141)를 이용하기에 상기 탈착덮개(140)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다수개의 칩수용홈(122)을 형성한 수용공간(121)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21)의 칩수용홈(122)에 다수개의 수분칩(400)을 삽입함과 동시에 이산화탄소박스(800)의 케이스본체(810)에서 덮개(820)를 개방해 미리 준비한 다수개의 이산화탄소칩(500)도 칩수용홈(122)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탈착덮개(140)으로 다시 수용공간(121)을 폐쇄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상기 나뭇잎부(120)의 덮개 중 회동덮개(130)를 회전축(131)을 축으로 회동시켜 수용공간(121)을 개방하고, 미리 채워진 산소칩(600)을 칩수용홈(122)에서 빼내 상기 칩수용홈(122)에서 산소칩(600)을 이탈시켜, 다시 산소박스(900)에 채우고, 또한 포도당칩(700)을 상기 수용공간(121)의 칩수용홈(122)에서 빼내 포도당경로(113)를 통해 이동되어 식물의 뿌리나 줄기 또는 과실에 축적되는 것을 주지시킨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식물이 광합성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산소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고, 포도당을 생성해 식물의 뿌리나 줄기 또는 과실에 축적한다는 것을 학습자들에게 주지시킨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0: 식물모형 110: 줄기부
112: 수분경로 113: 포도당경로 120: 나뭇잎부
121: 수용공간 122: 칩수용홈 130: 회동덮개
131: 회전축 140: 탈착덮개 141: 자성체
200: 받침대 210: 지지대 300: 태양모형
400: 수분칩 500: 이산화탄소칩 600: 산소칩
700: 포도당칩 800: 이산화탄소박스 810,910: 케이스본체
820,920: 덮개 900: 산소박스

Claims (3)

  1. 광합성 학습 교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정면부에 수분이 이동하는 수분경로(112)와 포도당이 이동하는 포도당경로(113)를 표시하고, 저면에는 받침대(200)의 지지대(210)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 줄기부(110)를 구성하고, 상기 줄기부(110)의 일측에는 나뭇잎을 형상화한 나뭇잎부(120)를 구성한 식물모형(100)과;
    상기 식물모형(100)이 자립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210)를 상면에 수직으로 구성한 받침대(200)와;
    광합성에 필요한 태양을 형상화한 태양모형(300)과;
    식물이 흡수하는 수분을 형상화한 수분칩(400)과;
    광합성에 따라 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를 형상화한 이산화탄소칩(500)과;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산소를 형상화한 산소칩(600)과;
    광합성에 의해 발생한 포도당을 형상화한 포도당칩(700)과;
    덮개(820)를 구비한 케이스본체(810)에 다수개의 이산화탄소칩(500)을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이산화탄소박스(800)와;
    덮개(920)를 구비한 케이스본체(910)에 다수개의 산소칩(600)을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산소박스(9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학습 교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모형(100)의 나뭇잎부(120)에는 정면이 개방된 소정의 수용공간(121)을 형성한 것과;
    상기 수용공간(121)에는 상기 이산화탄소칩(500), 산소칩(600), 수분칩(400), 포도당칩(700)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다수개의 칩수용홈(122)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학습 교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나뭇잎부(120)의 수용공간(121) 정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2등분으로 나누어 구성하되,
    일측단부에 구성된 회전축(131)을 상기 수용공간(121) 정면에 결합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131)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공간(121)을 개폐하는 회동덮개(130)와,
    상기 수용공간(121) 외주면에 소정 갯수의 자성체(141)를 매립하고, 매립된 자성체(141)와 반대되는 극성의 자성체(141)를 체결수단으로 상기 수용공간(121)을 개폐하도록 탈부착하는 탈착덮개(1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학습 교구.
KR1020110028009A 2011-03-29 2011-03-29 광합성 학습 교구 KR101198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009A KR101198466B1 (ko) 2011-03-29 2011-03-29 광합성 학습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009A KR101198466B1 (ko) 2011-03-29 2011-03-29 광합성 학습 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62A true KR20120110262A (ko) 2012-10-10
KR101198466B1 KR101198466B1 (ko) 2012-11-06

Family

ID=4728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009A KR101198466B1 (ko) 2011-03-29 2011-03-29 광합성 학습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0519A1 (zh) * 2014-12-09 2016-06-16 林伯刚 光合作用微流道室与光合作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96A (ko) 2015-09-08 2017-03-16 양승기 광합성 작용과 호흡작용을 동시에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는 콩나물 재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784B1 (ko) 2004-03-09 2006-02-06 주식회사 신생 광합성 측정용 실험장치
JP2007079320A (ja) 2005-09-15 2007-03-29 Univ Waseda 植物の二酸化炭素吸収実験装置
JP2010145461A (ja) 2008-12-16 2010-07-0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燃焼の二酸化炭素放出と植物光合成による二酸化炭素吸収の実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0519A1 (zh) * 2014-12-09 2016-06-16 林伯刚 光合作用微流道室与光合作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466B1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466B1 (ko) 광합성 학습 교구
CN209643462U (zh) 一种林业用高存活率育苗装置
CN206043034U (zh) 一种植物单株幼苗水培移栽装置
CN204335309U (zh) 种子育苗发芽观察装置
CN203444686U (zh) 一种植物向光引导装置
CN207803942U (zh) 一种温室大棚用花卉培育架
CN206251653U (zh) 一种教学用观察蘑菇生长的植物生态观察箱
CN100590680C (zh) 日照地球现象仪
CN219893817U (zh) 橡胶树种子播种装置
CN214253541U (zh) 一种多功能高中生物实验用动植物培养实验箱
CN215346561U (zh) 一种用于研究昆虫与活体植物互作关系的实验装置
CN215301843U (zh) 一种太阳能温室
CN203302049U (zh) 一种庭院花箱
CN204409011U (zh) 一种食用菌育种箱
CN204188952U (zh) 一种激发创意灵感的时钟
CN219497176U (zh) 一种教育实践及家庭用水培装置
CN219435426U (zh) 一种植物演示奖杯
CN217470887U (zh) 一种园林绿化景观树固定装置
CN204907038U (zh) 市政园林种子信息展示储存装置
CN203303657U (zh) 一种盒装拼接玩具
CN216820857U (zh) 一种智能花盆
CN203038492U (zh) 一种英语时态教学演示装置
CN216415303U (zh) 一种水苔柱
CN207589733U (zh) 一种带有辅助结构的绿萝栽培盆
CN218868971U (zh) 一种观察植物根系生长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