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040A -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040A
KR20120109040A KR1020110026373A KR20110026373A KR20120109040A KR 20120109040 A KR20120109040 A KR 20120109040A KR 1020110026373 A KR1020110026373 A KR 1020110026373A KR 20110026373 A KR20110026373 A KR 20110026373A KR 20120109040 A KR20120109040 A KR 20120109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main
unit
additio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1230B1 (ko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니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니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니셜티
Priority to KR102011002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23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제어부가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된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메인 비밀번호 또는 부가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메인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환경 정보에서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판단하여 선택된 메뉴가 비밀번호 변경인 경우, 해당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 환경 설정인 경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해당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고,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 환경별 사용내역조회 및 요금조회인 경우, 메인 비밀번호 및 해당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환경에서의 사용 내역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아이디로 복수개의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비밀번호마다 환경설정을 다르게 하여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단말기를 자신의 취향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메인 비밀번호 사용자가 나머지 부가 비밀번호 사용자의 권한을 제한함에 의해 청소년 유해 프로그램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Terminal having additional passwor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smart phon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 컴퓨터, IPTV 등의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사용자가 메인 비밀번호외에 적어도 하나의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핸드폰, 스마트폰, 컴퓨터, IPTV 등 다양한 단말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들은 현재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며 많은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전화, 이메일, 무선인터넷, TV 프로그램 시청 등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 스마트폰의 경우 많은 요금이 부과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 누가 해당 요금을 발생시켰는지 알아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연령에 맞는 시청물을 제한할 필요성도 있는데, 이러한 제한을 하려면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하여야 하며 좀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리고 하나의 컴퓨터를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가지도록 하여 별도의 환경을 구축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복수의 아이디를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자들이 자신의 아이디에 대해 메인 비밀번호 외에 필요한 수의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환경 설정을 다르게 하여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메인 비밀번호 사용자가 부가 비밀번호 사용자의 환경 설정 및 사용내역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아이디와 그에 대응되는 메인 비밀번호, 메인 비밀번호에 종속되는 부가 비밀번호, 상기 메인 비밀번호 및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입력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되는 환경 설정 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에, 비밀번호 변경, 사용자 환경 설정, 사용자 환경별 사용내역 조회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단말기는,
요금을 과금하는 외부의 서버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아이디와 그에 대응되는 메인 비밀번호, 메인 비밀번호에 종속되는 부가 비밀번호, 상기 메인 비밀번호 및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입력부의 입력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되는 환경 설정 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메인부가번호 및 부가 비밀번호에 대해 각각 사용내역 및 요금을 과금한다.
상기 제어부는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에, 비밀번호 변경, 사용자 환경 설정, 사용자 환경별 사용내역조회 및 요금조회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제어부가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된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메인 비밀번호 또는 부가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메인 비밀번호 또는 부가 비밀번호와 모두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메인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환경 정보에서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판단하는 단계;
선택된 메뉴가 비밀번호 변경인 경우, 해당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 환경 설정인 경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해당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 환경별 사용내역조회 및 요금조회인 경우, 메인 비밀번호 및 해당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환경에서의 사용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아이디와 부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아이디로 복수개의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비밀번호마다 환경설정을 다르게하여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단말기를 자신의 취향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메인 비밀번호 사용자가 나머지 부가 비밀번호 사용자의 권한을 제한함에 의해 청소년 유해 프로그램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비밀번호 사용자가 필요시에 언제든지 자신 및 부가 비밀번호 사용자들의 사용내역 및 요금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외부 서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외부 서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200)는 유선인터넷망, 와이파이망 또는 3G 또는 4G 등의 네트워크망(400)을 통해 서버(300)와 연결되고, 서버(300)는 IPTV 서비스, 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무선통화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말기(200)가 네트워크망(400)에 연결되지 않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메인부가번호 및 부가 비밀번호에 대해 각각 사용내역 및 요금을 과금한다.
그러면, 이러한 단말기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입력부(220), 저장부(240), 통신부(250), 제어부(230), 표시부(210)를 포함한다.
표시부(210)는 정보를 표시하며, 로그인시에 입력된 비밀번호에 따라 각각에 대응되는 환경을 표시한다.
입력부(22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 키패드 등의 입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저장부(360)는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 및 메인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제1영역부와, 아이디 또는 메인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부가 비밀번호와 부가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영역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환경 설정 정보는 사용할 프로그램 설정과 인터넷 접근 권한, 콘텐츠 사용권한 등에 관한 설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제2 영역부에는 각 사용자의 문서, 이미지, 동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되는 환경 설정 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에, 비밀번호 변경, 사용자 환경 설정, 사용자 환경별 사용내역조회 및 요금조회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부(35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며, 와이파이 방식, 3G, 4G 등 다양한 무선 인터넷이나 다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러한 단말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기를 메인으로 사용하는 부모 등의 사용자는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아이들이나 부가로 사용할 사용자 별로 부가 비밀번호를 미리 등록해두며, 이후 사용자별로 로그인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내역이 저장되고, 과금도 사용자별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사용자별 환경 설정을 다르게하여 과금이 많이 되거나 유해한 컨텐츠 접근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어부(230)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한다(S301).
그러면, 사용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메인 사용자는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부가 사용자는 아이디와 부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303).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30)가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저장부(240)의 제1 영역부(241) 및 제2 영역부(242)에 저장된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메인 비밀번호 또는 부가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305).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메인 비밀번호 또는 부가 비밀번호와 모두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30)가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구한다(S307). 이후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상기 단계(S301)부터 반복한다.
한편,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30)가 메인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 정보를 표시한다(S309).
여기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여 실행 가능하며, 프로그램 추가나 텍스트작성, 사진, 동영상 등의 저장작업도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가 입력부(220)를 이용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S311), 제어부(230)는 상기 환경 정보에서 입력부(220)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판단한다.
선택된 메뉴가 비밀번호 변경인 경우(S313), 제어부(230)는 비밀번호 변경 화면을 표시부(210)에 표시하고, 변경할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며, 메인 비밀번호 및 부가 비밀번호를 모두 변경 가능하다(S315).
한편,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 환경 설정인 경우, 제어부(230)는 입력부(220)의 입력에 따라 해당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게 되며, 컨텐츠 제한이나 요금제한 등의 제한을 설정할 수도 있다(S317).
또 다른 한편,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 환경별 사용내역조회 및 요금조회인 경우, 제어부는 선택된 메인 비밀번호 또는 해당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환경에서의 사용 내역을 제공한다(S319).
또 다른 한편, 선택된 메뉴가 일반 업무일 경우에는 제어부(230)는 입력된 해당 업무를 처리하며, 이러한 다양한 업무를 처리한 결과는 제1 영역부(241)에 저장된다(S321).
한편, 상기 단계(S305)에서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아이디와 부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30)가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 정보를 표시하고, 일반 업무 처리를 한다(S323).
이후 이러한 업무 처리시에 작업한 내용 등은 제어부(230)가 제2 영역부(242)에 저장되며, 사용내역도 저장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서버(300)를 통해 서비스를 받는 경우, 서버(300)는 각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 별로 사용내역과 요금을 계산하여 전송하고, 제어부(230)는 수신된 사용내역 및 요금내역을 제1 영역부(241)에 저장해 놓고 필요시에 제공한다(S323).
이외에도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 완료후에는 해당 사용자 환경이 각각의 영역부(241, 24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서는 부가 비밀번호 사용자가 하나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추가가 가능하며, 부가 비밀번호 사용자별로 관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아이디와 그에 대응되는 메인 비밀번호, 메인 비밀번호에 종속되는 부가 비밀번호, 상기 메인 비밀번호 및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입력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되는 환경 설정 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에, 비밀번호 변경, 사용자 환경 설정, 사용자 환경별 사용내역 조회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요금을 과금하는 외부의 서버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아이디와 그에 대응되는 메인 비밀번호, 메인 비밀번호에 종속되는 부가 비밀번호, 상기 메인 비밀번호 및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입력부의 입력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되는 환경 설정 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메인부가번호 및 부가 비밀번호에 대해 각각 사용내역 및 요금을 과금하는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에, 비밀번호 변경, 사용자 환경 설정, 사용자 환경별 사용내역조회 및 요금조회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5.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제어부가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저장부에 저장된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메인 비밀번호 또는 부가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메인 비밀번호 또는 부가 비밀번호와 모두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아이디와 메인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메인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환경 정보에서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판단하는 단계;
    선택된 메뉴가 비밀번호 변경인 경우, 해당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 환경 설정인 경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해당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 환경별 사용내역조회 및 요금조회인 경우, 메인 비밀번호 및 해당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환경에서의 사용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아이디와 부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부가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10026373A 2011-03-24 2011-03-24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3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373A KR101231230B1 (ko) 2011-03-24 2011-03-24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373A KR101231230B1 (ko) 2011-03-24 2011-03-24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040A true KR20120109040A (ko) 2012-10-08
KR101231230B1 KR101231230B1 (ko) 2013-02-07

Family

ID=4728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373A KR101231230B1 (ko) 2011-03-24 2011-03-24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2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997A (ko) * 2015-01-07 2016-07-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밀번호 기반 역할 및 권한 부여 장치 및 방법
WO2016129858A1 (ko) * 2015-02-10 2016-08-18 박현수 부가 코드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기록 매체,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985A (ko) * 2003-11-28 2005-06-02 (주)팝콘소프트 아바타 시스템 및 아바타 생성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997A (ko) * 2015-01-07 2016-07-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밀번호 기반 역할 및 권한 부여 장치 및 방법
WO2016129858A1 (ko) * 2015-02-10 2016-08-18 박현수 부가 코드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기록 매체,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230B1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1357B (zh) 一种支付方式推荐方法和设备
US10055598B2 (en) Content and service aggregation, management and presentation system
US10491685B2 (en) Session transfer between resources
US88931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ing user profiles
US20080261514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lying media content to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11075895B2 (en) Cloud operation interface shar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JP2017513161A (ja) 振込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130022023A (ko)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998600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delivery based on user preferences
US20170310782A1 (en) System for managing web-based swipe module tool and software for scrolling and paging through content data and applications
EP2755397A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user personal account
CN104753677A (zh) 密码分级控制方法和系统
WO2023030265A1 (zh) 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2487451B (zh) 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4092596A (zh) 一种音乐用户群组的管理方法、装置及系统
US9398450B2 (en) Mobile survey tools with added security
KR101231230B1 (ko) 부가 비밀번호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CN112235412B (zh) 消息处理方法和装置
CN113325980B (zh)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160085697A (ko) 자격 수여 방법, 자격 획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4850595A (zh) 优化网页打开时间的方法和装置
CN107135075B (zh) 一种对用户操作的授权方法及装置
US9660989B1 (en) Internet-wide identity management widget
CN112988426A (zh) 消息的处理方法和装置
EP3394815A1 (en) Delegation of detailed content and app reviews between nearb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