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801A -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801A
KR20120108801A KR1020110027131A KR20110027131A KR20120108801A KR 20120108801 A KR20120108801 A KR 20120108801A KR 1020110027131 A KR1020110027131 A KR 1020110027131A KR 20110027131 A KR20110027131 A KR 20110027131A KR 20120108801 A KR20120108801 A KR 20120108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cells
fulvic acid
allergic
cells
cul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교
손지영
장경수
나동희
Original Assignee
허교
손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교, 손지영 filed Critical 허교
Priority to KR102011002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8801A/ko
Publication of KR2012010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immunotolerance, or a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빅산의 항알러지 효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험을 통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 RBL-2H3의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분비를 풀빅산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풀빅산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임이다.

Description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allergy comprising fulvic acid as a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풀빅산의 항알러지 효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알러지(Allergy)란 ‘과민 반응’으로 항체의 한 종류인 Immunoglobulin E가 mast cell(비만세포)와 결합하면서 mast cell의 히스타민(Histamine)이라는 화학 물질의 출현으로 혈관 확장 및 기관지 수축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일어나는 일련의 현상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알러지성 질환에는 자가 면역 질환, 교원병 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알러지성 질환이라고 하면 아토피성 질환이 대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즉 여기에는 알러지성 비염, 화분증, 기관지천식, 두드러기, 습진,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 등이 해당된다. 아토피성 질환 자극 인자로는 땀, 거친 옷감, 화학적인 자극 물질, 음식, 정서적 스트레스, 주위 환경, 미생물 감염 등이 있다.
피부염은 몸 안팎의 자극으로 일어나는 피부의 염증. 동식물의 독이나 화학 물질 따위에 직접 접촉하여 생기는 것으로 소양증, 수포 등을 동반한다. 피부염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접촉성피부염(contact dermatitis)은 피부를 자극하는 물질 또는 알러지를 일으키는 물질이 사람에게 접촉했을 때 생긴다. 이러한 염증성 질환은 강산이나 강알칼리 또는 다른 화학물질에 접촉했을 때도 생기며 전혀 해롭지 않은 물질, 예를 들어 화장품, 비누, 옷 등도 그 자체는 아무런 자극성이 없으나, 계속 노출되는 것이 되풀이 되어 예민해진 사람에게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가장 흔히 접촉성피부염을 일으키는 것은 덩굴옻나무이다. 이 밖에도 다른 여러 식물들이 피부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접촉성피부염을 일으키는 화학물질로는 니켈과 크롬 같은 금속류, 아닐린 염료, 그리고 여러 가지 약물들이 있다. 이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극성 물질을 가려낸 뒤 그 물질을 피하는 것이 가장 좋다.
아토피성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영아와 청소년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주로 얼굴?목?손?발?팔오금과 무릎 뒤의 부위에 있는 피부가 발적을 나타내고, 두꺼워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피부가 매우 건조해져서 소양증이 생긴다. 아토피성피부염의 원인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초열이나 천식 환자가 있는 가족 중에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울혈성피부염(stasis dermatitis)은 하지와 발목에 생기는 피부염증으로 만성적으로 정맥, 특히 정맥류성 정맥으로 인해 생긴다. 혈류가 지체되어 부어오르게 되면, 점차적으로 피부를 자극해서 궤양을 일으킨다. 울혈성피부염은 지지용 스타킹(supportive stocking)을 신거나, 수술을 하는 등, 증상 초기에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조치를 취하면 예방할 수 있다.
지루성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은 피부가 비늘같이 일어나는 상태로 두피(頭皮)에 가장 많이 생기며, 두피의 피부조각이 비늘처럼 떨어지는 것을 보통 비듬이라고 한다. 이 질환은 일반적으로 기름샘이 많이 분포하는 신체 부위에 생기기 쉬우며 이마, 눈썹, 얼굴 한가운데, 귀 뒷부분, 그리고 겨드랑이에도 생긴다. 신경성피부염(neuro dermatitis)은 환자가 자신의 가려운 부위를 의식하고 자꾸 긁어서 생긴 피부염을 말한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의 피부 질환 중 대표적으로 아토피성피부염(Eczematous Dermatitis, Atopic Dermatitis)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면서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 및 피부건조증, 습진을 유발한다. 아토피성피부염은 환자의 나이에 따라 다른 증상을 보이므로 유아기, 소아기, 사춘기 및 성인기 아토피피부염으로 연령별로 구분한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의 펼쳐진 쪽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성장함에 따라 특징적으로 팔다리의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대다수의 경우에 성장하면서 자연히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성인의 경우 접히는 부위의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lichenification)가 나타나고, 유소아기에 비해 얼굴에 습진이 생기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아토피성피부염의 대표적 증상으로는 소양증(가려움증)이 있다. 이에 따라 팔꿈치, 무릎, 목, 얼굴, 손, 발, 사타구니, 생식기 등이 항문 주변과 같이 피부가 주름지고, 습기가 많은 부분에는 발적이 생겨 가려움증을 더욱 유발한다. 또한 무의식적으로 환부를 긁어 2차 세균감염을 유발하여 더욱 위험하게 된다. 소양증 다음으로 아토피성피부염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으로는 피부건조증이다. 피부가 건조하게 되면 가려움을 더욱 유발하고 피부가 두꺼워지며 주름이 깊어지게 된다. 이것은 피부 보호막의 이상으로 인해 표피가 증식하고 각질층이 두터워지는 데 원인이 있다. 이러한 피부 보호막의 손상은 외부의 알러지 유발 물질의 피부 통과 및 흡수를 증가시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요소로 작용된다.
이러한 아토피성피부염은 현재도 전 세계적으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아토피성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환경적 요인 및 유전적 소인, 면역학적 반응의 이상 등을 원인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 중 대다수가 면역계 결핍에 따른 유전적인 경우이다. 이러한 아토피성피부염의 급격한 증가는 유전적 소인만으로는 설명이 어렵고 산업화, 주거 형태나 식습관의 서구화, 핵가족화 등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산업화로 인한 환경 공해로 인한 호흡기 질환이 급증하고 있으며 또한 식품의 다양화 및 첨가물 사용의 급증으로 인한 음식물 알러지 질환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침대나 소파, 카펫을 이용한 서구식 주거 형태로 변화하면서 집먼지 진드기의 서식 환경이 조성되고 애완동물의 사육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알러지 원인 물질에 노출될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풀빅산의 항알러지에 대한 효과를 실험하여 그 효과를 확인한 후 풀빅산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알러지 조성물을 제공하다.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 RBL-2H3의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분비를 풀빅산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풀빅산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임이다.
도 1: 풀빅산의 비만세포 RBL-2H3의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분비 억제 효과에 대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풀빅산의 비만세포에 대한 알레르기 유발물질 분비 억제능을 측정하여 풀빅산의 항알러지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풀빅산이 체내에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로부터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분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RBL-2H3 세포는 글루타민과, 항생제와 10% 우혈청이 보충된 최소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분비실험을 하기 위한 세포는 트립신에 의해 수거한 후, 24-well 배양기에 well당 200,000개의 세포를 200 ng/mL DNP-특이성 IgE와 같이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는 PIPES 완충액(25 mM PIPES, pH 7.2, 119 mM NaCl, 5 mM KCl, 0.4 mM MgCl2, 1 mM CaCl2, 5.6 mM glucose, 및 0.1% BSA)으로 세척한 다음, 항원을 첨가하기 전에 30분 동안 전배양하였다.
전 배양 후 항원을 최종 농도 25 ng/mL로 첨가하여 자극을 유도하였다.
알레르기 유도물질의 분비 정도는 배지 중에 분비된 탈과립의 표식자인 헥소사미니다제(hexosaminidase)의 활성을 p-니트로페닐아세틸-β-D-글루코사미나이드(p-nitrophenylacetyl-β-D-glucosaminide)로부터 유리된 p-니트로페놀(p-nitrophenol)의 양으로 결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냈다.
Ag Ag Ag Ag
Fucvic acid (%) 0 0 0.01 0.05 0.1
Mean 0.125333 1.187667 1.152 1.040667 0.965667
SE 0.040539 0.018022 0.068061 0.067304 0.036287
상기 표 1과 도 1을 참조하면 풀빅산이 첨가되지 않을 때에 비하여 풀빅산이 첨가되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 RBL-2H3의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분비를 풀빅산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풀빅산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항알러지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알러지 조성물.
KR1020110027131A 2011-03-25 2011-03-25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 KR20120108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31A KR20120108801A (ko) 2011-03-25 2011-03-25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31A KR20120108801A (ko) 2011-03-25 2011-03-25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801A true KR20120108801A (ko) 2012-10-05

Family

ID=4728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131A KR20120108801A (ko) 2011-03-25 2011-03-25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8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796A (ko) * 2017-02-27 2018-09-05 (주)더화이트넷 가려움증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796A (ko) * 2017-02-27 2018-09-05 (주)더화이트넷 가려움증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llenberg et al. European guideline (EuroGuiDerm) on atopic eczema–part II: non‐systemic treatments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special AE patient populations
Jaffary et al. Effects of oral vitamin E on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US974419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dead cell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B to treat or prevent allergic disease
Egawa et al. 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a short review
Nedorost Generalized dermatitis in clinical practice
CN103285155A (zh) 一种治疗湿疹皮炎的中药组合物
Müller et al. Spider bite in southern Africa: diagnosis and management
Huang et al. An outbreak of 268 cases of Paederus dermatitis in a toy‐building factory in central China
Fontanini et al. DermaSilk in long-term control of infantile atopic dermatitis: a doub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itha et al. Treatment of lymphatic filariasis: Current trends
KR20120108801A (ko) 활성성분으로 풀빅산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
Shrivastava et al. Anti-inflammatory and antiviral osmotic polymeric film to treat Covid-19 early-stage infection
George Atopic dermatitis in Nigeria
JPWO2011149025A1 (ja) 経口用体温上昇剤
Gould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ungal infections
CN102961655B (zh) 一种治疗出疹的外用药物组合物
Thomas et al. Atopic eczema
Gill et al. Atopic dermatitis: The lesser indicated homoeopathic medicines
Gould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ungal infections
Werfel et al.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Beltrani Allergic dermatoses
Sekar A Hospital-Based Cross-Sectional Study to Correlate the Levels of NLR, PLR and MPV with Disease Duration and Severity in Pediatric Atopic Dermatitis
HEPPLE et al. Purpuric dermatosis due to house‐dust mite (Dermatophagoides spp.) allergy: a case report
Navya Stud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9 And Histopathology In Sinonasal Diseases Before And After Endoscopic Surgery
Schoessler Atopic dermatitis: management in the school s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