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519A -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519A
KR20120108519A KR1020110026489A KR20110026489A KR20120108519A KR 20120108519 A KR20120108519 A KR 20120108519A KR 1020110026489 A KR1020110026489 A KR 1020110026489A KR 20110026489 A KR20110026489 A KR 20110026489A KR 20120108519 A KR20120108519 A KR 20120108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network
processing unit
vehicle network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876B1 (ko
Inventor
염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포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포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포러스
Priority to KR1020110026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876B1/ko
Priority to PCT/KR2012/001832 priority patent/WO2012128497A2/ko
Publication of KR2012010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에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컨텐츠를 공유하고 테더링 연결을 지원하며 스마트 카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내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코덱; 오디오 코덱의 재생신호를 소리로 변화하는 스피커;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LCD에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표시하는 비디오 코덱;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및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클라이언트 모드나 억세스 포인트 모드로 설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폰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스마트 폰에 저장된 컨텐츠를 공유하여 재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내장하여 차량내에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스마트 폰 등을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테더링을 통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컨텐츠를 공유하여 상대적으로 큰 액정화면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볼 수 있어 편리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NETWORK APPARATUS FOR SMART CAR}
본 발명은 차량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컨텐츠를 공유하고 테더링 연결을 지원하며 스마트 카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경제력 향상과 IT 기술의 발전으로 차량내에서도 각종 멀티미디어를 재생하고 텔레매틱스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스마트 폰과 테블릿 PC의 보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스마트 폰과 테블릿 PC를 위한 각종 서비스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종래에 차량 내부에서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에 연동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장치(30)를 스마트 폰(10)과 접속하기 위한 억세스포인트 장치(AP: 20)를 별도로 설치하여 스마트 폰(30)과 멀티미디어 장치(30)를 무선(WiFi 등)으로 연결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멀티미디어 장치(30)와 별도로 억세스포인트 장비(20)를 설치해야 하므로 차량내의 설치공간이 협소해지고, 배치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장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내장시켜 차량내에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DLNA 프로토콜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내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와 DLNA 프로토콜에 따라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한 테더링 연결로 인터넷에 연결되거나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재생하는 중앙처리장치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재생하는 비디오신호를 차량에 별도로 설치된 순정 LCD에 디스플레이하는 세톱박스형으로 구현되거나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재생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자체 LCD를 더 구비한 매립형으로 구현되거나 오디오나 비디오 디스크를 재생하고 라디오를 수신하기 위한 A/V 모듈과,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재생하는 비디오신호나 상기 A/V 모듈이 재생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자체 LCD를 더 구비한 올인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내장하여 차량내에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DLNA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 폰 등을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테더링을 통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컨텐츠를 공유하여 상대적으로 큰 액정화면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볼 수 있어 편리한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멀티미디어장치를 네트워크로 인터페이스하는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세톱박스형 텔레매틱스 단말기로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현한 예,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의 세부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매립형 텔레매틱스 단말기로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현한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올인원형 텔레매틱스 단말기로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현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여 재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DLNA 프로토콜의 계층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세톱박스(STB)형 텔레매틱스 단말기로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현한 예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의 세부 구성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톱박스(STB)형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기능과 DLNA 프로토콜 처리기능,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10)와, 중앙처리장치(110)의 명령에 따라 억세스포인트모드나 클라이언트모드로 동작하면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로 구성되어 차량에 설치된 순정 LCD(50)에 디스플레이 신호를 제공함과 아울러 차량내에 무선 네트워크(WiFi 등)를 구성하고, 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폰(10)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들을 연결한다.
이러한 세톱박스(STB)형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차량내의 어느 곳에나 매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설치시 순정 LCD(50)와 케이블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NA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DLNA 프로토콜 처리부(112)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4)와, 텔레매틱스 기능을 처리하는 텔레매틱스 처리부(116)로 이루어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를 클라이언트모드로 동작시키고 스마트 폰(10)을 억세스포인트(AP)모드로 동작시켜 스마트 폰(10)을 통해 테더링 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네트워크 인페이스부(120)를 억세스포인트(AP)모드로 동작시키고 DLNA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 폰(10)과 연결되어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비디오신호를 순정 LCD(50)로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무선 네트워크(WiFi 등) 방식에 따른 접속을 지원하고,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모드로 동작하면서 스마트 폰(10)을 통해 테더링 접속으로 인터넷과 연결되고, 억세스포인트(AP)모드로 동작하면서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받아 중앙처리장치(110)로 전달한다. 여기서, 와이파이(Wi-Fi)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의 상표명으로,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와이파이 P2P),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처음의 와이파이는 사실상 IEEE 802.11과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나, 현재 와이파이는 802.11 기반의 많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포함한다. 현대의 많은 운영 체제들은 와이파이를 지원하기 때문에, 스마트 폰을 비롯한 휴대전화, PDA, 데스크톱, 노트북 컴퓨터, 넷북 등을 이용해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 폰(10)은 WCDMA 통신방식으로 이동통신망(40)에 연결됨과 아울러 차량내 무선 네트워크(WiFi)를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와 연결되어 차량내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테더링 연결 기능을 제공하거나 컨텐츠를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에 설치된 단말기들에 대해서도 스마트 폰(10)을 통한 테더링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차량내 단말기에 인터넷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매립형 텔레매틱스 단말기로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현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210)와,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와, 자체 LCD(240)로 구성되어 차량내에 무선 네트워크(WiFi 등)를 구성하고, 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폰(10)과 같은 이동단말기들을 연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는 차량의 대시보드 내 또는 상단에 매립할 수 있고, 순정 2-DIN 오디오 자리에 매립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를 클라이언트모드로 동작시킨 후 스마트 폰(10)을 통해 테더링 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를 억세스포인트모드로 동작시킨 후 DLNA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 인페이스부(220)를 통해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비디오신호를 자체 LCD(240)로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무선 네트워크(WiFi 등) 방식에 따른 접속을 지원하고, 중앙처리장치(21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모드로 동작하면서 스마트 폰(10)을 통해 테더링 접속으로 인터넷과 연결되고, 억세스포인트(AP)모드로 동작하면서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받아 중앙처리장치(210)로 전달한다. 여기서, 와이파이(WiFi)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의 상표명으로,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와이파이 P2P),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처음의 와이파이는 사실상 IEEE 802.11과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나, 현재 와이파이는 802.11 기반의 많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포함한다. 현대의 많은 운영 체제들은 와이파이를 지원하기 때문에, 스마트 폰을 비롯한 휴대전화, PDA, 데스크톱, 노트북 컴퓨터, 넷북 등을 이용해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 폰(10)은 WCDMA 통신방식으로 이동통신망(40)에 연결됨과 아울러 차량내 무선 네트워크(WiFi 등)를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와 연결되어 있고, 차량 내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테더링 연결 기능을 제공하거나 재생할 컨텐츠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All-In-One)형 텔레매틱스 단말기로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현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형 텔레매틱스 단말기(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310)와,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와, 자체 LCD(340)와 CD/DVD 모듈(350)과, 라디오 모듈(360)로 구성되어 차량내에 무선 네트워크(WiFi 등)를 구성하고, 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폰(10)과 같은 이동단말기들을 연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형 텔레매틱스 단말기(300)는 차량의 순정 2-DIN 오디오 자리에 매립 설치한다. 여기서, CD/DVD 모듈(350)과 라디오 모듈(360)을 통합하여 A/V 모듈이라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스마트 폰(10)과 연결되어 테더링 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네트워크 인페이스부(320)를 통해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하고, SD/DVD 모드에서는 트레이에 삽입된 CD나 DVD를 CD/DVD 모듈(350)이 재생하게 하고, 라디오 모드에서는 선국하여 라디오 모듈(360)이 방송을 수신하게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는 무선 네트워크(WiFi 등)방식의 무선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자체 LCD(340)는 중앙처리장치나 DVD 모듈이 출력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며, DVD 모듈(350)은 트레이에 삽입된 CD나 DVD를 재생하며, 라디오 모듈(360)은 방송을 수신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내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개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여 재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100,200,3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220,320)가 중앙처리장치(110,210,310)와 유선이나 무선 또는 보드의 PCB로 연결되어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220,320)는 억세스 포인트(AP)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스마트 폰(10)은 차량내 무선 네트워크(WiFi)를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220,320)와 연결되어 차량내 텔레매틱스 단말기(100,200,300)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통해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LNA는 가정내 멀티미디어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기구 및 그 프로토콜로써, 인텔, 소니,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주축이되어 2003년 결성되었다. DLNA에서는 가정내 홈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AV 미디어 디바이스간에 컨텐츠를 상호 공유하고 호환될 수 있도록 표준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 DLNA는 디바이스를 발견하고 제어하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춰와 AV 기기와 컨트롤 포인트간의 상호작용을 정의한 UPnP AV 아키텍춰 기술을 채택하고 있고, 기기들의 기능에 따라 다음 표 1과 같이 디바이스 클래스로 구분한다.
디바이스 카테고리 디바이스 클래스 기능


홈 네트웍 디바이스

DMS(Digital Media Server) 컨텐츠 저장 및 제공
DMP(Digital Media Player) 컨텐츠 검색 및 재생
DMR(Digital Media Renderer) 원격제어 재생
DMC(Digital Media Controller) 컨텐츠 전송 제어
DMPr(Digital Media Printer) 컨텐츠 인쇄


모바일 핸드헬드 디아비스
MDMS(Mobile Digital Media Server) 모바일방식의 DMS
MDMP(Mobile Digital Media Player) 모바일방식의 DMP
MDMU(Mobile Digital Media Uploader) 업로드
MDMD(Mobile Digital Media Downloader) 다운로드
MDMC(Mobile Digital Media Controller) 모바일방식의 DMC
홈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M-NCF(Mobile Network Connectivity Function) 네트웍 접속
MIU(Media Interoperability Unit) 상호 호환을 위한 변환
또한 DLN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인 프로토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내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단말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컨텐츠를 공유함과 아울러 각종 정보를 교환하여 스마트 카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10)은 네트워크 탐색을 통해 억세스 포인트 기능을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200,300)를 찾아 스마트 폰(10)과 텔레매틱스 단말기(100,200,300)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프로토콜에 따라 연결된다(S1,S2).
DLNA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 폰(10)과 텔레매틱스 단말기(100,200,300)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고, 따라서 액정화면이 작은 스마트 폰(10)에 저장된 컨텐츠를 텔레매틱스 단말기(100,200,300)로 전송하여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 재생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액정화면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3,S4).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스마트 폰 40: 이동통신망
100,200,300: 텔레매틱스 단말기 110,210,310: 중앙처리장치
120,220,3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40,340: 자체LCD 350: CD/DVD모듈
360: 라디오모듈 50: 순정 LCD

Claims (5)

  1. 차량내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클라이언트모드로 동작시켜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테더링 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인페이스부를 억세스포인트(AP)모드로 동작시키고 DLNA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앙처리장치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재생하는 비디오신호를 차량에 별도로 설치된 순정 LCD에 디스플레이하는 세톱박스형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재생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자체 LCD를 더 구비한 매립형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는
    오디오나 비디오 디스크를 재생하고 라디오를 수신하기 위한 A/V 모듈과,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재생하는 비디오신호나 상기 A/V 모듈이 재생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자체 LCD를 더 구비한 올인원형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DLNA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DLNA 프로토콜 처리부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텔레매틱스 기능을 처리하는 텔레매틱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KR1020110026489A 2011-03-24 2011-03-24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KR101224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489A KR101224876B1 (ko) 2011-03-24 2011-03-24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PCT/KR2012/001832 WO2012128497A2 (ko) 2011-03-24 2012-03-14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489A KR101224876B1 (ko) 2011-03-24 2011-03-24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519A true KR20120108519A (ko) 2012-10-05
KR101224876B1 KR101224876B1 (ko) 2013-01-22

Family

ID=4687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489A KR101224876B1 (ko) 2011-03-24 2011-03-24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4876B1 (ko)
WO (1) WO201212849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758A1 (ko) * 2012-10-30 2014-05-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테더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8000384T5 (de) 2017-02-24 2019-09-26 Cummins Filtration Ip, Inc. Datenübertragung für ein Filterüberwachungssystem
WO2021226339A1 (en) * 2020-05-07 2021-11-11 NantG Mobile, LLC Location-based content sharing via tether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6192B2 (ja) 2000-12-06 200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載電子装置
KR20020080882A (ko) * 2001-04-18 2002-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인터넷파일 다운로드시스템
KR20020089630A (ko) * 2001-05-23 2002-11-30 (주)오픈브레인테크 블루투스 카키트를 통한 온라인 음악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65385A (ko) * 2003-01-14 2004-07-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외부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이용한 텔레매틱스 시스템
KR20070006128A (ko) * 2005-07-07 2007-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원화된 텔레매틱스 시스템
KR100703361B1 (ko) * 2006-02-15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디지털 기기들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110024262A (ko) * 2009-09-01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758A1 (ko) * 2012-10-30 2014-05-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테더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402149B2 (en) 2012-10-30 2016-07-26 Sk Planet Co., Ltd. Tethering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8497A2 (ko) 2012-09-27
WO2012128497A3 (ko) 2012-11-22
KR101224876B1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621B2 (en) Voice operated control device
US8296453B1 (en) WiFi peripheral mode
US9451331B2 (en) Proxy device operation in command and control network
US9191703B2 (en) Device control using motion sensing for wireless home entertainment devices
CN101902606B (zh) 具有联网媒体内容聚合的支持网络的大容量存储软件狗
US201103044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Media Devices
CN101325666B (zh) 一种智能移动终端电视遥控系统
CN107168666B (zh) 基于usb接口的音视频传输和多屏映射的系统和方法
KR10221095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이동단말장치 및 이동단말장치의 구동방법
KR20090075391A (ko) Dlna 네트워크의 dlna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857805A (zh) 一种移动终端信号的处理方法及装置
CN102244597A (zh) 一种基于局域网的多种设备实现资源共享与控制的方法
KR100663448B1 (ko) Dlna 시스템에서의 3 프레임으로 구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2124737A (zh) 用于控制来自局域网中装置间的多路复用信号的多媒体数据的呈现的方法和设备
CN103491431A (zh) 一种数字电视的音视频共享方法、终端及系统
KR20150026947A (ko) 디스플레이 포워딩 기능에 대한 호환성 통지를 이용하는 컨텐트 공유 방법 및 연관 디바이스
KR20110059202A (ko) 단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CN101662453A (zh) 一种针对协同标准的数据转换方法及设备
KR101224876B1 (ko)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CN103067234A (zh) 异构网络下智能设备的识别与发现方法和系统
CN112423053A (zh) 一种音频共享方法、系统、遥控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565843A (zh) 基于dlna的投屏控制方法、装置、一体机及存储介质
CN102918512A (zh) 信息设备数据连接系统、验证设备、客户端设备、信息设备数据连接方法和记录介质
EP2547038B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a network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N104427635A (zh) 一种基于WiFi的数据分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