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288A - Light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Light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288A
KR20120107288A KR1020110024891A KR20110024891A KR20120107288A KR 20120107288 A KR20120107288 A KR 20120107288A KR 1020110024891 A KR1020110024891 A KR 1020110024891A KR 20110024891 A KR20110024891 A KR 20110024891A KR 20120107288 A KR20120107288 A KR 20120107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illuminance
illumination
subjec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8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주) 시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지아이 filed Critical (주) 시지아이
Priority to KR1020110024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7288A/en
Publication of KR2012010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2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light control apparatus is provid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from a lamp by differentially controlling illumination intensity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n object and a distance from the object. CONSTITUTION: An object detection part(20) comprises an object sensor(22) and a distance measuring sensor(24). The object sensor senses the presence of an object around a lamp.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lamp and the object. A lamp control part(30) controls the lamp in order to provide illumination which successively increases from first illumination to second illumination. The lamp control part controls the lamp in order to provide illumination which successively decreases from the second illumination to the first illumination. [Reference numerals] (10) Lamp; (22) Object sensor; (24) Distance measuring sensor; (30) Lamp control part

Description

조명등 제어장치{Light Control Device}Lighting Control Device {Ligh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의 존재 여부 및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조명등의 조도를 차별적으로 조절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contro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control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differentially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subject and the distance to the subject.

경제가 발전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사회는 사회범죄, 재난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특히 최근에는 연쇄 살인과 성폭행 등 강력 사건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As the economy develops and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societies face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social crimes and disasters, and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owerful incidents such as serial murders and sexual assaults has increased rapidly.

이로 인해, 최근에는 집합건물(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벤처타워 등)이나 거리 등에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여 이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For this reason, in recent years,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has been installed in buildings (apartments, villas, officetels, venture towers, etc.) or streets,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m even a little.

이러한, CCTV는 일반적으로 주간에는 태양광을 이용하고, 야간에는 백열등, 형광등 또는 LED로 이루어진 조명등(가로등 포함)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있다.In general, CCTV photographs a subject by using sunlight during the day and an illumination lamp (including a street light) including an incandescent lamp, a fluorescent lamp, or an LED at night.

그러나, 일반적으로 집합건물이나 거리 등에 설치되는 조명등은 일정한 조도상태를 유지한 채로 설치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general, the lighting installed in the assembly building or the street has a problem in that a lot of power is consumed because it is install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lluminance.

다시 말해, 조명등은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사람, 차량, 동물 등)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CCTV가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는 조도 이상의 높은 조도로 집합건물이나 거리 등에 조명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
In other words, even when there are no subjects (people, vehicles, animals, etc.) in the vicinity of the lamp, the CCTV lamp consumes a lot of electric power because it provides lighting to the assembly building or the street at a higher illumination level than the illumination that the subject can identify.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사체의 존재 여부 및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조명등의 조도를 차별적으로 조절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조명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p control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differentially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subject and the distance to the subjec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집합건물이나 거리에 설치되어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인 제 1 조도에서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조도를 변경해 가면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에 설치되거나 상기 조명등과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물체감지 신호와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물체 감지부; 및 상기 물체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이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조도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조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assembly building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illuminance and the first illuminance between the first illuminance which is the minimum illuminance that the CCTV can recognize the subject Illumination lamp to provide illumination while sequentially changing the illuminance to the second illuminance; An object detecting unit installed at or adjacent to the lamp to generate an object detecting signal detecting a presence of a subject around the lamp and a distance measuring signal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lamp; And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lamp sequentially increasing from the first illuminance to the second illuminance or sequentially decreasing from the second illuminance to the first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signal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bject detecting unit. It includes a lam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amp to provide.

본 발명에서 상기 물체 감지부는, 상기 조명등 주변에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 센서; 및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bject detect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object around the lamp; And a distance measuring sens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amp.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상기 조명등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 제어부는 상기 조도검출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검출 신호에 따라 주간과 야간을 판별하여 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이 꺼지고, 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이 켜지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llumin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illumina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bient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lamp, the lamp control unit daytime by determining the day and night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detec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illumination detection sensor In one case, the lamp is turned off, and in the case of night, the lamp is controlled so that the lamp is turned on.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인 제 1 조도로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고,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조명등이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임의의 조도로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야간에 조명등이 과도하게 밝은 빛을 발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등에서 발생 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bject does not exist in the vicinity of the lamp, CCTV controls the illuminance to the first illuminance, which is the minimum illuminance for recognizing the subject, and when the subject exists near the lamp, the lamp may emit. Since the illuminance of the lamp is controlled by an arbitrary illuminance between the maximum illuminance and the first illuminance,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lamp from emitting excessively bright light at night but also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by the lamp.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의 조도를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조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CCTV를 통한 범죄 예방 및 범죄자 검거가 용이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llumination of the lamp is maintained above the illumination that the CCTV can recognize the subject, crime prevention and criminal arrest through CCTV is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등 제어부가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lamp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lluminance of a lamp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amp by the lamp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1.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들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lamp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조명등(10), 물체 감지부(20) 및 조명등 제어부(2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lamp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lamp 10, the object detecting unit 20 and the lamp control unit 20.

상기 조명등(10)은 집합건물이나 거리 등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도를 변경해가면서 집합건물이나 거리에 조명을 제공한다.The lamp 10 is installed in an assembly building or a street, and provides illumination to the assembly building or the street while changing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lamp control unit 20.

이러한, 상기 조명등(10)은 조명등(10)이 설치된 장소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조명등(10)에 설치되거나 야간에 상기 조명등(10)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예를 들면, CCTV)가 피사체(사람, 차량, 동물 등)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예를 들면, 조명등에서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 대비 50%)(이하, 제 1 조도라 함)를 제공한다.When the subject does not exist in the place where the illuminator 10 is installed, the illuminator 10 may be installed at the illuminator 10 or may photograph the subject using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or 10 at night. Minimum illuminance (for example, 50% of the maximum illuminance that can be emitted by a light) that a surveillance camera (for example, a CCTV) installed in a car can recognize a subject (a person, a vehicle, an animal, etc.) Called roughness).

또한, 상기 조명등(10)은 상기 조명등(10)이 설치된 장소에 피사체가 존재하거나 상기 피사체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제 1 조도에서 상기 조명등(10)이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중간 조도(예를 들면, 최대 조도 대비 75%)(이하, 제 2 조도라 함)까지 순차적으로 조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조도를 감소시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amp 10 is between the maximum illuminance and the first illuminance that the lamp 10 can emit in the first illuminance when the subject is present in the place where the lamp 10 is installed or the movement of the subject is detected. It is provided by increasing the illuminance sequentially up to an intermediate illuminance (for example, 75% of the maximum illumin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illuminance) or decreasing the illuminance sequentially from the second illuminance to the first illuminance.

이때, 제 2 조도는 상기 조명등(10)이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져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illuminance may have any value between the maximum illuminance that the lamp 10 can emit and the first illuminance.

상기 물체 감지부(20)는 상기 조명등(10)에 설치되거나 상기 조명등(10)과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10)이 설치된 장소에서의 피사체(차량, 사람, 동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물체감지 신호와 상기 조명등(10)이 설치된 장소에 상기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로 전송한다.The object detecting unit 20 is installed in the lamp 10 or adjacent to the lamp 10 to detect the presence of a subject (vehicle, person, animal) in the place where the lamp 10 is installed. When the object exists in the place where the object detection signal and the lamp 10 are installed, a distance measuring signal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amp 10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lamp controller 20.

이를 위해, 상기 물체 감지부(20)는 피사체(사람, 차량, 동물 등)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 센서(22)와 피사체와 조명등(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24)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object detecting unit 20 is an object detecting sensor 22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bject (person, vehicle, animal, etc.) and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24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amp 10. It is composed of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물체 감지부(20)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 되거나 상기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 되도록 상기 조명등(10)을 제어한다.The illuminator 20 may sequentially increase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or 10 from the first illuminance to the second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signal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bject detecting unit 20 or the second illuminance. To control the lamp 10 to be sequentially reduced to the first illuminance.

이러한,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제 1 조도와 제 2 조도 사이를 일정한 비율(예를 들면, 5단계)로 나누고, 상기 물체 감지부(20)의 거리측정 센서(24)로부터 전송되는 거리측정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원을 상기 조명등(10)에 공급하여 상기 조명등(10)의 조도를 제어한다.The lamp control unit 20 divides the first illuminance and the second illuminance into a predetermined ratio (for example, five levels), and measures the distance transmitted from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24 of the object detecting unit 20. The illuminance of the lamp 10 is controlled by supplying a power proportional to the signal intensity to the lamp 10.

여기서, 조명등 제어부(20)가 상기 조명등(10)이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가 아닌 제 2 조도까지만 상기 조명등(10)의 조도를 조절하는 이유는 최근 개발되고 있는 조명등(10)의 최대 조도가 불필요하게 높아 높은 소비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이다.Here, the reason that the lamp control unit 20 adjusts the illuminance of the lamp 10 only to the second illuminance that is not the maximum illuminance that the lamp 10 can emit is due to the maximum illuminance of the recently developed lamp 10. Unnecessarily high consumption of high power consumption.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의 기능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2 the function of the lamp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조명등(10)과 함께 설치되거나 조명등(10)에 인접한 곳에 설치된 물체 감지부(20)는 물체감지 센서(22)를 통해 해당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The object detecting unit 20 installed together with the lamp 10 or adjacent to the lamp 10 detects the presence of a subject around the lamp through the object detecting sensor 22.

이때, 해당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물체 감지부(20)의 물체감지 센서(22)는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물체감지 신호(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0")를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로 전송한다.In this case, when the subject does not exist around the lamp, the object detecting sensor 22 of the object detecting unit 20 detects an object detecting signal (eg, a digital signal “0”) indicating that the subject does not exist. Transmitting to the lamp control unit 20.

이에 따라,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조명등(10)이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 즉, 제 1 조도로 빛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제 1 조도를 발산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한다.Accordingly, the lamp control unit 20 may emit the first illuminance to the lamp 10 so that the lamp 10 emits light at the minimum illuminance that the CCTV can recognize the subject, that is, the first illuminance. Supply power.

이때,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디밍(Dimming)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등(10)에 전달되는 전원을 조절하거나 조명등(10)의 전원 값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 후 해당 전원 값을 상기 조명등(10)에 제공하여 상기 조명등(10)의 조도를 조절하는데, 해당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조명등(10)이 제 1 조도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전원을 상기 조명등(10)에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lamp control unit 20 adjusts the power delivered to the lamp 10 using a dimming signal or stores the power value of the lamp 10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and stores the corresponding power value in the lamp. Provided to (10)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amp 10, if there is no subject around the lamp, the lamp control unit 20 is the lamp 10 can provide the illumination of the first illuminance. Power is provided to the lamp 10.

이로 인해, 상기 조명등(10)은 그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 1 조도로 주변에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Thus, the lamp 10 provides illumination to the surroundings with the first illuminance when there is no subject in the surroundings.

한편, 물체 감지부(20)의 물체감지 센서(22)는 조명등(10)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 피사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물체감지 신호(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1")를 생성하고, 상기 물체 감지부(20)의 상기 거리측정 센서(24)는 해당 조명등과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object detecting sensor 22 of the object detecting unit 20 generates an object detecting signal (for example, the digital signal “1”) indicating that the subject exists when the subject exists near the lamp 10.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24 of the object detecting unit 2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lamp and the subject and transmits the distance to the lamp control unit 20.

이때, 거리측정 센서(24)는 피사체와 조명등(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거리측정 신호를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로 전달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24 transmits the distance measuring signal whose size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amp 10 to the lamp controller 20.

예를 들면, 상기 거리측정 센서(24)는 피사체가 조명등(10)에 가까워질수록 커지고 상기 피사체가 조명등(10)에서 멀어지면 작아지는 거리측정 신호를 조명등 제어부(20)로 전달한다.For example,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24 transmits to the lamp control unit 20 a distance measuring signal that becomes larger as the subject gets closer to the lamp 10 and becomes smaller as the subject moves away from the lamp 10.

한편,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물체 감지부(20)로부터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전원을 전달하거나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전원을 공급한다.Meanwhile, when the object detecting signal and the distance measuring signal are transmitted from the object detecting unit 20, the lamp control unit 20 may illuminate the illumination 10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measuring signal. Power is supplied to the lamp 10 so as to sequentially increase or power is supplied to the lamp 10 so that the illuminance of the lamp 10 is sequentially reduced from the second illuminance to the first illuminance.

즉,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피사체가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증가시키고, 상기 피사체가 B 위치에서 C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소시킨다.That is, the lamp control unit 20 supplies the power supplied to the lamp 10 so that the illuminance of the lamp 10 sequenti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illuminance to the second illuminance when the subject moves from the A position to the B position. When the subject moves from the B position to the C position, the power supplied to the lamp 10 is decreased so that the illuminance of the lamp 10 is sequentially decreased from the second illuminance to the first illuminance.

이상 상술한 설명에서는 조명등(10)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로 순차적으로 증가하거나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로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방법만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명등(10)이 제 1 조도로 빛을 발산하고,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10)이 제 2 조도로 빛을 발산하도록 조명등(10)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method in which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or 10 sequenti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illuminance to the second illuminance or sequentially decreases from the second illuminance to the first illuminance when the subject exists near the illuminator 10 is described. However, the lamp control unit 20 is such that the lamp 10 emits light in the first illuminance when the subject does not exist, and the lamp 10 emits light in the second illuminance when the subject exists.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lamp 1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조명등(10)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검출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mp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illuminance around the lamp (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가 상기 조도검출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조도검출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검출 신호에 따라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판별하고, 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10)이 꺼지도록 상기 조명등(1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10)이 켜지도록 상기 조명등(10)에 전원을 공급한다.When the lamp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the lamp control unit 20 determines whether it is day or night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detec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to the lamp 10 is cut off so that the lamp 10 is turned off. In the case of night, the lamp 10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 lamp 10 to be turned on.

이때,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물체 감지부(20)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10)이 제 1 조도로 빛을 발산하거나,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조도가 증가 되거나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조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전원을 공급한다.In this case, the lamp control unit 20 emits light in the first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signal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bject detection unit 20, or from the first illumination to the second illumina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lamp 10 so as to increase the illumination until the illumination decreases from the second illumination to the first illumination.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 1 조도를 조명등에서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 대비 50%라 하였으나, 상기 제 1 조도는 조명등의 종류에 따라 최대 조도 대비 50%~90%가 될 수 있고, 상기 제 2 조도 또한, 조명등의 종류에 따라 최대 조도 대비 75%~95%의 값을 가질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illuminance is 50% of the maximum illuminance that can be emitted from the lamp, but the first illuminance may be 50% to 90% of the maximum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lamp, and the second illuminance may also be Depending on the type of lighting, it can have a value of 75% to 95% of the maximum illumina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인 제 1 조도로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고,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조명등이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임의의 조도로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야간에 조명등이 과도하게 밝은 빛을 발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등에서 발생 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bject does not exist in the vicinity of the lamp, the lamp control apparatus controls the illuminance of the lamp as the first illuminance that is the minimum illuminance that the CCTV can recognize the subject, and the subject exists near the lamp. In this case,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or is controlled by an arbitrary illuminance between the maximum illuminance and the first illuminance that the illuminator can emit, so that it is not only possible to prevent the illuminator from emitting excessively bright light at night, but also the power generated by the illuminator. The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상기 조명등의 조도를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조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CCTV를 통한 범죄 예방 및 범죄자 검거가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lamp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prevent crime and criminal arrest through CCTV because the illumination of the lamp maintains the illumination more than the CCTV can recognize the subjec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10 : 조명등 20 : 물체 감지부
22 : 물체감지 센서 24 : 거리측정 센서
30 : 조명등 제어부
10: lighting 20: object detection unit
22: object detection sensor 24: distance measuring sensor
30: lighting control unit

Claims (3)

집합건물이나 거리에 설치되어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인 제 1 조도에서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조도를 변경해 가면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에 설치되거나 상기 조명등과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물체감지 신호와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물체 감지부; 및
상기 물체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이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조도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조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제어장치.
An illumination lamp installed in an assembly building or a street to provide illumination while sequentially changing illuminance from the first illuminance to the second illuminance between the maximum illuminance and the first illuminance that the CCTV can recognize the subject;
An object detecting unit installed at or adjacent to the lamp to generate an object detecting signal detecting a presence of a subject around the lamp and a distance measuring signal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lamp; And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signal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bject detecting unit, the illumination lamp provides illuminance that increases sequentially from the first illuminance to the second illuminance or decreases the illuminance sequentially decreasing from the second illuminance to the first illuminance. Lamp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lam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amp to prov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체 감지부는,
상기 조명등 주변에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 센서; 및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detecting unit,
An object detecting sensor detecting a presence of an object around the lamp; And
And a distance measuring sens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am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 제어부는 상기 조도검출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검출 신호에 따라 주간과 야간을 판별하여 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이 꺼지고, 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이 켜지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n illumina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bient illumination of the lamp,
The lamp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day and night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detec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illumination detection sensor to control the lamp so that the lamp is turned off during the day, the lamp is turned on in the night. Control unit.
KR1020110024891A 2011-03-21 2011-03-21 Light control device KR201201072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891A KR20120107288A (en) 2011-03-21 2011-03-21 Light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891A KR20120107288A (en) 2011-03-21 2011-03-21 Light contro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88A true KR20120107288A (en) 2012-10-02

Family

ID=4727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891A KR20120107288A (en) 2011-03-21 2011-03-21 Light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728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276B1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KR100781652B1 (en) Sensor lamp operation method
JP6014291B2 (en) Detection in the area
KR200446786Y1 (en) Lighting apparatus
AU2016256752B2 (en) Image sensor controlled lighting fixture
JP6290373B2 (en) Daylight daylighting system to prevent unauthorized changes
KR101266279B1 (en) Energy saving lighting system of underground parking lot
JP6157006B2 (en) Multi-region lighting controller
KR10153037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n lighting fixture
US20140252959A1 (en) Luminaire, and luminaire control method
KR20200098853A (en) Smart signal warning device that manages the pedestrian safety of smartphone users
KR101288458B1 (en) Lighting Device Using Video Content Analysis
KR200478477Y1 (en) Sensor light capable of using as a security light
US9839087B2 (en) Lighting system
KR100982356B1 (en) A lighting control unit of a parking zone and control method
KR2020008678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lligent ligh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14199B1 (en) A led lighting unit changing surrindings temperature and led lighting method thereof
KR20140102487A (en) LED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 LED driver and a sensing module
KR20130052472A (en) Light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for thereof
KR20120107288A (en) Light control device
KR20220033306A (en) Lighting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Lots
FI127633B (en) Luminaire and method in connection with the luminaire
KR101958104B1 (en) Led indicator for emergency exit
KR101087938B1 (en) Energy saving electricity illumination system using doppler sensor
KR200450116Y1 (en) Sensor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