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482A - Docking device for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ocking device for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6482A KR20120106482A KR1020110024617A KR20110024617A KR20120106482A KR 20120106482 A KR20120106482 A KR 20120106482A KR 1020110024617 A KR1020110024617 A KR 1020110024617A KR 20110024617 A KR20110024617 A KR 20110024617A KR 20120106482 A KR20120106482 A KR 201201064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king
- portable terminal
- interface
- image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9—Mechanical coup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킹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과 도킹 결합하는 도킹 디바이스 및 이에 따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k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ck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docking coupling with a portable terminal.
반도체 및 무선통신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MP3,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능들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되고 있다.As semiconduc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gradually developed, portable terminals hav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ameras, MP3s, the Internet, games, etc., in addition to basic telephone call functions, thereby enabling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In recent years, smart phones, which have been enhanced with such functions, have begun to spread,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smart phones have been developed in line with this trend.
그러나, 휴대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화면의 크기, 해상도, 스피커 성능 등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 has to consider portability and mobility, there is no limit to the size of the terminal,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creen size, resolution, speaker performance, etc. are also limited.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좋은 사용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일명, 도킹 스테이션)가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큰 화면과 좋은 성능의 스피커로 출력하여 이용해 왔다.In the prior art, in order to utilize data, sound source files, and content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a better use environment, a device (aka, docking station) capable of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a laptop or a computer and the like has been developed. Laptops, computers, and the like have been used to output data, sound files, and contents stored in portable terminals to speakers with larger screens and better performance.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 내장된 자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면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읽어 와서 출력하는 방식이며, 따라서 휴대 단말은 단순한 외부 저장 장치로서의 역할만 하였다.However, such a method is a method of reading and outputting data, sound source files, contents, etc. stored in a portable terminal while being driven by its own processor embedded in a laptop or a computer.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only serves as a simple external storage device.
그리고, 비록 휴대 단말에 탑재된 운영체제에 의해 동작하며 영상이나 음성을 자체 출력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도 일부 있었으나, 이는 휴대 단말의 운영체제가 해상도 변경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도킹 스테이션이 휴대 단말의 화면 크기에 해당하는 저해상도의 영상 신호를 단순히 확대 출력하여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lthough some docking stations operate by an operating system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output video or audio by themselves, this is becaus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support changing the resolution, so that the docking station has a screen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image quality was lowered by simply expanding and outputting a low-resolution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하여 사용할 때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도킹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ck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providing an optimal use environme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docked with the doc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 간 도킹 결합에 따라 상기 도킹 디바이스를 호스트로 하는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 도킹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ocking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host-device connection for setting the docking device as a host according to the docking coupling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ocking device,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trolled. do.
또한 본 발명은 도킹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도킹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ck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so that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that of the user working environment in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dock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도킹 결합하는 도킹 디바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cking device for docking coupling with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킹 디바이스는,The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킹 인터페이스부; 영상 출력 장치; 사용자 입력 장치; 및Docking interface unit; Video output device; User input device; And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도킹 관리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imag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is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and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device. And a docking manager configured to transmit a host control signal used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an input event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여기서,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는,Here, the docking interface unit,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An interface for receiving image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interface for inputting / outputting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휴대 단말과의 도킹 연결을 감지하는 도킹 감지부, 및 상기 휴대 단말 측으로 전원 공급을 하기 위한 전원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terfac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a docking detector for detecting a docking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ower output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여기서, 상기 영상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고,Here, the interface for inputting image data and the interface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re implemented as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standard interface.
상기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terface for data input and output may be implemented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standard interface.
여기서, 상기 도킹 관리부는,Here, the docking management unit,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도킹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 단말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하는 연결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docking according to the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for the first time, the power state of the docking device is activated, and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that of the user's working environment in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realized through the docking device. The connection set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establish a host-devic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여기서, 상기 도킹 관리부는,Here, the docking management unit,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docking according to the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first detected, the screen output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is turned on, and th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docking coupling tim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read. It may include a display control module for displaying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여기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c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output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as the host-device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키 패드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The user input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input device and a keypad input device.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 및 상기 키패드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cking manager may include an input event processor that receives the input event from at least one of the touch input device and the keypad input device and generates a ho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put event.
여기서, 상기 도킹 관리부는,Here, the docking management unit,
상기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image data regarding the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host control signal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여기서, 상기 도킹 관리부는,Here, the docking management unit,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을 턴 오프(turn 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슬립(sleep)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When the undock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physical separ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screen output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is turned off 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docking device is switched to a sleep mode. Can be.
여기서,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도킹 해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과의 도킹 연결을 통해 수행되던 작업의 최종 상태를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저장 장치로 저장시킬 수 있다.
Here, when the docking release signal is received, the docking manager may store a final state of a work performed through the docking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storage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 내에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 해상도 및 DPI(dot per inch)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도록 상기 화면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Here, the imag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mag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the screen image data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a screen resolution and a dot per inch (DPI)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docking de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image data may be image process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도킹 결합하는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riving a docking device that docks with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은,A driving method of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Receiving a dock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via a docking interface of the docking device; Activating an operation of the d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Establishing a host-devic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상기 도킹 결합 시점의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Receiving image data regarding a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docking combining time point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ransmitting a host control signal used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an input event received from a user input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여기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Here, the step of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docking device,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tivating a power state of the docking device and turning on a screen output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docking device.
여기서,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은,Here, the driving method of the docking device,
상기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image data regarding a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host control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And
상기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image data regarding the result screen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여기서,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은,Here, the driving method of the docking device,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가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n undock signal according to physical separ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상기 도킹 해제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을 턴 오프(turn 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슬립(sleep)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urning off a display screen output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or switch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ocking device to a sleep mode according to the docking release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docking device,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dock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via a docking interface of the docking device;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단계;Activating an operation of the d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Establishing a host-devic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상기 도킹 결합 시점의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Receiving image data regarding a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docking combining time point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따른 화면 영상에 관한 좌표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coordinate data about a screen image according to an input event received from a user input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according to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상기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생성된 단말 제어 신호에 기초한,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단말 동작 제어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의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image data regarding the result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erminal operation control in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data. step; And
상기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image data regarding the result screen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을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하여 사용할 때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도킹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ck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providing an optimal use environme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docked with the docking device can be provided.
또한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 간 도킹 결합에 따라 상기 도킹 디바이스를 호스트로 하는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cking coupling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ocking device, a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is performed using the docking device as a host,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trolled.
또한 도킹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the user working environment in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doc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내부 저장 장치부 및 외부 저장 장치부의 메모리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결합하는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도킹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 간의 도킹 연결 방식을 예시한 도면.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structure of an internal storage unit and an external storage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structure of dock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ocking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docking connection method between a dock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docking interface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내부 저장 장치부 및 외부 저장 장치부의 메모리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블록 구성도를 중심으로 도 2 및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대해서 설명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structure of an internal storage unit and an external storage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llustrates a structure of dock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8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cking interface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8 to 10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 장치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35), 영상 처리부(140), 내부 저장 장치부(150), 외부 저장 장치부(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한다. 전원부(190)는 단말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100 coupled to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some of the components in FIG. 1 may not necessarily be necessary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Of course it is possibl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lso, according to the type of portable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GPS receiving module, or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은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거나 또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lthough the mobile terminal 10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mobile terminal docked and coupled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terminal may be included or the terminal does not support the communication function.
A/V 입력 장치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 /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입력 장치 또는/및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various commands from a user, and its implement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pad input device and / or a touch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센싱부(135)는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nsing unit 135 may include various sensors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ntact sensor, and the like to implement additional functions /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영상 처리부(14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이 도킹 결합되었을 때,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해상도 변경 처리, 신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40 converts / processes an image signal or data.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is docked coupl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이때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SD 카드, USB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결합된 상태의 도킹 디바이스(200)도 외부 저장 장치부(155)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에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The internal storage unit 150 and the external storage unit 155 are used as a data storag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ternal storage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RAM, SDRAM, flash memory, or the like. The external storage unit 155 may be implemented as an SD card, a USB memory, or the like.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의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그 메모리구성이 부트 로더, 부트 정보, 도킹 정보, 제1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영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운영 체제는 휴대 단말(100)이 스탠드 얼론(stand alone)으로 동작할 때 상기 부트 로더가 로딩해야 할 운영 체제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도킹 정보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기능의 설정에 관한 정보이다(도 3 참조). 이때, 도킹 정보에는 도킹될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예를 들어, 해당 도킹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해당 도킹 디바이스 별 해상도 정보(도 3 참조) 등)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그 메모리 구성이 운영 체제 정보, 제2 내지 제n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영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운영 체제 정보는 제2 내지 제n 운영 체제 및 그 주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필수 구성 요소에 해당되지 않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2, an internal storage device 15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classified into a boot loader, boot information, docking informati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a user area, and the like. Here, the first operating system refers to an operating system to be loaded by the boot loader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operates stand alone. In addition, the dock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etting of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image output device 160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panel, an AMOLED, and the lik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65 may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휴대 단말(100)로부터 도킹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상호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172),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들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그 도킹 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휴대 단말(100)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When the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한 구체적 구성 예가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하 설명할 도 8 내지 도 10은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이하, 각 예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A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표준, 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I2S(inter IC sound)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는 별도의 LVDS 변환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8에서(도 9도 동일함) USB 표준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200) 이외의 일반적인 외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In FIG. 8 (the same as FIG. 9), the USB standard interface may be used for data input / output with a general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의하면, 도킹 인터페이스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HDMI 또는 USB 단자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과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영상/오디오를 위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 전자기기 등에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의 HDMI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등을 해당 전자기기로 미러링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에이전트 모듈(1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킹 에이전트 모듈(180)은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내부 저장 장치부(150)로부터 도킹 정보를 읽어들여 그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도킹 에이전트 모듈(180)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particula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docking agent module 182 that performs an operation control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docking combination with the
이상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 가능한 휴대 단말(100)에 대해서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100)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dockable with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5는 도킹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외관 구현 디자인 중 일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명확히 해둔다.4 is a block diagram of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various appearance implementation designs for the docking device, thereby clarifying that the d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200)는,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터치 입력 장치(230), 키 패드 입력 장치(235), 신호 처리부(240),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저장 장치부(260), 도킹 관리부(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터치 입력 장치(230), 키 패드 입력 장치(235), 저장 장치부(260), 전원부(280)는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인 바,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및 도킹 관리부(27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4 and 5, the
먼저,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부분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페어(pair)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앞선 도 8 내지 도 10 참조)을 가질 수 있다.First, the
즉,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킹 결합시,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252),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254), 휴대 단말(100)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2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이외에도 휴대 단말(100)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도킹 감지부(미도시), 휴대 단말(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출력부(또는 단자, 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일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 본체 내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251) 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 간의 도킹 결합은, 그 두 장치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및 250) 간이 서로 물리적 결합(또는 접촉)되도록, 도킹 디바이스(200)의 단말 삽입부(251)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여기서, 도 5의 경우는, 휴대 단말(100)이 단말 삽입부(25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 삽입부(251)의 디자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일 부위(여기에는 도킹 인터페이스(170)는 포함되어야 함)만이 삽입되는 형태로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패드 형상을 갖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예시하였지만, 도킹 디바이스(200)는 매우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어, 패드 타입이 아닌 노트북 타입, 슬라이드 타입이 아닌 바 타입 등)을 가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도킹 관리부(2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결합시,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연결 설정부(272),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연결 설정부(272)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됨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예를 들어, 대기 전원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설정부(272)는, 그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이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영상 및 오디오 출력 환경/ 데이터 입출력 환경 등)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은,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도킹 관리부(27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출력 장치(210)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한다.In the docking combined state,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utput to the screen of the
이때,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화면 영상 데이터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의 출력 해상도에 맞지 않는 영상 데이터인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은 그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키기 위해서 신호 처리부(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신호 처리부(240)는 이외에도 영상 신호의 포맷 변환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when the screen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is image data that does not match the output resolution of the
또한, 도킹 결합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도 4의 도면부호 230 및 235 참조)로부터 입력 이벤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이벤트 등)를 수신한 경우,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는,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 및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an input event (for example, a touch input event, etc.) from an input device (see
이에 따라, 호스트 제어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100)은, 그 호스트 제어 신호에 따른 단말 동작의 제어를 실행하고, 그 제어 결과에 따른 결과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다시 도킹 디바이스(200)로 넘겨주게 된다. 이때, 전송받은 결과 영상 데이터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 의하면, 사용자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서, 그와 도킹 결합된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결과 화면은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ing the host control signal executes control of the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host control signal, and passes the data regarding the resultant image according to the control result back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관리부(270)에 의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입력 이벤트에 기초하여 생성된 호스트 제어 신호에 의해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호스트(host)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화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측 기능(즉, 호스트-디바이스 관계에서 디바이스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에서는 도킹 결합 상태의 도킹 디바이스(200)가 휴대 단말(100)과 동일한 사용자 작업 환경을 갖추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으로서,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과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의 처리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또는 그 설계 사양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과 입력 이벤트 처리 기능 이외의 기능이 추가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는 스탠드 얼론(stand 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태블릿 PC/패드/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configured as above, the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결합되는 두 개의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및 도킹 디바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킹 결합 상태에서의 도킹 디바이스(200)의 구동 방법(즉,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So far,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결합하는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ocking device combined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6 및 도 7은, 특히, 도킹 결합 시점으로부터 도킹 해제될 때까지의 도킹 디바이스(200)의 구동 방식을, 영상 출력 및 입력 이벤트 발생의 경우를 중심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따라서, 도킹 결합 상태에서의 다른 대표적 몇몇 기능들에 대한 동작 제어 방식에 대해서는 별도 후술하기로 한다.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in particular, a driving method of the
도 6의 단계 S610에서,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도킹 디바이스(2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지면, 단계 S620에서, 도킹 관리부(270)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활성화 전환시킨다. 예를 들어, 도킹 디바이스(200)는 스탠드 얼론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장치일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도킹 결합에 따른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도킹 관리부(270)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전원 상태를 대기 전원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영상 출력 장치(210)의 출력 화면을 자동으로 턴 온 시킬 수 있다.In step S610 of FIG. 6, when the
또한 도킹 관리부(270)는, 단계 S630에서, 휴대 단말(100)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단계 S640에서, 도킹 관리부(27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그 도킹 결합 시점의 화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계 S650에서, 그 수신된 화면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As the host-device connection is set up as described above, in step S640, the
이때,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화면 영상 데이터는, 그 해상도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출력 영상 해상도에 맞춰진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100)은 최초 도킹 연결 상태에서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creen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image data whose resolution is matched to the output image resolution of the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고,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전에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도킹 디바이스(200)의 해상도 정보는,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된 이후 도킹 디바이스(200)로부터 읽어들여 획득한 것일 수도 있고, 미리 도킹 결합 가능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즉, 상술한 도킹 정보)를 저장해두고 있다가 실제 도킹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찾아낼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btains the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판단 결과에 따라,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해당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40)를 통해 해상도 변경 처리한 후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해상도 변경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 자체를 해상도 변경 없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해상도 변경이 불 필요한 경우란, 일반적으로, 원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해상도와 동일하거나 호환 가능한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호환 가능한 정도인 경우를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 경우로 볼 것인지 아니면 불필요한 경우로 볼 것인지는 단말 디자인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when a resolution change is necessary, the controller 180 performs a resolution change process on the image of the screen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t the time of docking combining through the image processor 140 and then docks the device ( 200). On the contrary, when the resolution change is unnecessary, the image data pertaining to the screen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t the time of docking coupling may be transmitted to the
또한, 이상에서는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가 불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100) 측에서 해상도 변경 처리를 하여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경우를 중심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일 수도 있다. 즉,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 불일치의 경우, 휴대 단말(100)은 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받은 도킹 디바이스(200)가 해당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변경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resolution of the docked devices is inconsistent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resolution change processing to the
또한 상술한 단계 S650 및 S655에서는,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 불일치의 경우만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양자 간 해상도 자체는 일치하더라도 각 디바이스가 갖는 화면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는 영상의 DPI(dot per inch)를 변경해줄 필요도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영상의 DPI 변경은, 휴대 단말(100) 측의 영상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되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도 있고, 도킹 디바이스(200)는 DPI 변경 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도킹 디바이스(200) 측의 신호 처리부(240)가 이러한 DPI 변경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steps S650 and S655, only the case of resolution mismatch between the docked devices is assumed. However, even if the resolution itself is the same, when the screen size of each device is different, the DPI (dot per inch) of the image is changed. Of course, you may need to. Even in this case, the DPI change of the image may b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140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ransmitted to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상도 변경 또는/및 DPI 변경 등과 같은 영상 데이터 처리를 통해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에 최적화된 화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image optimized to the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출력된 영상을 통해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한 작업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user may experience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imag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예를 들어,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 출력된 화면 영상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터치 입력 장치(230) 등을 이용한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는, 단계 S710에서, 터치 입력 장치(230) 등을 통한 입력 조작에 의해 발생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단계 S720에서,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호스트 제어 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에서 휴대 단말(100)의 동작/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제어 신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호스트 제어 신호는 단계 S730에서, 휴대 단말(100)로 전송된다.For example, based on a screen image output through the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휴대 단말(100)이 도킹 디바이스(200)로부터 상기 호스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80)는 그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그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의 동작 제어의 실행 결과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도킹 관리부(270)는 단계 S740 및 S750에 따라,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서 출력한다.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host control signal from the
이에 대한 구체적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표시된 특정 어플(이는 실제로는 휴대 단말(100)에 탑재된 어플이며,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상에서 볼 수 있도록 영상 표시되는 것을 의미함)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도킹 디바이스(200)의 터치 입력 장치(230)를 이용하여 더블 클릭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더블 클릭 동작을 인식한 도킹 디바이스(200)는 그 입력 이벤트를 해석하고, 이에 대한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휴대 단말(100)로부터 해당 어플이 사용자의 선택(더블 클릭) 동작에 따라 실행되었을 때의 결과 화면을 수신받아 출력할 수 있음이 그 예이다.As a specific example for this, the user displays a specific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ocking device 200 (this is actually an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ocking device 200). It may be assumed that a user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double clicking by using the
물론 이상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가 입력 이벤트를 해석하여 그에 따른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같이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른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앞선 단계 S710 ~ S730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그 도킹 디바이스(200) 측이 호스트(host)로서 기능하고 휴대 단말(100) 측이 클라이언트(client)로서 기능하는 경우의 구현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일 수도 있다. 즉, 도킹 디바이스(200)는 입력 이벤트를 해석하지 않은 상태의 정보(예를 들어, 터치 인식된 좌표 정보)만을 휴대 단말(100)로 전송해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100) 측에서 해당 입력 이벤트에 따른 화면 영상 내의 좌표 정보에 대한 해석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100) 측에서 직접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에도 그 단말 제어 신호에 의한 단말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는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며, 그 전송된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Of cours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상술한 과정은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 도킹 연결 상태가 끊어지기 전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repeated until the docking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단계 S760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끊어지면(즉, 디바이스 간 분리가 감지되면), 단계 S770에서, 도킹 관리부(270)는 수신된 도킹 해제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연결을 해제한다. 도킹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도킹 관리부(270)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 상태를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도킹 분리되면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출력을 턴 오프하거나, 도킹 디바이스(200)를 슬립 모드(sleep mode, 즉 전원 절약 모드)로 전환하거나, 전원 상태를 대기 전원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킹 분리에 따른 동작 상태의 변경은 도킹 분리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일정 시간 경과후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step S760, when the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broken (that is, when the separation between the devices is detected), in step S770, the
또한, 도킹 분리된 경우, 도킹 관리부(270)는 도킹 연결 상태에서 수행되던 작업의 최종 상태를 도킹 디바이스(200) 자체 내의 저장 장치부(26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휴대 단말(100)의 경우에도 도킹 연결이 해제된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연결을 통해 수행되던 작업의 최종 상태를 휴대 단말의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전과 동일한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이 다시 이루어지는 경우, 이전에 중단되었던 작업이 그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다시 속행될 수 있도록, 이전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상태를 복구하고, 상기 최종 상태의 작업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해줄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ocking is detached,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easily.
200 : 도킹 디바이스 210 : 영상 출력 장치
220 : 오디오 출력 장치 230 : 터치 입력 장치
235 : 키 패드 입력 장치 250 : 도킹 인터페이스부
270 : 도킹 관리부 272 : 연결 설정부
274 :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276 : 입력 이벤트 처리부200: docking device 210: video output device
220: audio output device 230: touch input device
235: keypad input device 250: docking interface unit
270: docking management unit 272: connection setting unit
274: display control module 276: input event processing unit
Claims (15)
도킹 인터페이스부;
영상 출력 장치;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도킹 관리부
를 포함하는 도킹 디바이스.
A docking device docked with a portable terminal,
Docking interface unit;
An image output device;
User input device; And
According to the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imag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is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and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device. A docking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a host control signal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an input event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Dock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휴대 단말과의 도킹 연결을 감지하는 도킹 감지부, 및 상기 휴대 단말 측으로 전원 공급을 하기 위한 전원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docking interface unit,
An interface for receiving image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interface for inputting / outputting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an interfac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a docking detector for detecting a docking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ower output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Docking device.
상기 영상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face for inputting image data and the interface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re implemented as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standard interface.
The interface for data input and outpu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as a USB (Universal Serial Bus) standard interface.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도킹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 단말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하는 연결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docking management unit,
When the docking according to the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for the first time, the power state of the docking device is activated, and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that of the user's working environment in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realized through the docking device. And a connection setting unit configured to establish a host-devic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docking management unit,
When the docking according to the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first detected, the screen output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is turned on, and th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docking coupling tim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read. And a display control module for displaying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상기 휴대 단말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도킹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n audio output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from the portable terminal as a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made.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키 패드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 및 상기 키패드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put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input device and a keypad input device.
The docking management unit,
And an input event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he input event from at least one of the touch input device and the keypad input device, and generate a ho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put event.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docking management unit,
And a video data relating to a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host control signal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을 턴 오프(turn 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슬립(sleep)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docking management unit,
When the docking release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physical separ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screen output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is turned off 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docking device is switched to a sleep mode. A d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도킹 해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과의 도킹 연결을 통해 수행되던 작업의 최종 상태를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저장 장치로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ocking manager, when the docking release signal is received, the d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final state of the work performed through the docking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storage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 내에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 해상도 및 DPI(dot per inch)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도록 상기 화면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한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the screen image data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a screen resolution and a dot per inch (DPI)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docking de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A docking device, which is one image data.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도킹 결합 시점의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docking device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a dock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via a docking interface of the docking device;
Activating an operation of the d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Establishing a host-devic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Receiving image data regarding a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docking combining time point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Transmitting a host control signal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an input event received from a user input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Method of driving a dock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docking device,
Activating a power state of the docking device;
And turning on a screen output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docking device.
상기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Receiving image data regarding a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host control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And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regarding the result screen through the image output apparatus.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도킹 결합 시점의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따른 화면 영상에 관한 좌표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생성된 단말 제어 신호에 기초한,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단말 동작 제어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의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킹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In the driving method of the docking device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a dock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via a docking interface of the docking device;
Activating an operation of the d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Establishing a host-devic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Receiving image data regarding a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docking combining time point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Transmitting coordinate data about a screen image according to an input event received from a user input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according to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Receiving,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image data regarding the result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erminal operation control in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data. step; And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regarding the result screen through the image output apparatu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617A KR20120106482A (en) | 2011-03-18 | 2011-03-18 | Docking device for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617A KR20120106482A (en) | 2011-03-18 | 2011-03-18 | Docking device for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6482A true KR20120106482A (en) | 2012-09-26 |
Family
ID=4711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4617A KR20120106482A (en) | 2011-03-18 | 2011-03-18 | Docking device for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0648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5397A (en) * | 2014-09-23 | 2016-03-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display apparatus |
-
2011
- 2011-03-18 KR KR1020110024617A patent/KR2012010648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5397A (en) * | 2014-09-23 | 2016-03-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display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24615A (en)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554599B1 (en)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running application thereof | |
KR101474927B1 (en) | Method for outputting image data from terminal to display device and terminal thereof | |
US9304544B2 (en) |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external device | |
US11353968B2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coordinates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 |
KR20130073262A (en) |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rom handheld terminal to display device and handheld terminal thereof | |
US20090160733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US9542338B2 (en) | Controlling applications according to connection state and execution condition | |
KR20190043015A (en) |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and control method | |
KR101277657B1 (en) | Method for handling input event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
KR102514763B1 (en) | Method for utilizing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 |
KR20130003645A (en) |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
KR20120106480A (en)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
KR20130074827A (en)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terminal guide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pplying terminal environment | |
US20150092326A1 (en) | Detachable screen accessory | |
KR2014000856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 |
JP5060979B2 (en) |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 |
KR20120106482A (en) | Docking device for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
AU2009266567A1 (en) | Terminal apparatus using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 |
KR101522401B1 (en)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image thereof | |
KR101485156B1 (en) | Mobile terminal docking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485154B1 (en) |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
US20150145767A1 (en) |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 |
KR20140045966A (en)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image thereof | |
KR101485155B1 (en)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docking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web pag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