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480A -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480A
KR20120106480A KR1020110024615A KR20110024615A KR20120106480A KR 20120106480 A KR20120106480 A KR 20120106480A KR 1020110024615 A KR1020110024615 A KR 1020110024615A KR 20110024615 A KR20110024615 A KR 20110024615A KR 20120106480 A KR20120106480 A KR 20120106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external device
portable terminal
interfa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5149B1 (en
Inventor
이정욱
고상호
박정석
안지용
이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1002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149B1/en
Publication of KR20120106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4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9Mechan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combining an external device equipped with a docking interface uni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upply an optimal use environment by docking a portable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CONSTITUTION: If a docking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docking interface(170), a controlling unit(180) switches an operation mode of a portable terminal into a docking connection mode. The controlling unit transmits image data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in order to display the image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Reference numerals]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V input device unit; (130) User input unit; (135) Sensing unit; (140) Image processing unit; (150) Internal storing device unit; (155) External storing device unit; (160) Image output device; (165) Audio output device; (170) Docking interface unit; (172) Image input/output I/F; (174) Audio input/output I/F; (176) Data input/output I/F; (180) Controlling unit; (182) Docking agent module; (190) Power unit

Description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Mobile terminal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이에 따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docked and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반도체 및 무선통신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MP3,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능들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되고 있다.As semiconduc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gradually developed, portable terminals hav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ameras, MP3s, the Internet, games, etc., in addition to basic telephone call functions, thereby enabling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In recent years, smart phones, which have been enhanced with such functions, have begun to spread,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smart phones have been developed in line with this trend.

그러나, 휴대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화면의 크기, 해상도, 스피커 성능 등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 has to consider portability and mobility, there is no limit to the size of the terminal,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creen size, resolution, speaker performance, etc. are also limited.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좋은 사용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일명, 도킹 스테이션)가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큰 화면과 좋은 성능의 스피커로 출력하여 이용해 왔다.In the prior art, in order to utilize data, sound source files, and content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a better use environment, a device (aka, docking station) capable of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a laptop or a computer and the like has been developed. Laptops, computers, and the like have been used to output data, sound files, and contents stored in portable terminals to speakers with larger screens and better performance.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 내장된 자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면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읽어 와서 출력하는 방식이며, 따라서 휴대 단말은 단순한 외부 저장 장치로서의 역할만 하였다.However, such a method is a method of reading and outputting data, sound source files, contents, etc. stored in a portable terminal while being driven by its own processor embedded in a laptop or a computer.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only serves as a simple external storage device.

그리고, 비록 휴대 단말에 탑재된 운영체제에 의해 동작하며 영상이나 음성을 자체 출력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도 일부 있었으나, 이는 휴대 단말의 운영체제가 해상도 변경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도킹 스테이션이 휴대 단말의 화면 크기에 해당하는 저해상도의 영상 신호를 단순히 확대 출력하여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lthough some docking stations operate by an operating system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output video or audio by themselves, this is becaus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support changing the resolution, so that the docking station has a screen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image quality was lowered by simply expanding and outputting a low-resolution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하여 사용할 때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providing an optimal use environme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docked and used with an exter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 간 도킹 결합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호스트로 하는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to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is made by the docking coupling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do.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 단말 내에서의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 영상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in which a result screen im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 간의 도킹 결합 시, 그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 환경에 맞게 해상도, DPI 등이 변경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when the docking coupling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is possible to transmit image data whose resolution, DPI, etc., are changed to match the use environment of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docking coupling with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은,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Docking interface unit; And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is received,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and the screen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imag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여기서,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는,Here, the docking interface unit,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의 영상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An interface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and an interface for inputting / outputting data with the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한 전원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terface for outputting audio to the external device and a power input unit for receiving power supply from the external device.

여기서, 상기 영상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interface for image output and the interface for audio output may be implemented as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standard interface, and the interface for data input / output may be implemented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standard interface.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은,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Here,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mage processor which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image data,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킹 결합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 해상도 및 DPI(dot per inch)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되,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screen resolution and a dot per inch (DPI)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device information of the docked and coupled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상기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의 상기 화면 해상도 및 상기 DPI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도록 영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The imag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mag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may be image data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screen resolution and the DPI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여기서, 상기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Here, when the switch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he control unit,

상기 휴대 단말의 오디오 출력부의 동작을 불활성화시키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Disable the operation of the audio out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 the audio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so that the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have.

여기서, 상기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Here, when the switch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he control unit,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을 턴 오프(turn 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상태를 슬립(sleep)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The display screen output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turned off 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a sleep mode.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은 이동 통신 단말이되,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휴대 단말이 통화 연결을 위한 착신 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If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 incoming call for a call connection after the switch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he controller,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의 턴 온(turn on),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상태를 상기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wake up) 모드로 전환, 상기 도킹 연결 모드의 해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urning on the display screen output, switch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 up mode, and releasing the docking connection mode may be performed.

여기서, 상기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Here, when the switch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he control unit,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상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Host-devic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so that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that of the user working environment in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realized through the screen imag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You can perform the setup.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Here, the control unit,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When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is made, when a ho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상기 수신된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host control signal may be controlled to be executed, and image data regarding a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Here, the control unit,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입력 이벤트에 따른 화면 영상에 관한 좌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When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is made, when coordinate data regarding a screen image according to an input event generated from the external device is received,

상기 수신된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는 단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단말 제어 신호에 기초한 단말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ordinate data may be generated, and image data about a result screen according to terminal operation control based on the terminal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Here, the control unit,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통해 수행되던 작업의 최종 상태를 상기 휴대 단말의 저장 장치로 저장하고, 상기 도킹 연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When the undock signal according to physical separ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received, a final state of a work performed through the docking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ocking connection mode is released. Can be.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Here, the control unit,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결합이 다시 감지되는 경우, 이전에 중단된 작업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서 다시 속행될 수 있도록,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상태를 복구하고 상기 최종 상태의 작업에 관한 화면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docking bond with the external device is detected again, the host-device connection state is restored and the screen image data regarding the final state of the job is restored so that the previously interrupted job can be continu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again. The transmiss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하는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riving a portable terminal d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은,A driv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 단말의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dock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docking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docking connection mode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상기 도킹 결합 시점의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imag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docking combining time point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host-device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external device via the docking interface;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 ho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according to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And

상기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host control signal to be executed, and transmitting image data regarding the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은,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 단말의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dock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docking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docking connection mode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상기 도킹 결합 시점의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imag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docking combining time point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host-device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external device via the docking interface;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입력 이벤트에 따른 화면 영상에 관한 좌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coordinate data regarding a screen image according to an input event generat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according to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And

상기 수신된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여 단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기초한 단말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Generating a terminal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coordinate data, and transmitting image data regarding a result screen according to terminal operation control based on the terminal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

여기서,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은,Here, the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도킹 결합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screen resolution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device information of the docked coupled external device; And

상기 획득된 화면 해상도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한 해상도 변경된 화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resolution-changed screen image data obtained by image-processing the screen image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about the screen resolution.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는,Here, the step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상기 휴대 단말의 오디오 출력부의 동작을 불활성화시키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Disabling an operation of an audio out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은 턴 오프시키는 단계와,Turning off the display screen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상태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witch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sleep mode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tep 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하여 사용할 때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ptimal use environmen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docked and used with an external device.

또한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 간 도킹 결합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호스트로 하는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cking coupling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is performed using the external device as a host,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휴대 단말 내에서의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 영상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lso, the result screen im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또한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 간의 도킹 결합 시, 그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 환경에 맞게 해상도, DPI 등이 변경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docking coupling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image data whose resolution, DPI, etc.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of the external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내부 저장 장치부 및 외부 저장 장치부의 메모리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structure of an internal storage unit and an external storage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structure of dock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cking interface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내부 저장 장치부 및 외부 저장 장치부의 메모리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블록 구성도를 중심으로 도 2 및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대해서 설명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structure of an internal storage unit and an external storage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llustrates a structure of dock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8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cking interface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8 to 10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 장치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35), 영상 처리부(140), 내부 저장 장치부(150), 외부 저장 장치부(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한다. 전원부(190)는 단말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100 coupled to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nd a sensing unit ( 135, an image processor 140, an internal storage unit 150, an external storage unit 155, an image output device 160, an audio output device 165, a docking interface unit 170, and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for charging the terminal.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some of the components in FIG. 1 may not necessarily be necessary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Of course it is possibl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lso, according to the type of portable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GPS receiving module, or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은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거나 또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lthough the mobile terminal 10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mobile terminal docked and coupled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terminal may be included or the terminal does not support the communication function.

A/V 입력 장치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and a microphon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입력 장치 또는/및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various commands from a user, and its implement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pad input device and / or a touch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센싱부(135)는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nsing unit 135 may include various sensors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ntact sensor, and the like to implement additional functions /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영상 처리부(14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이 도킹 결합되었을 때,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해상도 변경 처리, 신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40 converts / processes an image signal or data.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is docked coupl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the resolution change processing, signal conversion for the imag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200 Treatment and the like.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이때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SD 카드, USB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결합된 상태의 도킹 디바이스(200)도 외부 저장 장치부(155)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에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The internal storage unit 150 and the external storage unit 155 are used as a data storag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ternal storage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RAM, SDRAM, flash memory, or the like. The external storage unit 155 may be implemented as an SD card, a USB memory, or the like.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device 200 in a docked state may also function as the external storage unit 15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ata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unit 150 and the external storage unit 155.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의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그 메모리구성이 부트 로더, 부트 정보, 도킹 정보, 제1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영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운영 체제는 휴대 단말(100)이 스탠드 얼론(stand alone)으로 동작할 때 상기 부트 로더가 로딩해야 할 운영 체제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도킹 정보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기능의 설정에 관한 정보이다(도 3 참조). 이때, 도킹 정보에는 도킹될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예를 들어, 해당 도킹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해당 도킹 디바이스 별 해상도 정보(도 3 참조) 등)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그 메모리 구성이 운영 체제 정보, 제2 내지 제n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영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운영 체제 정보는 제2 내지 제n 운영 체제 및 그 주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필수 구성 요소에 해당되지 않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2, an internal storage device 15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classified into a boot loader, boot information, docking informati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a user area, and the like. Here, the first operating system refers to an operating system to be loaded by the boot loader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operates stand alone. In addition, the dock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etting of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docking device 2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see FIG. 3). In this case, the docking information may include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to be docked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ocking device, resoluti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docking device (see FIG. 3), etc.). In additio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55 may be divided into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second to n-th operating systems, application programs, and user areas. Here, the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to nth operating systems and their addresses. However,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55 does not correspond to an essential component, of course.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image output device 160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panel, an AMOLED, and the lik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65 may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휴대 단말(100)로부터 도킹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상호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172),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들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그 도킹 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휴대 단말(100)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When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is physically dock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outputs image data, an audio signal output, and a portable terminal (eg,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docking device 200). 1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may include an interfac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To this end, the docking interface 170 may include an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172, an audio input / output interface 174, a data input / output interface 176,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1. Of course, in some embodiments, fewer or more interfaces may be included than the interfaces shown in FIG. 1. For example, the docking interface 170 may not include the audio input / output interface 174 according to the design. As another example,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may be a power input terminal (not shown) that functions as a passage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docking device 200 side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 docked state with the docking device 200. )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terfaces according to a design scheme.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한 구체적 구성 예가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하 설명할 도 8 내지 도 10은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이하, 각 예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A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is illustrated through FIGS. 8 to 10. 8 to 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amples, and various interfaces may be configured. Hereinafter, each example is briefly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표준, 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I2S(inter IC sound)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는 별도의 LVDS 변환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is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standard, audio as an interface for image input / output when docked with the docking device 200. An example of using an inter IC sound (I2S) standard as an interface for input / output and an inter integrated circuit (I2C) standard as an interface for data input / output is shown. In this case, the docking device 200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need to have a separate LVDS converter.

도 8에서(도 9도 동일함) USB 표준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200) 이외의 일반적인 외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In FIG. 8 (the same as FIG. 9), the USB standard interface may be used for data input / output with a general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dock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is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tandard as an interface for video / audio input / output when docked with the docking device 200. An example of using an I2C standard as an interface for data input and output is shown.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의하면, 도킹 인터페이스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is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s an interface for input / output of video / audio when docked with the docking device 200. Standard, an example of using the Universal Serial Bus (USB) standard as an interface for data input and output. According to FIG.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rsatility of the docking interface can be ensu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HDMI 또는 USB 단자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과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영상/오디오를 위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 전자기기 등에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의 HDMI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등을 해당 전자기기로 미러링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connecting to an electronic device or a home appliance having an HDMI or USB terminal, the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udio can be output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and audio output device of the above electronic device or home appliance.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HDMI or USB terminal of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such as general electronic devices that do not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ocking device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can be mirror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에이전트 모듈(1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킹 에이전트 모듈(180)은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내부 저장 장치부(150)로부터 도킹 정보를 읽어들여 그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도킹 에이전트 모듈(180)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particula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docking agent module 182 that performs an operation control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docking combination with the docking device 200. At this time, the docking agent module 180 reads the docking information from the internal storage unit 150 when docking with the docking device 2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docking combination. The docking agent module 180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이하,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도킹 에이전트 모듈(180)을 탑재한 제어부(180)에서의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6 및 도 7의 설명에 앞서, 그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도킹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hen docking is coupled with the docking device 200, a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controller 180 equipped with the docking agent module 1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is will be described. However, 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S. 6 and 7, the docking device 200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5는 도킹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외관 구현 디자인 중 일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명확히 해둔다.4 is a block diagram of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various appearance implementation designs for the docking device, thereby clarifying that the d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200)는,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터치 입력 장치(230), 키 패드 입력 장치(235), 신호 처리부(240),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저장 장치부(260), 도킹 관리부(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터치 입력 장치(230), 키 패드 입력 장치(235), 저장 장치부(260), 전원부(280)는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인 바,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및 도킹 관리부(27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4 and 5, the dock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output device 210, an audio output device 220, a touch input device 230, and a keypad input device 235. ), A signal processor 240, a docking interface unit 250, a storage device unit 260, a docking manager 270, and a power supply unit 280. Here, the image output device 210, the audio output device 220, the touch input device 230, the keypad input device 235, the storage device unit 260, and the power supply unit 280 are the portable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ba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the docking interface 250 and the docking manager 270 will be described.

먼저,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부분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페어(pair)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앞선 도 8 내지 도 10 참조)을 가질 수 있다.First, the docking interface unit 250 is physically docked with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form a host-devic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Connector part. Accordingly, the docking interface unit 250 may be in a pair relationship with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case the same interface as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It may have a configuration (see FIG. 8 to 10 above).

즉,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킹 결합시,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252),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254), 휴대 단말(100)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2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이외에도 휴대 단말(100)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도킹 감지부(미도시), 휴대 단말(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출력부(또는 단자, 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docking interface unit 250, when docked and coupled, the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252 for receiving image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audio input / output interface 254 for receiving audio signals,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It may include an interface 256 for data input and output to and from. In addition, the docking interface unit 250 may include a docking detection unit (not shown) that detects a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 power output unit that functions as a passag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erminals, not shown).

일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 본체 내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251) 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 간의 도킹 결합은, 그 두 장치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및 250) 간이 서로 물리적 결합(또는 접촉)되도록, 도킹 디바이스(200)의 단말 삽입부(251)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ocking interface unit 250 is shown in Figure 5, the docking device 200, the specific portion in the terminal insertion unit 251 is provided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Can be formed.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coupling between the docking device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docked such that the docking interface portions 170 and 250 of the two devices are physically coupled (or contacted) with each other.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unit 251 of the device 200.

여기서, 도 5의 경우는, 휴대 단말(100)이 단말 삽입부(25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 삽입부(251)의 디자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일 부위(여기에는 도킹 인터페이스(170)는 포함되어야 함)만이 삽입되는 형태로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패드 형상을 갖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예시하였지만, 도킹 디바이스(200)는 매우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어, 패드 타입이 아닌 노트북 타입, 슬라이드 타입이 아닌 바 타입 등)을 가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unit 251, but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terminal insertion unit 251, a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here The docking interface 170 should be included), but only a physical docking coupling may be made in such a manner that only the docking interface 170 is inserted. In addition, although FIG. 5 illustrates a docking device 200 having a slide-type pad shape, the docking device 200 may include a variety of designs (for example, a notebook type other than a pad type, a bar type other than a slide type, etc.). Of course you can have.

도킹 관리부(2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결합시,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연결 설정부(272),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manager 270 controls overall operation of the docking device 200 when docking is coupl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To this end, the docking manager 270 may include a connection setting unit 272, a display control module 274, and an input event processor 276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여기서, 연결 설정부(272)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됨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예를 들어, 대기 전원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설정부(272)는, 그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setting unit 272 activates the power state of the docking device 200 (eg, transitions from a standby power state to a power-on state) when the docking engagement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first detected. Can play a role. In addition, the connection setting unit 272 may establish a host-devic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docking coupling state.

이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영상 및 오디오 출력 환경/ 데이터 입출력 환경 등)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docking device 20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the user working environment (video and audio output environment / data input / output environment, etc.)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e docking combined state. This is explained as follows.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은,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도킹 관리부(27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출력 장치(210)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한다.In the docking combined state,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utput to the screen of the docking device 200. To this end, the docking manager 270 may include a display control module 274. When the docking combination is first detected, the display control module 274 turns on the screen output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210 under the control of the docking manager 270, and receives the docking combin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about the screen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t the time point is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210.

이때,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화면 영상 데이터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의 출력 해상도에 맞지 않는 영상 데이터인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은 그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키기 위해서 신호 처리부(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신호 처리부(240)는 이외에도 영상 신호의 포맷 변환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when the screen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is image data that does not match the output resolution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210 of the docking device 200, the display control module 274 may determine the received image data. In order to convert the resolution, the operation of the signal processor 240 may be controlled. Of course, the signal processor 240 may also perform signal processing for format conversion of the image signal.

또한, 도킹 결합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도 4의 도면부호 230 및 235 참조)로부터 입력 이벤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이벤트 등)를 수신한 경우,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는,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 및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an input event (for example, a touch input event, etc.) from an input device (see reference numerals 230 and 235 of FIG. 4) of the docking device 200 in the docking coupling state, the input event processor 276.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put event, and generates a host control signal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ransmits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이에 따라, 호스트 제어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100)은, 그 호스트 제어 신호에 따른 단말 동작의 제어를 실행하고, 그 제어 결과에 따른 결과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다시 도킹 디바이스(200)로 넘겨주게 된다. 이때, 전송받은 결과 영상 데이터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 의하면, 사용자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서, 그와 도킹 결합된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결과 화면은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ing the host control signal executes control of the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host control signal, and passes the data regarding the resultant image according to the control result back to the docking device 200. do. In this case, the received result image data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210 of the docking device 200. Therefore, according to this process, the us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docked and coupled with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device of the docking device 200, and the resulting screen is viewed through the docking device 200. It becomes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관리부(270)에 의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입력 이벤트에 기초하여 생성된 호스트 제어 신호에 의해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호스트(host)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화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측 기능(즉, 호스트-디바이스 관계에서 디바이스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ock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by the host control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input event according to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by the docking management unit 270. It may function as a host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the docking device 200 performs a device-side function of displaying the screen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device role in the host-device relationship).

이상에서는 도킹 결합 상태의 도킹 디바이스(200)가 휴대 단말(100)과 동일한 사용자 작업 환경을 갖추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으로서,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과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이벤트의 처리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또는 그 설계 사양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과 입력 이벤트 처리 기능 이외의 기능이 추가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ocking device 200 in the docking coupled state is a minimum condition for having the same user working environment as tha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a processing function of an input event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Howe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r the design specification thereof, the docking device 200 may be added with func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the input event process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는 스탠드 얼론(stand 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device 200 does not perform any operation in the stand alone state (ie, does not perform any operation / function useful to the user) of a kind of dummy ( dummy) device.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태블릿 PC/패드/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configured as above, the docking device 200 can be equipped with only the minimum possible functions (that is, display control, touch input control, etc.) and a minimum hardware configuration, so that a user can use a conventional tablet PC / pad / laptop product. While the same work environment is implemented, there is an advantage of using a lower cost product.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device 200 is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may be independently driven by mounting its own OS (here, the OS refers to an OS that enables stand-alone operation). May b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n electronic frame or a video / MP3 player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extended to a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of course, the hardware specification will require higher specifications than the form described above (which cannot operate independently).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결합되는 두 개의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및 도킹 디바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킹 결합 상태에서의 휴대 단말(100)의 구동 방법(즉,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So far,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have been described as two devices docked and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 docked coupling state ( That is, an operation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6 및 도 7은, 특히, 도킹 결합 시점으로부터 도킹 해제될 때까지의 휴대 단말의 구동 방식을, 도킹 디바이스(200)에서의 영상 출력 및 입력 이벤트 발생의 경우를 중심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따라서, 도킹 결합 상태에서의 다른 대표적 몇몇 기능들에 대한 동작 제어 방식에 대해서는 별도 후술하기로 한다.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in particular, a driv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docking coupling time point to the undocking point, in the case of an image output and an input event occurrence in the docking device 200. . Therefore,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some other representative functions in the docking coupling stat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6의 단계 S610에서,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도킹 디바이스(2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라 도킹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620에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도킹 연결 모드는, 휴대 단말(100)이 스탠드 얼론으로 동작할 때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 상태에서의 단말 동작 모드를 지칭한다.In step S610 of FIG. 6, when a docking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physical docking combination of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interface unit 250 of the docking device 200, in step S620, the controller 18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Here, the docking connection mode is a concept in contrast to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operates in a stand-alone manner, and refers to a terminal operation mode in a docking coupling state with the docking device 200.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되면, 단계 S630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한 것이다.If the mode is switched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in step S630, the controller 180 performs host-device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docking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is provided to provide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the user working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docking device 200.

또한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되면, 단계 S640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고, 단계 S650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전에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도킹 디바이스(200)의 해상도 정보는,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된 이후 도킹 디바이스(200)로부터 읽어들여 획득한 것일 수도 있고, 미리 도킹 결합 가능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즉, 상술한 도킹 정보)를 저장해두고 있다가 실제 도킹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찾아낼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ocking connection mode, in step S640, the controller 180 obtains the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210 of the docking device 200, and in step S650, screen image data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obtained. Check whether the resolution change is necessary before transmitting to the docking device 200. In this case, the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ocking device 200 may be obtained by reading from the docking device 200 after the host-device connection is established, or device information about devices that can be docked and combined in advance (ie, the above-mentioned docking information). ) Can be stored and retriev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docked device.

단계 S65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S660에서, 제어부(180)는 해당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40)를 통해 해상도 변경 처리한 후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해상도 변경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S655에서와 같이 해당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 자체를 해상도 변경 없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If the resolution change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650, in step S660, the controller 180 resolutions the imag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t the time of docking combining through the image processor 140. The change is process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200. On the contrary, when the resolution change is unnecessary, the image data pertaining to the screen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t the time of docking coupling may be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200 without changing the resolution as in step S655.

여기서, 해상도 변경이 불 필요한 경우란, 일반적으로, 원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해상도와 동일하거나 호환 가능한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호환 가능한 정도인 경우를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 경우로 볼 것인지 아니면 불필요한 경우로 볼 것인지는 단말 디자인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when the resolution change is not necessary, the resolution of the original image data may generally correspond to the same or compatible degree with the image resolution of the docking device 200. In this case, however, whether the resolution is regarded as a case where the resolution change is necessary or not necessary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rminal design.

또한, 이상에서는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가 불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100) 측에서 해상도 변경 처리를 하여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경우를 중심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일 수도 있다. 즉,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 불일치의 경우, 휴대 단말(100)은 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받은 도킹 디바이스(200)가 해당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변경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resolution of the docked devices is inconsistent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resolution change processing to the docking device 200, but the reverse may be the opposite. That is, in case of resolution mismatch between the docked devices,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original image data, and the docking device 200 may receive the change of the resolution of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또한 상술한 단계 S650 및 S655에서는,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 불일치의 경우만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양자 간 해상도 자체는 일치하더라도 각 디바이스가 갖는 화면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는 영상의 DPI(dot per inch)를 변경해줄 필요도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영상의 DPI 변경은, 휴대 단말(100) 측의 영상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되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도 있고, 도킹 디바이스(200)는 DPI 변경 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도킹 디바이스(200) 측의 신호 처리부(240)가 이러한 DPI 변경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steps S650 and S655, only the case of resolution mismatch between the docked devices is assumed. However, even if the resolution itself is the same, when the screen size of each device is different, the DPI (dot per inch) of the image is changed. Of course, you may need to. Even in this case, the DPI change of the image may b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140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2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receives the image data before the DPI change. The signal processor 240 on the docking device 200 side may perform such DPI change process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상도 변경 또는/및 DPI 변경 등과 같은 영상 데이터 처리를 통해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에 최적화된 화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image optimized to the image output apparatus 210 of the docking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through image data processing such as resolution change or / and DPI change.

도킹 결합 당시의 단말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면, 도킹 디바이스(200)의 도킹 관리부(270)는 수신된 화면 영상 데이터가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제어한다.When data regarding the terminal screen image at the time of docking coupling is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200, the docking manager 270 of the docking device 200 docks the received screen image data to b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210. The operation of the device 200 is controlled.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출력된 영상을 통해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한 작업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 출력된 화면 영상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터치 입력 장치(230) 등을 이용한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는, 터치 입력 장치(230) 등을 통한 입력 조작에 의해 발생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호스트 제어 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에서 휴대 단말(100)의 동작/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제어 신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호스트 제어 신호는 휴대 단말(100)로 전송된다.Accordingly, the user may experience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imag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docking device 200 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are docked and coupled. have. For example, based on a screen image output through the docking device 200, a user may perform an input operation using the touch input device 230, etc. of the docking device 200. In this case, the input event processing unit 276 of the docking device 200 receives an input event generated by an input operation through the touch input device 230 or the like, and receives a ho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put event. Create Here, the host control signal refers to a control signal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docking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The host control signa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이에 따라, 도 7의 단계 S710에서, 휴대 단말(100)이 도킹 디바이스(200)로부터 상기 호스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S720에서, 제어부(180)는 그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단계 S730에서, 그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의 동작 제어의 실행 결과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Accordingly, in operation S710 of FIG. 7,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eives the host control signal from the docking device 200, in operation S720,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host control signal. Take control. In operation S730, the image data regarding the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execution result of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host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200.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표시된 특정 어플(이는 실제로는 휴대 단말(100)에 탑재된 어플이며,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상에서 볼 수 있도록 영상 표시되는 것을 의미함)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도킹 디바이스(200)의 터치 입력 장치(230)를 이용하여 더블 클릭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더블 클릭 동작을 인식한 도킹 디바이스(200)는 그 입력 이벤트를 해석하고, 이에 대한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휴대 단말(100)로부터 해당 어플이 사용자의 선택(더블 클릭) 동작에 따라 실행되었을 때의 결과 화면을 수신받아 출력할 수 있음이 그 예이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describes a specific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ocking device 200 (this is actually an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mage is displayed to be viewed on the screen of the docking device 200). It may be assumed that an operation such as double-clicking by using the touch input device 230 of the docking device 200 is intended to execute. In this case, the docking device 200 that recognizes the double-click operation interprets the input event, generates a host control signal for the input even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100 so that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an be used by the user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result screen when execu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double click) operation may be received and output.

물론 이상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가 입력 이벤트를 해석하여 그에 따른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같이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른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앞선 단계 S710 ~ S730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그 도킹 디바이스(200) 측이 호스트(host)로서 기능하고 휴대 단말(100) 측이 클라이언트(client)로서 기능하는 경우의 구현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일 수도 있다. 즉, 도킹 디바이스(200)는 입력 이벤트를 해석하지 않은 상태의 정보(예를 들어, 터치 인식된 좌표 정보)만을 휴대 단말(100)로 전송해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100) 측에서 해당 입력 이벤트에 따른 화면 영상 내의 좌표 정보에 대한 해석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100) 측에서 직접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에도 그 단말 제어 신호에 의한 단말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는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며, 그 전송된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Of cours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ocking device 200 interprets an input event and generates a host control signal accordingly, but a different method may be used. That is, in the preceding steps S710 to S730, when an input event occurs in the docking device 200, the docking device 200 side functions as a host and the mobile terminal 100 side functions as a client. Although the implementation method has been described, it may be reversed. That is, the docking device 200 may transmit only the information (for example, touch-recognized coordinate information) in a state of not analyzing the input event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0 directly generates the terminal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performing an analysis process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screen imag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nput event. Of course you can. In this case, the image data regarding the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terminal operation control by the terminal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200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170, and the image data about the transmitted result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 The image is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210 of 200.

상술한 과정은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 도킹 연결 상태가 끊어지기 전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repeated until the docking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is broken.

단계 S740에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끊어지면(즉, 디바이스 간 분리가 감지되면), 단계 S750에서, 제어부(180)는 수신된 도킹 해제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연결 모드를 해제한다. 도킹 연결 모드가 해제되면, 휴대 단말(100)은 다시 스탠드 얼론 상태의 동작 모드로 구동된다. 즉, 도킹 연결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 수행되던 작업이 휴대 단말(100)을 통해서도 연속적으로 수행(구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착탈(즉, 도킹 연결 및 해제)과 관계 없이, 연속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operation S740, when the physical docking connection with the docking device 200 is disconnected (that is, when the separation between devices is detected), in operation S750,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response to the received docking signal. Release the docking connection mode. When the docking connection mode is released,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driven to the stand-alone operation mode again. That is, when the docking connection mode is released, the controller 180 may allow a task that is performed through the docking device 200 to be continuously performed (drive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ly,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continuous service regardless of physical detachment (ie, dock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device 2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상기 도킹 연결 모드의 해제에 앞서(물론, 설계 구현에 따라 해제 이후일 수도 있음),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연결을 통해 수행되던 작업의 최종 상태를 휴대 단말의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전과 동일한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이 다시 이루어지는 경우, 이전에 중단되었던 작업이 그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다시 속행될 수 있도록, 이전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상태를 복구하고, 상기 최종 상태의 작업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해줄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80 is performed prior to the release of the docking connection mode (of course, may be after the release depending on the design implementation), the operation performed through the docking connection with the docking device 200 The final state of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ly, when the docking connection with the same docking device 200 as before has been made again, the previous host-device connection state can be restored so that the previously interrupted work can be continued through the docking device 200 again, The image data regarding the work in the final state may be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200.

이하, 도 6 및 도 7에서 예시한 경우 이외에, 도킹 결합 상태에서의 다른 대표적 몇몇 기능들에 대한 동작 제어 방식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6 and 7, the operation control scheme for some other representative functions in the docking coupled state will be briefly described. 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 merely illustrates one of various embodiments, an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킹 연결 상태에서의 화면 출력 제어 및 전원 관리Display Output Control and Power Management with Docking Connection

일 실시예에 의할 때,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80)는, 도킹 연결 모드에서,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을 턴 오프시키거나 또는 단말의 동작 상태를 슬립 모드(sleep mode, 즉 전원 절약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도킹 연결 모드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휴대 단말(100)의 전원 충전을 위한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 간 도킹 결합이 분리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위와 반대로,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턴 온시키고, 단말의 동작 상태를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turn off the display screen output of the terminal in the docking connection mode or sleep mode (ie, save power)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terminal. Mode). In addition, in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he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received from the docking device 200 side. Subsequently, as the docking coupling between the devices is separated, the controller 180 may turn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and change the operation state of the terminal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 up mode. .

도킹 연결 상태에서의 오디오 출력 제어Audio output control with docking connection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오디오 출력 장치(220)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오디오 신호를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서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dock the audio signal so that the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device 220 of the docking device 200. The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to the docking device 200 through 170.

도킹 연결 상태에서의 푸쉬형 서비스 진입 제어Push type service entry control with docking connection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제어부(180)는,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휴대 단말(100)이 통화 연결을 위한 착신 호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의 턴 온(turn on), 휴대 단말(100)의 동작 상태를 상기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wake up) 모드로 전환, 도킹 연결 모드의 해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착신호 수신시, 휴대 단말(100)을 통해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착신호 수신시에도 도킹 연결 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화 환경 구현을 위해 필요한 영상, 오디오 데이터는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에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입력을 위한 오디오 입력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착신호 이외의 푸쉬형 서비스(예를 들어, SMS 수신, 이메일 수신 등) 진입시에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eives an incoming call for a call connection after being switched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he controller 180 turns on the display screen output.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hanged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 up mode, and at least one of the release of the docking connection mode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make a cal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receiving an incoming call. Of course, on the contrary, even when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the call may be made through the docking device 200 without releasing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o this end, video and audio data necessary for implementing a call environm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docking device 200. In this case, the dock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input unit (not shown)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of the user. In addition, when entering a push type service (for example, receiving an SMS or receiving an email, etc.) other than an incoming call, it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a corresponding task through the docking device 20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easily.

100 : 휴대 단말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 장치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영상 처리부 150 : 내부 저장 장치부
155 : 외부 저장 장치부 160 : 영상 출력 장치
165 : 오디오 출력 장치 170 : 도킹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00: portab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 V input unit 130: user input unit
140: image processing unit 150: internal storage unit
155: external storage unit 160: video output device
165: audio output device 170: docking interface unit
180:

Claims (15)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Docking interface unit; And
When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is received,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and the screen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bout the screen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to be displayed via the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의 영상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한 전원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docking interface unit,
An interface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and an interface for inputting / outputting data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at least one of an interface for outputting audio to the external device and a power input unit for receiving power supply from the externa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face for outputting the video and the interface for audio output are implemented as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standard interface.
The interface for data input and outpu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as a USB (Universal Serial Bus) standard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킹 결합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 해상도 및 DPI(dot per inch)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상기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의 상기 화면 해상도 및 상기 DPI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도록 영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n the image data,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screen resolution and a dot per inch (DPI)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device information of the docked and coupled external device,
The imag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is image data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screen resolution and the DPI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오디오 출력부의 동작을 불활성화시키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When switching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he control unit,
De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audio out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so that the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을 턴 오프(turn 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상태를 슬립(sleep)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When switching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he control unit,
And turning off the display screen output of the portable terminal or switch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sleep m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이동 통신 단말이되,
상기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휴대 단말이 통화 연결을 위한 착신 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의 턴 온(turn on),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상태를 상기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wake up) 모드로 전환, 상기 도킹 연결 모드의 해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 incoming call for a call connection after the switch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he controller,
At least one of turning on the display screen output, switch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 up mode, and releasing the docking connection mod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상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When switching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the control unit,
Host-devic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so that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that of the user working environment in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realized through the screen imag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sett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When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is made, when a ho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host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image data regarding a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입력 이벤트에 따른 화면 영상에 관한 좌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는 단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단말 제어 신호에 기초한 단말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When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is made, when coordinate data regarding a screen image according to an input event generated from the external device is received,
And generating a terminal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ordinate data and transmitting image data regarding a result screen according to terminal operation control based on the terminal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분리에 따른 도킹 해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통해 수행되던 작업의 최종 상태를 상기 휴대 단말의 저장 장치로 저장하고, 상기 도킹 연결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결합이 다시 감지되는 경우, 이전에 중단된 작업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서 다시 속행될 수 있도록,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상태를 복구하고 상기 최종 상태의 작업에 관한 화면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When the undock signal according to the physical separ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received, the final state of the work performed through the docking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ocking connection mode is released. ,
When the docking bond with the external device is detected again, the host-device connection state is restored and the screen image data regarding the final state of the job is restored so that the previously interrupted job can be continu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again.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external device via the docking interface.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하는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도킹 결합 시점의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
A driv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d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a dock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docking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docking connection mode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Transmitting imag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docking combining time point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Performing host-device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external device via the docking interface;
Receiving a ho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according to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host control signal to be executed, and transmitting image data regarding a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Method of driv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하는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른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킹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도킹 결합 시점의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입력 이벤트에 따른 화면 영상에 관한 좌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여 단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기초한 단말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
A driv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d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a dock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physical docking coupling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docking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docking connection mode according to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Transmitting image data regarding the scree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docking combining time point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Performing host-device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external device via the docking interface;
Receiving coordinate data regarding a screen image according to an input event generat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according to the host-device connection setting; And
And generating a terminal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ordinate data and transmitting image data regarding a result screen according to terminal operation control based on the terminal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Method of driving.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결합된 외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 해상도 및 DPI(dot per inch)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해상도 및 상기 DPI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한 화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screen resolution and a dot per inch (DPI)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docked and coupled external device; And
Generating screen image data by image-processing the screen image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at least one of the screen resolution and the DPI.
The method of driv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오디오 출력부의 동작을 불활성화시키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은 턴 오프시키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상태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구동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docking connection mode,
Disabling an operation of an audio out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Turning off the display screen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Switch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sleep mode
And at least one step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KR20110024615A 2011-03-18 2011-03-18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485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24615A KR101485149B1 (en) 2011-03-18 2011-03-18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24615A KR101485149B1 (en) 2011-03-18 2011-03-18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80A true KR20120106480A (en) 2012-09-26
KR101485149B1 KR101485149B1 (en) 2015-01-26

Family

ID=4711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24615A KR101485149B1 (en) 2011-03-18 2011-03-18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1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830A (en) 2014-06-19 2015-12-31 안종국 Apparatus Of Glasses For Improving Concentration
US9892628B2 (en) 2014-10-14 2018-02-13 Logitech Europe S.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500B1 (en) * 2017-02-14 2018-07-13 한국광기술원 Portable storag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image with subtitl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5423A1 (en) * 2006-06-06 2008-01-03 Robert Alan Jacobs Method and device for acting on stylus removal
US8090030B2 (en) * 2008-01-04 2012-01-03 Silicon Image,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facilitating mobile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KR20100039592A (en) * 2008-10-08 2010-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KR101017866B1 (en) *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Method for control bus using navig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830A (en) 2014-06-19 2015-12-31 안종국 Apparatus Of Glasses For Improving Concentration
US9892628B2 (en) 2014-10-14 2018-02-13 Logitech Europe S.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149B1 (en)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399B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rom handheld terminal to display device and handheld terminal thereof
KR20130024615A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54599B1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running application thereof
US9542338B2 (en) Controlling applications according to connection state and execution condition
US20130009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device
US20140379951A1 (en)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30072745A (en) Method for outputting image data from terminal to display device and terminal thereof
KR101277657B1 (en) Method for handling input event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KR20190043015A (e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and control method
KR102514763B1 (en) Method for utilizing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KR20110111828A (en)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multi operating system, docking station,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485149B1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30003645A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KR20130074827A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terminal guide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pplying terminal environment
KR201400085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JP5060979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CN106292878B (en) Electronic equip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40347279A1 (en) Keyboard device with switchable connection path and its switching method
AU2009266567A1 (en) Terminal apparatus using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KR101522401B1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image thereof
KR20120106482A (en) Docking device for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485155B1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docking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web page thereof
KR20140045966A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image thereof
KR101485156B1 (en) Mobile terminal docking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85154B1 (en)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