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275A -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275A
KR20120105275A KR1020110022987A KR20110022987A KR20120105275A KR 20120105275 A KR20120105275 A KR 20120105275A KR 1020110022987 A KR1020110022987 A KR 1020110022987A KR 20110022987 A KR20110022987 A KR 20110022987A KR 20120105275 A KR20120105275 A KR 20120105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uide
water
supply device
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세연
송대석
Original Assignee
강세연
송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세연, 송대석 filed Critical 강세연
Priority to KR102011002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275A/ko
Publication of KR2012010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도밸브의 꼭지부를 개폐시키는 조작수단, 및 상기 수도밸브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위치되는 저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조작수단으로 압력을 전달함에 따라 꼭지부를 개방시키고, 사용자가 이탈하면 전달된 압력을 다시 받아 꼭지부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원상복귀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고, 이탈할 경우 자동으로 중단함에 따라 절수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Automatic water-supply device for mixing faucet}
본 발명은 자동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개방된 수도밸브의 꼭지부를 개폐시켜 사용자가 자동으로 물을 공급받고, 사용자가 이탈할 경우, 공급을 자동으로 중단시켜 절수할 수 있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장의 세면기나 욕조 등에는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수도밸브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도밸브에는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배관과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배관이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온수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 몸체의 상단에는 수도밸브를 개폐함과 동시에 냉수 또는 온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개폐 및 수온조절 레버가 구비되어 있고, 몸체의 후단에는 냉수공 급배관과 온수공급배관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수도밸브를 통해 물이 공급되는 토출구를 갖는 꼭지부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수도밸브는 개폐시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어 가정이나 건물, 화장실 및 공공장소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수도밸브는 한 손으로 레버를 작동시켜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받는 것으로, 물이 공급되는 시간과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간에서 간격이 발생하고, 사용자가 사용을 끝낸 시간과 물 공급이 중단되는 시간에서 간격이 발생된다.
이러한 간격은 사용되지 않는 물이 과 공급됨을 나타내며, 불필요하게 낭비됨을 뜻하는 것이다.
특히,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샤워장이나 사우나 등의 장소에서는 사용료를 본인이 내지 않는다는 생각에 낭비되는 물을 방치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됨에 따라 많은 량의 물이 낭비되고, 이에 따라 수도세가 많이 발생되며, 이 과부가 되는 수도세를 사용자에게 부담시키게 되어 문제점이 연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버튼을 누르면 일정 시간 물이 공급된 후, 중단되도록 사용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버튼을 눌러야 됨에 따라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장기간 버튼을 사용함에 따라 버튼이 고장나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어 불편함은 더욱 증가되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개방된 수도밸브의 꼭지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이 조작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를 감지 여부에 따라 물을 자동으로 공급 또는 중단시킬 수 있다.
특히, 감지수단은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가압될 경우, 조작수단으로 압력을 전달하여 꼭지부를 개방시키고, 감지수단에서 이탈할 경우, 꼭지부를 폐쇄시킴에 따라 무동력으로 자동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도밸브의 꼭지부를 개폐시키는 조작수단, 및 상기 수도밸브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위치되는 저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조작수단으로 압력을 전달함에 따라 꼭지부를 개방시키고, 사용자가 이탈하면 전달된 압력을 다시 받아 꼭지부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원상복귀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수단은, 수도밸브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위치되는 저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 상기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위치되는 발판, 내부에 일정 압력을 갖고, 상기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의 상하 이동에 따라 내부의 압력이 배출 또는 유입되어 상기 조작수단에 압력을 전달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수단 주변 설치공간부에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발판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발판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원위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내부에 일정 압력을 갖고, 형상변형 가능한 압력백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부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몸체, 및 상기 발판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가압몸체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가압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위치부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제1가이드, 상기 제1가이드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홈을 갖고, 상기 설치공간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 및 상기 발판의 하면과 제2가이드의 상단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탄발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발판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위치부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돌출형성되어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가이드, 상기 제1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설치공간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제2가이드 상단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및 상기 제2가이드가 삽입된 제1가이드의 가이드홈에 구비되어 탄발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발판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더 구비되어 내부 압력을 실시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기준 압력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꼭지부는, 상기 조작수단을 거치지 않고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직수관, 및 상기 직수관을 개폐시키는 직수밸브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꼭지부에는, 샤워노즐과 상기 샤워노즐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시키는 샤워밸브가 더 구비되어 상기 샤워노즐을 통해 물을 공급된다.
또한, 상기 샤워밸브는, 물 배출되는 꼭지부의 배출구와 조작수단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과 조작수단의 압력은 공압 또는 유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고, 이탈할 경우 자동으로 중단함에 따라 절수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의 감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감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감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에 직수관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에 샤워노즐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의 감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감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감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에 직수관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에 샤워노즐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10)는 조작수단(100)과 감지수단(20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감지 유무에 따라 수도밸브(1)의 꼭지부(3)를 개폐하여 물을 자동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게 된다.
먼저, 수도밸브(1)를 살펴보면, 공급관에 의해 냉수 또는 냉수와 온수가 공급되고, 레버(2)를 조작하여 공급되는 물을 배출 또는 차단시키되, 이 레버(2)는 수도밸브(1)의 개방량을 조절하게 된다.
다시 말해, 레버(2)에 의해 물 배출량을 조절함은 물론, 냉수와 온수의 배출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10)는 물이 꼭지부(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레버(2)를 조작하여 수도밸브(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꼭지부(3)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조작수단(100)은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도밸브(1)의 꼭지부(3)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꼭지부(3)의 토출구(4)를 개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감지수단(200)은 수도밸브(1)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감지 여부에 따라 조작수단(1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감지수단(200)은 수도밸브(1)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위치되는 저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조작수단(100)으로 압력을 전달함에 따라 꼭지부(3)를 개방시키고, 사용자가 이탈하면 전달된 압력을 다시 받아 꼭지부(3)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원상복귀된다.
여기서, 감지수단(200)을 더 살펴보면, 도 3 내지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공간부(250)와 발판(210), 가압부(220) 및 원위치수단(230)으로 구성된다.
설치공간부(250)는 물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위치되는 저면에 형성되고, 발판(210)은 설치공간부(25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압부(220)는 내부에 일정 압력을 갖고, 설치공간부(250)에 구비되어 발판(2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내부의 압력이 배출 또는 유입되는 것으로, 조작수단(100)에 압력을 전달하고, 전달된 압력을 조작수단(100)에서 다시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가압부(220)는 내부에 일정 압력을 갖고, 형상변형 가능한 압력백이다.
원위치부(230)는 가압부(220) 주변 설치공간부(250)에 다수 개 구비되어 발판(2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발판(210)을 상측으로 가압시켜 원위치 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조작수단(100)에서 재 전달된 압력에 의해 발판(210)을 상측으로 원위치시키는 가압부(220)를 보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위치부(23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232)와 제2가이드(234) 및 스프링(236)으로 구성된다.
제1가이드(232)는 발판(210)의 하면에 돌출형성되고, 제2가이드(234)는 제1가이드(232)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홈(234)을 갖고, 설치공간부(25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236)은 발판(210)의 하면과 제2가이드(234)의 상단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가이드(232)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탄발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발판(21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원위치부(230')의 다른 실시 예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232')와 제2가이드(234'), 베어링(236') 및 스프링(238')으로 구성된다.
제1가이드(232')는 발판(210)의 하면에 돌출형성되어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가이드홈(233')이 형성되고, 제2가이드(234')는 제1가이드(232')의 가이드홈(233')에 삽입되도록 설치공간부(25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베어링(236')은 가이드홈(233')에 끼워진 제2가이드(234') 상단부에 구비되어 제1가이드(232')가 제2가이드(234')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스프링(238')은 제2가이드(234')가 삽입된 제1가이드(232')의 가이드홈(233')에 구비되어 탄발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발판(21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가압부(22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42)가 더 구비되어 내부 압력을 실시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기준 압력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부(240)가 더 구비된다.
이는 장기 사용 시, 가압부(220)의 압력이 떨어질 경우, 조작수단(100)으로 압력이 용이하게 전달되지 않아 수도밸브(1)의 꼭지부(3)를 개폐시키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가압부(220)의 압력이 떨어지면, 발판(210)을 상측으로 위치시키지 못하게 되어 작동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압력공급부(240)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압력이 가압부(220)로만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작수단(100)과 감지수단(200)의 압력은 공압 또는 유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사용되는 것으로, 비용 절감을 위해 공압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압부(22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몸체(222')와 가압로드(224')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몸체(22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설치공간부(250)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가압로드(224')는 발판(210)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가압몸체(222')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가압로드(224')는 발판(2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가압몸체(222')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되고, 이 가압로드(224')의 이동은 내부 공간의 면적을 감소시키면서, 내부 공간의 압력을 조작수단(100)으로 전달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꼭지부(3)에는 조작수단(100)을 거치지 않고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직수관(300)과 이 직수관(300)을 개폐시키는 직수밸브(310)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는, 감지수단(200)을 사용하지 않고도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여 편리함을 부가하는 것으로, 감지수단(200)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도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꼭지부(3)에는 샤워노즐(400)과 이 샤워노즐(400)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시키는 샤워밸브(410)가 더 구비되어 샤워노즐(400)을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샤워밸브(410)는 물이 배출되는 꼭지부(3)의 배출구(4)와 조작수단(100)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10)는 샤워노즐(400)만 있는 샤워기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1 : 수도밸브 2 : 레버
3 : 꼭지부 10 : 자동 물공급장치
100 : 조작수단 200 : 감지수단
210 : 발판 220, 220' : 가압부
222' : 가압몸체 224' : 가압로드
230, 230' : 원위치부 240 : 압력공급부
242 : 압력센서 250 : 설치공간부
300 : 직수관 310 : 직수밸브
400 : 샤워노즐 410 : 샤워밸브

Claims (11)

  1.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도밸브의 꼭지부를 개폐시키는 조작수단; 및
    상기 수도밸브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위치되는 저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조작수단으로 압력을 전달함에 따라 꼭지부를 개방시키고, 사용자가 이탈하면 전달된 압력을 다시 받아 꼭지부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원상복귀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수도밸브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위치되는 저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
    상기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위치되는 발판;
    내부에 일정 압력을 갖고, 상기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의 상하 이동에 따라 내부의 압력이 배출 또는 유입되어 상기 조작수단에 압력을 전달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수단 주변 설치공간부에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발판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발판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원위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내부에 일정 압력을 갖고, 형상변형 가능한 압력백인 것을 특징으로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부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몸체; 및
    상기 발판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가압몸체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가압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치부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제1가이드;
    상기 제1가이드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홈을 갖고, 상기 설치공간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 및
    상기 발판의 하면과 제2가이드의 상단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탄발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발판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치부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돌출형성되어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가이드;
    상기 제1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설치공간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제2가이드 상단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및
    상기 제2가이드가 삽입된 제1가이드의 가이드홈에 구비되어 탄발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발판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더 구비되어 내부 압력을 실시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기준 압력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부는,
    상기 조작수단을 거치지 않고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직수관; 및
    상기 직수관을 개폐시키는 직수밸브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부에는,
    샤워노즐과 상기 샤워노즐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시키는 샤워밸브가 더 구비되어 상기 샤워노즐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밸브는,
    물 배출되는 꼭지부의 배출구와 조작수단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과 조작수단의 압력은 공압 또는 유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KR1020110022987A 2011-03-15 2011-03-15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KR20120105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987A KR20120105275A (ko) 2011-03-15 2011-03-15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987A KR20120105275A (ko) 2011-03-15 2011-03-15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275A true KR20120105275A (ko) 2012-09-25

Family

ID=4711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987A KR20120105275A (ko) 2011-03-15 2011-03-15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2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3551A (zh) * 2017-12-21 2018-04-10 创能邦(北京)科技有限公司 便携式淋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3551A (zh) * 2017-12-21 2018-04-10 创能邦(北京)科技有限公司 便携式淋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418B1 (en) Water flow control device
KR101757863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20100029326A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KR101581447B1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물공급 장치
KR101528309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급수장치
KR101074144B1 (ko) 싱크대의 족답식 급수장치
KR101296342B1 (ko)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101296343B1 (ko) 직수형변기에 적용하는 인체 하중의 에너지만으로 변기 자동물내림이 가능한 변좌시트
KR20080049422A (ko)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용변 사용자 하중을 이용한무전력 대.소변 배수기능이 구비된 자동 물내림 시스템
KR20120105275A (ko) 수도밸브용 자동 물공급장치
KR100980398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100946392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102306989B1 (ko) 자동샤워장치
KR20090120226A (ko) 세면대용 절수밸브
KR102060381B1 (ko) 물내림개폐부를 일체화한 후레쉬밸브용 무전원 자동물내림 모듈
KR101071307B1 (ko) 풋 밸브를 구비한 소변기용 무전력 자동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변장치
KR101184707B1 (ko) 대소변 구분 세척이 가능한 세척밸브
KR20120091762A (ko) 양변기 자동물내림장치
KR101020101B1 (ko) 수압 및 인체 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제어장치
KR101789263B1 (ko)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KR101157213B1 (ko) 수도꼭지 및 수도밸브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KR200436828Y1 (ko) 비데용 세정수의 배압차단장치
KR200266562Y1 (ko) 샤워기용 급수 조절장치
CN103032624A (zh) 自动节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