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298A - Nfc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Nfc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298A
KR20120103298A KR1020110021465A KR20110021465A KR20120103298A KR 20120103298 A KR20120103298 A KR 20120103298A KR 1020110021465 A KR1020110021465 A KR 1020110021465A KR 20110021465 A KR20110021465 A KR 20110021465A KR 20120103298 A KR20120103298 A KR 20120103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nfc
switch module
antenna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057B1 (ko
Inventor
백형일
김범진
노진원
정을영
조민기
조미연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1002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05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스위칭 회로를 설치하여 리더모드에서만 저항 매칭 구조로 동작하도록 하는 NFC 안테나 모듈이 제시된다. 제시된 NFC 안테나 모듈은, 방사체 패턴의 일측 종단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1직렬저항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스위치 모듈; 방사체 패턴의 타측 종단부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직렬저항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스위치 모듈; 방사체 패턴의 양측 종단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병렬저항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3스위치 모듈; 및 리더모드 구동시에 방사체 패턴을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제1직렬저항과 제2직렬저항 및 병렬저항을 통해 NFC 칩셋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안테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NFC 안테나 모듈{NFC(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본 발명은 NFC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더모드 성능을 향상시키는 NFC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NFC는 전자태그의 하나로 대략 13.56㎒ 정도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는 결제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최근에는 타블렛,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의 시장이 급속이 확대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은 근거리 통신(즉, NFC)을 이용하여 단말 간의 정보 교환, 결제, 티켓 예매, 검색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추세에 있다. 그에 따라, 근거리 통신 방식에 사용되는 NFC 안테나 모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에는 차등 안테나 타입(differential antenna type)의 NFC 안테나 모듈이 주로 사용된다. 차등 안테나 타입의 NFC 안테나 모듈에서는 방사체 패턴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방사체 패턴의 일측 종단부에 연결된 신호라인에서만 신호전달이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종래의 NFC 안테나 모듈의 경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리더모드에서의 수신 성능이 저하되고, 리더모드 인식거리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리더모드에서의 수신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는 매칭부와 필터부 및 수신부를 통해 NFC 칩셋과 연결된다. 이때, 안테나부의 방사체 패턴 양측 종단부에는 각각 직렬저항(Rs1, Rs2)을 연결하고, 양측 종단부 사이에 병렬저항(Rp)을 연결한다. 즉, 종래에는 안테나 매칭단에 직렬저항(Rs1, Rs2) 및 병렬저항(Rp)을 삽입하여 안테나의 품질 특성(Q)을 낮추어 대역폭을 개선하는 저항 매칭 구조를 이용한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매칭 구조에서는 적절한 값의 저항값 매칭을 통해 리더모드의 성능은 향상되지만, 태그모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리더모드와 태그모드의 패스(path)가 다르기 때문에 성능에 트레이드 오프(trade off)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위칭 회로를 설치하여 리더모드에서만 저항 매칭 구조로 동작하도록 하는 NFC 안테나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모듈은, 방사체 패턴의 일측 종단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1직렬저항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스위치 모듈; 방사체 패턴의 타측 종단부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직렬저항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스위치 모듈; 방사체 패턴의 양측 종단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병렬저항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3스위치 모듈; 및 리더모드 구동시에 방사체 패턴을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제1직렬저항과 제2직렬저항 및 병렬저항을 통해 NFC 칩셋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안테나부를 포함한다.
제어모듈은 리더모드 구동시 제1스위치 모듈과 제2스위치 모듈 및 제3스위치 모듈을 오프구동시킨다.
제어모듈은, 태그모드 구동시에 방사체 패턴을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가 제1스위치 모듈과 제2스위치 모듈 및 제3스위치 모듈을 통해 NFC 칩셋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모듈은 태그모드 구동시 제1스위치 모듈과 제2스위치 모듈 및 제3스위치 모듈을 온 구동시킨다.
제어모듈은, NFC 칩셋 또는 NFC 안테나 모듈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의 제어모듈로부터 리더모드 또는 태그모드 동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NFC 안테나 모듈은 직렬저항 및 병렬저항에 스위칭 회로를 설치하여 리더모드에서만 저항 매칭 구조로 동작함으로써, 리더모드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태그모드에서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NFC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안테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볼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모듈의 주파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안테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부(100), 매칭부(200), 필터부(300), 수신부(400), NFC 칩셋(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부(100)는 외부의 리더기에서 전송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한다. 안테나부(100)는 수신신호를 수신부(400)를 통해 NFC 칩셋(500)으로 전달한다. 안테나부(100)는 NFC 칩셋(500)으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외부의 리더기로 송신한다. 이때, 안테나부(100)는 필터부(300) 및 매칭부(200)를 거친 송신신호를 NFC 칩셋(500)으로부터 수신한다.
안테나부(100)는 수신성능의 향상을 위해 리더모드에서만 저항 매칭 구조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안테나부(100)는 제1직렬저항(Rs1), 제1스위치 모듈(112), 제2직렬저항(Rs2), 제2스위치 모듈(114), 병렬저항(Rp), 증폭기(116), 제3스위치 모듈(118), 방사체 패턴(120), 제어모듈(1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부(100)는 NFC 안테나 모듈이 리더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모듈(119)을 통해 제1스위치 모듈(112)과 제2스위치 모듈(114) 및 제3스위치 모듈(118)을 온(ON)상태로 구동시켜 저항 매칭 구조로 동작한다. 안테나부(100)는 NFC 안테나 모듈이 태그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모듈(119)을 통해 제1스위치 모듈(112)과 제2스위치 모듈(114) 및 제3스위치 모듈(118)을 온(ON)상태로 구동시켜 일반 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제어모듈(119)은 NFC 칩셋(500) 또는 NFC 안테나 모듈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의 제어모듈(미도시)로부터 리더모드 및 태그모드에 따른 스위치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이처럼, NFC 안테나 모듈은 직렬저항(Rs1, Rs2) 및 병렬저항(Rp)에 스위칭 회로를 설치하여 리더모드에서만 저항 매칭 구조로 동작함으로써, 리더모드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태그모드에서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테나부(100)는 NFC 대역의 주파수에 공진하는 방사체로 형성된다. 안테나부(100)는 대략 13.56㎒ 정도의 주파수 대역에 공진하는 방사체로 형성된다. 이때, 안테나부(100)는 페라이트 시트(140)의 상부에 방사체 패턴(120)이 인쇄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100)를 구성하는 방사체 패턴(120)의 양측 종단부에 형성된 제1단자(122) 및 제3단자(126)는 매칭부(200; 즉, 복수의 콘덴서(220, 240, 260, 280)) 및 수신부(400; 즉, 밸룬(420))에 연결된다. 방사체 패턴(120)은 제3단자(126)를 통해 중간에서 그라운드에 접지된다. 안테나부(100)는 방사체 패턴(120)이 형성된 페라이트 시트(140)를 메탈 플레이트(160)의 상부에 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도 4 참조).
매칭부(200)는 NFC 칩셋(500)의 입력단과 안테나부(100), 또는 안테나부(100)와 필터부(300)의 연결부위에 상호 균일한 임피던스가 걸리도록 입력단과 출력단의 임피던스를 보정한다. 이를 위해, 매칭부(200)는 제1콘덴서(220), 제2콘덴서(240), 제3콘덴서(260), 제4콘덴서(280)로 구성된다. 제1콘덴서(220)는 일측 종단부가 안테나부(100; 즉, 방사체 패턴(120)의 일측 종단부)와 수신부(400; 즉, 밸룬(420)) 및 제2콘덴서(240)와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필터부(300)와 연결된다. 제2콘덴서(240)는 일측 종단부가 안테나부(100; 즉, 방사체 패턴(120)의 일측 종단부)와 수신부(400; 즉, 밸룬(420)) 및 제1콘덴서(220)와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제4콘덴서(280) 및 필터부(300)와 연결된다. 제3콘덴서(260)는 일측 종단부가 안테나부(100; 즉, 방사체 패턴(120)의 타측 종단부(즉, 제1콘덴서(220) 및 제2콘덴서(240)가 연결된 종단부의 반대측 종단부))와 수신부(400; 즉, 밸룬(420)) 및 제4콘덴서(280)와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필터부(300)와 연결된다. 제4콘덴서(280)는 일측 종단부가 안테나부(100; 즉, 방사체 패턴(120)의 타측 종단부)와 수신부(400; 즉, 밸룬(420)) 및 제3콘덴서(260)와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제2콘덴서(240) 및 필터부(300)와 연결된다.
필터부(300)는 NFC 칩셋(500)으로부터 발생하는 송신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매칭부(200)로 전송한다. 즉, 필터부(300)는 NFC 칩셋(500)으로부터 발생하는 송신신호에서 정상 신호 외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필터부(300)는 제1인덕터(320), 제5콘덴서(340), 제2인덕터(360), 제6콘덴서(380)로 구성된다. 제1인덕터(320)는 일측 종단부가 NFC 칩셋(500)의 제1송신단(520)과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제5콘덴서(340) 및 매칭부(200)의 제1콘덴서(220)와 연결된다. 제5콘덴서(340)는 일측 종단부가 제1인덕터(320)와 매칭부(200)의 제1콘덴서(220)와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NFC 칩셋(500)의 접지단(560)과 연결된다. 제2인덕터(360)는 일측 종단부가 NFC 칩셋(500)의 제2송신단(540)과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제6콘덴서(380) 및 매칭부(200)의 제3콘덴서(260)와 연결된다. 제6콘덴서(380)는 일측 종단부가 제2인덕터(360)와 매칭부(200)의 제3콘덴서(260)와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NFC 칩셋(500)의 접지단(560)과 연결된다.
수신부(400)는 일측이 NFC 칩셋(500)의 수신단(580)에 연결되고, 타측이 안테나부(100)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수신부(400)는 저항(460)과, 제7콘덴서(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항(460)은 일측 종단부가 NFC 칩셋(500)의 수신단(580)과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제7콘덴서(440)와 연결된다. 제7콘덴서(440)는 일측 종단부가 저항(460)과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안테나부의 제1직렬저항(Rs1) 및 병렬저항(Rp)와 연결된다.
NFC 칩셋(500)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NFC 칩셋(500)은 저장된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신신호를 생성한다. NFC 칩셋(500)을 안테나부(100)를 통해 외부의 리더기로 송신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NFC 칩셋(500)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결제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점의 물품에 사용되는 NFC 칩셋(500)에는 상품정보, 가격정보, 성분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NFC 칩셋(500)은 수신단(580), 제1송신단(520), 제2송신단(540), 접지단(5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단(580)은 안테나부(100)를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즉, 외부의 리더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수신한다. 제1송신단(520) 및 제2송신단(540)은 외부 리더기로 전송한 송신신호를 필터부(300)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모듈의 주파수 특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비교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 및 도 6은 볼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 모듈의 주파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안테나부로 구성된 NFC 안테나 모듈의 주파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한 안테나부로 구성된 NFC 안테나 모듈의 주파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모듈(119)은 NFC 안테나 모듈이 리더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NFC 칩셋(500) 또는 NFC 안테나 모듈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의 제어모듈(미도시)로부터 리더모드에 따른 스위치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제어모듈(119)은 스위치 오프(OFF)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1스위치 모듈(112), 제2스위치 모듈(114), 제3스위치 모듈(118)을 오프(OFF)상태로 변경한다. 이에, 안테나부(100)는 저항 매칭 구조로 구성되며, 방사체 패턴(120)으로 수신된 수신신호는 직렬저항(Rs1, Rs2) 및 병렬저항(Rp)을 통해 수신부(400)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 NFC 칩셋(500)의 수신단(580)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도 5의 "A", 도 6의 "C")는 수신신호의 세기는 감소하지만 넓은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리더모드에서의 신호 인지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반면, 제어모듈(119)은 NFC 안테나 모듈이 태그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NFC 칩셋(500) 또는 NFC 안테나 모듈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의 제어모듈(미도시)로부터 리더모드에 따른 스위치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제어모듈(119)은 스위치 온(ON)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1스위치 모듈(112), 제2스위치 모듈(114), 제3스위치 모듈(118)을 온(ON)상태로 변경한다. 이에, 안테나부(100)는 일반 구조로 구성되며, 방사체 패턴(120)으로 수신된 수신신호는 제1스위치 모둘(112)과 제2스위치 모듈(114) 및 제3스위치 모듈(118)을 통해 수신부(400)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 NFC 칩셋(500)의 수신단(580)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도 5의 "B", 도 6의 "D")는 리더모드에 비해 수신신호의 세기가 강하고, 좁은 공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태그모드에서의 신호 인지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FC 안테나 모듈은 직렬저항 및 병렬저항에 스위칭 회로를 설치하여 리더모드에서만 저항 매칭 구조로 동작함으로써, 리더모드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태그모드에서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안테나부 112: 제1스위치 모듈
114: 제2스위치 모듈 116: 증폭기
118: 제3스위치 모듈 119: 제어모듈
120: 방사체 패턴 122: 제1단자
124: 제2단자 126: 제3단자
140: 페라이트 시트 160: 메탈 플레이트
200: 매칭부 220: 제1콘덴서
240: 제2콘덴서 260: 제3콘덴서
280: 제4콘덴서 300: 필터부
320: 제1인덕터 340: 제5콘덴서
360: 제2인덕터 380: 제6콘덴서
400: 수신부 420: 밸룬
440: 제7콘덴서 460: 저항
500: NFC 칩셋 520: 제1송신단
540: 제2송신단 560: 접지단
580: 수신단

Claims (5)

  1. 방사체 패턴의 일측 종단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1직렬저항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스위치 모듈;
    상기 방사체 패턴의 타측 종단부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직렬저항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스위치 모듈;
    상기 방사체 패턴의 양측 종단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병렬저항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3스위치 모듈; 및
    리더모드 구동시에 상기 방사체 패턴을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상기 제1직렬저항과 제2직렬저항 및 병렬저항을 통해 NFC 칩셋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안테나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리더모드 구동시 상기 제1스위치 모듈과 제2스위치 모듈 및 제3스위치 모듈을 오프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안테나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태그모드 구동시에 상기 방사체 패턴을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 모듈과 제2스위치 모듈 및 제3스위치 모듈을 통해 상기 NFC 칩셋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안테나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태그모드 구동시 상기 제1스위치 모듈과 제2스위치 모듈 및 제3스위치 모듈을 온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안테나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NFC 칩셋 또는 NFC 안테나 모듈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의 제어모듈로부터 리더모드 또는 태그모드 동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안테나 모듈.
KR1020110021465A 2011-03-10 2011-03-10 Nfc 안테나 모듈 KR10118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65A KR101189057B1 (ko) 2011-03-10 2011-03-10 Nfc 안테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65A KR101189057B1 (ko) 2011-03-10 2011-03-10 Nfc 안테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298A true KR20120103298A (ko) 2012-09-19
KR101189057B1 KR101189057B1 (ko) 2012-10-10

Family

ID=4711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465A KR101189057B1 (ko) 2011-03-10 2011-03-10 Nfc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270A1 (ko) * 2014-11-27 2016-06-02 주식회사 아이엠에이 탈부착식 버튼형 nfc 태그를 이용한 스마트 단말의 매크로 실행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199B1 (ko) 2013-12-23 2020-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Nfc 장치의 매칭 회로, nfc 장치 및 전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40B1 (ko) 2006-10-09 2007-10-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식별 태그와 리더의 이중 구조를 갖는 루프형 안테나및 그를 이용한 근거리통신 송수신 시스템
KR100827283B1 (ko) 2007-10-10 2008-05-07 쓰리에이로직스(주) 복합 rfid 리더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270A1 (ko) * 2014-11-27 2016-06-02 주식회사 아이엠에이 탈부착식 버튼형 nfc 태그를 이용한 스마트 단말의 매크로 실행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057B1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61703B (zh) 用于无接触通信的收发电路
US7546089B2 (en) Switchable directional coupler for use with RF devices
KR101239608B1 (ko) Nfc 안테나 모듈
EP2137832B1 (en) Nfc communicators
CN101043222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增强磁耦合的系统与方法
US200702226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19167B2 (en) Transceiving circuit for contactless communication and NFC device or RFID reader/writer device comprising such a transceiving circuit
US10997483B2 (en) NFC antenna switch
EP2387097A2 (en) Compact directional coupler using semiconductor process and mobile RFID reader transceiver system using the same
EP2830228B1 (en) RF device and method with improved active load modulation capability
CN109088657B (zh) Rf前端模块和近场通信装置
US20160315664A1 (en) Method of connecting one or more contactless components to a single antenna, and corresponding system
US8792837B2 (en)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nd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using same
CN112736459B (zh) 双天线系统、射频架构和电子设备
US9887741B2 (en) Method for managing contactless communications and contactless charging within a system, and corresponding system
CN102598413A (zh) 收发装置及无线标签读取装置
KR20130134570A (ko) 근접장 무선 송수신 회로 및 모바일 단말기
US6891466B2 (en) Broad bandwidth, high impedance transponder for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KR101189057B1 (ko) Nfc 안테나 모듈
US11699056B2 (en) RFID inlay
JP7001179B2 (ja) Rfidインレイ
CN114648081A (zh) 双系统rfid标签
JP2003069336A (ja) アンテナコイル及び非接触icカ−ド用リードライトシステム
JP4934659B2 (ja) 共用アンテナ及び整合回路
US667436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