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606A -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1606A
KR20120101606A KR1020110016819A KR20110016819A KR20120101606A KR 20120101606 A KR20120101606 A KR 20120101606A KR 1020110016819 A KR1020110016819 A KR 1020110016819A KR 20110016819 A KR20110016819 A KR 20110016819A KR 20120101606 A KR20120101606 A KR 2012010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strokes
input
character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건호
우현철
윤상희
Original Assignee
정건호
윤상희
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건호, 윤상희, 우현철 filed Critical 정건호
Priority to KR1020110016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1606A/ko
Publication of KR2012010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문자와, 문자를 구성하는 자획, 자음 및 자획간 상대위치 관계를 구성요소로서 매칭시킨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입력시스템에서 실행되며, 상기 입력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창을 통해 상기 구성요소를 각각 나타내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기호요소를 복수 개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기호요소에 일치하는 일부 또는 모든 문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문자 중 일부를 선택하여 목적창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한자와 같이 복잡하고 많은 개체수를 가지는 문자를 한정된 수의 키버튼을 가지는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할 때 원하는 특정 문자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Characters Composed of Multiple Strokes}
본 발명은 예컨대 한자와 같이 복수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문자를 이루는 자획을 그 자획 자체의 형태 및 인접 자획간 상대위치에 따라 구별하여 소수의 입력용 기호로 배당하고, 이 입력용 기호를 조합하여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특정 문자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자(漢字)는 중국, 대만, 북한, 한국, 일본, 베트남, 홍콩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서양에서도 유학생이나 현지의 아시아계 교민들 그리고 소수이겠지만 학문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현대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 한자도 있지만 역사적인 가치를 갖는 문자로서 이를 무시할 수도 없다.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한자 사용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지만 아직까지도 표준화에 이르지 못하고 국가에 따라 지역에 따라 혹은 나이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그 입력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아직까지도 한자의 경우에는 컴퓨터나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작성하는 문서나 메시지의 작성에 있어서 그 입력이나 검색이 용이하지 않다. 그 주된 원인은 전자 장치의 입력수단인 키보드 등으로 입력하기에는 너무나 한자 개체 수가 방대하기 때문이다. 유니코드에 현재까지 등록된 한자(도1 참조) 총 75,616자 중에서 대한민국은 18,000여자, 중국은 58,000여자, 대만은 56,000여자 일본은 14,000여자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디. 한자의 경우 문자 자체가 새로 만들어지거나 고문서 등에서 새로이 발견되는 한자들로 인하여 유니코드 같은 국제표준이 계속 확장 개정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 나아가 자국의 문자 표준에 한자를 포함하고 있는 나라들은 주로 자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자 위주로 자국의 표준을 정하기 때문에 자국의 문자코드 체계를 벗어난 한자들에 대하여는 그 입출력에 문제가 생기는 등의 복잡한 문제들을 맞게 된다. 자국의 표준에 없는 한자는 대부분 자음(字音)과 자의(字意)가 없거나 용례가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지 못한 경우가 많다. 유니코드Ext-B (42,711자)의 한자가 주로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자음에 의한 입력 방법'만으로는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한자에는 동음이의어가 매우 많다. 어느 나라든 고전 자료의 데이터베이스와 한자 문화권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의 필요성 등에 의해 유니코드에 등록된 한자 가운데 필요한 한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한자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 중에서 현대에 자주 사용하는 글자 수는 국가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2~3천여 자를 꼽는다. 그래서 통상의 한자 입력시스템이나 검색 시스템들은 상기 자주 사용하는 한자를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지는 예가 많다. 이렇게 하면 중복되어 검색되는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입력이나 검색 속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를 줄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주 사용하는 한자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범주에 들지 못하는 한자들이 섞여 있는 단어나 문장들은, 2~3천여 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자 시스템으로는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수에 의한 입력 방법'은 하나의 부수 자(字)에 배정된 한자의 개체 수가 너무 많아 입력이나 검색의 성능 및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 부수는 주로 '강희자전'에서 유래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들로서 대략 300여 종 정도이다. 하지만 유니코드에 실린 7만5천여 자의 한자 전체에 대하여 조사해 보면 이보다 더 많은 800여 종의 부수가 지정되어야 상기 전체 한자를 이 부수들의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하지만 300개든 800개든 이를 모두 자판에 배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상기 자판의 각 키마다 부수 자를 중복하여 배열하면 되지만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판을 익히고 기억하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중국에서 가장 빠른 입력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오필자형입력법"은 수백 개의 한자 부수를 자판에 중복 배열해 놓고 사용자가 이를 암기하여 5타 이내에 한자 1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만들어 놓았다. 하지만 자판을 외우고 오래 기억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일부 전문가들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자획(字劃)을 이용한 입력방법'의 문제점은, 1) 사용자가 모든 자획을 다 알고 있지 못할 수가 있고(따라서 총 획수를 알지 못할 수 있다), 2) 국가별 기본 자형의 차이, 이체자의 다양성, 간체자와 약자 등으로 인하여 자획의 순서 또한 사용자마다 다르게 인식할 수 있으며, 3) 유니코드 Ext-A까지의 3만여 자에 대한 평균 자획 수를 조사해 보면 15획 내지 27획이 대다수로서 그 획 수가 매우 많아 전체 획을 모두 입력하여야 한다면 한자 입력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 등이다.
예컨대 종래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10-0899449호에서는 특정 한자의 자음(병음)과 자의를 갖는 파자(破字)를 순서에 무관하게 입력하여 이를 파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발견된 후보 한자들을 표시하고 그 가운데 의도한 한자를 찾아내는 한자 검색법을 제공하였다. 상기 검색법에 의하면 1) 파자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여 해당 파자들을 입력하려면 결국 또 다른 입력법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2) 순서에 무관하게 파자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므로 파자들의 순서를 지켜 검색할 때에 비하여 더 많은 후보 한자들이 검색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3) 파자들을 입력하기 위하여는 결국 자획이나 자음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파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결과적으로 매우 많은 수의 자획이나 자음을 입력하여야 하고, 4) 파자들로 완전히 분해할 수 없어 일부의 파자만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경우 과도하게 많은 후보 한자들이 검색될 수 있으며, 5) 다수의 파자들 중, 일 실시예로, 제1파자를 더욱 분해하여 만들어지는 자획들 중 그 일부의 자획들과, 제2파자를 더욱 분해하여 만들어지는 자획들 중 그 일부의 자획들을 합하여 새로운 하나의 파자를 구성하고, 상기 새로이 구성된 파자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10-0667533호에서는, 병음(??音)과 자획을 교대로 사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병음 모드(mode)와 자획 모드를 따로 두고, 이 두 모드 사이의 전환을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 방식 변환 요청을 받으며, 병음 처리부와 자획 처리부가 각각 별도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병음 또는 자획을 먼저 입력하면 다수의 후보 한자들를 찾아내어 중문 선택창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모드 변환 요청을 하여 다른 모드(병음모드 또는 자획모드)로 전환한 후 이미 선택창에 표시되어 있는 후보 한자들이 새로이 입력된 자획 또는 병음에 해당하는 지를 비교하여 후보 한자들을 줄여 나가는 방법이다. 상기 '병음과 자획에 의한 입력 방법'에 의하면 1) 병음이 정의되지 않은 한자에는 병음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결국 기존의 통상적인 '자획만을 이용한 입력법'과 동일하게 되어 무수히 많은 자획을 입력한 후라야 선택 가능한 정도의 후보 문자 수로 줄일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2) 병음을 모르는 경우 역시 상기 1)과 같고, 3) 최초의 병음 또는 자획을 입력하는 경우 이에 따른 후보 한자 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는(예를 들어, 7만5천여 한자에 대하여 16종류의 자획을 가정한다면, 평균적으로 약 4,687개의 후보 한자가 선택창에 표시되어야 한다) 문제점이 있는 데다가, 4) 사용자가 상기 두 모드 사이를 변환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모드 변환 키를 사용하게 된다는 점에서 입력속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고, 5) 자획이나 병음의 일부를 건너 뛰어 다른 일부분을 입력하는 경우(예를 들어, 첫 두 획을 입력한 후 세번째 획을 건너 뛰고 네 번째 획을 입력하는 경우)에, 원하는 한자를 검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전자 문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한자와 같은 다수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입력하기 용이하면서도 원하는 문자를 검색하여 반드시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한자와 같은 복수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고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자획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의 입력에 있어서, 문자를 이루는 자획을 그 자획 자체의 형태 및 인접 자획간 상대위치에 따라 구별하여 소수의 입력용 기호로 배당하고, 이 입력용 기호를 조합하여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특정 문자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한자의 전체 자획 중 일부만 알아도, 해당 한자를 쉽고 빠르게 검색하여 입력 또는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자의 각 문자에 대응하여 해당 문자의 자획을 나타내는 기호,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 자획간 상대위치를 나타내는 기호 등을 포함하는 한자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복합하여 매칭시킨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함으로써 검색시 검색 시간을 최소화 하고 중복 검색될 수 있는 한자의 수를 최소화 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은,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문자와, 상기 문자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자획, 자음, 자획간 상대위치 관계, 및 메타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킨 구성요소 조합을 매칭시킨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입력시스템에서 실행되며, 상기 입력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창을 통해 상기 구성요소를 각각 나타내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기호요소를 복수 개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기호요소에 일치하는 일부 또는 모든 문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문자 중 일부를 선택하여 목적창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문자에 대해, 상기 특정 문자를 구성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복수 개 매칭시킨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들의 조합은, 획수변형 및 획순변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자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를 각각 나타내는 기호요소는 로마자 알파벳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중 자획은 8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각각의 자획 카테고리를 대표하는 기호요소는 로마자 알파벳으로 표시되며; 자획 중 "수평획(horizontal stroke), 우측 또는 우측 상향으로 긋는 획"에는 "H"; "세로획(vertical stroke), 수직 하향으로 내리 긋는 획"에는 "V"; "삐침획(slash strole), 좌측 하향으로 긋는 획"에는 "S"; "파임획(backslash stroke), 우측 하향으로 긋는 획"에는 "B"; "점획(dot stroke), 방향을 정할 수 없거나 매우 짧은 획"에는 "D"; "원형획(circle stroke)"에는 "C"가, "방향변화가 시계방향인 획(right turn stroke)"에는 "R"; "방향변화가 반시계방향인 획(left turn stroke)"에는 "L"이 각각 기호요소로서 배당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중 자음은 표음문자와 숫자를 포함하는 기호요소에 의하여 대표되며, 상기 표음문자는 로마자 알파벳 또는 한글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중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는 7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각각의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 카테고리를 대표하는 기호요소는 로마자 알파벳으로 표시되며;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 중 "다른 획과 교차(cross)"하는 관계에는 "X"; "자신과 교차(self-cross)"하는 관계에는 "Y"; "획의 시작점이 다른 획의 몸통에 접하는" 관계에는 "T"; "획의 끝점이 다른 획의 몸통에 접하는" 관계에는 "Q"; "획의 시작점이 다른 획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이어지는" 관계에는 "P"; "획의 끝점이 다른 획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이어지는" 관계에는 "E"; "획의 시작점이 다른 획의 끝점 에 이어지고 획의 끝점이 또 다른 획의 끝점에 이어지는" 관계에는 "G"가 각각 기호요소로서 배당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자의 자획 및/또는 자음 전체를 모두 입력하지 않고, 알고 있는 일부분만을 입력하여도 원하는 문자, 예컨대 한자를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자음과 자획 그리고 자획간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조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해 놓고 이를 검색함으로써, 검색된 후보 한자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을 쉽고 빠르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니코드 CJK 한자에 관한 정보를 도시하는 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유니코드 상의 CJK 자획의 종류를 도시한 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별되는 한자 자획의 종류 및 이를 입력하기 위한 기호요소를 보여주는 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별되는 한자 자획간 상대 위치 관계 의 종류 및 이를 입력하기 위한 기호요소를 보여주는 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별되는 한자의 두개의 자획이 서로 유사한 상대 위치를 가지는 예 및 이를 입력하기 위한 기호요소를 보여주는 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별되는 한자의 구체적인 문자를 대신하는 메타요소를 나타내는 예 및 이를 입력하기 위한 기호요소를 보여주는 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자에 기호요소들을 매칭시킨 예와 한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기호요소를 입력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입력부와 표시부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0 내지 도 11은 한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기호요소를 입력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 본 발명이 비록'한자'입력의 예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반드시 한자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자획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인 전자장치의 키보드로 쉽게 입력할 수 없는 많은 개체수를 가지는 문자체계라면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한자입력시스템은,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검색부(140), 전달부(15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자입력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장치 또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 등의 문자입력용 전자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전자장치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문서작성용 또는 문자메시지 작성용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각종 숫자키, 방향키 등을 구비하는 키 패드 혹은 터치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의 일 예로서 터치 스크린은,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문장"은 1개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단어"는 1개 이상의 "문자"로 구성되고, 각각의 문자는 1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실제로는 "기호요소"에 의하여 입력된다고 정의하자.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부(110)는, 기호요소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문자입력용 기호요소는 한자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문자 및/또는 숫자 또는 기호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한 벌의 키보드 또는 키패드 내에서 소화할 수 있는 제한된 개수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자의 구성요소는 자획, 자음, 자획간 상대위치, 및/또는 메타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기호요소를 입력하는 것은 하나의 자획을 입력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하나의 기호요소를 입력하는 것은 하나의 자음, 하나의 자획간 상대위치, 또는 하나의 메타요소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문자입력용 기호요소는 도 4 내지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획을 나타내는 기호요소,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요소, 자획간 상대위치를 나타내는 기호요소, 및/또는 메타문자를 나타내는 기호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미로서의 자획은, 한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인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한자를 종이에 적을 때 지면에서 떼지 않고 한번에 긋는 문자의 일부분이다. 일반적인 자획의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유니코드에서 정의한 CJK Stroke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자획은 도4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 정의에 있어서, 자획은 8개의 카테고리로 구별되어 정의되며, 각각의 자획 카테고리는 하나의 입력용 기호요소가 배당된다. 즉 "수평획(horizontal stroke), 우측 또는 우측 상향으로 긋는 획"에는 "H"라는 입력용 기호요소가 배당된다. "세로획(vertical stroke), 수직 하향으로 내리 긋는 획"에는 "V"라는 입력용 기호요소가 배당된다. "삐침획(slash stroke), 좌측 하향으로 긋는 획"에는 "S"라는 입력용 기호요소가 배당된다. "파임획(backslash stroke), 우측 하향으로 긋는 획"에는 "B"가, "점획(dot stroke), 방향을 정할 수 없거나 매우 짧은 획"에는 "D"가, "원형획(circle stroke)"에는 "C"가, "방향변화가 시계방향인 획(right turn stroke)"에는 "R"이, "방향변화가 반시계방향인 획(left turn stroke)"에는 "L"이 각각 입력용 기호요소로서 배당된다.
이 예에서는 한자의 자획이 8개로 구별되어 있고 각각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 중에서 선택된 문자가 입력용 기호요소로서 대응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로서만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자획의 종류가 도 4에 예시된 것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자획이 전술한 일반적인 의미로서의 자획을 제외하는 것도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음(字音)은, 문자의 발음을 말하는 것으로서, 한자에 대한 발음을 표시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는데, 로마자 알파벳을 빌어 표기하는 Pinyin, Jyutping, Wade-Giles, Yale 방식 등이 있고, 한자의 일부분을 따서 발음 기호로 삼는 Zhuyin(주음, Bopomopo)과 같은 방식이 있다. 이들 자음 표기 방식들은 한자의 발음에 포함된 성조를 표기하기 위하여 아라비아 숫자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한글 역시 표음문자로서 한자의 발음을 표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음에 대응하는 입력용 기호요소는 기존에 로마 알파벳을 사용하는 표기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이밖에 성조를 표기하기 위하여 숫자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한글의 자모 및 한글의 음절을 자음 입력용 기호요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자획이 로마자 알파벳의 대문자를 사용하는 것과 구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로마자 알파벳을 자음 입력용 기호요소로서 사용할 때에는 로마자 알파벳의 소문자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용 기호요소가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경우는, 도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 정의에 있어서,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는 7개의 카테고리로 구별되어 정의되며, 각각의 자획간 상대위치 카테고리마다 하나의 입력용 기호요소가 배당된다. 이 경우 자획간 상대위치를 나타내는 입력용 기호요소는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자획을 나타내는 입력용 기호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알파벳 대문자 중에서 배당될 수 있다. 즉 "다른 획과 교차(cross)"하는 관계에는 "X"라는 입력용 기호요소가 배당된다. "자신과 교차(self-cross)"하는 관계에는 "Y"라는 입력용 기호요소가 배당된다. "획의 시작점이 다른 획의 몸통에 접하는" 관계에는 "T"라는 입력용 기호요소가 배당된다. "획의 끝점이 다른 획의 몸통에 접하는" 관계에는 "Q"가, "획의 시작점이 다른 획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이어지는" 관계에는 "P"가, "획의 끝점이 다른 획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이어지는" 관계에는 "E"가,"획의 시작점이 다른 획의 끝점 에 이어지고 획의 끝점이 또 다른 획의 끝점에 이어지는" 관계에는 "G"가 각각 입력용 기호요소로서 배당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는, 임의의 자획과 자획 사이의 상호 위치관계로부터 도출해낼 수 있는 임의의 특징들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도5의 내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항상 연접한 자획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로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일반적으로 특정 한자에 대하여 다른 한자들과 구분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많이 부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면 할수록, 결과로서 검색될 수 있는 후보 한자의 수를 대폭 줄일 수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자획 및 자음만을 구성요소로서 이용하는 한자입력방식과는 달리,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를 추가적인 구성요소로서 활용한다는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사한 자획들을 가지고 있어 자획만을 이용한 입력방식에서 검색되는 다수의 후보 문자들이 자획간 상대위치관계를 추가로 사용하는 경우 절반으로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삐침획(S)과 파임획(B)이 포함된 한자들 즉
Figure pat00001
들은 두 자획을 입력할 때는 모두 검색되어 후보 문자로 나타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상대적 위치관계의 일 예인 "다른 획과의 교차"하는 관계(X)를 부가하는 경우, 예컨대 "SB"만을 입력한 경우에는 교차하는 관계를 뺀 부류
Figure pat00002
만이 검색되고, "SBX,SXB, 또는 SXBX" 등으로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두 자획이 서로 교차하는 부류
Figure pat00003
만 검색될 수 있어 후보 문자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입력용 기호요소에는, 자획이나 자음 또는 상대위치를 나타내지 않고 이러한 구성요소를 대신할 수 있는 메타문자를 나타내는 입력용 기호요소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예는 도 7에 표시되어 있다. 즉 구체적으로 자획, 자음, 상대위치라는 구성요소들 중에서 특정하지 않고 단지 1개의 구성요소만을 대표하는 메타요소를 나타내기 위하여 ".(마침표)"를 사용한다. 이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0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메타요소, 단어를 쓰기 위하여 하나의 문자와 다른 문자 사이를 구분하는 메타요소, 1개의 문자를 대신하는 메타요소, 0개 이상의 문자를 대신하는 메타요소를 각각 나타내도록 기호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
물론 도 7에 예시된 메타요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일 뿐이며, 입력용 기호요소와 중복되지 않는 한, 임의의 문자가 메타요소를 나타내는 기호요소로서 활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한자는, 한자문화권에 속한 각국(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등)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의미로서의 문자로서, 어느 특정국에서만 사용되는 한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자 즉 하나의 문자는 1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집합체로 간주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문자는 구성요소인 자획, 자음 및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들을 다수 개 조합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의 (a)에서와 같이, "
Figure pat00004
"라는 문자는 그 자획 및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들이 순서대로 "HVVHHHVXRXHXHX"이고, 그 자음은 "dan1"으로서, 자획들만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고 자음만으로도 정의될 수 있으며, 자획과 자음의 조합인 "HVVHHHVXRXHXHXdan1"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의 "
Figure pat00005
"라는 문자에 대한 예에서 "X"는 그 앞의 2개의 자획이 서로 교차함을 나타내는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의 일 예이다. 상기 "dan1"에서의 숫자 "1"은 "
Figure pat00006
"라는 한자의 자음의 일부로서 성조가 제1성임을 표기하는 예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조합에 있어서, 자획, 자음 및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들의 순서는 한가지로만 정하여지는 것이 아니고, 구성요소들 사이에 임의의 순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
Figure pat00007
" 에 대한 자획과 자음의 조합 순서에 있어서, "dan1HVVHHHVXRXHXHX"일 수도 있고, "HVVdan1HHHVXRXHXHX"일수도 있으며 또한 "HVVdaHHHVXRXHXHXn1"일 수도 있다.
도 8의 (a)의 두 번째 줄에서와 같이, "
Figure pat00008
"라는 문자에 대하여, 그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복수 개 매칭시키는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설명한다. "
Figure pat00009
"를 입력함에 있어서, 사용자마다 그 자획의 획순을 달리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HVVHH","VVHHH" 또는 "HXVXVX"와 같은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동일한 한자 "
Figure pat00010
"에 대하여 여러 획순이 존재 할 수 있으므로, 이중 어느 하나의 획순으로도 "
Figure pat00011
"이 검색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의 획순 변형이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거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에 로직으로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도8의 (a)에서 기호 "||"는, 구성요소들의 조합 여러 개가 "
Figure pat00012
"에 매칭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풀"을 의미하는 한자(漢字) "
Figure pat00013
"와 "
Figure pat00014
"에 대한 한자구성요소들의 조합을 예로 들어 한자의 획수변형을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두 한자는 통상 그 의미를 같게 보며 사용자마다 그 사용을 엄격히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Figure pat00015
"에 "
Figure pat00016
"가 사용될 수도 있고 "
Figure pat00017
"에 "
Figure pat00018
"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하기 위하여 "
Figure pat00019
"는 7획 또는 6획으로 정의할 수 있고, "
Figure pat00020
"는 6획 또는 7획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획수 변형을 포함하면 "
Figure pat00021
"과 "
Figure pat00022
"은 각각
Figure pat00023
::= HVVHVH || HVHVHVH
Figure pat00024
::= HVVSRB || HVHVSRB
로 정의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한자입력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0)에 의해 한자입력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 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한자(漢字)와, 한자를 구성하는 한자구성요소(즉, 기호요소)를 매칭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한자에 대해, 상기 특정 한자를 구성할 수 있는, 한자의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복수 개 매칭시킬 수 있다. 이 조합은 자획 수의 변형과 자획 순의 변형을 포함한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검색 서버에 존재할 수도 있다.
검색부(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복수 개의 한자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모든 한자를 메모리(130)에 저장된 또는 원격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가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0)가 검색부(140)의 기능을 포함한다. 검색부(140)는, 복수 개의 한자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부의 한자를 검색할 수도 있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한자입력시스템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장치이다. 표시부(120)는, 검색부(140)에서 검색된 한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검색된 한자와 함께, 검색된 한자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된 한자와 관련된 정보의 예를 들면, 검색된 한자의 자음, 자의, 유니코드, 부수, 획수, 각 국가별 표준 코드 등이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시스템 구성 부분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방법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먼저 입력부(110)를 통해 기호요소를 복수 개 입력 받는다. 도 8의 (b)는 한자 '
Figure pat00025
'를 검색할 목적으로, 입력부(110)에 입력하는 한자검색요소들의 여러 예를 보인 것이다. 도 8의 (b)에서 첫번째나 두번째의 예는, 한자(漢字) '
Figure pat00026
'에 대한 자획과 자음을 모두 입력한 경우이다. 도 8의 (b)에서 세번째의 예는, 첫 자획 두 개와 마지막 자음 두 개만을 입력하고 그 중간의 구성요소들은 모르거나 건너뛸 목적으로 '*'라는 메타요소(를 표시하는 기호요소)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도 8의 (c)에서 여섯번 째의 예는, 한자 단어 "
Figure pat00027
"를 검색할 목적으로 입력한 경우이다. 즉, "SV*"에 의하여 "
Figure pat00028
"를 검색하고, 중간의 임의 갯수의 한자를 건너뛰어(":"는 0개 이상의 한자를 대신하므로), 마지막 한자가 "*ma5"에 해당하는 임의의 한자열을 검색할 목적으로 입력한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호요소들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00)는 검색부(140)를 제어하여 입력된 복수 개의 기호요소들에 매치되는 모든 한자를 검색한다. 이때, 입력된 요소들에 매치되는 일부의 한자들만 검색할 수도 있다. 이 검색단계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한자에 대해, 특정 한자를 구성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복수 개 매칭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와 도 4 내지 도 7의 요소를 비교 검색하여 일치하는 한자를 찾아낼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모든 한자를 후보 문자로서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검색된 한자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된 한자와 함께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전달부(150)를 제어하여, 표시부(120)에 후보 문자로서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한 한자를, 목적창(60)으로 전달한다. 전달부(1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한자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선택된 한자와 함께 목적창(6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방법에 의해 수행된 한자 검색 결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결과들은 도 1의 유니코드 한자 중 약 27,500개의 한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만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얻은 것들이다.
도 9는, 입력부(110)와 표시부(120)가 하나의 화면상에 구현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전자장치를 전제로 한다. 입력부(110)는 텍스트 입력창(41), 입력버튼부(43) 및 입력결과표시부(45)를 포함하는 입력창(40)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표시부(120)는 전체 후보문자창(51), 추천 후보문자창(53), 및 추천 단어창(55)를 포함하는 후보문자창(50)으로서 구현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창(41)에 자획과 메타요소들의 조합 "BHSB*BHS*LHH"을 입력하여, 한자 "
Figure pat00029
"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찾고, 이를 표시창(50)에 후보문자로서 표시한다. 사용자가 한자 "
Figure pat00030
"를 선택하면, 선택된 것은 오른쪽의 편집기창(목적창, 60)으로 전달한다.
도 10의 (a) 내지 (f)는, 한자 "
Figure pat00031
"를 찾을 목적으로, 자획들만을 순차적으로 입력할 때,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후보 한자들과 후보 한자들의 개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예이다. 각 후보 한자들의 개수는, 도 10의 (a)에서 329개, 도 10의 (b)에서 284개, 도 10의 (c)에서 232개, 도 10의 (d)에서 67개, 도 10의 (e)에서 6개 그리고 도 10의 (f)에서 2개였다.
도 11의 (a) 내지 (c)는 22 내지 도24는, 역시 한자 ""를 찾을 목적으로, 자획과 자음 및 메타요소를 조합하여 입력할 때,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후보한자들과 후보한자들의 개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예이다. 각 후보한자들의 개수는, 도 11의 (a)에서 83개, 도 11의 (b)에서 7개 그리고 도 11의 (c)에서 4개였다.
도 12의 (a) 및 (b)는 한자(漢字)열 "
Figure pat00033
"를 찾을 목적으로, 한자검색요소들을 조합하여 입력할 때,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후보한자들과 후보한자열들의 변화를 보여주는 예이다. "SV*SB"를 입력할 때까지의 1개의 문자로 된 후보 한자개수는 305개에 이르렀지만, "SV*SB;LX*H*h"를 입력한 후에는 후보 한자열이 2개에 불과 했으며, "SV*SB;LX*H*ha"를 입력한 후에는 한자열 "
Figure pat00034
"만이 후보 목록에 남게 되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한자입력시스템 내에서 입력과 검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자입력시스템은, 한자입력시스템 외부에 검색을 요청하고, 그 검색 결과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시공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0 : 제어부
110 : 입력부
120 : 표시부
130 : 메모리
140 : 검색부
150 : 전달부
40 : 입력창
41 : 텍스트 입력창
43 : 입력버튼부
45 : 입력결과 표시부
50 : 후보문자창
51 : 전체 후보문자창
53 : 추천 후보문자창
55 : 추천 단어창
60 : 목적창(편집기창)

Claims (8)

  1.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문자와, 상기 문자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자획, 자음, 자획간 상대위치 관계, 및 메타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킨 구성요소 조합을 매칭시킨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입력시스템에서 실행되며,
    상기 입력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창을 통해 상기 구성요소를 각각 나타내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기호요소를 복수 개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기호요소에 일치하는 일부 또는 모든 문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문자 중 일부를 선택하여 목적창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문자에 대해, 상기 특정 문자를 구성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복수 개 매칭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들의 조합은, 획수변형 및 획순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를 각각 나타내는 기호요소는 로마자 알파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중 자획은 8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각각의 자획 카테고리를 대표하는 기호요소는 로마자 알파벳으로 표시되며;
    자획 중 "수평획(horizontal stroke), 우측 또는 우측 상향으로 긋는 획"에는 "H"; "세로획(vertical stroke), 수직 하향으로 내리 긋는 획"에는 "V"; "삐침획(slash strole), 좌측 하향으로 긋는 획"에는 "S"; "파임획(backslash stroke), 우측 하향으로 긋는 획"에는 "B"; "점획(dot stroke), 방향을 정할 수 없거나 매우 짧은 획"에는 "D"; "원형획(circle stroke)"에는 "C"가, "방향변화가 시계방향인 획(right turn stroke)"에는 "R"; "방향변화가 반시계방향인 획(left turn stroke)"에는 "L"이 각각 기호요소로서 배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중 자음은 표음문자와 숫자를 포함하는 기호요소에 의하여 대표되며, 상기 표음문자는 일반적 의미의 표음문자로서 로마자 알파벳 또는 한글 또는 주음부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중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는 7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각각의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 카테고리를 대표하는 기호요소는 로마자 알파벳으로 표시되며;
    자획간 상대적 위치관계 중 "다른 획과 교차(cross)"하는 관계에는 "X"; "자신과 교차(self-cross)"하는 관계에는 "Y"; "획의 시작점이 다른 획의 몸통에 접하는" 관계에는 "T"; "획의 끝점이 다른 획의 몸통에 접하는" 관계에는 "Q"; "획의 시작점이 다른 획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이어지는" 관계에는 "P"; "획의 끝점이 다른 획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이어지는" 관계에는 "E"; "획의 시작점이 다른 획의 끝점에 이어지고 획의 끝점이 또 다른 획의 끝점에 이어지는" 관계에는 "G"가 각각 기호요소로서 배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KR1020110016819A 2011-02-25 2011-02-25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KR20120101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19A KR20120101606A (ko) 2011-02-25 2011-02-25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19A KR20120101606A (ko) 2011-02-25 2011-02-25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606A true KR20120101606A (ko) 2012-09-14

Family

ID=4711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819A KR20120101606A (ko) 2011-02-25 2011-02-25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16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5252A (zh) * 2022-05-31 2022-08-19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邻域的书法机械臂的笔画推荐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5252A (zh) * 2022-05-31 2022-08-19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邻域的书法机械臂的笔画推荐方法
CN114925252B (zh) * 2022-05-31 2024-03-19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邻域的书法机械臂的笔画推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7608B2 (ja) 減少されたキーボード明瞭化システム
KR100377432B1 (ko) 문자/단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CN102449579B (zh) 一体式中文字输入方法
US8462118B2 (en) Data entry system and method of entering data
US10365727B2 (en) Human-to-mobile interfaces
KR100790710B1 (ko) 합성 글자들의 자동 완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43856B1 (ko)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100662553B1 (ko)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000035960A (ko) 고속 타자 장치와 방법
KR20070043673A (ko) 사용자의 다음 문자열 입력을 예측하는 글자 입력 시스템및 그 글자 입력 방법
CN101021763A (zh) 一种触摸屏幕上软键盘布局快速输入方法
JP2009020866A (ja) タイミング・シーケンス多義エンコーディングを採用するデコーディング方法とその装置
WO2006049630A2 (en) Multilingual input method editor for ten-key keyboards
US20140022180A1 (en) Method for Inputting and Searching Chinese Characters with Easy-Strokes
JP2004523034A (ja) 文字生成システム
JP6380150B2 (ja) 文字入力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2096553B (zh) 电子阅读器及其输入法的显示方法
KR100989836B1 (ko) 문자열 예측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되는 전자장치
KR20120101606A (ko) 복수 자획으로 구성된 문자의 입력 방법
JP4887514B2 (ja) 漢字後続文字入力法
CN101114196B (zh) 输入中文短语的方法和设备
JP4487614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630310A (zh) 一种具有容错功能的文字处理系统及方法
CN104850242A (zh) 一种汉字拼音输入法及利用该输入法编码汉字的方法
JP4004060B1 (ja) 文字検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