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541A -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541A
KR20120100541A KR1020110019516A KR20110019516A KR20120100541A KR 20120100541 A KR20120100541 A KR 20120100541A KR 1020110019516 A KR1020110019516 A KR 1020110019516A KR 20110019516 A KR20110019516 A KR 20110019516A KR 20120100541 A KR20120100541 A KR 20120100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ngle
area
image data
triangles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6980B1 (ko
Inventor
홍태민
김종일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로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딕스 filed Critical (주)로딕스
Priority to KR102011001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98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32Image data form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36Level of deta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는 입력된 LOD3의 영상 데이터에서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 중에서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이루는 삼각형을 선택하는 삼각형 선택부; 선택한 상기 삼각형 중에서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 검출한 상기 삼각형의 쌍 중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 검출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하는 삼각형 제거부; 및 상기 삼각형의 제거로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변환된 상기 LOD2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TRANSFORMING IMAGE DATA IN RENDE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렌더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LOD(Level Of Detail)3의 영상 데이터를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렌더링하는 경우 LOD3의 영상 데이터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하여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3차원 그래픽 기법들이 PC에 도입되면서 좀 더 현실감 있고 화려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서 많은 수의 폴리곤 처리와 광원효과와 같은 특수효과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3차원 그래픽 하드웨어들이 시장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특히, 3차원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높은 현실감을 제공하는 게임들이 큰 호응을 얻으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3차원 그래픽 영상은 주로 점, 선,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3차원 렌더링 처리는 주로 삼각형을 고속으로 처리하는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차원 모델 LOD(Level Of Detail) 조정 기법으로는 edge collapse, vertex decimation, triangle collapse 등이 있는데, 세부 과정은 차이가 있으나 점이나 선과 같은 기본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도가 떨어지는 것을 찾아 하나씩 지워나가는 방식이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3차원 모델의 모양을 유지한 채로 LOD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처럼 기본 요소의 기여도를 판단해 가장 중요도가 떨어지는 기본 요소를 삭제하는 알고리즘은 순순하게 기하 요소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록 두 폴리곤(polygon)이 서로 다른 부분을 이루고 있더라도 기하학적 특징이 비슷하고 결과적으로 산출된 기여도가 같은 경우 이 두 폴리곤을 같이 제거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OD3의 영상 데이터를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렌더링하는 경우 LOD3의 영상 데이터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하여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는 입력된 LOD3의 영상 데이터에서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 중에서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이루는 삼각형을 선택하는 삼각형 선택부; 선택한 상기 삼각형 중에서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 검출한 상기 삼각형의 쌍 중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 검출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하는 삼각형 제거부; 및 상기 삼각형의 제거로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변환된 상기 LOD2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삼각형 선택부는 상기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과 수직을 이루는 법선 벡터를 구하고 그 법선 벡터의 X, Y 좌표가 '0'인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한 결과로 '0'이면 바닥 영역 또는 난간 영역을 이루는 삼각형으로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검출부는 두 삼각형 각각을 이루는 선분 중 꼭지점을 공유하는 선분이 있는 경우 두 삼각형을 인접한 삼각형의 쌍으로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포함하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에서 외각선이 아닌 성분인 간선을 제거하고 상기 난간 영역의 안쪽 외각선과 상기 바닥 영역의 외각선의 Z 좌표가 다르고 X,Y 좌표가 같다면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삼각형 제거부는 상기 건물을 이루는 모든 삼각형에 대해서 세 꼭지점의 Z값이 바닥의 Z값과 난간의 Z값 사이에 있고, 상기 바닥 영역과 검사하고자 하는 임의의 삼각형을 2차원 평면에 투영한 후에 투영된 상기 삼각형이 투영된 상기 바닥 영역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삼각형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데이터의 LOD는 국립지리정보원의 3차원 국토 공간정보 구축 작업 규정에서 정의한 3차원 교통 데이터 세밀도 및 가시화 정보 제작 기준의 레벨로, 상기 LOD3은 레벨 3, 상기 LOD2는 레벨 2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LOD3에서는 연합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까지 제작하며, 상기 LOD 2에서는 블록 또는 연합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상기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를 미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은 (a) 입력된 LOD3의 영상 데이터에서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 중에서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이루는 삼각형을 선택하는 단계; (b) 선택한 상기 삼각형 중에서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검출하는 단계; (c) 검출한 상기 삼각형의 쌍 중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d) 검출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삼각형의 제거로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변환된 상기 LOD2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과 수직을 이루는 법선 벡터를 구하고 그 법선 벡터의 X, Y 좌표가 '0'인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한 결과로 '0'이면 바닥 영역 또는 난간 영역을 이루는 삼각형으로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두 삼각형 각각을 이루는 선분 중 꼭지점을 공유하는 선분이 있는 경우 두 삼각형을 인접한 삼각형의 쌍으로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포함하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에서 외각선이 아닌 성분인 간선을 제거하고 상기 난간 영역의 안쪽 외각선과 상기 바닥 영역의 외각선의 Z 좌표가 다르고 X,Y 좌표가 같다면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건물을 이루는 모든 삼각형에 대해서 세 꼭지점의 Z값이 바닥의 Z값과 난간의 Z값 사이에 있고, 상기 바닥 영역과 검사하고자 하는 임의의 삼각형을 2차원 평면에 투영한 후에 투영된 상기 삼각형이 투영된 상기 바닥 영역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삼각형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데이터의 LOD는 국립지리정보원의 3차원 국토 공간정보 구축 작업 규정에서 정의한 3차원 교통 데이터 세밀도 및 가시화 정보 제작 기준의 레벨로, 상기 LOD3은 레벨 3, 상기 LOD2는 레벨 2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LOD3에서는 연합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까지 제작하며, 상기 LOD 2에서는 블록 또는 연합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상기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를 미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LOD3의 영상 데이터를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렌더링하는 경우 LOD3의 영상 데이터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하여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각형을 선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각형의 쌍을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더링 방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LOD(Level Of Detail)3의 영상 데이터를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렌더링하는 경우 LOD3의 영상 데이터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하여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렌더링하기 위한 장치는 입력부(110), 삼각형 선택부(120), 제1 검출부(130), 제2 검출부(140), 삼각형 제거부(150), 및 출력부(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LOD3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LOD는 국립지리정보원의 3차원 국토 공간정보 구축 작업 규정에서 정의한 3차원 교통 데이터 세밀도 및 가시화 정보 제작 기준의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레벨 1부터 레벨 4까지 있는데, 예컨대, LOD3은 레벨 3을 나타내고 LOD2는 레벨 2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레벨 4에서는 3차원 실사 모델로 나타내되 수직적, 수평적 돌출부 및 함몰부까지 제작하게 된다. 레벨 3에서는 연합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까지 제작하게 된다. 레벨 2에서는 블록 또는 연합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를 미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레벨 1에서는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를 미제작하게 된다.
삼각형 선택부(120)는 입력된 LOD3의 영상 데이터에서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 중에서 특정 구성요소 예컨대, 바닥 영역이나 난간 영역 등을 이루는 삼각형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영역은 건물의 밑부분을 나타내고, 난간 영역은 층계, 다리, 마루 따위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각형을 선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구성요소인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은 모든 지면과 평행한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삼각형이 지면과 평행한지 판단하는 과정과 그 삼각형이 서로 떨어져 있는지 또는 붙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삼각형이 지면과 평행한지를 알아보는 것은 삼각형과 수직을 이루는 법선 벡터의 X, Y 좌표가 '0'인지를 알아보는 것과 같다. 여기서, 법선 벡터는 임의의 2 선분을 선택해 두 선분 벡터의 외적을 구하여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산을 통해 건물을 이루는 삼각형 중 지면과 평행한 삼각형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면과 평행하지 않은 삼각형은 모두 걸러낼 수 있다.
제1 검출부(130)는 선택한 삼각형 중에서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검출할 수 있다. 선택한 삼각형은 아직 상호 간에 연결 관계가 정의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바로 쌍을 찾을 수는 없다. 따라서 각 삼각형이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각형의 쌍을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삼각형에서 0부터 n까지 인덱스가 부여될 수 있다. 삼각형을 이루는 선분을 하나씩 훑어 나가면 기존에 훑어봤던 선분과 순서만 다르고 꼭지점을 공유하는 것을 찾을 수 있는데 그런 관계가 성립하는 두 삼각형은 인접한 것이다.
예컨대, 삼각형 Tri_0의 선분 BC는 삼각형 Tri_1의 CB 선분은 꼭지점 B, C를 공유하기 때문에 삼각형 Tri_0과 Tri_1은 인접하고, 삼각형 Tri_1의 선분 DC와 삼각형 Tri_2의 선분 CD는 꼭지점 C, D를 공유하기 때문에 삼각형 Tri_1과 Tri_2는 인접하다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산을 통해 인접하는 삼각형 인덱스를 담은 인접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2 검출부(140)는 검출한 삼각형의 쌍을 포함하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중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바닥 영역의 바깥쪽과 난간 영역의 안쪽 선분이 Z 성분만 다르고 X, Y값이 동일할 경우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이 짝을 이룰 수 있다. 짝을 찾기 위해서는 외각선을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것은 간선 즉, 외각선이 아닌 성분을 제거하여 얻을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a)는 난간 영역에 해당하고 그림 (b)는 바닥 영역에 해당하는데, 난간 영역에 해당하는 왼쪽 그림을 예로 들면 모든 삼각형의 선분은 순서를 무시하고 등장하는 횟수를 세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HE 1 AB 1 DF 2 AH 2
EF 1 BC 1 CF 2 AE 2
FG 1 CD 1 BG 2 CG 2
GH 1 DA 1 DE 2 BH 2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간선은 2번 나타나고 외각선은 1번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외각선이 아닌 성분 즉, 간선을 제거하면 왼쪽은 ABCD, EFGH를 얻고 오른쪽은 IJKL을 얻을 수 있다. 즉, ABCD가 EFGH 안쪽에 존재하기 때문에 만약 바닥 영역에 해당하는 IJKL이 ABCD와 X, Y 좌표가 같다면 둘은 쌍을 이룰 수 있다.
삼각형 제거부(150)는 검출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할 수 있다. 즉, 건물을 이루는 모든 삼각형에 대해서 세 꼭지점의 Z값이 바닥의 Z값과 난간의 Z값 사이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랜더링 장치는 하나라도 벗어난다면 외부에 있거나 걸쳐진 것이므로 무시하는 반면, 이 조건을 만족하면 바닥 영역과 검사하고자 하는 삼각형을 2차원 평면에 투영한 후에 투영된 삼각형이 바닥 영역의 내부에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삼각형 제거부(150)는 투영된 삼각형이 바닥 영역을 이루는 외각선과 교차하거나 삼각형을 이루는 꼭지점이 모두 투영된 바닥 영역 내부에 존재할 경우 해당 삼각형을 제거할 수 있다.
출력부(160)는 해당 삼각형을 제거하여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킴으로써, 그 변환된 LOD2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렌더링하기 위한 장치(이하, 렌더링 장치'라고 한다)는 LOD3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S510).
렌더링 장치는 입력된 LOD3의 영상 데이터에서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 중에서 특정 구성요소 예컨대, 바닥 영역이나 난간 영역 등을 이루는 삼각형을 선택할 수 있다(S520). 즉, 렌더링 장치는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과 수직을 이루는 법선 벡터를 구하고 그 법선 벡터의 X, Y 좌표가 '0'인지를 확인하여 바닥 영역 또는 난간 영역을 이루는 삼각형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법선 벡터는 삼각형을 이루는 임의의 2 선분을 선택해 두 선분 벡터의 외적을 구하여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렌더링 장치는 선택한 삼각형 중에서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검출할 수 있다(S530). 즉, 렌더링 장치는 두 삼각형 각각을 이루는 선분 중 꼭지점을 공유하는 선분이 있는 경우 두 삼각형을 인접한 삼각형의 쌍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렌더링 장치는 검출한 삼각형의 쌍 중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S540). 즉, 렌더링 장치는 두 삼각형 쌍을 포함하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에서 외각선이 아닌 성분 즉, 간선을 제거하고 난간 영역의 안쪽 외각선과 바닥 영역의 외각선의 Z 좌표가 다르고 X,Y 좌표가 같다면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렌더링 장치는 검출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할 수 있다(S550). 즉, 렌더링 장치는 건물을 이루는 모든 삼각형에 대해서 세 꼭지점의 Z값이 바닥의 Z값과 난간의 Z값 사이에 있고, 바닥 영역과 검사하고자 하는 임의의 삼각형을 2차원 평면에 투영한 후에 투영된 삼각형이 투영된 바닥 영역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삼각형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렌더링 장치는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 제거로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켜 변환된 LOD2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56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더링 방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a)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하여 그림 (b)와 같이 LOD2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입력부
120: 삼각형 선택부
130: 제1 검출부
140: 제2 검출부
150: 삼각형 제거부
160: 출력부

Claims (14)

  1. 입력된 LOD(Level Of Detail)3의 영상 데이터에서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 중에서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이루는 삼각형을 선택하는 삼각형 선택부;
    선택한 상기 삼각형 중에서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
    검출한 상기 삼각형의 쌍 중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
    검출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하는 삼각형 제거부; 및
    상기 삼각형의 제거로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변환된 상기 LOD2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선택부는,
    상기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과 수직을 이루는 법선 벡터를 구하고 그 법선 벡터의 X, Y 좌표가 '0'인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한 결과로 '0'이면 바닥 영역 또는 난간 영역을 이루는 삼각형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부는,
    두 삼각형 각각을 이루는 선분 중 꼭지점을 공유하는 선분이 있는 경우 두 삼각형을 인접한 삼각형의 쌍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포함하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에서 외각선이 아닌 성분인 간선을 제거하고 상기 난간 영역의 안쪽 외각선과 상기 바닥 영역의 외각선의 Z 좌표가 다르고 X,Y 좌표가 같다면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제거부는,
    상기 건물을 이루는 모든 삼각형에 대해서 세 꼭지점의 Z값이 바닥의 Z값과 난간의 Z값 사이에 있고, 상기 바닥 영역과 검사하고자 하는 임의의 삼각형을 2차원 평면에 투영한 후에 투영된 상기 삼각형이 투영된 상기 바닥 영역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삼각형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LOD는 국립지리정보원의 3차원 국토 공간정보 구축 작업 규정에서 정의한 3차원 교통 데이터 세밀도 및 가시화 정보 제작 기준의 레벨로, 상기 LOD3은 레벨 3, 상기 LOD2는 레벨 2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LOD3에서는 연합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까지 제작하며, 상기 LOD 2에서는 블록 또는 연합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상기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를 미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8. (a) 입력된 LOD(Level Of Detail)3의 영상 데이터에서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 중에서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이루는 삼각형을 선택하는 단계;
    (b) 선택한 상기 삼각형 중에서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검출하는 단계;
    (c) 검출한 상기 삼각형의 쌍 중에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d) 검출한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 사이의 삼각형을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삼각형의 제거로 LOD2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변환된 상기 LOD2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건물을 구성하는 삼각형과 수직을 이루는 법선 벡터를 구하고 그 법선 벡터의 X, Y 좌표가 '0'인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한 결과로 '0'이면 바닥 영역 또는 난간 영역을 이루는 삼각형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두 삼각형 각각을 이루는 선분 중 꼭지점을 공유하는 선분이 있는 경우 두 삼각형을 인접한 삼각형의 쌍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인접한 삼각형의 쌍을 포함하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에서 외각선이 아닌 성분인 간선을 제거하고 상기 난간 영역의 안쪽 외각선과 상기 바닥 영역의 외각선의 Z 좌표가 다르고 X,Y 좌표가 같다면 쌍을 이루는 바닥 영역과 난간 영역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건물을 이루는 모든 삼각형에 대해서 세 꼭지점의 Z값이 바닥의 Z값과 난간의 Z값 사이에 있고, 상기 바닥 영역과 검사하고자 하는 임의의 삼각형을 2차원 평면에 투영한 후에 투영된 상기 삼각형이 투영된 상기 바닥 영역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삼각형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LOD는 국립지리정보원의 3차원 국토 공간정보 구축 작업 규정에서 정의한 3차원 교통 데이터 세밀도 및 가시화 정보 제작 기준의 레벨로, 상기 LOD3은 레벨 3, 상기 LOD2는 레벨 2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LOD3에서는 연합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까지 제작하며, 상기 LOD 2에서는 블록 또는 연합 블록 형태로 나타내되 상기 수직적 돌출부 및 함몰부를 미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KR1020110019516A 2011-03-04 2011-03-04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236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16A KR101236980B1 (ko) 2011-03-04 2011-03-04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16A KR101236980B1 (ko) 2011-03-04 2011-03-04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541A true KR20120100541A (ko) 2012-09-12
KR101236980B1 KR101236980B1 (ko) 2013-02-25

Family

ID=4711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516A KR101236980B1 (ko) 2011-03-04 2011-03-04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282B1 (ko) * 2021-11-29 2023-05-26 주식회사 엠엠피 메쉬 데이터의 용량 감소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430A (ja) 2001-01-26 2002-08-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3次元ポリゴンメッシュを生成する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551132B1 (ko) * 2003-07-28 2006-02-13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뷰-의존 lod 기반 렌더링 시스템에서 삼각형 스트립의필터링 방법
KR100695156B1 (ko) * 2005-02-03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의 그래픽 이미지를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282B1 (ko) * 2021-11-29 2023-05-26 주식회사 엠엠피 메쉬 데이터의 용량 감소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980B1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47561B (zh) 一种基于拍照重建三维空间场景的方法
Younes et al.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for rich interaction with cultural heritage sites: A case study from the Roman Theater at Byblos
CN106548516B (zh) 三维漫游方法和装置
WO2014192316A1 (ja) モデリング装置、3次元モデル生成装置、モデリング方法、プログラム、レイアウトシミュレータ
Neumann et al. Augmented virtual environments (ave): Dynamic fusion of imagery and 3d models
US826537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ed therewith
JP6238183B2 (ja) モデリング装置、3次元モデル生成装置、モデリング方法、プログラム
US20100328308A1 (en) Three Dimensional Mesh Modeling
CN101189643A (zh) 3d图像生成和显示系统
CN105513112A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
US20200202611A1 (en) Image generation method and image generation device
EP30409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building three-dimensional object and terminal
WO2019082797A1 (ja) 再構成方法および再構成装置
WO2022063260A1 (zh) 一种渲染方法、装置及设备
JP6782108B2 (ja) 可視率算出装置
CN107358609A (zh) 一种用于增强现实的图像叠加方法及装置
KR20150124112A (ko) 3차원 지형 영상 가시화에서의 적응형 렌더링 방법
Virtanen et al. Depth camera indoor mapping for 3D virtual radio play
CN115103134B (zh) 一种led虚拟拍摄切割合成方法
KR101236980B1 (ko) 렌더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N114820910A (zh) 一种渲染方法及装置
JP202201511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468736A (zh) 基于空间结构的前景图像分割方法、装置、设备、介质
JP2011048627A (ja) マスク画像を抽出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ボクセルデータを構築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092663B (zh) 面向城市信息模型建筑三维重建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