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334A -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334A
KR20120100334A KR1020110019154A KR20110019154A KR20120100334A KR 20120100334 A KR20120100334 A KR 20120100334A KR 1020110019154 A KR1020110019154 A KR 1020110019154A KR 20110019154 A KR20110019154 A KR 20110019154A KR 20120100334 A KR20120100334 A KR 2012010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ar
screw rod
coupled
screw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088B1 (ko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Priority to KR102011001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08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의 고도 변화에 따라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를 용이하게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태양전지판의 태양 고도 변화에 따른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의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제 1힌지결합부를 갖는 제 1연결바와, 지주에 힌지결합되는 제 2힌지결합부를 갖는 제 2연결바와,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2연결바에 결합되는 길이가변부와, 길이가변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 1연결바와 상기 제 2연결바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를 변화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solar power plant having angle adjustment manual device}
본 발명은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의 고도 변화에 따라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를 용이하게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를 대체하면서도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인 태양광, 풍력, 조력을 이용한 친환경 발전설비의 시공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발전설비 중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를 다수 어레이시켜 발전을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는 한 가구의 일일 사용 온수를 생성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소규모에서 발전 전력량을 더욱 늘릴 수 있게 는 대규모로 시설되고 있다.
그런데, 태양광 발전장치는 발전량이 일사시간 및 태양광의 태양전지판으로의 입사각도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종래의 고정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경우 태양광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코자 태양의 직사광선이 태양광 태양전지판의 전면에 수직으로 입사할 수 있도록 동력을 이용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해 가는 추적식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동력방식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7771호, 등록특허 제 044021호, 등록특허 제 0483291호, 등록특허 제 0369897호 등에 다수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동력방식의 경우 구동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에 의해 일부 소모전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태양광을 추적함으로써 고정식에 비해 증가되는 발전량 증가분이 구동설비를 가동하는데 소요되는 소모 전력량 보다 적은 경우 실질적인 발전효율을 향상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구동설비의 추가에 의해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 및 유지보수를 위해 발생되는 유지보수 비용도 무시할 수 없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수동식으로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760043호에는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태양광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를 조정시 태양전지판을 일정각도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볼트 및 너트를 해체한 후 태양전지판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 다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태양전지판을 고정시킴으로써 태양전지판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태양광발전장치는 볼트 및 너트를 해체 후 태양전지판의 회전이 자유로우므로 태양전지판이 자중이나 바람 등에 의해 뒤로 넘어가 태양전지판의 파손, 전기배선의 단락이나 꼬임,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태양광발전장치는 볼트 및 너트의 해체 후 태양전지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 또는 별도의 고정도구를 이용하여 태양전지판을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볼트 및 너트를 일일이 푼 후 태양전지판의 각도를 조정하고 다시 볼트 및 너트를 일일이 체결하여 조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고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태양전지판이 항상 지지되는 상태로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태양전지판의 전도 및 파손, 안전사고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 조정 작업이 빠르고 용이한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태양전지판의 태양 고도 변화에 따른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의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제 1힌지결합부를 갖는 제 1연결바와;상기 지주에 힌지결합되는 제 2힌지결합부를 갖는 제 2연결바와;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2연결바에 결합되는 길이가변부와; 상기 길이가변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 1연결바와 상기 제 2연결바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를 변화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가변부는 조인트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연결바를 이동시키는 제 1스크류봉과, 상기 조인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스크류봉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 2연결바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연결바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 2연결바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스크류봉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스크류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조작부가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스크류봉과 나사결합되는 제 1결합구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2스크류봉과 나사결합되는 제 2결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가변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가변부는 조인트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연결바를 이동시키는 제 1스크류봉과, 상기 조인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스크류봉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 2연결바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연결바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 2연결바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스크류봉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스크류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연결바는 일측에 상기 제 1힌지결합부가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인 사각 형상의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스크류봉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이 형성된 제 1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연결바는 일측에 상기 제 2힌지결합부가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인 사각 형상의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스크류봉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이 형성된 제 2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의 하부를 수용하고 타측이 상기 제 2연결바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연결바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 및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사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의 상부를 수용하고 타측이 상기 제 2연결바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연결바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사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 및 상부커버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장방형의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전후 가장자리에서 상부를 향해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되며 중앙 상부에 상기 조작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하부홀이 각각 형성된 측벽들과, 상기 하부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측벽들의 상단에서 바깥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립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장방형의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전후 가장자리에서 하부를 향해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되며 중앙 하부에 상기 조작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상부홀이 각각 형성된 측벽들과, 상기 상부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측벽들의 상단에서 바깥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립과 각각 맞대어 지는 제 3 및 제 4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에 의해 제 1 및 제 2스크류봉을 회전시켜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경사각도 조정 작업이 빠르다.
또한, 태양전지판은 제 1 및 제 2연결부와 길이가변부에 의해 지주에 항상 지지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경사각도 조정시 태양전지판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판의 전도 및 파손, 안전사고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나타낸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사용상태에 따른 측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10)는 크게 지주(40), 태양전지판(20), 태양전지판(20)의 경사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경사각도조정수단을 구비한다.
지주(40)는 일정높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플랜지(43)는 지중에 매설된 기초 블록(1)에 고정된다. 지주(40)는 속이 빈 사각관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40)는 적용하고자 하는 태양전지판(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간격과 수로 배치될 수 있다. 지주(40)의 상단에는 제 1회동부(50)가 설치된다.
태양전지판(20)은 지지프레임(30), 태양전지셀 모듈(25)을 구비한다.
태양전지셀 모듈(25)은 다수의 태양전지셀이 격자형태로 어레이되게 배열되어 지지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프레임(30)은 제 1지지봉(31)과, 제 2지지봉(33), 제 3지지봉(35)으로 이루어진다. 제 1지지봉(31)은 태양전지셀 모듈(25)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 1지지봉(31)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2지지봉(33)은 제 1지지봉(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2개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 2지지봉(33)은 제 1지지봉(31)의 하부에 접합된다. 제 3지지봉(35)은 제 2지지봉(3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제 3지지봉(35)은 지주(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지수(40)의 수만큼 제 3지지봉(35)이 설치되고, 제 3지지봉(35) 간의 간격은 지주(40) 간의 간격과 동일하다.
제 3지지봉(35)의 하부에는 지주(40)의 상단에 설치된 제 1회동부(50)와 힌지결합되는 제 2회동부(37)가 설치된다. 제 2회동부(37)와 제 1회동부(50)는 회동핀(55)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회동핀(55)을 중심으로 태양전지판(20)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인 경사각도조정수단은 제 1연결바(60), 제 2연결바(70), 길이가변부(80)와, 조작부(150)를 포함한다.
제 1연결바(60)는 태양전지판의 지지프레임(30)에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의 제 3지지봉(35) 하부에는 브라켓트(39)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연결바(60)의 일측에는 지지프레임의 브라켓트(39)와 힌지결합되는 제 1힌지결합부(61)가 마련된다. 제 1힌지결합부(61)에는 관통홀(62)이 형성된다. 제 1힌지결합부(61)와 브라켓트(39)는 회동핀(64)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제 1연결바(60)는 일측에 제 1힌지결합부(61)가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된 사각 형상의 제 1하우징(65)과, 제 1하우징(65)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는 제 1소켓(67)을 구비한다.
제 1하우징(65)은 사각 외에도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고정수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하우징(65)은 내부가 빈 중공 구조를 갖는다. 제 1소켓(67)은 제 1하우징(6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 1하우징(65)의 단부에 고정된다. 제 1소켓(67)은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 1소켓(67)에는 후술할 제 1스크류봉(81)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68)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연결바(70)는 지주(40)에 형성된 브라켓트(48)에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 2연결바(70)의 일측에는 브라켓트(48)와 힌지결합되는 제 2힌지결합부(71)가 마련된다. 제 2힌지결합부(71)에는 관통홀(73)이 형성된다. 제 2힌지결합부(71)와 브라켓트(48)는 회동핀(49)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제 2연결바(70)는 일측에 제 2힌지결합부(71)가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된 제 2하우징(75)과, 제 2하우징(75)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는 제 2소켓(77)을 구비한다.
제 2하우징(75)은 사각 외에도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고정수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하우징(75)은 내부가 빈 중공 구조를 갖는다. 제 2소켓(77)은 제 2하우징(7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 2하우징(75)의 단부에 고정된다. 제 2소켓(77)은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 2소켓(77)에는 후술할 제 2스크류봉(83)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78)이 형성된다.
상술한 제 1연결바(60) 및 제 2연결바(70) 사이에 길이가변부(80)가 설치된다. 길이가변부(80)는 조작부(150)의 조작에 의해 제 1연결바(60) 및 제 2연결바(70)의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킨다. 길이가변부(80)는 일측이 제 1연결바(6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2연결바(70)에 결합된다.
길이가변부(8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인트부(90)와, 제 1스크류봉(81)과, 제 2스크류봉(83)을 구비한다.
조인트부(90)는 제 1 및 제 2스크류봉을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본체(91)와, 제 1결합구(95)와, 제 2결합구(97)로 이루어진다. 본체(91)는 정육면체의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체(91)의 단면 크기는 제 1 또는 제 2하우징(65)(75)의 단면 크기와 동일하다. 본체(91)의 양측면에는 사각의 고정홈(93)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91)에는 조작부(15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94)이 형성된다.
제 1결합구(95)는 본체(91)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 1결합구(95)는 중앙에 나사홀(9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결합구(97)는 본체(91)의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 1 및 제 2결합구는 용접에 의해 본체(91)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결합구(97) 역시 나사홀(98)이 형성된다. 제 1결합구(95)의 나사홀(96)에는 제 1스크류봉(81)이 결합되고, 제 2결합구(97)의 나사홀(96)에는 제 2스크류봉(83)이 결합된다. 다만, 제 2결합구(97)의 나사홀(98)과 제 1결합구(95)의 나사홀(96)은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이는 후술할 제 1 및 제 2스크류봉(81)(83)의 나사산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이다. 제 1 및 제 2결합구(95)(97)로 사각 너트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스크류봉(81)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봉형상이다. 제 1스크류봉(81)의 일측은 제 1연결바(60)의 제 1소켓(67)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조인트부(90)의 제 1결합구(95)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제 2스크류봉(83) 역시 외주면에 나사산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 2스크류봉(83)에는 제 1스크류봉(81)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제 1스크류봉(81)이 왼나사 구조이면, 제 2스크류봉(83)은 오른나사 구조이다.
제 1스크류봉(81)과 제 2스크류봉(83)은 조인트부(90)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제 2스크류봉(83)의 일측은 제 2연결바(70)의 제 2소켓(77)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조인트부(90)의 제 2결합구(97)에 나사결합된다.
조작부는 도시된 예에서 봉형상의 바가 이용된다. 조작부는 본체에 결합되어 제 1 및 제 2스크류봉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조작부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및 제 2스크류봉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1 및 제 2스크봉의 나사산이 반대방향이므로 제 1 및 제 2연결바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전지판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경사각도가 조정된다.
상술한 경사각도조정수단은 각 지주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경사각도조정수단은 경사각도 조절 후 길이가변부(8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고정수단은 하부커버(100)와 상부커버(130), 결합부재(140)(145)로 이루어진다.
하부커버(100)는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60)의 하부를 수용하고 타측이 상기 제 2연결바(70)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연결바(70)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 및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사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커버(130)는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60)의 상부를 수용하고 타측이 상기 제 2연결바(70)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연결바(70)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사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커버(100)는 장방형의 하부플레이트(10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1)의 전후 가장자리에서 상부를 향해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되며 중앙 상부에 상기 조작부(15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하부홀(105)이 각각 형성된 측벽들(103)을 구비한다. 그리고 각 측벽들(103)에는 제 1 및 제 2립(107)(109)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립(107)(109)은 하부홀(105)을 사이에 두고 측벽들(103)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다. 제 1 및 제 2립(107)(109)은 일정 거리 이격된다. 제 1 및 제 2립(107)(109)은 바깥방향을 향해 측벽(103)에서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된다.
상부커버(130)는 장방형의 상부플레이트(131)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31)의 전후 가장자리에서 상부를 향해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되며 중앙 상부에 상기 조작부(15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상부홀(135)이 각각 형성된 측벽들(133)을 구비한다. 그리고 각 측벽들(133)에는 제 3 및 제 4립(137)(139)이 형성된다. 제 3 및 제 4립(137)(139)은 상부홀(135)을 사이에 두고 측벽들(133)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다. 제 3 및 제 4립(137)(139)은 일정 거리 이격된다. 제 3 및 제 4립(137)(139)은 바깥방향을 향해 측벽(133)에서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상부 커버(130) 및 하부커버(100)는 결합시 제 1립(107)과 제 3립(137)이 맞대어지고, 제 2 립(109)과 제 4립(139)이 맞대어진다. 제 1 내지 제 4립에는 결합부재인 볼트(14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들이 각각 2개씩 형성된다. 상부커버(130) 및 하부커버(100)가 결합되면 조인트부(90), 제 1 및 제 2연결부(60)(70)의 일부가 상부커버(130) 및 하부커버(100)의 내측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사각의 조인트부(90), 제 1 및 제 2연결부(60)(70)는 상부커버(130) 및 하부커버(10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조인트부(90)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태양전지판(20)의 경사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먼저 상부 커버(130) 및 하부 커버(100)를 분리한 후 조작부(150)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조인트부(90)를 회전시킨다. 조인트부(90)의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스크류봉(81)(83)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 1연결바(60) 및 제 2연결바(70)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태양전지판(20)이 회전한다.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태양전지판(20)을 설정된 경사각도로 회전시킨 후 상부커버(130) 및 하부커버(100)를 결합하여 조인트부(90)의 회전을 방지하여 설정된 경사각도로 태양전지판(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각도조정수단에 의해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를 계절별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가령, 봄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태양전지판(20)의 경사각도를 30도 내외로 조정하고, 여름에는 도 5와 같이 15도 내외로 조정한다. 그리고 겨울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도로 조정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않은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태양전지판 30: 지지프레임
40: 지주 60: 제 1연결바
70: 제 2연결바 80: 길이가변부
81: 제 1스크류봉 83: 제 2스크류봉
90: 조인트부 150: 조작부

Claims (5)

  1. 지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태양전지판의 태양 고도 변화에 따른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의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제 1힌지결합부를 갖는 제 1연결바와;
    상기 지주에 힌지결합되는 제 2힌지결합부를 갖는 제 2연결바와;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2연결바에 결합되는 길이가변부와;
    상기 길이가변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 1연결바와 상기 제 2연결바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를 변화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부는 조인트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연결바를 이동시키는 제 1스크류봉과, 상기 조인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스크류봉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 2연결바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연결바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 2연결바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스크류봉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스크류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조작부가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스크류봉과 나사결합되는 제 1결합구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2스크류봉과 나사결합되는 제 2결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부는 조인트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연결바를 이동시키는 제 1스크류봉과, 상기 조인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스크류봉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 2연결바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연결바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 2연결바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스크류봉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스크류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연결바는 일측에 상기 제 1힌지결합부가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인 사각 형상의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스크류봉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이 형성된 제 1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연결바는 일측에 상기 제 2힌지결합부가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인 사각 형상의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스크류봉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이 형성된 제 2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의 하부를 수용하고 타측이 상기 제 2연결바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연결바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 및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사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바의 상부를 수용하고 타측이 상기 제 2연결바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연결바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사각의 수용공간이가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 및 상부커버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장방형의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전후 가장자리에서 상부를 향해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되며 중앙 상부에 상기 조작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하부홀이 각각 형성된 측벽들과, 상기 하부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측벽들의 상단에서 바깥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립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장방형의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전후 가장자리에서 하부를 향해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되며 중앙 하부에 상기 조작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상부홀이 각각 형성된 측벽들과, 상기 상부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측벽들의 상단에서 바깥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꺽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립과 각각 맞대어지는 제 3 및 제 4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10019154A 2011-03-03 2011-03-03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00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54A KR101200088B1 (ko) 2011-03-03 2011-03-03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54A KR101200088B1 (ko) 2011-03-03 2011-03-03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334A true KR20120100334A (ko) 2012-09-12
KR101200088B1 KR101200088B1 (ko) 2012-11-12

Family

ID=4711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154A KR101200088B1 (ko) 2011-03-03 2011-03-03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08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6244B (lt) 2015-04-08 2016-01-25 Aleksandr Fokin Saulės jėgainė su dviejų ašių pozicionavimo sistema
RU170174U1 (ru) * 2016-11-29 2017-04-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ТФ" Опора стола для установки модулей солнечных батарей
CN109924042A (zh) * 2019-04-12 2019-06-25 余永昌 一种温室大棚用太阳能发电光伏板
KR20200078263A (ko) * 2018-12-22 2020-07-01 박경희 태양전지모듈 틸팅각 조절장치
KR20200078262A (ko) * 2018-12-22 2020-07-01 박경희 태양광모듈 경사변환수단
KR20200078272A (ko) * 2018-12-23 2020-07-01 박경희 태양전지판의 경사를 전환하는 방법
KR102138303B1 (ko) * 2020-02-19 2020-07-27 안광수 태양광 패널 지지 장치
CN112681818A (zh) * 2020-12-22 2021-04-20 马鞍山睿诚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具有电能收集功能的园林景观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447A (ko) 2018-12-06 2020-06-17 (주) 비제이파워 높이 조절이 원활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00069448A (ko) 2018-12-06 2020-06-17 (주) 비제이파워 태양 고도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6191B2 (ja) 2003-07-18 2007-04-18 信一郎 柏崎 太陽光発電装置用太陽追尾装置
KR200431870Y1 (ko) * 2006-08-02 2006-11-2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수직 방향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6244B (lt) 2015-04-08 2016-01-25 Aleksandr Fokin Saulės jėgainė su dviejų ašių pozicionavimo sistema
RU170174U1 (ru) * 2016-11-29 2017-04-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ТФ" Опора стола для установки модулей солнечных батарей
KR20200078263A (ko) * 2018-12-22 2020-07-01 박경희 태양전지모듈 틸팅각 조절장치
KR20200078262A (ko) * 2018-12-22 2020-07-01 박경희 태양광모듈 경사변환수단
KR20200078272A (ko) * 2018-12-23 2020-07-01 박경희 태양전지판의 경사를 전환하는 방법
CN109924042A (zh) * 2019-04-12 2019-06-25 余永昌 一种温室大棚用太阳能发电光伏板
CN109924042B (zh) * 2019-04-12 2021-12-10 德州炽力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温室大棚用太阳能发电光伏板
KR102138303B1 (ko) * 2020-02-19 2020-07-27 안광수 태양광 패널 지지 장치
CN112681818A (zh) * 2020-12-22 2021-04-20 马鞍山睿诚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具有电能收集功能的园林景观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088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088B1 (ko)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0862753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0760043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08713B1 (ko) 경사각도 조정이 용이한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403129B1 (ko) 태양광 추종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185807B1 (ko) 평 지붕 각도조절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60436B1 (ko) 태양전지 어레이의 경사각 조절형 지지장치
KR101708854B1 (ko) 경사가변형 태양광발전장치의 지지구조물
KR101538465B1 (ko) 경사 가변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18237B1 (ko) 경사 지붕 고정식 태양광 발전장치
US20120180846A1 (en) Solar tracker for the orientation of solar panels
SK5284Y1 (en) Set of photovoltaic cells on panels with an adjustable position
KR101282899B1 (ko) 집광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집광판 고정장치
CN105827186A (zh) 适用于复杂地形的可调式单柱光伏支架
KR101391933B1 (ko) 태양광 어레이 각도조절장치
CN103207623A (zh) 双轴跟踪光伏发电装置
KR101068283B1 (ko) 태양광 발전 트래커 장치
KR100956443B1 (ko) 태양전지어레이의 계절별 경사각 반고정식 조절장치
CN203596767U (zh) 具有稳固单轴支架结构的光伏发电装置
KR100840400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CN203466753U (zh) 倾角可调的单轴跟踪光伏发电装置
KR101554483B1 (ko) 높이조절고정장치를 구비한 각도 가변형 태양광발전장치
CN102638194A (zh) 一种太阳能三轴并联跟踪器
KR101554481B1 (ko) 각도고정장치가 구비된 각도 가변형 태양광발전장치
KR200431870Y1 (ko) 수직 방향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