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9374A - Ack/nack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Ack/nack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9374A
KR20120099374A KR1020127006035A KR20127006035A KR20120099374A KR 20120099374 A KR20120099374 A KR 20120099374A KR 1020127006035 A KR1020127006035 A KR 1020127006035A KR 20127006035 A KR20127006035 A KR 20127006035A KR 20120099374 A KR20120099374 A KR 2012009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k
nack
data
subfram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660B1 (ko
Inventor
김학성
서한별
김기준
안준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9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8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cknowled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Adaptive formatting arrangements particular to signalling, e.g. variable amount of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CK/NACK 반복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단말이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서브프레임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서브프레임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제2 서브프레임의 차가 기준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반복 회수가 감소되는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ACK/NACK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ACK/NAC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CK/NACK 반복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 반복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단말이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브프레임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서브프레임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제2 서브프레임의 차가 기준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반복 회수가 감소되는, ACK/NACK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 반복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ACK/NACK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서브프레임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서브프레임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제2 서브프레임의 차가 기준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반복 회수가 감소되는, 무선 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도록 예정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전송을 드랍(drop)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도록 예정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ACK/NACK 번들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도록 예정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ACK/NACK 다중화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복 회수의 감소는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전송에 대해서만 일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제2 서브프레임의 차가 기준보다 작은 경우, 상기 ACK/NACK 반복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CK/NACK 반복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 은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네트워크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는 E-UMT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은 무선 프레임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6은 종래의 ACK/NACK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복 인자가 2인 경우에 ACK/NACK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복 인자가 3인 경우에 ACK/NACK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7~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복 인자가 4인 경우에 ACK/NACK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서,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다. E-UMTS 시스템은 WCDMA UMTS 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 불리기도 한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120)과 기지국(eNode B: eNB)(110a 및 110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예, 3개)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4, 3,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도 2는 E-UMT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E-UMTS 시스템은 10 ms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을 사용하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은 두 개의 연속되는 슬롯들로 구성된다. 슬롯의 길이는 0.5ms이고, 복수의 심볼(예, OFDM 심볼, SC-FDMA 심볼)들로 구성된다.
도 3은 슬롯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롯은 복수의 OFDM 심볼 또는 SC-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6) 자원요소를 포함한다. 시간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는 셀에서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칸은 하나의 심볼 및 하나의 부반송파로 정의되는 최소 자원을 나타내며,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된다. 도 3은 시간 슬롯이 7개의 심볼을 포함하고 자원블록이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개수는 순환전치(Cyclic Prefix: CP)의 길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L1/L2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이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다중화된다. L1/L2 제어 영역은 서브프레임의 처음 n(예, 3 또는 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데이터 영역으로 사용된다. L1/L2 제어 영역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르기 위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하고 데이터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단말은 PDCCH로부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읽고,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지시하는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PDSCH 상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에게 스케줄링 되는 자원(즉, PDSCH)은 자원블록 또는 자원블록 그룹 단위로 할당된다.
PDCCH는 전송 채널인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과 관련된 정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HARQ 정보 등을 단말에게 알려준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총칭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제어 정보에 따라 다양한 DCI 포맷이 있다.
표 1은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DCI 포맷 0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 MCS: 변조 및 부호화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 TPC: Transmit Power Control
* RNTI: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 CRC: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PDCCH가 어떤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인지 여부는 RNTI를 이용하여 식별된다. 일 예로, PDCCH가 A라는 RNTI로 CRC 마스킹(masking) 되어 있고, B라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전송 형식 정보(예, 전송 블록 사이즈, 변조 방식, 코딩 정보 등)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셀에 있는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를 이용하여 PDCCH를 모니터링 하고, A RNTI를 가진 단말은 PDCCH로부터 얻은 B와 C의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도 5는 LTE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예,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CP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SC-FDMA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 영역과 제어 영역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영역은 PUSCH를 포함하고 음성 등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영역은 PUCCH를 포함하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PUCCH는 주파수 축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끝 부분에 위치한 RB 쌍(RB pair)을 포함하며 슬롯을 경계로 호핑한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SR(Scheduling Request),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ACK/NACK(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owledgement/Negative ACK),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는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포함한다.
도 6은 종래의 ACK/NACK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ACK/NACK 반복은 상위 계층에 의해 설정되는 단말 특정(UE specific) 파라미터인 ackNackRepetition에 의해 이네이블(enable)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 된다. ACK/NACK 반복이 이네이블 되면, 단말은 모든 ACK/NACK 전송을 반복 인자(repetition factor) NANRep만큼 반복한다. NANRep는 상위 계층에 의해 제공되고 상위 계층에 의해 ACK/NACK 반복이 디스에이블 될 때까지 유효하다. 초기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은 PDSCH를 스케줄링 하는 PDCCH의 가장 작은 CCE 인덱스를 이용하여 묵시적(implicitly)으로 주어진다. 반면, NANRep-1번의 ACK/NACK 반복 전송은 상위 계층에 의해 설정된 PUCCH 자원(n(1) PUCCH, ANRep)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TDD(Time Division Duplex)의 경우, ACK/NACK 반복은 ACK/NACK 번들링에만 적용되고 ACK/NACK 다중화(multiplexing)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경우, 단말은 자신에 대한 PDSCH 전송을 서브프레임 #n-4에서 검출하면, 그에 대한 ACK/NACK을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한다. ACK/NACK 반복이 이네이블 되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n-4에서 검출된 PDSCH 전송에 대응하는 ACK/NACK을 서브프레임 #n, #n+1, ..., #n+NANRep-1에서 전송한다. ACK/NACK 반복 동안, 단말은 #n, #n+1, ..., #n+NANRep-1에서 다른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TDD의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들) #n-4에서 PDSCH 전송을 검출하면, 그에 대한 ACK/NACK을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한다. 여기서, k∈K이고, K는 TDD 프레임 구조와 서브프레임 #n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정의되어 있다. 만약, ACK/NACK 반복이 이네이블 되면, 단말은 서브프레임(들) n-k에서 검출한 PDSCH 전송에 대한 ACK/NACK을 UL 서브프레임 #n과 이후의 NANRep-1개의 UL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n, n_1, ..., n_NANRep으로 지칭)에서 전송한다. ACK/NACK 반복 동안, 단말은 n, n_1, ..., n_NANRep에서 다른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ACK/NACK 반복 모드는 전력이 제한된 단말들이 기지국까지 신뢰성 있게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ACK/NACK 반복 동작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복 인자가 2인 ACK/NACK 반복 모드가 설정되면, DL 서브프레임 #n+1에서는 해당 단말에게 DL 및 UL 스케줄링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ACK/NACK 반복 회수가 커질수록 더 많은 서브프레임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채널 상황의 변화(단말의 이동, 환경의 변화 등)로 인해서 ACK/NACK 반복을 수행하지 않아도 될 경우는 해당 단말에 대한 ACK/NACK 반복의 설정을 해제할 수는 있다. 그렇지만 단말 혹은 릴레이와 같은 장비가 이동성을 가지는 경우, 시간에 따른 무선 채널의 변화량은 상대적으로 더 많다. 이럴 경우 반-정적(semi-statically)으로 설정되는 ACK/NACK 반복 이네이블/디스에이블 방법으로는 채널 변화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어렵다. 또한, 채널 변화 등에 따라, 모든 단말에 대해 적절한 ACK/NACK 전송모드를 설정하고 해제하여야 한다면 스케줄러의 부담이 매우 커진다. 따라서, 바람직한/현실적인 운용 방법으로 셀 크기 등을 기준으로, 셀에 속해 있는 모든 단말 또는 릴레이는 동일한 ACK/NACK 전송 모드로 운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채널 상황 등에 맞춰 ACK/NACK 반복을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일 예로, 본 발명은 채널 상황 등이 좋아져서 ACK/NACK 반복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미 설정된 ACK/NACK 반복 동작과 더불어 새로운 전송을 시작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전송의 시작이 기존에 설정된 ACK/NACK 반복 회수를 강제로 제한하거나 이후의 ACK/NACK 반복을 디스에이블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 시킬 수 있다. 또한, ACK/NACK 반복 전송으로 인해 두 개의 ACK/NACK이 동일 UL 서브프레임에서 오버랩 되는 경우, 두 개의 ACK/NACK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두 개의 ACK/NACK이 오버랩 되는 경우 특정 ACK/NACK 전송을 드랍(drop)할 수 있다. 즉, ACK/NACK 반복으로 인해 한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ACK/NACK을 전송해야 할 경우, 단말은 일부 ACK/NACK 전송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ACK/NACK 전송 모드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즉, 본 발명은 ACK/NACK 전송 모드가 상위 계층에 의해 1차적으로 설정된다는 가정 하에, ACK/NACK 반복이 이네이블 된 경우에 ACK/NACK 반복을 채널 상황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을 위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단계의 ACK/NACK 전송 모드 조절 방안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BCH(Broadcast Channel), RRC(Radio Resource Control),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ACK/NACK 전송 모드는 단말-특정(UE Specific), 단말 그룹-특정(UE group Specific), 셀-특정(Cell Specific)하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ACK/NACK 전송 모드는 명시적으로 지정되거나, 셀 크기 등과 관련된 파라미터로부터 간접적/묵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은 동기식 HARQ(synchronous 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에서 데이터 수신을 위한 DL 서브프레임과 ACK/NACK 전송을 위한 UL 서브프레임의 차(이하, ACK/NACK 타이밍으로 지칭)가 4개 서브프레임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로서, ACK/NACK 타이밍은 시스템에 따라 다른 값(예, 3, 5, 6개의 서브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ACK/NACK 반복 모드(반복 인자=NANRep)로 설정된 상태에서 DL 서브프레임 #n을 통해 PDCCH/PDSCH를 전송했더라도 채널 변화에 따라 DL 서브프레임 #n+a에서 새로운 전송(PDCCH/PDSCH)을 할 수 있다(1<=a<=NANRep-1). DL 서브프레임 #n+a에서 새로운 전송이 있으면, 그에 대한 ACK/NACK은 UL 서브프레임 #n+a+4 및 그 이후의 UL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될 것으로 예정되므로 이전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전송과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전송이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예정될 수 있다.
이하, ACK/NACK 반복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이전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전송과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전송이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스케줄링 된 경우의 ACK/NACK 전송/처리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은 두 개의 ACK/NACK 전송이 동일한 UL 서브프레임에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은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TDD(Time Division Duplex), 릴레이 시스템 등의 이유로 복수의 ACK/NACK이 동일한 UL 서브프레임에 발생한 경우에도 동일 또는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방안 1. ACK / NACK 동시 전송
ACK/NACK 반복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ACK/NACK이 동일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될 것으로 예정된 경우 이들을 동시 전송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ACK/NACK은 1-1) 각각의 PUCCH 자원을 이용해서 전송되거나, 1-2) PUCCH+PUSCH 조합을 이용해서 전송되거나, 1-3) 단일 물리 채널(즉,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방안 1-1) 복수의 PUCCH 를 이용한 ACK / NACK 동시 전송
편의상, ACK/NACK 반복 모드(반복 인자=NANRep)가 설정된 상태에서 DL 서브프레임 #n을 통해 PDCCH/PDSCH를 전송되고, DL 서브프레임 #n+a에서 새로운 전송(PDCCH/PDSCH)이 있다고 가정한다(1<=a<=NANRep-1). 이 경우, DL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한 PDSCH에 대한 ACK/NACK PUCCH 자원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우선 UL 서브프레임 #n+4에서의 ACK/NACK PUCCH 자원은 DL 서브프레임 #n의 PDCCH의 CCE 인덱스와 연관되어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일 예로, 3GPP LTE의 경우, PDCCH 전송을 위한 가장 작은 CCE 인덱스를 바탕으로 필요 시 적당한 오프셋 값을 더하여 ACK/NACK PUCCH 자원 인덱스를 얻어 낸다. 반면, UL 서브프레임 #n+5,...,#n+4+NANRep-1에서 ACK/NACK 반복 전송에 사용되는 ACK/NACK PUCCH 자원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DL 서브프레임 #n+a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UL 서브프레임 #n+a+4에서의 ACK/NACK PUCCH 자원은 PDCCH의 CCE 할당 위치(인덱스)와 연계하여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UL 서브프레임 #n+a+4에서 복수의 ACK/NACK을 동시에 전송하되, 첫 번째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반-정적으로 구성된 PUCCH 자원을 통해 전송되고 두 번째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동적으로 구성된 PUCCH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이를 위해, 새로운 전송을 할 수 있는 DL 서브프레임을 반복 인자=2인 경우는 DL 서브프레임 #n+1로, 반복 인자=3인 경우는 DL 서브프레임 #n+2로, 반복 인자=4인 경우는 DL 서브프레임 #n+3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첫 번째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 반복 서브프레임과 두 번째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 반복 서브프레임의 중복이 한 서브프레임에서만 이루어 지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함으로써 새로운 전송에 의한 ACK/NACK과 기존 전송에 의한 ACK/NACK이 겹치는 UL 서브프레임에서 ACK/NACK 반복용으로 예약되는 자원이 2개 이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안 1-2) PUCCH + PUSCH 를 이용한 ACK / NACK 동시 전송
복수의 ACK/NACK 전송이 예정된 UL 서브프레임에서 PUSCH 전송이 있는 경우, 일부 ACK/NACK은 PUSCH에 임베디드(embedeed) 하여 전송하고 나머지 ACK/NACK은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ACK/NACK 전송이 동일한 UL 서브프레임에서 예정된 경우, 첫 번째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PUSCH로 임베디드 하고, 두 번째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동적 PUCCH 자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복수의 ACK/NACK 전송이 예정된 UL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전송이 없는 경우, 본 방안의 구현을 위해 ACK/NACK 전송만을 위한 별도의 PUSCH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방안 1-3) 단일 물리 채널을 통한 ACK / NACK 동시 전송
동일한 UL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ACK/NACK 전송이 예정된 경우, 이들을 단일 물리 채널(예, PUCCH 또는 PUSCH)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ACK/NACK 전송이 예정된 UL 서브프레임에서 PUSCH 전송이 있는 경우, 모든 ACK/NACK을 PUSCH에 임베디드(embedeed) 하여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ACK/NACK 전송이 예정된 UL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전송이 없는 경우, 본 방안의 구현을 위해 ACK/NACK 전송만을 위한 별도의 PUSCH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ACK/NACK을 단일 PU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편의상, 두 개의 ACK/NACK 전송이 동일한 UL 서브프레임에서 예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두 개의 ACK/NACK 정보를 ACK/NACK 번들링(bunlidng) 또는 ACK/NACK 다중화(multiplexing)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ACK/NACK 번들링은 복수의 데이터에 대한 ACK/NACK 결과를 논리-AND 연산에 의해 하나의 값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가 모두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ACK이 전송되고, 하나의 데이터라도 디코딩에 실패하면 NACK이 전송된다. ACK/NACK 다중화는 복수의 데이터에 대한 ACK/NACK 결과를 ACK/NACK 전송 자원과 변조(예, QPSK) 값의 조합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PUCCH 자원이 ACK/NACK 전송을 위해 점유된 경우, 이들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특정 변조 값이 전송된다.
UL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ACK/NACK을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다음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제한된 단말 전송 전력
- 단일 주파수 전송 방식으로부터 얻는 이점의 감소(예, CM(cubic metric) 값의 증가)
이하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한된 단말 전송 전력에 대해 살펴보면, 단말의 전송 전력에 따른 여분의 전력(power headroom)이 없는 경우에는 추가로 새로운 전송을 개시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지국은 파워 헤드룸에 여유가 있는 단말에 한해서 새로운 DL 전송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파워 헤드룸에 항상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라도, 파워 헤드룸이 동적으로 변하면 그에 따라 파워 헤드룸 값도 동적으로 변한다. 이에 따른 여분의 전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필요 시 해당 단말에게 새로운 DL 전송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ACK/NACK 반복 모드가 언제 어떻게 설정되는가에 대한 기준(criterion)을 잘 설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채널의 상태/품질 값(예, SINR(signal to interference + noise ratio))이 S1보다 클 경우에 ACK/NACK 반복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S1 값을 너무 작게 설정해 놓을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 대해 ACK/NACK 반복이 이네이블 될 것이다. 이 경우 도 6에서도 보였듯이,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자원 할당 불가로 인해 자원 낭비가 심해질 수 있다. 반대로 S1 값을 너무 크게 설정해 놓은 경우 ACK/NACK 반복이 적용되는 경우가 매우 제한적으로 되어 ACK/NACK 수신 성능이 크게 열화 될 것이다. 따라서, S1 값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ACK/NACK 반복 모드를 설정하고 시간/주파수에 따른 동적 채널 변화에 따라 단말 잉여 전력을 고려하여 서브프레임 #n+1에서 새로운 전송을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자원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단말이 ACK/NACK 반복을 수행하는 중에 새로운 PDSCH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ACK/NACK을 동시에 전송해야 하는 경우, 복수의 ACK/NACK(반복 ACK/NACK과 새로운 ACK/NACK)을 전송할 전력이 모자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전력 제어에 의해 결정된 두 ACK/NACK 전송 전력의 합이 전송 전력 제한치를 상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한된 전송 전력을 두 개의 ACK/NACK에 적절히 분배해야 하는데, 아래의 세 가지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 전력 분배 방식 1) 전송 전력의 제한치를 두 ACK/NACK에 동일하게 분배 (혹은 적절히 주어진 비율에 따라서 분배)
- 전력 분배 방식 2) 반복되는 ACK/NACK에 우선적으로 전력을 할당하고 남는 전력을 새로운 ACK/NACK에 분배
- 전력 분배 방식 3) 새로운 ACK/NACK에 우선적으로 전력을 할당하고 남는 전력을 반복되는 ACK/NACK에 분배
전력 분배 방식 1)은 두 종류의 ACK/NACK을 동일하게 (혹은 적절한 비율에 따라 비례 공평하게) 취급하여 가능한 두 ACK/NACK 모두에 적절한 전력을 할당하려는 방식인 반면, 전력 분배 방식 2)와 3)은 한쪽의 ACK/NACK에 절대적인 우선 순위를 부과하여 하나의 ACK/NACK 만이라도 안정적인 전력으로 전송하려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단일 주파수 전송 방식을 훼손하는 문제에 대해 설명한다. 현재 LTE-A(LTE-advanced system)는 필요 시 상향링크 단일 주파수 전송을 포기하는, 즉 다중 주파수 전송을 허용하도록 하고 있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채널 상황이 매우 좋아서 CM 특성의 열화로 인한 성능 열화를 보상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다중 채널 동시 전송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복수(예, 2개)의 PUCCH(예, ACK/NACK)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어떤 UL 서브프레임에서 동적으로 할당된 ACK/NACK 자원(물리 계층)과 반-정적으로 할당된 ACK/NACK 자원(상위 계층)을 동시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새로운 전송을 허용한 것은 채널 상황이 좋다는 의미이고 그 경우 동시 전송도 가능할 수 있다. 물론 기지국 또는 릴레이에서 동시 전송을 고려해서 새로운 전송을 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안 2. 일부 ACK / NACK 전송의 드랍 , 중지
ACK/NACK 반복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ACK/NACK이 동일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될 것으로 예정된 경우 일부 ACK/NACK에 대해 전송을 드랍(Dropping), 중지, 잠정 중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편의상, 두 개의 ACK/NACK 전송이 동일한 UL 서브프레임에서 예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복수의 ACK/NACK 전송이 겹치도록 예정된 경우, 해당 UL 서브프레임에서 이전 데이터에 대한 반복 ACK/NACK 전송을 드랍, 중지, 잠정 중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전 데이터에 대한 반복 ACK/NACK 전송을 포기하는 경우,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최초 ACK/NACK은 동적 자원 대신에 이전 ACK/NACK에 대한 정적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기지국이 ACK/NACK을 겹치게 스케줄링 한 것에 대해 제대로 이해 했다는 것을 기지국에게 확인해 줄 수 있다(UE-to-eNB confirmation). 다른 방안으로, 새로운 DL 데이터 전송이 있는 경우, 채널 상황이 좋아진 것으로 생각하여 또는 이전 데이터에 대한 ACK/NACK에 우선 순위를 두고, 해당 UL 서브프레임에서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전송을 드랍, 중지, 잠정 중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방안 3. ACK / NACK 반복 모드의 변경
기지국에 의해 ACK/NACK 전송이 겹치도록 스케줄링 된 경우, 상술한 방안 1 및/또는 2와 함께 ACK/NACK 반복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ACK/NACK 반복 모드의 변경은 ACK/NACK 반복 인자의 감소, ACK/NACK 반복 모드의 중단을 포함한다. ACK/NACK이 겹치도록 스케줄링 된 경우, ACK/NACK 반복 모드의 변경은 해당 ACK/NACK 전송에 대해서만 일시적으로 적용되거나, 그 이후의 ACK/NACK 전송에 대해 지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복 ACK/NACK과 새로운 ACK/NACK이 동일한 UL 서브프레임에 존재하는 경우, 채널 상황이 좋아진 것으로 생각하여 기존에 설정된 ACK/NACK 반복 회수를 강제로 제한할 수 있다. ACK/NACK 반복 회수의 제한은 기존 데이터에 대한 ACK/NACK과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ACK/NACK에 대해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ACK/NACK에 우선 순위를 둘 경우, 기존의 반복 ACK/NACK과 새로운 ACK/NACK이 겹치지 않도록 기존의 반복 ACK/NACK에 대한 반복 인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ACK/NACK 반복 인자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두 개의 ACK/NACK이 겹치지 않도록 기존의 반복 ACK/NACK 전송을 드랍, 중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새로운 ACK/NACK에 대해 ACK/NACK 반복 인자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ACK/NACK이 겹치도록 스케줄링 된 경우, 채널 상황이 좋아진 걸로 생각하며 ACK/NACK 반복 모드를 중단할 수 있다. ACK/NACK 반복 모드의 중단은 해당 ACK/NACK에 대해서만 일시적으로 적용되거나, 해당 ACK/NACK 이후의 ACK/NACK에 대해 지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편의상, ACK/NACK 반복 모드가 해당 ACK/NACK에 대해서만 일시 중단되는 것을 ACK/NACK 반복 모드가 디스에이블(diable)되었다고 지칭하고, ACK/NACK 반복 모드가 해당 ACK/NACK 이후에 대해 지속적으로 중단되는 것을 ACK/NACK 반복 모드가 비활성화 되었다고 지칭하지만,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한 이들은 서로 혼용될 수 있다.
편의상, 방안 1)~3)을 별도로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서로 조합되어 사용되거나 택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안 1) 내의 세부 방안인 1-1)~1-3)도 역시 ACK/NACK 전송 상황/시나리오에 따라 조합되어 사용되거나 택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방안 1)~3)에 따른 단말 동작은 미리 정의되거나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말 동작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못하게(enable/disable)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도면에 예시된 사항은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CK/NACK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10은 반복 인자가 2인 경우에 DL 서브프레임 #n에서 패킷 A가 전송되고, DL 서브프레임 #n+1에서 새로운 패킷 B가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에서 반복 전송된다. 그러나, 패킷 B에 대한 ACK/NACK(B)은 UL 서브프레임 #n+5에서만 전송되고 더 이상 반복 전송되지 않는다. 본 예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ACK/NACK 반복 모드가 설정되었더라도 필요에 따라 물리 계층에서 그 동작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패킷 B에 의해 ACK/NACK 반복 모드가 지속적으로 비활성화 된 경우, ACK/NACK 반복 모드를 재활성화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 예로 ACK/NACK 반복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한 별도의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L 패킷의 전송 간격이 반복 인자에 대응되면(즉, 2개의 DL 서브프레임 간격), 자동으로 ACK/NACK 반복 모드가 활성화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위와 달리, 패킷 B에 의해 ACK/NACK(B)에 대해서만 ACK/NACK 반복 모드가 일시 중단(즉, 디스에이블(disabled)) 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UL 서브프레임 #n+5에서 패킷 A에 대한 반복 ACK/NACK(A)과 패킷 B에 대한 새로운 ACK/NACK(B)가 함께 전송된다. 이 경우, 두 개의 ACK/NACK은 두 개의 PUCCH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PUSCH 전송이 존재하는 경우, 두 개의 ACK/NACK 중에서 하나는 PUSCH에 임베디드(embedeed) 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PUCCH와 1개의 PUSCH가 전송된다. 또 다른 예로, PUSCH 전송이 존재하는 경우, 두 개의 ACK/NACK을 모두 PUS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에서 반복 전송된다. 또한, 패킷 B에 대한 ACK/NACK(B)도 UL 서브프레임 #n+5, #n+6에서 반복 전송된다. 즉, ACK/NACK(B)에 대한 반복 모드가 유효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패킷 B (또는 ACK/NACK(B)) 다음의 전송에 대해서는 ACK/NACK 반복이 비활성화 또는 디스에이블 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에서만 일회 전송된다. 또한, 패킷 B에 대한 ACK/NACK(B)도 UL 서브프레임 #n+5에서만 일회 전송된다. 즉, ACK/NACK 반복 중에 새로운 ACK/NACK 전송이 필요할 경우, ACK/NACK(A)와 ACK/NACK(B)의 반복은 각각 중단된다. ACK/NACK 반복 중단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적용되는 비활성화의 의미로 사용되거나 이번 만으로 국한되는 디스에이블(temporarily stopping of ACK/NACK 반복)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의 예는 ACK/NACK(A 및 B) 반복 전송이 전체 회수(2회) 중 일부만(1회)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예는 ACK/NACK(A)에 대한 반복 모드는 그대로 유지되나 어떤 이유로 UL 서브프레임 #n+5에서 ACK/NACK(A) 전송이 포기되고, ACK/NACK(B)에 대한 반복 인자만 감소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에서만 일회 전송된다. 반면, 패킷 B에 대한 ACK/NACK(B)은 UL 서브프레임 #n+5, #n+6에서 반복 전송된다. 즉, ACK/NACK(A)에 대해서는 반복 전송이 일시적으로 혹은 일회성으로 중단되고, ACK/NACK(B)에 대해서는 기존 설정대로 반복 전송이 적용된 일례이다. 이는 새로운 전송에 대한 ACK/NACK(B)에 우선 순위를 두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전 데이터에 대한 반복 ACK/NACK(A)(UL 서브프레임 #n+5) 전송을 포기하는 경우,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최초 ACK/NACK(B)(UL 서브프레임 #n+5)은 동적 자원 대신에 이전 ACK/NACK(A)에 대한 정적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기지국이 ACK/NACK을 겹치게 스케줄링 한 것에 대해 제대로 이해 했다는 것을 기지국에게 확인해 줄 수 있다. 도 10의 예는 ACK/NACK(A) 반복 전송은 전체 회수(2회) 중 일부만(1회) 수행되고, ACK/NACK(B) 반복 전송은 전부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ACK/NACK(A)에 대한 ACK/NACK 반복 인자가 감소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1~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CK/NACK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16은 반복 인자가 3인 경우에 DL 서브프레임 #n에서 패킷 A가 전송되고, DL 서브프레임 #n+2에서 새로운 패킷 B가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패킷 B는 DL 서브프레임 #n+1을 통해서도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에서 3회 반복된다. 그러나, 패킷 B에 대한 ACK/NACK(B)은 UL 서브프레임 #n+6에서만 전송되고 더 이상 반복되지 않는다. 즉, 새로운 전송(B)에 의해 ACK/NACK 반복 모드는 지속적으로 비활성화 되거나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 될 수 있다. 도 11은 반복 인자가 3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7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사항은 도 7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에서 3회 반복된다. 그러나, 패킷 B에 대한 ACK/NACK(B)은 UL 서브프레임 #n+6, #n+7에서 2회 반복된다. 즉, 새로운 전송(B)에 대한 ACK/NACK(B)에 대해서는 반복 인자가 3에서 2로 감소된다. 즉, 본 예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ACK/NACK 반복 인자가 필요에 따라 물리 계층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복 인자의 감소는 ACK/NACK(A) 및 ACK/NACK(B)에 대해서만 일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반복 인자의 감소는 이후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반복 인자가 감소된 경우, 반복 인자를 원래 값으로 되돌리기 위한 별도의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L 패킷의 전송 간격이 기존에 설정된 반복 인자에 대응되면(즉, 3개의 DL 서브프레임 간격), 자동으로 반복 인자가 2에서 3으로 되돌아간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에서 3회 반복된다. 유사하게, 패킷 B에 대한 ACK/NACK(B)도 UL 서브프레임 #n+6, #n+7, #n+8에서 3회 반복된다. 즉, ACK/NACK(B)에 대한 반복 모드가 유효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패킷 B (또는 ACK/NACK(B)) 다음의 전송에 대해서는 ACK/NACK 반복이 비활성화 또는 디스에이블 될 수 있다. 도 13은 반복 인자가 3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과 유사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에서 2회 반복된다. 반면, 패킷 B에 대한 ACK/NACK(B)도 UL 서브프레임 #n+6에서만 전송되고 더 이상 반복되지 않는다. 즉, ACK/NACK(A)는 반복 인자 감소 또는 UL 서브프레임 #n+6에서의 ACK/NACK(A) 전송 포기로 인해 지정된 횟수보다 적게 반복된다. ACK/NACK(A)의 경우 그대로 반복을 진행하되, ACK/NACK(B)에 대해서는 더 이상 반복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반복을 하지 않는다. 즉, ACK/NACK(B)에 대해서는 반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거나 디스에이블 된다. 도 14는 반복 인자가 3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9와 유사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에서 2회 반복된다. 유사하게, 패킷 B에 대한 ACK/NACK(B)도 UL 서브프레임 #n+6, #n+7에서 2회 반복된다. 도 15는 ACK/NACK(A) 및 ACK/NACK(B)에 대해 반복 인자가 3에서 2로 감소된 경우를 예시한다. 즉, 본 예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ACK/NACK 반복 인자가 필요에 따라 물리 계층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복 인자의 감소는 ACK/NACK(A) 및 ACK/NACK(B)에 대해서만 일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반복 인자의 감소는 이후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반복 인자가 감소된 경우, 반복 인자를 원래 값으로 되돌리기 위한 별도의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L 패킷의 전송 간격이 기존에 설정된 반복 인자에 대응되면(즉, 3개의 DL 서브프레임 간격), 자동으로 반복 인자가 2에서 3으로 되돌아간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도 15의 예는 ACK/NACK(A)에 대한 반복 모드는 그대로 유지하되, 어떤 이유로 UL 서브프레임 #n+6에서 ACK/NACK(A) 전송을 포기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즉, ACK/NACK(B)에 대해서만 반복 인자가 감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5는 반복 인자가 3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9와 유사하다.
도 16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에서 2회 반복된다. 반면, 패킷 B에 대한 ACK/NACK(B)도 UL 서브프레임 #n+6, #n+7, #n+8에서 3회 반복된다. 즉, ACK/NACK(A)에 대해서는 반복 전송이 일시적으로 혹은 일회성으로 중단되고, ACK/NACK(B)에 대해서는 반복 전송이 기존 설정대로 적용된 일례이다. 본 예는 새로운 전송에 대한 ACK/NACK(B)에 우선 순위를 두었음을 의미한다. 도 16은 반복 인자가 4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과 유사하다.
도 17~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CK/NACK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7~23은 반복 인자가 4인 경우에 DL 서브프레임 #n에서 패킷 A가 전송되고, DL 서브프레임 #n+3에서 새로운 패킷 B가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패킷 B는 DL 서브프레임 #n+1, #n+2에서도 전송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 #n+7에서 4회 반복된다. 반면, 패킷 B에 대한 ACK/NACK(B)은 UL 서브프레임 #n+7에서 전송되고 더 이상 반복되지 않는다. 즉, 새로운 전송(B)에 의해 ACK/NACK 반복 모드는 지속적으로 비활성화 되거나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 될 수 있다. 도 17은 반복 인자가 4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7 및 도 11과 유사하다.
도 18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 #n+7에서 4회 반복된다. 반면, 패킷 B에 대한 ACK/NACK(B)은 UL 서브프레임 #n+7, #n+8, #n+9에서 3회 반복된다. 즉, 새로운 전송(B)에 대한 ACK/NACK(B)에 대해서는 반복 인자가 감소한다(예, 4 => 3). 도 18은 반복 인자가 4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2와 유사하다.
도 19를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 #n+7에서 4회 반복된다. 유사하게, 패킷 B에 대한 ACK/NACK(B)도 UL 서브프레임 #n+7, #n+8, #n+9, #n+10에서 4회 반복된다. 즉, ACK/NACK(B)에 대한 반복 모드가 유효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패킷 B (또는 ACK/NACK(B)) 이후의 전송에 대해서는 ACK/NACK 반복이 비활성화 또는 디스에이블 될 수 있다. 도 19는 반복 인자가 4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 및 도 13과 유사하다.
도 19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DL 서브프레임 #n에 전송된 패킷 A에 대해서 ACK/NACK 반복을 수행하는 경우에 DL 서브프레임 #n+1, #n+2의 경우는 PDSCH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단말은 PDSCH를 디코딩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n+1, #n+2에 어떠한 PDSCH가 전송되더라도 단말은 이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단말은 DL 서브프레임 #n+3에서 PDSCH를 수신한 경우 ACK/NACK을 서브프레임 #n+7에 전송하여야 한다. 서브프레임 #n+7은 원래는 패킷 A에 대한 ACK/NACK이 전송되도록 예정되어 있지만, 본 예에서 단말은 이를 무시하고 패킷 B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에서 3회 반복된다. 그러나, 패킷 B에 대한 ACK/NACK(B)은 UL 서브프레임 #n+7에서만 전송되고 더 이상 반복되지 않는다. 즉, ACK/NACK(A)의 반복 회수가 1회 줄었으며, 대신 ACK/NACK(B)가 전송되었다. 단말은 도 20과 같은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고 가정하며,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단말은 두 개의 ACK/NACK 전송이 요구되는 UL 서브프레임에서 ACK/NACK(A)대신 ACK/NACK(B)를 전송하도록 선택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반복 인자가 4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9 및 도 14와 유사하다.
도 21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에서 3회 반복된다. 유사하게, 패킷 B에 대한 ACK/NACK(B)도 UL 서브프레임 #n+7, #n+8, #n+9에서 3회 반복된다. 도 21은 ACK/NACK(A)(B)에 대한 반복 인자가 동일하게 감소(예, 4 => 3)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21은 ACK/NACK(A)에 대한 반복 인자는 그대로 유지되나 어떤 이유로 UL 서브프레임 #n+7에서의 ACK/NACK(A) 전송 포기로 인해 지정된 횟수보다 적게 반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ACK/NACK(A)(B)에 대해서만 반복 인자가 감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1은 반복 인자가 4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9 및 도 15와 유사하다.
도 22는 새로운 전송에 대한 ACK/NACK(B)에 우선 순위를 두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에서 3회 반복된다. 반면, 패킷 B에 대한 ACK/NACK(B)은 UL 서브프레임 #n+7, #n+8, #n+9, #n+10에서 4회 반복된다. 즉, ACK/NACK(A)에 대해서는 반복 전송이 일시적으로 혹은 일회성으로 중단되고, ACK/NACK(B)에 대해서는 반복 전송이 기존 설정대로 적용된 일례이다. 이를 위해, ACK/NACK(A) 전송과 ACK/NACK(B) 전송이 모두 예정된 UL 서브프레임에서, ACK/NACK(A) 전송은 단말에 의해 드랍(dropped)된다. 도 22는 반복 인자가 4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6 및 도 10과 유사하다.
도 23~24는 반복 인자가 4인 경우에 DL 서브프레임 #n에서 패킷 A가 전송되고, DL 서브프레임 #n+2에서 새로운 패킷 B가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패킷 B는 DL 서브프레임 #n+1, #n+3에서도 전송될 수 있다.
도 23는 ACK/NACK(A)의 반복 전송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ACK/NACK(B)의 전송을 앞당기는 예를 나타낸다. 도 23을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 #n+7에서 4회 반복된다. 반면, 패킷 B에 대한 ACK/NACK(B)은 UL 서브프레임 #n+6에서만 전송되고 더 이상 반복되지 않는다. 즉, ACK/NACK(A)는 기존 설정에 따라 완전히 반복(fully repeated)되고, ACK/NACK(B)는 1회 전송으로 종료된다. 예시한 동작은 단말이 새로운 DL 전송이 도착했을 경우 이를 ACK/NACK 반복을 중지하라는 의미로 해석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경우, ACK/NACK(B)는 일시적 또는 한시적 또는 조건부로 반복이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23의 내용은 도 7 및 11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패킷 A에 대한 ACK/NACK(A)은 UL 서브프레임 #n+4, #n+5, #n+6, #n+7에서 4회 반복된다. 유사하게, 패킷 B에 대한 ACK/NACK(B)도 UL 서브프레임 #n+6, #n+7, #n+8, #n+9에서 4회 반복된다. 즉, ACK/NACK(B)에 대한 반복 모드가 유효하게 유지되며, 두 개의 UL 서브프레임에 걸쳐 ACK/NACK이 겹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 #n+6에서는 반-정적 ACK/NACK(A)와 동적 ACK/NACK(B)이 동시에 전송된다. 서브프레임 #n+7에서는 모두 반-정적 ACK/NACK(A)(B)가 동시에 전송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n+7에서는 2개의 반-정적으로 예약된 ACK/NACK 자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2개의 ACK/NACK 자원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예약해 두어야 한다. 한편, 패킷 B (또는 ACK/NACK(B)) 이후의 전송에 대해서는 ACK/NACK 반복이 비활성화 또는 디스에이블 될 수 있다. 도 24는 반복 인자가 4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 및 도 13과 유사하다.
도 25은 도 19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재구성한 것이다. 도 25는 반복 인자가 4인 경우에 DL 서브프레임 #n에서 패킷 A가 전송되고, DL 서브프레임 #n+3에서 새로운 패킷 B가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단말은 패킷 A에 대한 반복 ACK/NACK이 있을 경우 그 것이 마지막 반복 ACK/NACK(A)이 아니면(예, UL 서브프레임 #n+1, #n+2에서의 ACK/NACK(A)) 새로운 패킷 전송(예, 패킷 B가 DL 서브프레임 #n-3, #n-2에서 전송된 경우)이 되었다고 할지라도 그에 대한 ACK/NACK(B)을 전송하지 않는다. 반면, 이전 패킷에 대한 반복된 ACK/NACK(A)의 마지막이고(예, UL 서브프레임 #n+3에서의 ACK/NACK(A)), 그때 패킷 B에 대한 ACK/NACK(B)을 전송할 타이밍이라면 패킷 A의 반복된 ACK/NACK(A)과 패킷 B의 첫 번째 ACK/NACK(B)을 동시에 보낼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과 단말을 예시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 110) 및 단말(UE, 120)을 포함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20)의 일부이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110)의 일부이다. 기지국(110)은 프로세서(112), 메모리(1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1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4)는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16)은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120)은 프로세서(122), 메모리(124) 및 RF 유닛(12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4)는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6)은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기지국(110) 및/또는 단말(12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말(120)은 전력 관리 모듈, 배터리, 디스플레이, 키패드, SIM 카드(옵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 릴레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 반복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단말이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브프레임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서브프레임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제2 서브프레임의 차가 기준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반복 회수가 감소되는, ACK/NACK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도록 예정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전송을 드랍(dro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NACK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도록 예정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ACK/NACK 번들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NACK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도록 예정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ACK/NACK 다중화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NACK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회수의 감소는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전송에 대해서만 일시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NACK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제2 서브프레임의 차가 기준보다 작은 경우, 상기 ACK/NACK 반복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NACK 전송 방법.
  7.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 반복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ACK/NACK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서브프레임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서브프레임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제2 서브프레임의 차가 기준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반복 회수가 감소되는, 무선 통신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도록 예정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전송을 드랍(dro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도록 예정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ACK/NACK 번들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도록 예정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ACK/NACK 다중화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회수의 감소는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의 전송에 대해서만 일시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과 제2 서브프레임의 차가 기준보다 작은 경우, 상기 ACK/NACK 반복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KR1020127006035A 2009-11-23 2010-11-23 Ack/nack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85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379109P 2009-11-23 2009-11-23
US61/263,791 2009-11-23
US26466609P 2009-11-26 2009-11-26
US61/264,666 2009-11-26
PCT/KR2010/008289 WO2011062459A2 (ko) 2009-11-23 2010-11-23 Ack/nack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374A true KR20120099374A (ko) 2012-09-10
KR101785660B1 KR101785660B1 (ko) 2017-10-16

Family

ID=4406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035A KR101785660B1 (ko) 2009-11-23 2010-11-23 Ack/nack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5542B2 (ko)
JP (1) JP5368643B2 (ko)
KR (1) KR101785660B1 (ko)
CN (1) CN102668414B (ko)
CA (1) CA2781588C (ko)
WO (1) WO201106245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861A (ko) * 2017-04-04 2018-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위한 dm-rs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365451A (zh) * 2018-04-11 2019-10-22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ack/nack重复发送次数的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659719T3 (pl) 2010-12-31 2017-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okacja kanałów potwierdzeń do grup kanałów o zmiennych energiach transmisji
EP2659718B1 (en) * 2010-12-31 2016-1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location of acknowledgment channels to channel groups having fixed transmit energies
KR101849107B1 (ko) * 2011-02-17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화된 다운링크 물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성공적 수신 여부를 피드백하기 위한 업링크 피드백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102649B1 (ko) 2012-04-02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40126382A1 (en) * 2012-11-06 2014-05-08 Qualcomm Incorporated Forward link acknowledgment in a machine-to-machine wireless wide area network
US9480017B2 (en) * 2013-02-11 2016-10-2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power management control
US10624075B2 (en) * 2013-03-16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delayed ACKs/NACKs in LTE cellular systems
CN105393618B (zh) 2013-05-15 2019-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装置、通信系统、终端和基站
WO2015109607A1 (en) * 2014-01-27 2015-07-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nodeb, and user equipment
US9668288B2 (en) 2014-03-19 2017-05-30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device-to-device oper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EP3175570B1 (en) * 2014-07-29 2019-09-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veying number of required harq repetitions for coverage enhancement
KR102182491B1 (ko) * 2014-08-08 2020-11-24 주식회사 아이티엘 자원 패턴을 기반으로 d2d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4002746A1 (en) * 2016-01-07 2022-05-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cknowledgement resources
WO2018004268A1 (ko) * 2016-06-29 2018-01-0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500018B1 (en) * 2016-08-09 2024-05-08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8282881B (zh) * 2017-01-06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配置方法及装置
KR102294616B1 (ko) * 2017-02-02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전송 시간 간격,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복수의 프로세싱 시간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WO2018173416A1 (ja) * 2017-03-22 2020-01-23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10461896B2 (en) 2017-09-08 2019-10-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figuration of repetition factors for transmitting feedback data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WO2019095335A1 (zh) * 2017-11-17 2019-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重复发送harq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CN110324126B (zh) 2018-03-30 2020-12-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US11647484B2 (en) 2018-05-11 2023-05-09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20026296A1 (ja) * 2018-07-30 2020-02-0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1611412B2 (en) * 2018-07-30 2023-03-21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0535583B (zh) * 2018-08-10 2022-05-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传输确定方法、装置、基站、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223159B (zh) * 2019-08-02 2024-04-05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高层ack/nack的传输
EP4111799A4 (en) * 2020-04-01 2023-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LEEP MODE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497678B (zh) * 2020-04-03 2022-09-2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705949B2 (en) * 2020-04-24 2023-07-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transmission triggered by negative acknowledgment (NACK)
WO2023044921A1 (en) * 2021-09-27 2023-03-30 Nokia Shanghai Bell Co., Ltd.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ultiplexing nack-only harq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096A (ja) * 1994-11-25 1996-06-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パケット再送方法
US7561893B2 (en) * 2002-04-10 2009-07-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system using ARQ
JP2004364217A (ja) 2003-06-09 2004-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ケット通信装置
KR101012372B1 (ko) 2004-04-06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ack/nack 전송 방법및 ack/nack 판정 방법
KR100715204B1 (ko) * 2005-12-09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및 방법
CN101480070A (zh) * 2006-07-04 2009-07-08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在高速下行链路信道上的广播和多播
US8042018B2 (en) 2006-08-18 2011-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CK/NACK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8787344B2 (en) * 2006-08-30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KCH with repetition in orthogonal systems
GB0621767D0 (en) * 2006-11-01 2006-12-13 Nec Corp Resource allocation
US8204010B2 (en) * 2007-06-18 2012-06-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CK/NACK repetition for robust downlink MAC PDU transmission in LTE
KR101410120B1 (ko) * 2007-08-21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전송을 지원하는 응답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8184579B2 (en) * 2008-02-15 2012-05-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CK/NAK repetition schemes in wireless networks
KR20090093800A (ko) * 2008-02-29 200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 전송방법
US20090279458A1 (en) * 2008-03-24 2009-11-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plink and Down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Time Division Multiplex Communications
US8634333B2 (en) * 2008-05-07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Bundling of 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84899B2 (en) * 2009-10-14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ssociation set for uplink ACK/NACK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861A (ko) * 2017-04-04 2018-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위한 dm-rs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73963B2 (en) 2017-04-04 2020-12-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M-RS for broadcast data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0365451A (zh) * 2018-04-11 2019-10-22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ack/nack重复发送次数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11937A (ja) 2013-04-04
CA2781588A1 (en) 2011-05-26
CN102668414B (zh) 2015-05-06
CA2781588C (en) 2015-06-23
US20120307755A1 (en) 2012-12-06
KR101785660B1 (ko) 2017-10-16
US9025542B2 (en) 2015-05-05
WO2011062459A2 (ko) 2011-05-26
WO2011062459A3 (ko) 2011-10-20
JP5368643B2 (ja) 2013-12-18
CN102668414A (zh)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660B1 (ko) Ack/nack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52130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of transmitt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base station of 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72096B2 (en) Managing transmission power for a random access channel for first and second cell groups
US9756617B2 (en) Simultaneous reporting of ACK/NACK and channel-state information using PUCCH format 3 resources
US1139531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8797985B2 (en) Channel selection and channel-state information collision handling
KR101729550B1 (ko)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705477B2 (en) Simultaneous reporting of ACK/NACK and channel-state information using PUCCH format 3 resources
CN110291745B (zh) 用于第五代(5g)新无线电(nr)的短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pucch)设计
US93638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KR20130109119A (ko)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18288A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6688202B (zh) 支持载波聚合的无线通信系统中的信号发送和接收方法及其装置
WO2013051982A1 (en) Channel selection and channel-state information collision handling
NZ623748B2 (en) Simultaneous reporting of ack/nack and channel-state information using pucch format 3 re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