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687A -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687A
KR20120098687A KR1020127012249A KR20127012249A KR20120098687A KR 20120098687 A KR20120098687 A KR 20120098687A KR 1020127012249 A KR1020127012249 A KR 1020127012249A KR 20127012249 A KR20127012249 A KR 20127012249A KR 20120098687 A KR20120098687 A KR 20120098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ystem
members
conveying
switching
di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315B1 (ko
Inventor
플로이드 더블유 버틀러
폴 엘 웨터스
폴 크레이스 (엔엠아이)
케니스 제이 쿠이스트라
데니스 제이 슈이테마
Original Assignee
데마틱 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마틱 코프. filed Critical 데마틱 코프.
Publication of KR2012009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76Fixed or adjustable ploughs or transverse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76Fixed or adjustable ploughs or transverse scrapers
    • B65G47/766Adjustable ploughs or transverse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은 이송 면을 한정하고 이송 면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전환 조립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송면에 걸쳐 대각선으로 위치된다. 전환 조립체는 이송면 아래 비작동 위치와 이송면 위를 연장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진행한다. 전환 조립체는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이송면 위에 있는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적응된 전환 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CONVEYOR SYSTEM AND METHOD OF LATERALLY DISPLACING ARTICLES}
본 발명은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면 위에서 이송되는 물건을 확실히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이송면 위에서 진행하는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하나의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이송면에서 선택된 지선(spur)으로 물건을 전환(divert)시키는 분류 시스템이다. 이 지선은 동력으로 동작하는 테이크어웨이 컨베이어(powered takeaway conveyor), 중력 테이크어웨이 컨베이어, 슈트(chute)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유형의 분류 시스템은 확실한 변위 분류기이다. 확실한 변위 분류기는 일정 유형의 부재를 이용하여 물건이 전환기(diverter)를 오버슈트하여 전환에 실패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이송면에서 물건을 전환하는 것을 확실히 가이드한다. 전환 실패는 분류 시스템의 효율적인 동작에 불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은 길이방향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면을 한정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면에 걸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각선으로 위치된 전환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환 조립체는 이송면 아래 비작동 위치와, 이송면 위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면 위에 연장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전환 조립체는 수직으로 배향된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 조립체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벨트를 감싸는(reeving) 복수의 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은 길이방향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면을 한정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면에 걸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각선으로 위치된 전환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환 조립체는 이송면 아래 비작동 위치와, 이송면 위에 연장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전환 조립체는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송면 위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전환 조립체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와, 이 롤러 주위를 감싸는 수직으로 배향된 벨트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직으로 배향된 포스트는 베이스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한다. 복수의 정지 블록은 블록들 중 하나로 포스트들 중 하나를 용이하게 수직 왕복 운동하게 한다.
베이스는 상부판과 하부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포스트들 각각은 하부판을 통과하며 상부판에 연결된다. 복수의 롤러는 상부판 및/또는 하부판에 장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전환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고 하강시킬 수 있고 제어된 가속도로 그렇게 할 수 있다.
롤러들 중 하나는 벨트를 추진하는 구동 롤러일 수 있다. 정지 모터는 구동 롤러를 구동할 수 있고 커플링은 구동 롤러로 모터를 연결할 수 있다. 커플링은 플렉시블한 샤프트 또는 스플라인일 수 있다. 커플링은 플렉시블한 샤프트와 모터 사이에 테이크오프 조립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한 샤프트일 수 있다. 테이크오프 조립체는 플렉시블한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된 시브(sheave)와, 모터와 시브 사이의 고토크 구동부(high torque drive)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 조립체는 수직으로 배향되어 구동되는 벨트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전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플렉시블한 샤프트는 전환 부재들 중 하나를 위한 벨트를 각각 구동할 수 있다. 복수의 시브(sheave)는 플렉시블한 샤프트들 중 하나와 고토크 구동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컨베이어 면은 이송면에 인접할 수 있다. 플렉시블한 샤프트들 중 하나는 다른 이송면을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은 길이방향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면을 한정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면에 걸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각선으로 서로 정렬된 복수의 전환 부재를 포함한다. 전환 부재는 이송면 아래 비작동 위치와, 이송면 위에 연장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독립적으로 진행한다. 전환 부재는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이송면 위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어부는 전환 부재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어부는 이송면 위에 있는 물건을 이동시키기 위해 전환 부재들 중 하류에 있는 전환 부재를 작동시키기 전에 전환 부재들 중 상류에 있는 전환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전환 부재들 중 하류에 있는 전환 부재를 작동 해제하기 전에 전환 부재들 중 상류에 있는 전환 부재를 작동 해제할 수 있다. 복수의 상류 전환 부재와 복수의 하류 전환 부재들이 있으며 상류 전환 부재들은 서로로부터 상류방향으로 발산하고 하류 전환 부재들은 서로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발산하여 이에 의해 교차(X자형) 구성을 형성한다. 제어부는 상류 전환 부재와 정렬된 하류 전환 부재에 의해 한정된 교차 구성의 일 측면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일방향으로 측방향으로 물건을 전환시키고, 다른 상류 전환 부재와 정렬된 하류 전환 부재에 의해 한정된 교차 구성의 다른 측면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물건을 측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하류 전환 부재들 중 하나의 일부는 상류 전환 부재와 정렬된 반대쪽 전환 부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류 전환 부재와 정렬된 반대쪽 하류 전환 부재와 함께 하류 전환 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일 방향으로 물건을 측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은 길이방향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면을 한정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면에 걸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각선으로 위치된 전환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환 조립체는 이송면 아래 비작동 위치와 상기 이송면 위에 연장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진행한다. 전환 조립체는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이송면 위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환면과 이 전환면을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다. 모터는 정지해 있고 모터와 전환면 사이에 커플링을 포함한다.
커플링은 플렉시블한 샤프트 또는 스플라인일 수 있다. 커플링은 플렉시블한 샤프트와 모터 사이에 테이크오프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한 샤프트일 수 있다. 테이크오프 조립체는 플렉시블한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된 시브와, 모터와 시브 사이에 고토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 조립체는 전환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전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시블한 샤프트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샤프트 각각은 전환 부재들 중 하나를 위한 전환면을 구동한다. 복수의 시브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시브는 플렉시블한 샤프트들 중 하나와, 고토크 구동부에 연결된다. 다른 컨베이어는 이송면에 일반적으로 인접한 다른 이송면을 구비하게 제공될 수 있다. 플렉시블한 샤프트들 중 하나는 다른 이송면을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은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이송 부분(conveying section)과, 이송면을 추진하는 추진 시스템을 포함한다. 추진 시스템은 모터와 복수의 플렉시블한 구동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동 샤프트는 모터로부터 이송 부분들 중 하나로 연장하며 이송 부분의 이송면을 추진시킬 수 있다.
이송 부분들 중 하나는 왕복운동하는 이송 부재일 수 있다. 왕복운동하는 이송 부재는 전환 위치와 비전환 위치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전환기(diverter)의 형태일 수 있으며, 전환기의 이송면은 수직으로 배향된 벨트와 같은 전환면이다. 이송 부분들 중 다른 것은 왕복운동하는 이송 부재에 의해 전환된 물건을 이송하는 테이크어웨이 컨베이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및 방법은 액슬(axle)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한정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면을 포함한다. 프레임이 포함되며 복수의 액슬 리테이너가 이 프레임에 연결된다. 액슬 리테이너들 각각은 베이스와, 복수의 액슬 유지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액슬 유지 개구들 각각은 액슬들 중 하나의 액슬의 단부를 수용하게 구성된다. 객구들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있다. 이런 방식으로, 액슬 리테이너는 프레임에 대해 하나를 초과하는 각도로(at more than one angle) 롤러를 장착할 수 있다.
액슬 리테이너와 프레임은 액슬들 중 하나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유지 개구를 변경하기 위해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방향으로 액슬 리테이너가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상보면(complementary surface)을 구비할 수 있다. 상보면은 액슬 리테이너의 T 형상의 연장부와, 이 연장부를 수용하기 위해 프레임에 있는 수직 슬롯의 형태일 수 있다. T 형상의 연장부는 프레임에 연결된 액슬 리테이너를 유지하기 위해 슬롯에 억지로 끼워질 수 있다(press-fit). 액슬 리테이너는 이송면 아래 비전환 위치와, 이송면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있는 전환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수직 왕복운동 전환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은 전환기의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전환기(diverter)는 상기 이송 롤러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잇점 및 특징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때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전환 상태에 있는 하나의 전환 조립체와 비전환 상태에 있는 다른 전환 조립체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이송면 중 일부를 제거하여 그 내부 상세를 드러낸 반대쪽 측방향에서 본 도 1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4는 전환 조립체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있는 라인 V-V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는 라인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있는 라인 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전환 부재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있는 라인 Ⅸ-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있는 라인 Ⅹ-Ⅹ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추진 시스템의 단부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있는 추진 시스템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 있는 라인 ⅩⅢ-Ⅹ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도 11에 있는 라인 ⅩⅣ-Ⅹ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1과 같은 단부 측면도.
도 16은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1과 같은 단부 측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 모드를 예시하는 도면.
도 18은 이송 면 중 일부를 제거하여 그 내부 상세를 드러낸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와 같은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20은 도 19에 있는 라인 ⅩⅩ-ⅩⅩ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1은 도 19에 있는 라인 ⅩⅩⅠ-ⅩⅩ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2는 도 19에 있는 라인 ⅩⅩⅡ-ⅩⅩ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3은 도 19에 있는 ⅩⅩⅢ에 지시된 영역의 확대 측면도.
도 24는 액추에이터의 평면도.
도 25는 도 19에 있는 ⅩⅩⅤ에 지시된 영역의 확대 평면도.
도 26은 전환 부재의 측면도.
도 27은 액슬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28은 도 27에 있는 라인 ⅩⅩⅧ-ⅩⅩ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9는 도 27에 있는 액슬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 30은 다른 방향에서 본 도 27에 있는 액슬 리테이너의 다른 사시도.
도 31은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2는 도 31에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33은 핑거 가드(finger guard)를 도시하는 도 32와 같은 평면도.
도 34a 내지 도 34c는 여러 동작 모드를 보여주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35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와 같은 전체 사시도.
이제 컨베이어 시스템(20)이 길이방향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면(24)을 구비하는 컨베이어(22)와, 이송면(24)에 걸쳐 대각선으로 위치된 전환 조립체(26)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과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한다(도 1 내지 도 16). 전환 조립체(26)는 이송면(24) 아래 도 1에 있는 비작동 위치와, 이송면(24) 위에 연장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진행하거나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왕복운동한다. 전환 조립체(26)는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복수의 전환 부재(30a, 30b, ... 30n)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전환 부재(30a)는 비작동 위치에서 도시된 것이고 전환 부재(30b)는 작동 위치에서 도시된 것이다. 그러나, 전환 조립체(26)는 동시에 작동가능한 복수의 전환 부재들 중 단 하나의 전환 부재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전환 조립체(26)는 전환 조립체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이송면(24) 위에서 이송되는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전환 조립체(26)는 이송면 위 물건을 재위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환 조립체(26)는 동력으로 동작하는 테이크어웨이 컨베이어(powered takeaway conveyor)(28)와 같은 이송면에서 테이크어웨이 지선(spur)으로 물건을 전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전환 조립체(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면(24)이 진행하는 길이방향으로부터 30도 각도로 있다. 그러나, 전환 조립체(30)는 20도 내지 45도 등과 같은 임의의 원하는 각도로 있을 수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20)이 예를 들어 도매점(warehouse)에서부터 소매점(retail outlet)으로 운반되는 제품의 경우와 같이 물건의 분배시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 컨베이어 시스템은 특송 화물(express shipping) 및 공항에서 유저 팩킹된 화물 분류 등과 같은 소포 응용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전환 조립체(26)의 전환 부재(30a, 30b, ...30n)는 동력으로 동작하는 수직으로 배향된 벨트(32)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동력으로 동작하는 전환면일 수 있는 수직 전환 면을 각각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전환 부재(30)는 자유 동작 휠, 마찰 감소 면 등과 같은 수동 전환면을 구비할 수 있다. 동력으로 동작하는 전환면이 사용되는 경우, 전환면의 속도는 전환되는 물건의 전진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송면(24)의 속도와 대략 동일한 속도를 가지는 길이방향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전환 조립체(26)는 가이드 프레임(36)에서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베이스(34)와, 이 베이스(34)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38)를 포함한다. 롤러(38)는 수직 벨트(32)를 감싸고(reeve), 전환되는 물건과 접촉될 때 벨트에 지지 또는 백킹을 제공한다. 각 전환 부재(30)는 베이스(34)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수직으로 배향된 포스트(40)와, 가이드 프레임(36)에 장착된 UHMW 등과 같은 폴리머로 만들어진 복수의 정지 블록(42)을 포함하며, 각 정지 블록(42)은 포스트(40)들 중 하나의 포스트의 수직 왕복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베이스(34)는 하나 이상의 측벽(47)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부판(44)과 하부판(46)을 포함한다. 각 포스트(40)는 포스트보다 조금 더 큰 사이즈의 하부판(46)에 있는 개구를 통과하고 상부판(44)과 연결된다. 이것은 전환 부재(30)와 물건이 접촉할 때의 충격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해 포스트(40)에 이격 배치된 지지부를 제공한다. 연장 스프링(45)과 같은 바이어싱 부재는 전환 부재(30)를 비작동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지원한다.
롤러(38)는 상부판(44), 하부판(46) 또는 둘 모두에 장착된다. 롤러들 중 하나는 벨트(32)를 추진하는 구동 롤러(48)(도 10)이다. 롤러(48)는 한 쌍의 베어링(54)에 의해 측벽(4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52)의 연장부이다. 샤프트(52)의 반대쪽 단부는 소켓(56)을 한정하며, 이의 목적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벨트(32)는 암(50)에 의해 측벽(47)과 연결된 반대쪽 아이들러 풀리(49)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51)과 같은 텐션 부재는 아이들러 풀리(49)를 통해 벨트(32)에 텐션을 인가하기 위해 암(50)에 외부 힘을 인가한다. 롤러(48), 및 그리하여 벨트(32)에 의해 한정된 전환면은 추진 시스템(58)에 의해 구동된다. 추진 시스템(58)은 모터(60)와, 모터(60)를 롤러(48)에 연결하는 커플링(62)을 포함한다. 모터(60)가 가변 주파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AC 전기 모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DC 전기 모터, 공압 모터, 유압 모터 등일 수 있다. 모터(60)는 정지해 있고 커플링(62)은 전환 부재(30a,30b, ...30n)가 상하 왕복운동할 때 롤러(48)와 모터(60) 사이에 상대적 운동을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플링(62)은 플렉시블 샤프트(64)를 포함하지만, 스플라인과 같은 다른 형태의 커플링도 사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한 샤프트(64)는 브루그 스위스(Brugg Switzerland)의 오토 셔너 아게(Otto Suhner AG)사로부터와 같이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유형의 커버를 갖는 트위스트된 전력 와이어 코어일 수 있다. 추진 시스템(58)의 커플링(62)은 모터(60)(도 13)와 플렉시블한 샤프트(64) 사이에 테이크오프 조립체(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크오프 조립체(66)는 플렉시블한 샤프트(64)의 일 단부에 연결하기 위해 모터(60)의 출력 샤프트(74)에 연결된 소켓(72)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테이크오프 조립체(66)는 베어링 조립체(7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소켓(76)을 통해 플렉시블한 샤프트(64)의 일단부에 연결된 시브(sheave)(68)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60)의 출력 샤프트(74)와 시브(68) 사이의 고토크 구동부(70)는 소켓(76)을 회전시키고 그리하여 플렉시블한 샤프트(64)를 회전시킨다. 플렉시블한 샤프트(64)의 다른 단부는 샤프트(52)의 소켓(56)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토크 구동부(70)는 톱니 벨트(cog belt) 형태이지만, 대안적으로 체인 등일 수 있다.
전환 조립체(26)가 수직으로 배향되어 구동되는 벨트(32)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전환 부재(30a, 30b, ... 30n)로 구성된 경우, 추진 시스템(58)은 전환 부재(30a, 30b)들 중 하나를 위한 수직 벨트(32)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플렉시블 샤프트(64)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추진 시스템(58)은 플렉시블한 샤프트(64)들 중 하나의 샤프트의 하나와 각각 연결된, 시브(68)와 모터(60)의 출력 샤프트(74)에 직접 연결된 소켓(72)을 포함한다. 2개를 초과하는 전환 부재를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면, 추가적인 플렉시블한 샤프트와 추가적인 시브(68)들이 추진 시스템(58)에 제공될 수 있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토크 구동부(70)를 통해 모터(60)의 출력 샤프트(74)에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플렉시블한 샤프트(64)는 인접한 컨베이어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한 샤프트는 고토크 구동부(70)에 의해 동력으로 동작하는 다른 소켓(72)과 연결된 플렉시블한 샤프트(64)들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이송면(24)에 인접한 동력으로 동작하는 또는 구동되는 테이크어웨이 컨베이어(28)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렉시블한 샤프트는 컨베이어 시스템(20)의 상류나 하류에 있는 컨베이어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하나의 모터(60)는 복수의 이송 부재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전기 와이어 등을 감소시켜서 시스템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이것은 시스템의 혼잡한 영역을 통한 트랜스미션을 가능하게 한다. 반대 방향으로 복수의 이송 부재들 중 하나를 구동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고토크 구동부(7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감싸질 수 있고, 여기서 시브(68c)는 시브(68a, 68b)로부터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감싸지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요구된다면, 소켓(76)과 플렉시블한 샤프트(64)는 베어링 조립체(71)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플렉시블한 샤프트로부터 상이한 속도로 하나의 플렉시블한 샤프트(64)를 구동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시브(68)의 직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시브(68)는 제어부(98)가 연관된 플렉시블한 샤프트(64)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게 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클러치를 병합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송면(24)은 동력으로 동작하는 롤러 이송면이다. 중력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등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다른 유형의 이송면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송면(24)은 전환 조립체(26)의 상류와 하류에 있는 복수의 롤러(78)에 의해 한정된다. 이송면(24)은 전환 조립체(26)의 하나의 측방향 면에 있는 복수의 롤러(80a)와, 전환 조립체(26)의 반대쪽 측방향 면에 있는 복수의 롤러(80b)에 의해 더 한정된다. 롤러(80a, 80b)는 전환 조립체(26)의 대각선 배향을 수용하기 위해 여러 길이일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36)은 일련의 탭(82)을 포함하며, 각 탭은 롤러(80a, 80b)의 일 단부의 액슬을 수용하는 6각형 홀(hexagonal hole)(84)을 한정하며, 롤러의 반대쪽 단부는 사이드 프레임 부재(23)에 장착된다. 롤러(78)와 롤러(80a 또는 80b)는 니타 코포레이션(Nitta Corporation)사에 의해 시판되는 유형의 무한 벨트(86)로 이루어진 롤러 구동 시스템(85)에 의해 추진된다. 벨트(86)는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병합된 발명의 명칭이 "ROLLER TRANSPORT CONVEYOR AND METHOD"인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번호 2009/0101475호로 개시된 원리를 사용하여 롤러를 추진할 수 있다. 롤러 구동 시스템(85)은 제 2 무한 벨트(88)와 전달 롤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트(86)에 의해 추진되지 않는 롤러(80a, 80b)는 다시 '475 특허 출원 공개공보에 개시된 원리를 사용하여 제 2 무한 벨트(88)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무한 벨트(88)는 무한 벨트(86)의 운동을 벨트(88)로 전달하는 전달 롤러(90)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전달 롤러(90)는 그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병합된 발명의 명칭이 "BELT DRIVE CONNECTOR WITH POWER TAP OFF"라는 명칭으로 브레이만(Brayman) 등에 의해 2010년 9월 28일에 출원된 공동 양도된 특허 출원 일련 번호 12/891,868호에 개시된 원리를 사용하여 동력 탭 오프(92)에 의해 회전된다. 모터로 구동되는 롤러 등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롤러(78, 80a, 80b)를 추진하는데 다른 기술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전환 부재(30)는 블록(42)에 올라타는 포스트(40)에 의해 수직으로 왕복운동 동작에 의해 가이드된다. 전환 부재(30)는 가이드 프레임(96)과 베이스(3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94)에 의해 상승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94)는 제어부(98)로부터 전기 신호에 응답하는 공압 밸브(96)에 의해 제어되는 공압 실린더이다. 그러나, 액추에이터(94)는 전기 솔레노이드, 유압 실린더 등일 수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2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물건이 이송면(24)에 의해 운반될 때 상위 레벨의 제어부는 제어부(98)에 특정 물건을 테이크어웨이 컨베이어(28)로 전달하라고 지시한다. 이 물건은 이 물건 위에 있는 바 코드, RFID 태그 등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물건이 전환 조립체(26)에 근접할 때 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유형의 물건 센서에 의해 감지될 때, 하나 이상의 전환 부재(30a, 30b, ...30n)들이 액추에이터(들)(94)에 의해 상승된다. 수직 전달 벨트(32)는 물건이 전환 조립체(26)와 접촉할 때 전달 벨트(32)의 운동과 함께 이송면(24)에 의해 추진되는 물건의 전진 운동이 이송면(24)에 걸쳐 있는 물건을 테이크어웨이 컨베이어(28) 상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벨트(32)는 대안적으로 전환을 하는데 필요할 때에만 동력으로 동작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전환 부재(30)들이 동시에 작동될 수 있지만, 물건은 이들이 이하와 같이 순차적으로 작동되고 작동 해제된다면 서로 훨씬 더 가까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선행 물건(A)은 전환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며 그리하여 후퇴되어 유지하는 전환 조립체(26) 위를 통과한다. 일단 물건(A)이 상류 전환 부재(30a)를 통과하면, 전환 부재(30a)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B)의 전환을 개시하기 위해 작동된다. 상류 전환 부재(30a)는 물건(A)이 하류 전환 부재(30b) 위에 여전히 위치하는 경우에도 작동될 수 있다. 물건(A)이 전환 부재(30a, 30b)들 모두에서 처리된 후, 하류 전환 부재(30b)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B)의 전환을 완성하기 위해 작동된다. 일단 하류 전환 부재(30b)가 물건(B)의 전환을 넘겨받으면, 하류 전환 부재(30a)는 도 17b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될 수 있다. 이것은 물건(B)이 완전히 전환할 때까지 상류 전환 부재(30a)가 계속 작동되는 경우보다 물건(C)이 물건(B)에 더 가까이 따라갈 수 있게 하는데 그 이유는 하류 전환 부재(30b)가 물건(B)의 전환을 완성하는 동안 물건(C)이 후퇴된 상류 전환 부재(30a) 위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의 처리량은 물건들 사이의 갭에 반비례한다. 물건들이 서로 가까이 이송되게 함으로써 컨베이어 시스템(20)은 전환 부재(30a, 30b)들의 독립적인 순차 동작의 결과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시스템(20)은 전환 부재(30a, 30b)들이 함께 작동될 때 분당 최대 약 40개의 표준 카톤(CPM : Carton Per Minute)으로 분류할 수 있고, 전환 부재(30a, 30b)들이 전술된 방식으로 순차 작동될 때에는 최대 약 80개의 CPM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 2개의 전환 부재(30a, 30b)들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물건을 전환시키는 동작에 대한 훨씬 더 많은 제어를 제공하여 물건 간격을 더 작게 하기 위해 3개 이상의 전환 부재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20)에 대한 다른 응용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이한 길이로 전환 부재(30a, 30b, ... 30n)를 제공하고 이들을 서로 일렬로 배열하기 보다는 평행하게 배열함으로써 전환 부재들이 예를 들어 양방향 분류기로 안내되는 물건의 중심 정렬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류기는 분류기의 일 측면으로 판정되기 보다는 분류기의 중간 아래로 이동하는 물건을 분류한다. 전환 부재들은 이송면의 중심 쪽으로 물건을 이동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물건의 사이즈와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른 응용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시스템(120)은 길이방향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면(124)을 구비하는 컨베이어(122)와, 상기 이송면(124)에 걸쳐 대각선으로 위치되는 전환 조립체(126)를 포함한다(도 18 내지 도 29). 전환 조립체(126)는 이송면(124) 아래 도 1에 도시된 전환 부재(30a)와 유사한 비작동 위치와, 이송면(124) 위를 연장하는 도 1에 도시된 전환 부재(30b)와 유사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진행하거나 왕복운동한다. 전환 조립체(126)는 전환 조립체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이송면(124) 위에서 이송되는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전환 조립체(126)는 이송면 위 물건을 재위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전환 조립체(126)는 이송면에서 동력으로 동작하는 테이크어웨이 컨베이어(128)와 같은 테이크어웨이 지선으로 물건을 전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테이크어웨이 컨베이어(128)가 도 19에 있는 이송면(124)의 반대쪽 측방향 면들 위에 도시되어 있으나,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이송면(124)의 이동방향에 따라 하나의 측방향으로 또는 다른 측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환 조립체(126)는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면(124)이 진행하는 길이방향으로부터 30도 각도로 있다. 그러나, 이것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20도 내지 45도 등과 같이 임의의 원하는 각도로 있을 수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120)은 예를 들어, 도매점에서부터 소매점까지 운반되는 제품의 경우와 같이 물건의 분배시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또한 특송 화물(express shipping) 및 공항에서 유저 팩킹된 화물 분류 등과 같은 소포 응용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전환 조립체(126)는 동력으로 동작하는 수직으로 배향된 벨트(132)와 같은 동력으로 동작하는 이송면일 수 있는 수직 이송면을 각각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전환 부재(130a, 130b, ..., 130n)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전환 부재(130)는 자유 동작 휠, 마찰 감소 면 등과 같은 수동 전환 면을 구비할 수 있다. 동력으로 동작하는 전환면이 사용되는 경우, 전환면의 속도는 전환되는 물건의 전진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송면(124)의 속도와 대략 동일한 속도를 가지는 길이방향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전환 조립체(126)는 가이드 프레임(136)에서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베이스(134)와, 이 베이스(134)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138)를 포함한다. 롤러(138)는 수직 벨트(132)를 감싸며 전환되는 물건과 접촉할 때 벨트에 지지 또는 백킹을 제공한다. 각 전환 부재(130)는 베이스(134)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수직으로 배향되는 포스트(140)들과, 가이드 프레임(136)에 장착되는, UHMW 등과 같은 폴리머로 만들어진 복수의 정지 블록(142)을 포함하며, 각 정지 블록(142)은 이 포스트(140)들 중 하나의 포스트의 수직 왕복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베이스(134)는 하나 이상의 측벽(147)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부판(144)과 하부판(146)을 포함한다. 각 포스트(140)는 이 포스트보다 약간 더 큰 사이즈의 하부판(146)에 있는 개구를 통과하고 상부판(144)에 연결된다. 이것은 전환 부재(130)에 물건이 접촉시 충격에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포스트(140)에 이격 배치된 지지부를 제공한다.
전환 부재(130)는 가이드 프레임(136)과 베이스(134) 사이에 있는 액추에이터(194)에 의해 상승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194)는 제어부(98)와 유사한 제어부로부터 전기 신호에 응답하는 밸브(96)와 유사할 수 있는 공압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공압 실린더(195)를 포함한다. 그러나, 액추에이터(194)는 공압 실린더(195) 대신에 전기 솔레노이드, 유압 실린더 등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194)는 전환 부재(130)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동안 베이스(134)에 제어된 가속도를 적용할 수 있는 암(197)을 회전시킨다. 암(197)의 말단 단부(199)는 실린더(195)의 선형 운동을 사인곡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며 이는 롤러(200)를 통해 베이스(134)에 적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95)의 선형 운동이 급격한 가속을 수반하는 경우에도, 암(197)에 의해 베이스(134)에 부여되는 수직 운동은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인곡선 함수에 따라 제한된 가속도를 가질 것이다.
롤러(138)는 상부판(144)에 장착된다. 롤러들 중 하나는 벨트(132)를 추진하는 구동 롤러(148)이다. 롤러(148)는 측벽(147)에 의해 지지되는 암(150)에 의해 지지된다. 롤러(148)는 암(150)에 한 쌍의 베어링(15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152)의 연장부이다. 샤프트(152)의 반대쪽 단부는 소켓(156)을 한정하며 그 목적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텐션 부재(151)는 벨트(132)에 텐션을 적용하기 위하여 암(150)에 외부 힘을 적용한다. 롤러(148), 및 그리하여 벨트(132)에 의해 한정된 전환 면은 추진 시스템(58)과 동일한 유형의 추진 시스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환 조립체(126)는 수직으로 배향되어 구동되는 벨트(132)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전환 부재(130a, 130b)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추진 시스템은 전환 부재(130a, 130b)들 중 하나를 위한 수직 벨트(132)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플렉시블한 샤프트(16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송면(124)은 동력으로 동작하는 롤러 이송면이다. 중력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등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다른 유형의 이송면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송면(124)은 전환 조립체(126)의 상류와 하류에 있는 복수의 롤러(178)에 의해 한정된다. 이송면(124)은 전환 조립체(126)의 하나의 측방향 면에 있는 복수의 롤러(180a)와, 롤러(80a, 80b)와 유사한 전환 조립체(126)의 반대쪽 측방향 면에 있는 복수의 롤러(180b)에 의해 더 한정된다. 롤러(180a, 180b)는 전환 조립체(126)의 대각선 배향을 수용하기 위하여 여러 길이로 되어 있다. 롤러(178)와 롤러(180a 또는 180b)는 벨트(86)와 유사하며 벨트(86)에 대해 전술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무한 벨트(186)를 구비하는 롤러 구동 시스템(185)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롤러 구동 시스템(185)은 제 2 무한 벨트(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트(186)에 의해 추진되지 않는 롤러(180a, 180b)는 벨트(88)와 유사하고 전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 2 무한 벨트(188)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120)의 동작은 전술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20)의 동작과 유사하다.
각 롤러(180a, 180b)는 액슬 또는 액슬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액슬의 부분을 포함한다. 일 단부에 있는 액슬은 사이드 프레임 부재에 있는 6각형으로 형성된 개구(202)와 같은 개구에 수용된다. 각 롤러(180a, 180b)의 다른 단부에 있는 액슬은 액슬 리테이너(204)에 의해 지지된다. 종래의 폴리머 물질로 몰딩될 수 있는 액슬 리테이너(204)는 전환 부재(130a, 130b)의 대향하는 측면에 있는 가이드 프레임(136)과 같은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206)를 구비한다. 각 액슬 리테이너는 베이스(206)로부터 연장하는 2개 이상의 액슬 유지 개구(208a, 208b)를 더 포함한다. 각 액슬 유지 개구(208a, 208b)는 롤러(180a, 180b)로부터 연장하는 액슬들 중 하나의 액슬의 일 단부를 수용하게 적응된다. 액슬 유지 개구(208a, 208b)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있다. 이런 방식으로, 액슬 리테이너(204)는 가이드 프레임(136)에 대해 하나를 초과하는 각도로 롤러를 장착할 수 있다. 이것은 롤러(180a, 180b)의 일 단부에서 액슬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액슬 유지 개구(208a, 208b)를 단순히 변경하는 것에 의해 이송면(124)에 대해 상이한 전환 각도로 전환 조립체(126)가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사용되는 액슬 유지 개구(208a, 208b)가 어느 것인지는 각 액슬 리테이너(204)가 배향되는 방법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액슬 리테이너(204)와 가이드 프레임(136)은 상기 액슬들 중 하나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유지 개구를 변경하기 위해 액슬 리테이너가 가이드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배향으로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상보면을 구비한다. 이 상보면은 액슬 리테이너의 베이스(206)의 T 형상의 연장부(210)와, 이 연장부(210)를 수용하기 위해 가이드 프레임에 있는 수직 슬롯(212)으로 구성된다. T 형상의 연장부는 가이드 프레임(136)에 연결된 액슬 리테이너(204)를 유지하기 위해 슬롯(212)에 억지로 끼워진다(press-fit). 이에 따라, 베이스(206)의 일 부분이 위쪽을 가리키는 경우, 하나의 액슬 유지 개구(208a, 208b)가 롤러 액슬을 수용하게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206)의 반대쪽 부분이 위쪽을 가리키는 경우, 다른 액슬 유지 개구(208a, 208b)가 롤러 액슬을 수용하게 위치될 수 있다.
액슬 리테이너는 전환 조립체(216)와는 다른 응용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액슬 리테이너(204)는 비스듬한 롤러들이 컨베이어를 언스크램블링하거나 정렬하기 위한 것과 같이 사용될 때와 같이 컨베이어 사이드 프레임(336)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로 롤러(338)들이 배치된 컨베이어(320)에 응용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도 31 내지 도 33). 액슬 리테이너(304)는 종래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핑거 가드(finger guard)(343)를 유지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패스너(341)와 같은 다른 패스너 부분을 수용하는 개구(339)와 같은 패스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른 응용은 또한 명백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시스템(220)은 컨베이어의 반대쪽 측방향 면으로 양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220)은 일반적으로 "X" 패턴(도 34a)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환 부재(230a, 230b, 230c, 230d)를 포함한다. 이들은 복수의 상류 전환 부재(230a, 230b)와 복수의 하류 전환 부재(230c, 230d)를 포함한다. 상류 전환 부재(230a, 230b)는 서로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발산하고 하류 전환 부재(230c, 230d)는 하류 방향으로 발산하여 이에 의해 교차 구성, 즉 "X" 패턴을 형성한다. 제어부는 상기 상류 전환 부재(230a 또는 230b)들 중 하나와, 하류 전환 부재(230c 또는 230d)들 중 정렬된 하나에 의해 한정된 교차 구성의 일 측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일 방향으로 물건을 측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제어부는 상류 전환 부재(230a 또는 230b)들 중 다른 하나와, 하류 전환 부재(230c 또는 230d)들 정렬된 다른 하나에 의해 한정된 상기 교차 구성의 다른 측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물건을 측방향으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환 부재(230d)와 같은 전환 부재들 중 하나의 전환 부재의 일부분은 전환 부재(230b, 230c)와 같은 전환 부재들 중 정렬된 것들 사이에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컨베이어 시스템(220)의 이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정렬된 전환 부재(230a, 230b)(도 34b)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방향(A)으로 측방향으로 물건을 전환시킨다. 그러나, 제어부는 상류 전환 부재(230b), 정렬된 하류 전환 부재(230c) 및 다른 하류 전환 부재(230d)(도 34c)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반대 방향(B)으로 측방향으로 물건을 전환시킨다. 정렬된 전환 부재(230b, 230c)들 사이에 전환 부재(230d)의 일부를 연장시키는 목적은 일 지점에서 서로 나타나는 4개의 전환 부재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전환 부재(230b, 230c)들 사이의 갭을 메우기 위해서이다. 이 기술은 반대쪽의 정렬된 전환 부재들 사이에 하류 전환 부재(230c 또는 230d)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시스템(320)은 전술된 것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전환 부재(330a, 330b)를 구비하는 이송면(324)과 전환 조립체(326)(도 35)를 포함한다. 이송면(324)은 롤러 구동 시스템(385)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380a, 380b)로 구성된다. 롤러 구동 시스템(385)은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병합된 발명의 명칭이 "MOTORIZED ROLLER TRANSVERSE DRIVE"인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번호 7,383,935호에 개시된 원리를 사용하여 롤러(380a, 380b)에 횡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모터로 동작되는 롤러(387)와, O 링(389)을 통한 구동 롤러(380a, 380b)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상술된 실시예에 여러 변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환 조립체는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키트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균등론을 포함하는 특허법의 원리에 따라 해석되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40)

  1. 컨베이어 시스템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면을 한정하는 컨베이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이송면에 걸쳐 대각선으로 위치되는 전환 조립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조립체는 상기 이송면 아래 비작동 위치와, 상기 이송면 위에 연장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진행하며, 상기 전환 조립체는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송면 위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전환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면은 수직으로 배향된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조립체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벨트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조립체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와, 수직으로 배향된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는 상기 롤러 주위에 감싸지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수직으로 배향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들 중 하나의 포스트의 수직 왕복 운동을 각각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정지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부 판과 하부판을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들 각각은 상기 하부판을 통과하고 상기 상부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어된 가속도로 상기 전환 조립체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8.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정지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구동 롤러 사이에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플렉시블한 샤프트 또는 스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한 샤프트와 상기 모터 사이에 테이크오프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오프 조립체는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의 일 단부와 연결된 시브(sheave)와, 상기 모터와 상기 시브 사이에 고토크 구동부(high torque driv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조립체는 복수의 전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환 부재들 각각은 수직으로 배향되어 구동되는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들 중 하나를 위한 상기 벨트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들 중 하나의 샤프트와 상기 고토크 드라이브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상기 시브(sheav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면에 인접한 다른 이송면을 구비하는 다른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렉시블 샤프트들 중 하나는 상기 다른 이송면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이송면에 걸쳐 대각선으로 서로 정렬된 복수의 상기 전환 부재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이송면 아래 비작동 위치와, 상기 이송면 위에 연장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송면 위에 있는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부재를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면 위에 있는 물건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환 부재들 중 하류에 있는 전환 부재를 작동하기 전에 상기 전환 부재들 중 상류에 있는 전환 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부재들 중 상기 하류에 있는 전환 부재를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전환 부재들 중 상기 상류에 있는 전환 부재를 작동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부재들 중 하류에 있는 전환 부재를 작동 해제시키기 전에 상기 전환 부재들 중 상류에 있는 전환 부재를 작동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환 부재는 상기 전환 부재들 중 복수의 상류에 있는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들 중 하류에 있는 전환 부재르 포함하며, 상기 상류에 있는 전환 부재는 서로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발산하고 상기 하류에 있는 전환 부재는 하류 방향으로 발산하여 이에 의해 교차하는 구성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류에 있는 전환 부재들 중 하나와 상기 하류에 있는 전환 부재들 중 정렬된 하나에 의해 한정된 상기 교차하는 구성의 일측면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물건을 전환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류에 있는 전환 부재들 중 다른 하나와 상기 하류에 있는 전환 부재들 중 정렬된 다른 하나에 의해 한정된 상기 교차하는 구성의 다른 측면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물건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에 있는 전환 부재들 중 하나의 전환 부재의 일부분은 상류에 있는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들 중 정렬된 반대쪽에 있는 전환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류 전환 부재와 상기 상류 전환 부재들 중 하나와 상기 하류 전환 부재들 중 정렬된 반대쪽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물건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면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정지해 있고 상기 모터와 상기 전환 면 사이에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플렉시블한 샤프트 또는 스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플렉시블한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한 샤프트와 상기 모터 사이에 테이크오프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오프 조립체는 상기 플렉시블한 샤프트의 일 단부와 연결된 시브(sheave)와, 상기 모터와 상기 시브 사이에 고토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6. 상기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조립체는 전환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전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들 중 하나를 위한 상기 전환면을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상기 플렉시블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한 샤프트들 중 하나의 샤프트와 상기 고토크 구동부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상기 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9.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면에 일반적으로 인접한 다른 이송면을 구비하는 다른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한 샤프트들 중 하나는 상기 다른 이송면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0. 컨베이어 시스템으로서,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이송 부분과,
    상기 이송면을 추진시키는 추진 시스템
    을 포함하며,
    상기 추진 시스템은 모터와 복수의 플렉시블한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한 구동 샤프트들 각각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이송 부분들 중 하나의 이송 부분으로 연장하며 상기 이송 부분의 이송면을 추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왕복운동하는 이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하는 이송 부재는 전환 위치와 비전환 위치 사이에서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전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기의 상기 이송면은 전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의 이송면은 수직으로 배향된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분 중 다른 이송 부분은 상기 왕복운동하는 이송 부재에 의해 전환되는 물건을 이송하는 테이크어웨이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5. 컨베이어 시스템으로서,
    액슬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한정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면과,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액슬 리테이너
    를 포함하며,
    상기 액슬 리테이너들 각각은 베이스와, 상기 액슬들 중 하나의 액슬의 일 단부를 수용하도록 각각 적응된 복수의 액슬 유지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들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존재하고, 이에 의해 상기 액슬 리테이너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하나를 초과하는 각도로 롤러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 리테이너와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액슬들 중 하나의 액슬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유지 개구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액슬 리테이너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배향으로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상보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면은 상기 액슬 리테이너의 T 형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있는 수직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T 형상의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액슬 리테이너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슬롯 내에 억지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9. 제 35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면 아래 비전환 위치와, 상기 이송면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있는 전환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수직 왕복운동 전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환기의 적어도 일 측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전환기는 상기 이송 롤러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40. 이송면을 한정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면에 걸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각선으로 위치된 전환 조립체를 구비하는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송면으로 길이방향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면 위 물건이 상기 전환 조립체를 통과하게 하는 상기 이송면 아래 비작동 위치와, 상기 이송면 위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이송면 위에 연장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상기 전환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KR1020127012249A 2009-11-13 2010-11-09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87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112809P 2009-11-13 2009-11-13
US61/281,128 2009-11-13
US32313110P 2010-04-12 2010-04-12
US61/323,131 2010-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687A true KR20120098687A (ko) 2012-09-05
KR101587315B1 KR101587315B1 (ko) 2016-02-02

Family

ID=4399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249A KR101587315B1 (ko) 2009-11-13 2010-11-09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469178B2 (ko)
EP (1) EP2499072B1 (ko)
KR (1) KR101587315B1 (ko)
CN (1) CN102712424B (ko)
AU (1) AU2010319693B2 (ko)
CA (1) CA2780825C (ko)
ES (1) ES2666558T3 (ko)
HK (1) HK1175447A1 (ko)
NZ (2) NZ600046A (ko)
WO (1) WO2011059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2737B4 (de) 2011-09-07 2018-10-11 Krones Ag Rollenbahn mit einer Ausschleuseinrichtung
EP2996973B1 (en) 2013-05-17 2019-01-30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botic carton unloader
US9487361B2 (en) 2013-05-17 2016-11-08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botic carton unloader
US9650215B2 (en) 2013-05-17 2017-05-16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botic carton unloader
WO2015017444A1 (en) 2013-07-30 2015-02-05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botic carton unloader
EP3038958B1 (en) 2013-08-28 2019-05-29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botic carton unloader
CN104003093A (zh) * 2014-03-27 2014-08-27 昆山御广峰机械有限公司 滚筒式输送机分类装置
US9623569B2 (en) 2014-03-31 2017-04-18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Autonomous truck loader and unloader
CN103896054A (zh) * 2014-04-15 2014-07-02 山东明佳包装检测科技有限公司 高速一分二机构
USD776393S1 (en) * 2014-04-18 2017-01-10 Duerr Ecoclean Gmbh Conveyor unit
WO2016108936A2 (en) 2014-12-31 2016-07-07 Fives Intralogistics Corp. Slide sorter pop-up diverting conveyor with transfer rate based on article characteristics
CN109415167A (zh) * 2016-06-17 2019-03-01 德马泰克公司 电机驱动滚柱支座
WO2018053169A1 (en) 2016-09-14 2018-03-22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botic carton unloader
US10597235B2 (en) 2016-10-20 2020-03-24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Carton unloader tool for jam recovery
CN110636981B (zh) 2017-03-08 2021-10-26 雷勃美国公司 包裹分拣传送模块和系统及其方法
US10532894B2 (en) 2017-03-10 2020-01-14 Regal Beloit America, Inc. Modular transfer units, systems, and methods
US10640302B2 (en) * 2017-07-31 2020-05-05 Dematic Corp. Article sorter with active discharge
WO2019104095A2 (en) 2017-11-22 2019-05-31 Regal Beloit America, Inc. Modular sortation units, systems, and methods
US10669102B2 (en) * 2018-04-06 2020-06-02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Conveyor axle retainer
CN108946061B (zh) * 2018-05-22 2019-06-25 中山未名海济生物医药有限公司 无菌药品卸料设备
JP7276303B2 (ja) * 2020-10-27 2023-05-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仕分け装置
US11319154B1 (en) * 2021-02-02 2022-05-03 Itoh Denki USA Inc. Motor-driven roller conveyor assembly construction jig and a method of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5192A (en) * 1928-02-03 1931-03-03 Logan Co Conveyer
US1917004A (en) * 1931-04-02 1933-07-04 Alvey Mfg Company Conveyer system
US2624445A (en) 1949-11-19 1953-01-06 Petersen Oven Co Unitary power-driven roller conveyer
US3045792A (en) * 1958-08-12 1962-07-24 Nelson P Greller Switching unit
US3093236A (en) * 1959-12-21 1963-06-11 Wilkie Company Deflector mechanism
US3232417A (en) * 1964-07-27 1966-02-01 C F Butz Engineering Continuous action deflector for conveyors
FR1461050A (fr) * 1964-12-24 1966-12-02 Beteiligungs & Patentverw Gmbh Chemin de rouleaux de laminoir
SE301769B (ko) * 1965-03-15 1968-06-17 Electrolux Ab
US3429417A (en) * 1967-01-20 1969-02-25 Rapistan Inc Motorized flow diverter
US3463297A (en) 1967-09-21 1969-08-26 Morgan Construction Co Skew assembly table
FR1583428A (fr) * 1968-03-01 1969-10-31 Jesus Henri Leon Lucien Dispositif transporteur a changement de direction
US3512638A (en) 1968-07-05 1970-05-19 Gen Electric High speed conveyor sorting device
DE2107977C3 (de) * 1971-02-19 1975-11-06 Maschinenbau Oppenweiler Binder & Co, 7157 Oppenweiler Fördertisch zum Fördern und Ausrichten von Bogen
US3799325A (en) * 1972-09-25 1974-03-26 W Benson Flexible conveyor system
US3983988A (en) 1974-08-07 1976-10-05 Rapistan, Incorporated Conveyor diverter
CH585140A5 (ko) 1974-08-27 1977-02-28 Masyc Ag
US4111412A (en) * 1977-04-04 1978-09-05 Ppg Industries, Inc. Conveyor for separating and aligning glass sheets
CH615880A5 (ko) 1977-04-19 1980-02-29 Masyc Ag
US4241825A (en) * 1979-04-30 1980-12-30 Lear Siegler, Inc., Rapistan Division Pivoted gimbel bearing for rollers
US4243131A (en) * 1979-10-26 1981-01-06 Lamberton & Company Limited Conveying apparatus
US4313536A (en) 1980-03-21 1982-02-02 American Bottlers Equipment Co., Inc. Conveyor and control therefor
JPS57151529A (en) * 1981-03-13 1982-09-18 Okura Yusoki Co Ltd Assorting equipment
US4498576A (en) 1982-04-22 1985-02-12 Anderson Vernon J Product conveyor lane divider
AU551663B2 (en) * 1982-05-10 1986-05-08 Figgie International Pty. Ltd. Article conveying diverter
US4509636A (en) 1983-07-18 1985-04-09 Godbois Arthur G Diverting roller system
US4792034A (en) * 1985-08-26 1988-12-20 Versa Corporation Twisted flat belt drive for line shaft conveyors
US4693356A (en) 1986-03-03 1987-09-15 Pi May Yang Structure of roller type conveyer
US5048665A (en) 1989-01-12 1991-09-17 Dexion (Australia) Pty. Limited Diverter mechanism
US5582286A (en) 1994-10-28 1996-12-10 Electrocom Automation, L.P. Modular power roller conveyor
DE4439107C2 (de) 1994-11-02 1996-12-0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Umsetzen von Förderteilen
US5657854A (en) * 1995-07-26 1997-08-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Roller conveyor
US5971132A (en) 1997-06-18 1999-10-26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High speed automated cog sorter
US6286660B1 (en) 1997-09-16 2001-09-11 Key Handling Systems, Inc. Roller conveyor and roller shaft support bracket
US6076647A (en) 1997-09-29 2000-06-20 Interroll Holding Ag Stub shaft conveyor roller
JP2000053241A (ja) * 1998-08-04 2000-02-22 Kawatetsu Machinery Co Ltd コンベヤ間における被搬送物の移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CA2288512C (en) * 1998-11-06 2005-08-16 Emerson Electric Co. Pivoting mounting block for motorized conveyor pulleys
US6161681A (en) 1999-01-28 2000-12-19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Roller conveyer and roller shaft support bracket
US6367617B1 (en) 1999-10-14 2002-04-09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Axle holding yoke for conveyor roller
US6585107B1 (en) 2000-03-21 2003-07-01 Interroll Holding Ag Drive system, especially for transport rollers
EP1209106A1 (en) 2000-11-23 2002-05-29 Mars B.V. Conveyor and method for conveying products
ITMI20011093A1 (it) 2001-05-23 2002-11-23 Ocme Srl Dispositivo di orientamento e deviazione di una confezione su un trasportatore
US6644459B2 (en) * 2001-12-19 2003-11-11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Belt transfer assembly
US6715599B1 (en) * 2002-06-26 2004-04-06 Mantissa Corporation Conveyor system having an improved chute
DE10305628A1 (de) * 2003-02-11 2004-08-26 Siemens Ag Verteileinrichtung für Stückgut
US7124876B2 (en) * 2003-03-21 2006-10-24 Dematic Corp. Diverter
CN2615094Y (zh) * 2003-05-20 2004-05-12 江苏天奇物流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顶升旋转机构
WO2005016794A2 (en) 2003-08-05 2005-02-24 Dematic Corp. Motorized roller transverse drive
AT500109B8 (de) 2004-04-09 2007-02-15 Tgw Transportgeraete Gmbh Übergabevorrichtung zum seitlichen ausschleusen von fördergut sowie eine fördereinrichtung
CA2569868A1 (en) * 2004-07-02 2006-02-09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Roller shaft mount
US7147097B2 (en) * 2004-09-30 2006-12-12 Laitram, L.L.C. Transverse-roller-belt sorter with automated guide
EP1702870B1 (en) * 2005-03-14 2009-10-14 Vanderlande Industries Nederland B.V. Device for selectively diverting products sideways from a conveyor
DE102005019068A1 (de) 2005-04-23 2007-03-29 Knapp Logistik Automation Ges.M.B.H. Fördereinrichtung mit Richtungswechsel zum Fördern von Stückgut
US20080245641A1 (en) * 2007-04-06 2008-10-09 Pacific Bearing Company Tamper-Proof Roller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US8196736B2 (en) 2007-09-11 2012-06-12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ller arrangement for conveyor
US7841461B2 (en) 2007-10-23 2010-11-30 Dematic Corp. Roller transport conveyor and method
US7588135B1 (en) * 2008-06-23 2009-09-15 Worldwide Logistics Corporation Roller mount for a roller of a conveyer
US20100006393A1 (en) * 2008-07-14 2010-01-14 Jervis B. Webb Company Diver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9072A1 (en) 2012-09-19
US8579105B2 (en) 2013-11-12
NZ600046A (en) 2014-09-26
HK1175447A1 (en) 2013-07-05
ES2666558T3 (es) 2018-05-07
AU2010319693A2 (en) 2012-06-07
WO2011059965A1 (en) 2011-05-19
CA2780825A1 (en) 2011-05-19
US8469178B2 (en) 2013-06-25
AU2010319693A1 (en) 2012-06-07
EP2499072B1 (en) 2018-03-14
AU2010319693B2 (en) 2014-04-17
US20130256094A1 (en) 2013-10-03
CA2780825C (en) 2017-04-18
CN102712424A (zh) 2012-10-03
NZ628403A (en) 2015-01-30
US20110114444A1 (en) 2011-05-19
KR101587315B1 (ko) 2016-02-02
CN102712424B (zh) 2015-01-28
EP2499072A4 (en)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8687A (ko) 물건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방법
EP1962717B1 (en) Conveyor switch
US7306086B2 (en) Sorting system using a roller-top conveyor belt
US6571937B1 (en) Switch conveyor
AU2006244531B2 (en) Conveyor and method for diverting closely spaced articles
US6854584B2 (en) Linear belt sorter and methods of using linear belt sorter
US8100254B2 (en) Conveyor for conveying and buffering articles
KR101968096B1 (ko)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US6736253B2 (en) Apparatuses for the conveying, lifting and sorting of articles
US7637366B2 (en) High speed diverter
WO2005028343A1 (en) Conveyor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or sorting, especially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