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375A -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375A
KR20120098375A KR1020110063751A KR20110063751A KR20120098375A KR 20120098375 A KR20120098375 A KR 20120098375A KR 1020110063751 A KR1020110063751 A KR 1020110063751A KR 20110063751 A KR20110063751 A KR 20110063751A KR 20120098375 A KR20120098375 A KR 2012009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apparatus main
water level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4617B1 (en
Inventor
전두열
홍현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MYPI201300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MY160020A/en
Priority to CN201180068593.XA priority patent/CN103415451B/en
Priority to CN201510124982.XA priority patent/CN104731117B/en
Priority to PCT/KR2011/004809 priority patent/WO2012118253A1/en
Publication of KR2012009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6Overfill preven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PURPOSE: A water level regulator is provided to inflow water into the water level regulator without influencing the ascending of a buoy, and to reliably adjust the water level inside a water storage tank. CONSTITUTION: A water level regulator comprises the following: a device body(200) including a water inflow port(221) for inflowing water, and a connector(211) connected to a water storage tank; a buoy(300)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device to be ascended by the water level; an opening-closing unit(400) including a flow path(411) with one e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ing sour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ater inflow port, connected to the buoy; a guide unit(500) installed inside the device close to the water inflow port; a body member(210) including an opening on the upper side; and a cover member(220)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body member.

Description

수위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Water level control device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며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로 유입되도록 하여 신뢰성있게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connected to a water storage tank and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by elevating a float, and more specifically, without affecting the elevation of the flo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that allows water level control of a water storage tank to be reliably introduc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장치로, 이에는 전자식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전자식 수위조절장치와 기계식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기계식 수위조절장치가 있다.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which includes an electronic level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electronically and a mechanical level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mechanically.

전자식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에 하나 이상 구비된 수위센서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로 물을 공급하거나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The electron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a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 at least one water storage tank, and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the water storage tank level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or to stop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Thereby adjusting the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그리고, 기계식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로 물을 공급하거나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echanical water level control device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by the lifting and lowering part according to the water storage tank level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or stop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It is configured to adjust.

이러한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물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or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provided outside the water storage tank.

종래, 물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외부에 구비되며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기계식 수위조절장치의 경우에, 수위조절장치에 유입되는 물이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위조절장치의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mechanical water level control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adjust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by a buoy rising and falling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storage tank level,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affects the lifting of the ball. In particular, this problem occurs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top of the level control device.

즉, 수위조절장치로의 물의 유입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상승하여 부구가 상승하는 경우에 부구의 상부에 물이 유입되어 부구가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ler increases due to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water level controll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ter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 so that the float cannot rise properly.

또한, 수위조절장치로의 물의 유입에 의해서 부구가 상승하면서 부구가 진동되어 부구나 수위조절장치가 파손될 가능성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s the float rises due to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the float may vibrate and the pour or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may be damaged.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부구의 크기가 부구가 구비되는 수위조절장치의 크기와 유사한 경우에 보다 크게 나타나게 된다.In particular, this problem will appear larger when the size of the float is similar to the size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the float.

그리고, 이에 따라 부구의 승강에 의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나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 중단 등의 수위조절장치에 의한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w path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due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loat cannot be performed smoothly, and the water storage tank by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such as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or stopping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vel control of the can not be made reliably.

즉,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어 수위조절장치에 의해서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물저장탱크로의 물이 공급이 중단되지 못하게 된다.That is, even if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becomes full,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torage tank is not stopped even when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torage tank is to be stopped by the level control device.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의 만수위보다 높은 수위로 물저장탱크에 물이 저장되어 물저장탱크가 넘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at a level higher than the full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so that the water storage tank may overfl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위조절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level control devic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level control device without affecting the lifting of the float.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lifting of the floa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made reliably.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water level control of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made reliably.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위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로 유입되도록 하여 신뢰성있게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allowing the water to flow in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without affecting the lifting of the buoys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reliably made.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된 장치본체; 장치본체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장치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부구;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급수구에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부구와 연계되도록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부; 및 급수구에 인접한 장치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evice body having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and the water storage tank in which water is introduced; At least one sub-portion provided to be elevat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to be elev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pparatus main body;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is provided in the device body to be connected to one or more float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storage tank level; And a guide par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port and guiding water to be introduced without affecting the lifting of the float. As shown in FIG.

이 경우, 상기 장치본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연결구가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부구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부재; 및 본체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본체부재에 연결되며 급수구가 구비된 커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aratus main body is an upper portion is open, the connector is provided, the body member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sub-portable lifting; And a cover memb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member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member and having a water supply port.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이 형성되거나 장치본체의 하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barrier ribs formed at least one through hole through which water passes o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그리고, 상기 부구는 장치본체의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급수구는 부구 사이의 장치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가이드부는 부구 사이의 장치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단면이 급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장치본체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형상이고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이 형성된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And, the sub-portion is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main body, the water supply por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body between the sub-portion,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body between the sub-portion and the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cross section It may have a shape for guiding to flow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formed with one or more passage holes through which water passes.

또한, 상기 격벽의 단면은 '└┘'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barrier rib may have a '└┘' shape.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은 급수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장치본체 내부의 중앙부 아래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guide portion may include a guide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on one side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apparatus body.

또한, 상기 개폐부는 유로와 유로에 연결된 연결구멍 및 연결구멍과 장치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되는 챔버가 형성된 개폐부본체; 연결구멍을 밀봉하도록 챔버에 구비되며 유로에 연통된 연통구멍과 연결구멍에 연통된 개폐구멍이 형성된 밀봉부재; 일측은 챔버에 연결되도록 장치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고 타측은 자석이 구비된 부구를 관통하거나 부구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구가이드부재; 및 부구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부구의 승강에 따라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승강하여 개폐구멍을 개폐하는 승강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connected to the flow path and the flow path and the connection hole and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A sealing member provided in the chamber to seal the connection hole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and an opening and clos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hole; One side is provid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the other side is a sub-guide guide member penetrates the sub-ball is provided with a magnet or the sub-ball can be lifted; And an elevating member provided to be capable of elevating the inside of the float guide membe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by elevat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float. It may include.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승강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부구가이드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sub-guide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elevating member;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복수개의 단이 형성된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의 자석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member may be made of a magnet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or a plurality of magnets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그리고, 상기 부구는 부구가이드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at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loat guide member.

또한, 상기 급수구는 장치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가이드부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배플부재나 물이 회전되면서 장치본체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부재 또는 물의 유입시 부구에 직접 닿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격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inle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the guide portion is a baffle member formed with one or more holes or a flow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water into the device body as the water rotates or a diaphragm member for guiding the direct contact with the mouth when water is introduced. It may includ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에 유입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may flow in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without affecting the lifting of the floa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of the floa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made reliably.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control of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made relia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개폐부가 상부에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가이드부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개폐부가 상부에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개폐부가 하부에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t the top.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 portion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 portion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t the top.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위조절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level control device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로 유입되도록 하여 신뢰성있게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allowing the water to flow in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without affecting the elevation of the floats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reliably made.

도1,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는 장치본체(200), 하나 이상의 부구(300), 개폐부(400) 및, 가이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2, 3, 5 and 6,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embodiment is a device body 200, one or more floats 300, opening and closing 40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500.

장치본체(200)는 도1,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221)와 물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연결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in body 200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221 and the water storage tank (not shown) into which water is introduced, as shown in FIGS. 1, 2, 3, 5, and 6. 211 may be provided.

급수구(221)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후술할 개폐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구(221)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개폐부(4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물저장탱크가 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라면, 급수구(221)는 정수기에 구비되며 개폐부(400)에 연결된 복수개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개폐부(40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water supply port 221 may be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The water inlet 22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by a connecting pipe (not shown). However, for example, if the water storage tank is a water purification tank (not shown)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not shown), the water supply port 221 is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and a plurality of water filters (not shown)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It may be connected to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된다. 만약,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 즉 장치본체(200)의 하단부보다 낮으면,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장치본체(200)에 채워지지 않고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계속하여 이동하여 저장된다. 또한,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장치본체(200)의 하단부보다 높게 되면, 장치본체(200)에도 물이 채워지면서 장치본체(200)와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계속해서 물이 유입되면, 장치본체(200)와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동일하게 상승된다. By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is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as shown in FIG. The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is moved to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connector 211. If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is not fi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rough the connector 211 is continuously stored and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device body 200, the device body 200 is filled with water, the water level of the device body 200 and the water storage tank is the same. Then, when water continues to flow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the water level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nd the water storage tank rises equally.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구(211)에는 장치본체(200)로부터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이동은 가능하나 물저장탱크로부터 연결구(211)를 통해 장치본체(200)로의 물의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체크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or 211 is possible to move water from the device body 200 to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connector 211, but from the water storage tank to the device body 200 through the connector 211. Check valves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prevent movement of water.

물저장탱크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에 구비되는 정수탱크일 수 있다. 그러나, 물저장탱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가 저장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The water storage tank may be, for example, a water purification tank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water storage tank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water can be used as long as the liquid is stored.

도1,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는 본체부재(210) 및, 커버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재(2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전술한 연결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부구(300)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본체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재(220)가 본체부재(2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리와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연결시 밀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커버부재(220)에는 급수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2, 3, 5, and 6, the apparatus main body 200 may include a main body member 210 and a cover member 220.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ody member 210 may be open at the top thereof and include the aforementioned connector 211. And,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e or more buoys 300 may be provided to be elevated therein.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member 210 to cover the open top of the body member 210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ver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member 2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long as the cover member 220 is easily separated and connected and easily sealed at the time of connection. And,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ver member 22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ort 221.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은 후술할 개폐부(400)를 거쳐서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의 상부로 유입되고 장치본체(200)의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장치본체(200)의 하부로부터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ly,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water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is connect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through the connector 211. It may be stored by moving to the water storage tank from the bottom of the 200).

부구(300)는 도1,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부구(300)가 승강될 수 있다. 1, 2, 3, 5, and 6 may b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o be elevated. Therefore,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buoy 300 may be elev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이러한 부구(300)는 장치본체(200)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1,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 즉 복수개의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에 구비되면, 복수개의 부구(300) 중 하나 이상의 부구(300)의 승강에 이상이 발생되어도, 다른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One or more of these floats 300 may be provided in the device body 200. As shown in FIGS. 1, 2, 3, 5, and 6, when two, ie, a plurality of sub-balls 300 are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one of the plurality of sub-balls 300 is provided.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lifting of the above-described floats 300, the other floats 300 may be elev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따라서, 복수개의 부구(300) 중 하나 이상의 부구(300)의 승강에 이상이 발생되어도, 부구(300)와 연계되는 후술할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승강부재(440)에 의해서 개폐부(400)에 형성되며 물공급원과 급수구(221)에 연결된 유로(411)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에 의한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중단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lifting of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floats 300,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by the elevating member 440 inclu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associated with the float 300 It is formed in and can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41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water supply port 221. Therefore, the water level control of the water storage tank by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smoothly without interruption.

한편, 부구(300)에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석(31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이 부구(300)의 승강에 따라 자석(310)의 자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이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승강부재(440)에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440)가 승강되어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개폐될 수 있다.Meanwhile, the accessory 300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310 as shown in FIGS. 2, 3, 5, and 6.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ttraction force or repulsive forc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10 may be applied to the elevating member 440 inclu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of the buoy 300. Accordingly, the elevating member 440 may be elevated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411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는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유로(4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로(411)의 입구(411a)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유로(411)의 출구(411b)는 연결관에 의해서 급수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3, 5, and 6,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may have a flow path 411 connected to one side of a water supply source and the other side to a water supply port 221. . That i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let 411a of the flow path 41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by a connecting pipe (not shown) and the outlet 411b of the flow path 41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221 by the connecting pipe. Can be connected to.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개폐부(400)의 유로(4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가 정수기에 구비되는 정수탱크라면 개폐부(400)의 유로(411)는 급수구(221)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정수기에 구비된 복수개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거친 후에 급수구(221)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water supply sour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water can be used as long as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flow path 411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In addition, for example, if the water storage tank is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the flow path 411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221, but a plurality of water filters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not shown) After passing through)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221). 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low path 411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2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그리고, 개폐부(400)는 도1,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상부, 전술하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가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2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400)가 장치본체(200)의 커버부재(220)에 구비되면, 커버부재(220)와 본체부재(210)의 분리시 후술할 바와 같이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부구가이드부재(430)와 함께 부구(300)를 본체부재(210)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재(210)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위조절장치(100)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위조절장치(100)에 연결된 물저장탱크의 위생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is an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s shown in FIGS. 1, 2, 3 and 5, and the main body member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When it includes 210 and the cover member 220, it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member 22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is provided in the cover member 220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ver member 220 and the main body member 210 are separated, the accessory guide member inclu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430, the ball 300 can be easily taken out of the body member 210. Therefore, since the washing of the body member 210 can be easily performed, the hygiene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100 can be improved, and thus the hygiene of the water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100 can be improved. Can be.

또한,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는 장치본체(200)의 하부, 전술하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가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6 is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the device body 200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 the body member 210 and the cover member 220 If included, it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member (210).

이러한 개폐부(400)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하나 이상의 부구(300)와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의 수위, 즉 이에 따른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유로(4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2, 3, 5, and 6 may be associated with one or more floats 300 provided to be elevat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s shown in FIGS. 2, 3, 5, and 6. And, as shown in Figure 7 and 8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411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that is, the level of the device body 200 accordingly. T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adjusted accordingly.

즉,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부구(300)가 장치본체(200) 내에서 상승하지 않거나 상승하더라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개방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유로(411)를 유동하여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고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된다.That is,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does not become a full water level, the flow path 411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is opened as shown in FIG. 7 even if the float 300 does not rise or rises i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It becomes. Accordingly,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flows into the device main body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by flowing the flow path 411 and is moved to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connector 211 and stored.

그리고,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가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여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Th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reaches the full water level, as shown in FIG. 8, the float 300 rises to the highest height in the apparatus body 200 to close the flow path 411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As a result,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water storage tank is stopped.

개폐부(400)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본체(410), 밀봉부재(420), 부구가이드부재(430) 및, 승강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2, 3, 5 and 6,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body 410, the sealing member 420, the sub-guide member 430 and the elevating member 440 It may include.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본체(410)에는 전술한 유로(4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본체(410)에는 유로(411)에 연결된 연결구멍(4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멍(412)과 장치본체(200)에 연결되는 챔버(413)가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2, 3, 5, and 6, the above-described flow path 411 may be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410. In addition, a connection hole 412 connected to the flow path 411 may be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410. In addition, a chamber 413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412 and the apparatus main body 200 may be formed.

개폐부(400)가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챔버(413)는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가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챔버(413)는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s shown in FIGS. 2, 3, and 5, the chamber 413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6, the chamber 41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is provided below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s shown in FIG. 6.

한편, 개폐부본체(410)에 형성되는 연결구멍(412)과 챔버(413)는 장치본체(200)에 부구(30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개폐부본체(410)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2,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부구(300)가 2개 이상, 즉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연결구멍(412)과 챔버(413)는 부구(300)의 개수에 대응하여 개폐부본체(41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hole 412 and the chamber 413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41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410, if only one accessory 300 is provided in the device body 200.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apparatus main body 200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i.e., plural, as shown in Figs. 2, 5 and 6, the connection hole 412 and the chamber 413 are provided.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ortion main body 410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loats 300.

또한,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에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 연결구멍(412)과 챔버(413)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 복수개의 개폐부본체(410)가 복수개의 부구(300)와 각각 연계되어 장치본체(20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개폐부본체(410)의 유로(41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관(414)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when a plurality of fittings 300 are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body bodies 410 each having one connection hole 412 and one chamber 413 are provided. I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in association with each of the three buoys (300). And, the flow path 411 of each opening and closing body 410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pipe 414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밀봉부재(420)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구멍(412)을 밀봉하도록 챔버(413)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420)에는 유로(411)에 연결된 연통구멍(421)과 연결구멍(412)에 연결된 개폐구멍(4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멍(422)이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승강부재(440)에 의해서 폐쇄되지 않은 경우에, 물공급원으로부터 입구(411a)를 통해 유로(411)에 유입된 물은 연통구멍(421)을 통해 챔버(413)에 유입된 후 개폐구멍(422)을 통해 다시 유로(411)에 유입되어 출구(411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밀봉부재(42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구멍(421)의 밀봉이 용이하도록 밀봉보조부재(4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밀봉보조부재(423)에도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통구멍(421')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420 may be provided in the chamber 413 to seal the connection hole 412 as shown in FIGS. 2, 3, 5, and 6. 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420 may be formed with the communication hole 421 connected to the flow path 41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412. 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is not closed by the elevating member 440 to be described later inclu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the flow path 411 through the inlet 411a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Wate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hamber 413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421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411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11b. 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member 420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auxiliary member 423 to facilitate the sealing of the connection hole 421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lso, the communication hole 421 ′ may be formed in the sealing auxiliary member 423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가이드부재(430)의 일측은 개폐부본체(410)의 챔버(413)에 연결되도록 장치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400)가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부구가이드부재(430)의 일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가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부구가이드부재(430)의 일측은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2, 3, 5 and 6, one side of the sub-guide member 430 may be provided in the apparatus body 200 to be connected to the chamber 413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410. hav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s shown in Figs. 2, 3 and 5, one side of the sub-guide member 430 is the apparatus main body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200). And,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6,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one side of the accessory guide member 430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또한,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은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300)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이 부구(300)를 관통하는 경우에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톱부재(4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구(300)가 하강하더라도 부구(300)가 부구가이드부재(43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포함되는 커버부재(220)와 본체부재(210)의 분리시 부구가이드부재(430)와 함께 부구(300)를 본체부재(210)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스톱부재(431)를 제거하면, 부구(300)를 부구가이드부재(4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구(300)가 부구가이드부재(43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sub-guide member 430 may penetrate the sub-ball 300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2, 3, and 5. As such, when the other side of the sub-guide member 430 penetrates through the sub-ball 300, the other side of the sub-guide member 430 may be provided with a stop member 431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ccordingly, even if the float 300 is lowered, the float 30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loat guide member 430, and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member 220 and the main body 210 are inclu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t the time of separation), together with the accessory guide member 430, the accessory 300 can be easily taken out of the body member 210. In addition, when the stop member 431 is removed, the sub-ball 3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b-ball guide member 430. Accordingly, the float 30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loat guide member 430.

그리고,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은 부구(300)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300)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이 부구(30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이 부구(300)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술한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톱부재(431)가 없어도 부구(300)가 부구가이드부재(43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즉,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구(300)를 위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기만 하면, 부구(300)가 부구가이드부재(4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6, the other side of the sub-guide member 430 may be connected to the sub-ball 300 to be elevated. That is,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hole is formed in the float 300, and the other side of the float guide member 430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float 300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float guide member 430 is floated 300. Can be connected to the elevator. 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2, 3, and 5 described above, the accessory 30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ccessory guide member 430 even without the stop member 431. That is,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6, the sub-ball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sub-ball guide member 430 only by moving the sub-ball 300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부구가이드부재(430)에 의해서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의 승강이 가이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loat 300 may be guided by the float guide member 430.

승강부재(440)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가이드부재(43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440)는 부구(300)의 승강에 따라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서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개폐할 수 있다.The elevating member 440 may be provided to elevate inside the sub-guide member 430 as shown in FIGS. 2, 3, 5, and 6. In addition, the elevating member 440 may be eleva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10 provided in the buoy 300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of the buoy 300. As a result, a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of the sealing member 420 may be opened and closed.

이와 같이,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개폐하며 후술할 바와 같이 금속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의 자석이 구비되는 승강부재(440)가 부구가이드부재(430)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이 승강부재(440)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수위조절장치(100)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위조절장치(100)에 연결된 물저장탱크의 위생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of the sealing member 420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lifting member 440 made of metal or magnet o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gnets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sub-guide member 430 as described below. Therefore, the water flowing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elevating member 44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ygiene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it is also possible to improve the hygiene of the water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도2, 도3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40)는 철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3 and 6, the elevating member 440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iron.

도2 및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가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낮아지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수위도 낮아져서 부구(300)가 하강하거나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재(440)는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서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서 부구(300)와 함께 하강하거나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lowered, as shown in Figure 7,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e water level is also lowered so that the ball 300 is lowered or lowered. In addition, the elevating member 440 is in a state of being lowered or lowered together with the accessory 300 by an attractive force a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10 provided in the accessory 300.

이에 따라,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이 개방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유로(411)를 유동하여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된다.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of the sealing member 420 is opened so that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flows through the flow passage 411 and flows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and enters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e introduced water is moved to and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connector 211.

또한, 이와 같이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상승하면, 장치본체(200)의 수위도 상승되어 부구(300)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재(440) 또한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서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increased by th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in this way, the water level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is also raised to increase the float 300. In addition, the elevating member 440 is also raised by the attraction force a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10 provided in the buoy 300.

그리고,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는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440)가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폐쇄하게 된다.Th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full, as shown in Figure 8, the float 300 is raised to the highest height in the apparatus body 200, accordingly, the lifting member 440 is a sealing member 420 To close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따라서, 유로(411)가 폐쇄되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Accordingly, the flow path 411 is closed to stop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water storage tank.

한편,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가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물저장탱크와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낮아져서 부구(300)가 하강하거나 하강한 상태에 있으면, 승강부재(440)는 부구(300)의 자석(310)에 의한 자력에 의해서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서 상승하거나 상승한 상태에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6,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water level of the device body 200 is lowered so that the float 300 is lowered or lowered In one state, the elevating member 440 is in a state of being raised or raised by an attractive force acted by a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10 of the float 300.

따라서,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이 개방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유로(411)를 유동하여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된다.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of the sealing member 420 is opened so that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flows through the flow passage 411 and flows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and flows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e water is moved to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connector 211 is stored.

또한,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와 함께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상승하여 부구(300)가 상승하면, 승강부재(440) 또한 부구(300)의 자석(310)에 의한 자력에 의해서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서 상승한 상태에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rises together with the water storage tank by th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buoy 300 rises, the elevating member 440 is also connected to the magnet 310 of the buoy 300. It is in an elevated state due to the attractive force acted by the magnetic force.

그리고,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부구(300)는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위치에서는 부구(300)의 자석(310)에 의한 자력이 승강부재(440)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부재(440)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여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폐쇄하게 된다.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full, the float 300 is raised to the highest height in the apparatus body 200, in this position the magnetic force by the magnet 310 of the float 300 is a lifting member ( 440). Therefore, the elevating member 44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of the sealing member 420.

이에 따라, 유로(411)가 폐쇄되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Accordingly, the flow path 411 is closed to stop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water storage tank.

한편,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40)는 복수개의 단(441)이 형성된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400)가 복수개의 단(441)이 형성된 자석으로 이루어지면, 각각의 단(441)이 하나의 자석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자력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자석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승강부재(440)에 구비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lifting member 440 may be formed of a magnet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441. As such, when the elevating member 400 is formed of a magnet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441 formed thereon, a magnetic force line is formed so that each stage 441 may serve as one magnet. Therefore, the plurality of magnets may have the same effect as that provided in the elevating member 440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승강부재(440)에는 복수개의 자석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elevating member 44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gnet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승강부재(440)가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부구(300)의 자석(310)에 의한 자력과, 자석으로 이루어진 승강부재(440)의 복수개의 단(411)이나 승강부재(440)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석 중 부구(300)의 자석(310)에 가까운 일부의 단(411) 또는 일부의 자석에 의한 자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승강부재(440)에 척력이 작용될 수 있다.When the elevating member 440 is formed in such a configuration,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10 of the buoy 300 and the plurality of stages 411 or the elevating member 440 of the elevating member 440 made of magnets are provided. The repul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elevating member 440 by the interaction of the magnetic force by some of the stages 411 or some of the magnets close to the magnet 310 of the plurality of magnets 300.

또한, 복수개의 단(411) 중 일부의 단(411)이나 복수개의 자석 중 일부의 자석의 자력이 소멸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단(411)이나 다른 자석에 의한 자력과 부구(310)의 자석에 의한 자력이 상호작용하여 승강부재(410)에 척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even if the magnetic force of some of the stages 411 of the plurality of stages 411 or the magnets of some of the magnets is extinguished, the magnetic force of the other stage 411 or the other magnets and the magnets of the float 310 Magnetic force may interact to allow repulsive force to be applied to the elevating member 410.

따라서, 부구(300)의 승강에 따른 승강부재(440)의 승강이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lifting of the lifting member 440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float 300 can be made easily and reliably.

이와 같은 경우에는, 물저장탱크와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낮아져서 부구(300)가 하강하거나 하강한 상태에 있으면, 승강부재(440)에 전술한 척력이 미치지 못하게 된다.In such a case, when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apparatus body 200 are lowered and the buoy 300 is in the lowered or lowered state, the above-mentioned repulsive force does not reach the lifting member 440.

따라서, 승강부재(440)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거나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이 개방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유로(411)를 유동하여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된다.Therefore, the elevating member 440 is in a state of being lowered or lowered by its own weight. Then,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of the sealing member 420 is opened so that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flows through the flow passage 411 and flows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and flows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e water is moved to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connector 211 is stored.

또한,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와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함께 상승하여 부구(300)가 상승하면, 승강부재(440) 또한 전술한 척력에 의해서 상승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apparatus main body 200 rises together with th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buoy 300 rises, the elevating member 440 also rises by the aforementioned repulsive force.

그리고,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부구(300)는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440)가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폐쇄하게 된다.Th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full, the float 300 is raised to the highest height in the apparatus body 200, accordingly, the lifting member 440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of the sealing member 420 Will be closed.

따라서, 유로(411)가 폐쇄되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Accordingly, the flow path 411 is closed to stop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water storage tank.

한편, 개폐부(400)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45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40)를 탄성지지하도록 부구가이드부재(4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45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2, 3, 5 and 6. The elastic member 4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ub-guide member 430 to elastically support the elevating member 440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따라서, 도2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구(300)의 상승에 의해서 승강부재(440)가 상승할 때 부구(300)의 자석(310)에 의한 자력 이외에도 탄성부재(450)의 탄성력 또한 승강부재(440)에 작용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2 and 3, in addition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10 of the buoy 300 when the elevating member 440 is raised by the buoy 300,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50 is increased. It may also act on the elevating member 440.

그리고,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구(300)가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여 승강부재(440)가 하강할 때 탄성부재(450)의 탄성력이 승강부재(440)에 작용할 수 있다.6,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50 may act on the elevating member 440 when the buoy 300 is raised to the highest height and the elevating member 440 is lowered.

또한,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구(300)가 하강하여 승강부재(440)에 전술한 척력이 작용하지 않아서 승강부재(440)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할 때, 탄성부재(450)가 승강부재(440)의 하강을 완충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승강부재(440)의 하강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when the buoy 300 is lowered and the above-described repulsiv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elevating member 440, the elevating member 44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and the elastic member 450 is elevated. The lowering of the member 440 may be buffe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lowering of the elevating member 440.

가이드부(500)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급수구(221)에 인접한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500)는 부구(300)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장치본체(200)에 물이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300)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100)에 의한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part 5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djacent to the water inlet 221 as shown in FIGS. 1 to 6. In addition, the guide unit 500 may guide the water to flow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without affecting the lifting of the buoy 300. Therefor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loat 30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made reliably, whereby the water level control of the water storage tank by the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100 can be made reliably.

가이드부(500)는 도2,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511)이 형성된 격벽(51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구(221)을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격벽(510)을 따라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동한 후, 격벽(510)의 통과구멍(511)을 통과하여 장치본체(200)의 하부로부터 차오를 수 있게 된다. The guide part 50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510 having one or more passage holes 511 through which water passes, as shown in FIGS. 2, 5, and 6. Therefore, the water flowing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flow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long the partition wall 51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passage hole 511 of the partition wall 510. It is possible to fill from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200.

한편, 격벽(510)은 도2,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이 통과하는 통과구멍(511)이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물이 통과하도록 장치본체(200)의 하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wall 510 is a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and predetermined so that water passes in addition to the passage hole 511 through which water passes, as shown in FIGS. 2, 5, and 6. It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또한,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급수구(221)가 부구(300) 사이의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500)는 부구(300) 사이의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5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격벽(510')은 단면이 급수구(22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격벽(510')의 단면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격벽(510')의 단면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급수구(22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형상이라면, 예컨대 '11'자 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격벽(510)의 하부에는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51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sub-balls 300 are provided inside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 water supply port 22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between the sub-balls 30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Can be. In addition, the guide part 50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510 ′ provided in the device body 200 between the buoys 300.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510 ′ may have a shape that guides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o this end, the cross section of the partition 510 ′ may have a '└┘' shape as shown in FIG. 3. However, the cross section of the partition wall 5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i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inlet 221 is guided to flow under the device body 200, for example,' 11 'character. Any shape such as a mold may be used. In addition, one or more through holes 511 ′ through which water passes may be formed below the partition 510.

따라서,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는 물은 격벽(510')을 따라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동한 후, 격벽(510')의 통과구멍(511')을 통과하여 장치본체(200)의 하부로부터 차오를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water flowing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rough the water inlet 221 flows dow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long the partition wall 510 ', and then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511' of the partition wall 510 '. It can be pass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이외에도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300)가 복수개 구비되고 급수구(221)가 부구(300) 사이의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가이드부(500)는 부구(300) 사이의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통과구멍(511)이 형성되거나 장치본체(200)의 하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격벽(510)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oys 300 and the water supply port 22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body 200 between the buoys 300, the guide portion 500 is a buckle ( It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device body 200 between the 30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511 through which water passes or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51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You may.

격벽(510,510')은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가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를 포함한다면, 본체부재(210)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12)에 끼워져서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격벽(510,510')이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격벽(510,510')이 커버부재(220)에 연결되어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등 격벽(510,510')이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The partitions 510 and 510 'have a device body 200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3, 5 and 6, and the device body 200 is covered with the main body member 210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f the member 220 is included, it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rib 212 formed in the body member 2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device body 200. 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rtitions 510 and 510 'are provided inside the apparatus main body 20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the partitions 510 and 510' are connected to the cover member 220 so that the partitions 510 and 510 'are connected to the cover member 220. Any structure may be used as long as the partition walls 510 and 510 'are provided inside the device body 200.

한편, 도4의 (a)와 (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500)는 가이드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520)의 일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급수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20)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 내부의 중앙부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a) and (b), the guide portion 500 may include a guide member 520.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52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221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member 520 may be located below the central portion inside the device body 200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가이드부재(520)는 도4의 (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단면이 반원형태일 수도 있고, 도4의 (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관의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재(52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부구(300)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장치본체(20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The guide member 520 may have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A, or may be in the form of a tube as shown in FIG. 4B. However, the shape of the guide member 5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without affec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uoy 300.

이러한 가이드부재(52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부구(300)가 복수개 구비되고 급수구(221)가 부구(300) 사이의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통과구멍(511')이 형성된 '└┘' 형상의 격벽(510')이나, 통과구멍(511)이 형성되거나 장치본체(200)의 하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격벽(510)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The guide member 520 passes even when a plurality of sub-balls 300 are provided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d a water supply port 22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between the sub-balls 300. Instead of the plurality of barrier ribs 510 formed with a '└┘' shape having a hole 511 'or a passage hole 511 formed thereon or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 can use it

한편, 전술한 격벽(510,510')이나 가이드부재(520)는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500)에 한개만 포함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조합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forementioned partition walls 510 and 510 'or the guide member 520 may be included in only one guide portion 500 or a plurality of combinations may be included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S. 2 to 6.

다른 한편, 급수구(221)는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이드부(5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배플부재나 물이 회전되면서 장치본체(200)에 유입되도록 하는 유동가이드부재 또는 물의 유입시 부구(300)에 직접 닿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격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물이 장치본체(200)의 어느 한 부분에 편중되지 않고 균등하게 장치본체(2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본체(200)에서 물이 균등하게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300)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100)에 의한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to 8 the water supply port 221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erefore, water may flow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the guide part 500 does not directly touch the baffle member having one or more holes formed therein or the flow guide member or inlet of the water 300 when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while the water is rotated. It may include a diaphragm member to guide so as not to. By such a configuration, water may flow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200 evenly without being biased in any part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ccordingly, since the water can rise evenly i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loat 30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made reliably, whereby water storage by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The level control of the tank can be made reliabl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를 사용하면,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에 유입될 수 있으며,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using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without affecting the lifting of the float, the lifting of the floa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made reliably, The level control of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made reliably.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위조절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level adjusting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

100 : 수위조절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본체부재 211 : 연결구
212 : 가이드리브 220 : 커버부재
221 : 급수구 300 : 부구
310 : 자석 400 : 개폐부
410 : 개페부본체 411 : 유로
411a : 입구 411b : 출구
412 : 연결구멍 413 : 챔버
414 : 연결관 420 : 밀봉부재
421,421' : 연통구멍 422 : 개폐구멍
423 : 밀봉보조부재 430 : 부구가이드부재
431 : 스톱부재 440 : 승강부재
441 : 단 450 : 탄성부재
500 : 가이드부 510,510' : 격벽
511,511' : 통과구멍 520 : 가이드부재
100: water level control device 200: device body
210: body member 211: connector
212: guide rib 220: cover member
221: water supply port 300: ball
310: magnet 400: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10: open body 411: euro
411a: entrance 411b: exit
412: connection hole 413: chamber
414: connector 420: sealing member
421,421 ': Communication hole 422: Opening and closing hole
423: sealing auxiliary member 430: side guide member
431: stop member 440: elevating member
441: 450: elastic member
500: guide part 510,510 ': partition wall
511,511 ': Passing hole 520: Guide member

Claims (11)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221)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211)가 구비된 장치본체(200);
상기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부구(300);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유로(4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부구(300)와 연계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에 구비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기 유로(4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부(400); 및
상기 급수구(221)에 인접한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구(300)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위조절장치.
An apparatus body 200 having a water inlet 221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a connector 211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One or more floats 300 provided to be elevat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so that the apparatus main body 200 can be elev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flow path 411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221 and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to b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sub-ball 300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An opening / closing unit 400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411; And
A guide part 500 provided inside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port 221 and guiding water to be introduced without affecting the lifting of the sub-ball 300;
Level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연결구(211)가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부구(300)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부재(210); 및
상기 본체부재(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재(210)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구(221)가 구비된 커버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vice body 200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member 210 having an opening and having the connector 211 and having one or more sub-units 300 rotatable therein; And
A cover member 2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member 210 so as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member 210 and provided with the water supply port 221;
Water level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00)는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511)이 형성되거나 상기 장치본체(200)의 하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500 is formed with one or more through-holes 511 through which water passes or at least one partition 51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ater level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300)는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하나 이상수개 구비되며,
상기 급수구(221)는 상기 부구(300) 사이의 상기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부구(300) 사이의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단면이 상기 급수구(22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형상이고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511')이 형성된 격벽(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e or more of the floats 300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device body 200,
The water supply port 22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between the sub-300 (300),
The guide part 500 is provided inside the apparatus main body 200 between the sub-balls 300 and has a cross section so tha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flows to the lower part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And a partition wall (510 ') having a guide shape and having at least one passage hole (511') through which water pas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510')의 단면은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partition wall (510 ') has a' └┘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00)는 일측은 상기 급수구(22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장치본체(200) 내부의 중앙부 아래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5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member 520,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221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below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Level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유로(411)와 상기 유로(411)에 연결된 연결구멍(412) 및 상기 연결구멍(412)과 상기 장치본체(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되는 챔버(413)가 형성된 개폐부본체(410);
상기 연결구멍(412)을 밀봉하도록 상기 챔버(413)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411)에 연통된 연통구멍(421)과 상기 연결구멍(412)에 연통된 개폐구멍(422)이 형성된 밀봉부재(420);
일측은 상기 챔버(413)에 연결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고 타측은 자석(310)이 구비된 상기 부구(300)를 관통하거나 상기 부구(300)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구가이드부재(430); 및
상기 부구가이드부재(43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부구(30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서 승강하여 상기 개폐구멍(422)을 개폐하는 승강부재(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Opening and closing unit body 410 is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412 connected to the flow path 411 and the flow path 411 and a chamber 413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hole 412 and the device main body 200. ;
A sealing member provided in the chamber 413 to seal the connection hole 412,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421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411 and an opening and closing hole 422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hole 412. 420);
One side is provid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to be connected to the chamber 413 and the other side penetrates through the float 300 provided with a magnet 310 or the float 300 is movable up and down A sub-guide member 430; And
An elevating member 440 provided to be capable of elevating inside the sub-guide member 430 and elevat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10 according to the elevating of the sub-ball 30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 closing hole 422;
Water level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승강부재(440)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부구가이드부재(430)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0
An elastic member 450 provided inside the sub-guide member 430 to elastically support the elevating member 440; Water level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440)는 복수개의 단(441)이 형성된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의 자석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The water level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elevating member 440 is made of a magnet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441 or a plurality of magnet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300)는 상기 부구가이드부재(34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loat 300 is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loat guide member (3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221)는 상기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500)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배플부재나 물이 회전되면서 상기 장치본체(200)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부재 또는 물의 유입시 상기 부구(300)에 직접 닿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격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The water supply port 221 is provided below the device body 200,
The guide part 500 is a baffle member having one or more holes formed therein or a flow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water into the device body 200 while the water is rotated, or a diaphragm member for guiding the direct contact with the buoy 300 when water is introduced. Water level control device comprising a.
KR1020110063751A 2011-02-28 2011-06-29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 KR101264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3003130A MY160020A (en) 2011-02-28 2011-06-30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CN201180068593.XA CN103415451B (en) 2011-02-28 2011-06-30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CN201510124982.XA CN104731117B (en) 2011-02-28 2011-06-30 Water-level control apparatus
PCT/KR2011/004809 WO2012118253A1 (en) 2011-02-28 2011-06-30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7921 2011-02-28
KR1020110017921 2011-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375A true KR20120098375A (en) 2012-09-05
KR101264617B1 KR101264617B1 (en) 2013-05-27

Family

ID=4710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751A KR101264617B1 (en) 2011-02-28 2011-06-29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64617B1 (en)
CN (2) CN104731117B (en)
MY (1) MY16002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426B1 (en) * 2011-03-16 2017-11-10 코웨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rorage tank
KR101856984B1 (en) * 2013-07-26 2018-05-15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level controller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4840103A (en) * 2015-04-28 2015-08-19 周林斌 Water flowing device of bean grinding coffee po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6484A (en) * 1984-12-28 1986-01-28 William R. Walters Liquid level control apparatus
CN2118864U (en) * 1991-11-19 1992-10-14 兰州市科学技术研究所科技服务部 Liquid level control valve
US5560509A (en) * 1994-03-21 1996-10-01 Chicago Bridge & Iron Technical Services Company Guide pole fitting seal for floating roof storage tanks
AUPO524997A0 (en) * 1997-02-21 1997-03-20 Yoothapina Pty Ltd Filling stop valve
KR100443047B1 (en) * 2002-04-11 2004-08-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Normal Open and close Solenoid Valve
KR20050079442A (en) * 2004-02-05 2005-08-10 강원석 Water level controller for water storage tank
JP4714048B2 (en) 2006-03-10 2011-06-29 株式会社 エスト Cold water generator and cold / hot water server using the same
KR101138555B1 (en) * 2007-10-23 2012-05-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water level
KR101108103B1 (en) * 2009-01-09 2012-01-31 (주)피티에스 Water purifier for having automatic raw water cut-off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15451A (en) 2013-11-27
CN103415451B (en) 2015-04-08
KR101264617B1 (en) 2013-05-27
MY160020A (en) 2017-02-15
CN104731117A (en) 2015-06-24
CN104731117B (en)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853B1 (en) Latch valve and flow contro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2010658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rorage tank
FI109717B (en) Hardware for flushing control
KR20160021589A (en) Variable Ballast System using Sea Water and Oil Hydraulic Circuit for Submersible
KR10126461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
EP3153634B1 (en)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EP3153752B1 (en) Maj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a water inlet valve
KR101547012B1 (en) Apparatus for mounting the tidal current generator on caisson
KR20140065128A (en) Floating dam
KR101997317B1 (en) Shutter type dam
CN110924079A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JP6332828B2 (en) Washing water tank apparatus and flush toilet equipped with the same
KR200477991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rorage tank
KR20100032709A (en) Automatic pressure regulating valve
KR102103718B1 (en) Water level control valve
KR101218168B1 (en) Toilet bowl for saving water
CN210890326U (en) Built-in liquid level controller and liquid level control system thereof
KR20110116814A (en) Underwater beam of lifting fuction using river water
KR20140099856A (en) Water intake system
KR20130086993A (en) Sealing structure of underwater pump and elbow pipe
JP2002004251A (en) Gate pump equipment
JPH08310769A (en) Buoyancy type lifting device
JP2023062252A (en) Hydraulic compressed-air device
KR101777460B1 (en) A Air Seal Device of a Vacium Self-priming Pump
JP3937219B2 (en) Downstream water level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