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856A - Water intake system - Google Patents

Water intak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856A
KR20140099856A KR1020140098134A KR20140098134A KR20140099856A KR 20140099856 A KR20140099856 A KR 20140099856A KR 1020140098134 A KR1020140098134 A KR 1020140098134A KR 20140098134 A KR20140098134 A KR 20140098134A KR 20140099856 A KR20140099856 A KR 20140099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intake
opening
buoyant body
inflow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기원
Original Assignee
홍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원 filed Critical 홍기원
Priority to KR1020140098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9856A/en
Publication of KR2014009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8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intak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water intake system capable of taking in water from a water intake source such as a reservoir, a dam, etc. Disclosed is a water intake system comprising a water intake pipeline installed in the water intake source; one or more inlet pipes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pipeline and in which one or more water intake units are formed at a water intake height in the water intake pipeline; a buoyancy body asc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depending on water level variations of the water intake source; and an opening/closing unit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for opening/closing the water intake unit of the inlet pipe as the buoyancy body is ascended.

Description

취수시스템 {Water intake system}Water intake system

본 발명은 취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지, 댐 등의 취수원에서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취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intak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intake system capable of tak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such as a reservoir or a dam.

취수시스템이란 저수지, 댐 등의 취수원(取水原)으로부터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The water intake system refers to a system capable of taking water from a water source such as a reservoir or a dam.

이때 취수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취수관로로의 취수가 필요한 경우 취수원에 설치된 수문을 개방함으로써 취수관로로 취수를 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water intake system generally takes the water to the intake pipe by opening the water gate installed at the water intake source when the water intake to the water intake pipe is required.

그런데 종래의 취수시스템은 수문의 개방 및 폐쇄에 의하여 취수를 수행하게 되므로 취수관로 상에 수문 및 수문을 개폐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water intake system performs water intake b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gate,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gate and the water gate is to be installed on the water intake pip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문 및 수문 조작을 위한 장치의 설치를 요하는 종래의 취수시스템은 그 설치 및 유지관리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 intake system requiring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for hydromassage and hydromassage operation has a problem of excessiv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위 변동에 따라서 취수가 제어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취수를 수행할 수 있는 취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intake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taking water by controlling water intake in response to a water level chang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취수원에 설치되는 취수관로와; 상기 취수관로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취수구가 상기 취수관로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과; 상기 취수원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system, At least one inlet pipe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duct and at least one water intake port formed at a water intake height from the water intake pipe; A buoyant body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change of the water intake source;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to open / close the intake port of the inflow pipe by lifting / lowering the buoyant body.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uoyant bod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flow pipe and may be install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ow pipe.

상기 개폐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의 상기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원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상하이동관이 사용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a high-temperature copper pipe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and having one or more inlets for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intake when the inlet pipe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inlet.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uoyant bod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flow pipe and may be install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ow pipe.

상기 개폐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의 상기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원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상하이동관이 사용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a high-temperature copper pipe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and having one or more inlets for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intake when the inlet pipe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inlet.

상기 유입관 내에는 상기 부력체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스토퍼 및 상기 개폐부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스토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a first stopper for restrict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and a second stopper for restrict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installed in the inflow pipe.

상기 유입관 내에는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3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And a third stopper for restricting up-and-down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installed in the inflow pipe.

본 발명은 또한 취수원에 설치되는 취수관로와; 하나 이상의 취수구가 상기 취수관로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과; 상기 취수원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상기 취수관로로 전달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water supply pipe installed in a water supply source; At least one inlet pipe formed at a water intake height from the water intake pipe; A buoyant body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change of the water intake source; An opening / closing part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to open / close the intake port of the inflow pipe by lifting / lowering the buoyant body; Wherein the buoyant bod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re installed inside the inflow pipe so as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ow pipe. Water intake system.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부력체 사이에 연통공간이 형성하도록 상기 부력체와 결합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part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pipe, and can be coupled with the buoyant body so that a communic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uoyant bodies.

상기 유입관에는 상기 부력체의 하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The inflow pipe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stopper for restrict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uoyant bod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flow pipe and may be install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ow pipe.

상기 개폐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부력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상기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며 나머지 위치에서는 상기 취수구를 개방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part is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and blocks the inlet when the buoyant body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intake port of the inflow pipe, and can open the water intake port at the remaining position.

상기 취수관로는 그 개폐를 위한 개폐장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intake duct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intake duct.

본 발명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미리 설치된 취수구가 형성된 유입구 및 부력체 및 개폐부의 조합에 의하여 부력에 의하여 취수구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취수원으로부터 물을 취수하고자 하는 경우 복잡한 수문에 의하지 않고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constitution in which a water intake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buoyancy by a combination of an inlet formed with a pre-installed intake port and a buoyant body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take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미리 설치된 취수구가 형성된 유입구 및 부력체 및 개폐부의 조합에 의하여 부력에 의하여 취수구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취수구의 위치를 취수원의 표층, 취수원의 표층으로부터 일정한 수심에서 물을 취수하는 등 취수구의 위치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constitution in which the intake port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buoyancy force by the combination of the inlet port, the buoyant body and the opening / closing section formed with the intake port provided in advance, and the position of the intake port is changed from the surface layer of the water sour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 of the water intake can be freely selec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취수원의 수위가 일정 수위, 즉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취수구가 형성된 유입구 및 부력체 및 개폐부의 조합에 의하여 부력에 의하여 취수구를 자동으로 개방함으로써 배수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 취수원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source is at a certain level, that is, at a reference water level or higher, the intake port is automatically opened by buoyancy by the combination of the inlet port and the buoyant body and the opening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level can be kept constant.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으로서, 각각 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으로서, 각각 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으로서, 각각 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으로서, 각각 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Figs. 1A to 1C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water intake system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A to 1C.
Figs. 3A and 3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water intake system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4A and 4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water intake system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5A and 5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water intake system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취수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에 설치되는 취수관로(20)와; 취수관로(20)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취수구(110)가 취수관로(20)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100)과;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200)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어 부력체(200)의 승강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폐하는 개폐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A to 1C, 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intake duct 20 installed in a water intake source 10; At least one inflow pipe (100)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20) and having at least one intake port (110) formed at a water intake height from the intake pipe (20); A buoyant body (200) which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by lifting and lowering the buoyant body 200.

상기 취수원(10)은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시설물이면 저수지, 댐 등 어떠한 시설물도 가능하다.The water supply source (10) can be any facility such as a reservoir or a dam if it is a facility capable of taking water.

상기 취수관로(20)는 후술하는 유입관(100)과 연결되어 유입관(100)의 취구수(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유도하기 위한 관으로서,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관이면 어떠한 관도 가능하다.The water intake duct 20 is connected to an inflow pipe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a tube for guiding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110 of the inflow pipe 100, It is also possible.

이때 상기 취수관로(20)는 펌프와 같은 강제유동장치에 의하지 않고 수압에 의하여 흐름을 유도하는바 취수원(10)의 평상 수위보다 낮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취수원(10)의 바닥면 쪽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intake duct 20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lower than the normal water level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to induce the flow of water by the water pressure, not by a forced flow device such as a pump, have.

한편 상기 취수관로(20)는 사용자가 취수여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그 개폐를 위한 밸브 등과 같은 개폐장치(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water intake duct 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control the user to take water.

상기 부력체(200)는 취수원(10)의 수위에 따라서 부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개폐부(300)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The buoyant body 20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buoyancy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and appropriate materials can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a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described later.

상기 부력체(200)의 재질은 스티로폴과 같이 물에 비하여 비중이 작은 재질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개폐부(300)와는 와이어 결합, 프레임 결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buoyant body 2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such as styrofoam. The buoyant body 200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by wire bonding, frame joining,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의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는 유입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유입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는 유입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등 유입관(100)과의 결합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uoyant body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of 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flow pipe 100 and are install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ow pipe 100.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buoyant body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inlet pipe 100 and may be variously install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nnection with the inlet pipe 100.

또한 상기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는 유입관(100) 내에서의 이동의 제한이 필요한바 유입관(100) 내에는 부력체(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스토퍼(미도시) 및 개폐부(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스토퍼(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The buoyant body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need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200 in the inflow pipe 100. The inflow pipe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not shown) for restricting up-and-down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0 may be provided.

상기 개폐부(300)는 부력체(200)와 결합되어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부력체(200)가 상하로 이동될 때 함께 이동됨으로써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하 이동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is coupled with the buoyant body 200 and is moved together with the buoyant body 200 when the buoyant body 200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to thereby open and close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open and close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by up-and-down movement.

일예로서, 상기 개폐부(300)는 부력체(200)와 연결되며 유입관(100)의 취수구(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도 1a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310)가 형성된 상하이동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200 and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water intake source 10 as shown in FIG. 1A when it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And the upper and lower copper pipes are formed with at least one inlet 310.

한편 상기 개폐부(300)는 부력체(200)와의 결합상태 및 부력의 조절을 위하여 물보다 비중이 높거나 낮은 부재가 사용되는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opening / closing part 300 may have various materials such as a member having a specific gravity higher or lower than that of water in order to adjust the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buoyant body 200 and the buoyancy.

한편 상기 유입관(100)의 취수구(110) 및 개폐부(300)의 유입구(310)는 취수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let pipe 100 and the inlet port 3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intake type.

일예로서, 상기 유입관(100)의 취수구(110) 및 개폐부(300)의 유입구(3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이 소정범위의 수위, 즉 취수가능수위에 있을 때에만 유입관(100)의 취수구(110) 및 개폐부(300)의 유입구(310)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에만 취수구(110)와 취수원(10)이 연통됨으로써 취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B, when the water supply source 10 is at a water level of a predetermined range, that is, at a water-collecting water level, the inlet 310 of the inlet pipe 100 and the inlet 310 of the opening / Only the water inlet 110 and the water intake source 1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ly when the water inlet 110 of the inlet pipe 100 and the inlet 3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are in mutual positions, .

즉, 상기 개폐부(300)는 부력체(200)와 연결되며 부력체(200)의 이동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취수구(110)를 차단하며 나머지 위치에서는 취수구(110)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 / closing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200 and blocks the intake port 110 when the buoyant body 200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The water inlet 110 may be opened.

이때 상기 유입관(100)의 취수구(110) 및 개폐부(300)의 유입구(310)는 취수가능수위를 벗어난 경우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됨으로써 취수구(110)와 취수원(10)이 연통되지 않아 취수할 수 없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A and 1C, when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and the inflow port 3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are out of the water intake water level, the intake port 110 and the water intake port 10 can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특히 상기 취수구(110)는 취수원(10)의 표면에서 잠긴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취수원(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위치 아래의 물을 취수가 가능하여, 취수원(10)의 수위에 대한 취수구(110)의 상대위치를 변경시켜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the water intake port 110 is located at a locked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so that water below a predetermined position can be taken from the surface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lative position can be changed and selectively taken.

또한 취수원(10)의 표층에서 부유물이 많은바, 상기 취수구(110)는 취수원(10)의 표면에서 잠긴 위치에 위치시켜 취수원(10)의 표층으로부터 소정 위치 아래의 물을 취수함으로써 부유물이 상대적으로 적은 물을 취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are many floating matters in the surface layer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the water intake port 110 is located at a locked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to draw water below a predetermined position from the surface layer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You can take less water.

한편 상기 개폐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은 경우 취수가 가능하게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방하고, 취수원(10)의 수위가 기준수위 아래로 내려갔을 때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취수원(10)의 소정 수위 이상에서만 취수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2, the opening / closing part 300 opens the water inlet 110 of the inlet pipe 100 so that water can be tak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source 1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The water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may be blocked when the water level falls below the reference water level so that water can be taken only at a predetermined water level or high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10.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관하여는 편의상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에 설치되는 취수관로(20)와; 하나 이상의 취수구(110)가 취수관로(20)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100)과;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200)와; 부력체(200)와 연결되어 부력체(200)의 승강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폐하는 개폐부(300)와;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취수관로(20)로 전달하는 연결관(400)을 포함하며,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는 유입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유입관(100)의 내부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intake duct 20 installed in the water intake source 10; At least one inlet pipe (100) having at least one intake port (110) formed at a withdrawal height from the intake duct (20); A buoyant body (200) which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An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200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by lifting and lowering the buoyant body 200; The buoyant body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ar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100 and the inlet pipe 100. The buoyant body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ar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10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inflow pipe 100 so as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유입관(100)은 제1실시예와는 다르게 취수관로(20)와는 연통되지 않는 대신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취수관로(20)로 전달하는 연결관(400)을 통하여 연통된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inflow pipe 100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water intake duct 20, but instead is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100 via the connection pipe 100 for transferring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to the water intake duct 20 (Not shown).

그리고 상기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는 연결관(400)이 연결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로 형성된다.The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is formed up and down with reference to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pipe 400 is connected.

그리고 부력체(200)의 원활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단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through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buoyant body 200 can smoothly move up and down.

상기 부력체(20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부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구성으로서, 개폐부(300)의 구성과 함께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uoyant body 200 is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the buoyant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and can have various configurations together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일예로서, 상기 부력체(200)는 유입관(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buoyant body 2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pipe 100.

그리고 상기 개폐부(300)는 유입관(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부력체(200) 사이에 연통공간(S)이 형성하도록 부력체(200)와 결합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pipe 100 and may be coupled with the buoyant body 200 so as to form a communication space S between the buoyant bodies 200 .

상기 부력체(200) 사이에 연통공간(S)이 형성하기 위하여 일예로서, 개폐부(300)는 하나 이상의 연결로드(34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In order to form the communication space S between the buoyant bodies 20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may be connected by one or more connecting rods 340.

한편 상기 개폐부(300)는 부력체(200)와의 결합상태 및 부력의 조절을 위하여 물보다 비중이 높거나 낮은 부재가 사용되는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opening / closing part 300 may have various materials such as a member having a specific gravity higher or lower than that of water in order to adjust the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buoyant body 200 and the buoyancy.

상기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는 유입관(100) 내에서의 이동의 제한이 필요한바 유입관(100) 내에는 부력체(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스토퍼(미도시) 및 개폐부(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스토퍼(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The buoyant body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need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200 in the inflow pipe 100. The inflow pipe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not shown) for restricting up-and-down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0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유입관(100) 내에는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3스토퍼(350)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stopper 350 may be provided in the inflow pipe 100 to limi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buoyancy body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perates as follows.

먼저 취수원(10)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은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300)는 유입관(100)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부력체(300)의 상승에 의하여 개폐부(300)가 연결관(400)을 개방하여 취수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300)는 제3스토퍼(350)에 의하여 상측 이동이 제한된다.3A,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the buoyant body 300 is moved upward in the inflow pipe 100, The opening / closing part 300 opens the connecting pipe 400 to be in a state of being able to be taken out.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is restricted from moving upward by the third stopper 350.

그리고 취수원(10)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300)는 유입관(100)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부력체(300)의 상승에 의하여 개폐부(300)가 연결관(400)을 차단하여 취수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3B, the buoyant body 300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moved downward in the inflow pipe 10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buoyant body 300 is low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The opening / closing part 300 cuts off the connection pipe 400 and becomes in a state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take water.

이때 상기 부력체(300)는 제3스토퍼(350)에 의하여 하측 이동이 제한된다.At this time,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300) is limited by the third stopper (350).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관하여는 편의상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에 설치되는 취수관로(20)와; 취수관로(20)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취수구(110)가 취수관로(20)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100)과;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200)와; 부력체(200)와 연결되어 부력체(200)의 승강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폐하는 개폐부(3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intake duct 20 installed in the water intake source 10; At least one inflow pipe (100) connected to the intake pipe (20) and having at least one intake port (110) formed at a water intake height from the intake pipe (20); A buoyant body (200) which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200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flow pipe 100 by lifting and lowering the buoyant body 200.

상기 유입관(100)은 제1실시예와는 다르게 취수구(110)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inlet pipe (100) has a long inlet and outlet (110).

그리고 상기 개폐부(300)는 상측에 취수구(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310)가 형성되어 부력체(20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도록 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has an incision 31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ake port 110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water flows through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let pipe 100 by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20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절개부(310)는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절개부(310)가 상단에 형성되는 대신에 개구부로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개구부 및 취수구(110)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cision 310 may be formed as an opening instead of being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cision 310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may be vertically moved to allow water to flow through the opening and the water inlet 110 have.

한편 상기 개폐부(300)의 상하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하이동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하이동제한부는 개폐부(30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340)와, 유입관(100)의 외주면에는 걸림부(340)와 일정구간 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하이동제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 and down restricting portion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34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00 and a locking portion 34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00, And a vertical movement restricting member 32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340 and the lower portion 34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일예로서, 상기 걸림부(340)는 외주반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턱으로 구성되며, 상하이동제한부재(320)는 유입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돌출턱이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하이동공간이 형성된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restricting member 32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flow pipe 100 and moves up and down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truding jaw can move up and down. And a guide portion formed with a space.

상기 상하이동제한부의 구성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취수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up-and-down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can be applied to the water intake system shown in Figs. 1A and 1B.

상기와 같은 취수시스템에서 취수원(10)의 수위에 따라서 부력체(2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200)는 상하이동제한부에 의하여 상하이동이 제한된다.In the above water intake system, the buoyancy body 200 is mov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s. 4A and 4B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source 10. At this time, the buoyancy body (200) is limited in the up and down movement by the up and down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개폐부(300)의 절개부(310) 또는 개구부 및 유입관(100)의 취수구(110)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utout 310 or the open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and the intake port 110 of the inlet pipe 100 .

먼저 개폐부(300)의 절개부(310)가 형성된 경우 절개부(310)의 상단을 통하여 취수구(110)로 물이 유입되므로 취수원(10)의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는 지속적으로 취수시스템이 취수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incision 3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is formed, the water flows into the water intake 110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incision 310 so that the water intake system continuously receives water until it falls below a predetermined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source 10. [ .

만약 취수원(10)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부력체(200) 또한 하강하여 어느 정도의 수위까지는 절개부(310)의 상단을 통하여 취수구(110)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If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ource 10 is lowered, the buoyant body 200 also descends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water intake port 110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cutout 310 up to a certain water level.

그러나 취수원(10)의 수위가 더 낮아지게 되면 부력체(200)에도 불구하고 상하이동제한부에 의하여 개폐부(300)의 하측 이동이 불가능하며 취수원(10)의 수위가 개폐부(300)의 절개부(310)보다 낮아지는 경우 절개부(310)의 상단을 통하여 취수구(110)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However,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is lowered, it is impossible to move the opening / closing part 300 downward due to the up / down movement limiting part despite the buoyancy body 200, The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water intake port 110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cutout 310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water level.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취수시스템은 취수원(10)가 일정 수위 이상인 경우에만 취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intake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taken only when the water supply source 10 is at a certain level or higher.

한편 상기 개폐부(300)가 절개부(310) 대신에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를 가지며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입관(100)을 가지는 경우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has an inlet pipe 100 as shown in FIGS. 1A and 1B and has an opening instead of the cutout part 310 as shown in FIGS. 1A and 1B,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관하여는 편의상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에 설치되는 취수관로(20)와; 하나 이상의 취수구(110)가 형성되며 취수관로(2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100)과; 유입관(100)과 결합되어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유입관(100)을 회전시키는 부력체(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intake duct 20 installed in the water intake source 10; At least one inlet pipe (100) in which at least one inlet (110) is formed and is rotatably installed with a water intake duct (20); And a buoyant body 200 coupled with the inflow pipe 100 to rotate the inflow pipe 100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intake source 10.

상기 유입관(100)은 취수관로(20)와 회전가능함과 아울러 취수구(11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취수관로(20)를 통하여 유입이 가능하도록 취수관로(20)와 결합되면 무방하며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inflow pipe 100 may be coupled to the water intake duct 20 so that the inflow pipe 100 is rotatable with the water intake duct 20 and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intake duct 110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intake duct 20, Lt; / RTI >

일예로서, 상기 유입관(100)은 휨이 가능한 자바라관으로 연결되거나, 물의 유입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도록 실링처리된 힌지축(500)에 의하여 취수관로(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축(500)은 그 설치의 용이함을 위하여 취수관로(20)에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된 수직관(400)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low pipe 100 may be connected to a bellows pipe capable of bending, or may be coupled to the bellows pipe 20 by a hinge shaft 500 which is sealed so as to be rotatable without inflow of water. At this time, the hinge shaft 500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pipe 400 coupled to the water intake duct 20 by welding or the like for easy installation.

여기서 상기 부력체(200)는 취수원(10)에 잠긴 상태로 설치되거나,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의 표층에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buoyant body 200 may be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locked to the water intake source 10, or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 layer of the water intake source 10 as shown in FIGS. 5A and 5B.

이때 상기 부력체(200)는 유입관(100)과는 로프(210) 등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oyant body 200 may be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100 by a rope 210 or the lik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4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부력체(20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유입관(100)이 회전됨으로써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취수원(10)의 표층으로부터 일정 깊이의 물을 취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The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let pipe 100 is rotated by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buoyancy body 200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intake water source 10, 110 can be made to be able to take a certain depth of water from the surface layer of the water source 10.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취수원
100 : 유입관 200 : 부력체
300 : 개폐부
10: The collector
100: inlet pipe 200:
300:

Claims (5)

취수원에 설치되는 취수관로와; 하나 이상의 취수구가 상기 취수관로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과; 상기 취수원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하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개폐하며 상기 유입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부력체 사이에 연통공간이 형성하도록 상기 부력체와 결합된 개폐부와;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상기 취수관로로 전달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A water intake duct installed in the water intake source; At least one inlet pipe formed at a water intake height from the water intake pipe; A buoyant body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change of the water intake source; A third stopper restricting downward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A bushing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pipe and being connected to the bushing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port of the inflow pipe by raising and lowering the bushing body, And an opening / And a connection pipe for transferring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of the inflow pipe to the water intake pipe,
Wherein the buoyant body and the opening / closing part are installed inside the inflow pipe so as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ow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ant body and the opening / closing part are installed inside the inflow pipe and are install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ow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부력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상기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며 나머지 위치에서는 상기 취수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and blocks the inlet when the buoyant body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port of the inflow pipe, and opens the inlet at the remaining position.
취수원에 설치되는 취수관로와;
하나 이상의 취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취수관로와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도록 실링처리된 힌지축에 의하여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과 결합되어 취수원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유입관을 회전시키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A water intake duct installed in the water intake source;
At least one inlet pipe formed with at least one intake port and connected by a sealed hinge shaft so as to be rotatable without introducing water into the intake duct;
And a buoyant body coupled to the inflow pipe to rotate the inflow pip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sourc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로는 그 개폐를 위한 개폐장치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water intake duc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intake duct.
KR1020140098134A 2014-07-31 2014-07-31 Water intake system KR201400998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134A KR20140099856A (en) 2014-07-31 2014-07-31 Water intak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134A KR20140099856A (en) 2014-07-31 2014-07-31 Water intake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154A Division KR20140038715A (en) 2012-09-21 2012-09-21 Water intak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856A true KR20140099856A (en) 2014-08-13

Family

ID=5174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134A KR20140099856A (en) 2014-07-31 2014-07-31 Water intak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985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752B1 (en) * 2017-05-30 2018-07-27 최중일 Coffee extractor
WO2019177322A1 (en) * 2018-03-12 2019-09-19 한국수자원공사 Non-powered flood prevention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752B1 (en) * 2017-05-30 2018-07-27 최중일 Coffee extractor
WO2019177322A1 (en) * 2018-03-12 2019-09-19 한국수자원공사 Non-powered flood preven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28474T3 (en) A FLOW CONTROL UNIT AND METHOD
CN211922529U (en) Bidirectional pump brake device
NO20120658A1 (en) Gas Loft Valve
KR20140099856A (en) Water intake system
CN104405347A (en) Intelligent hydraulic stepless flow regulating and controlling device
KR20140038715A (en) Water intake system
BR112013023030B1 (en) automatic gas purge valve
US6929241B2 (en) Hydraulic valve and a liquid flow system
KR20100032709A (en) Automatic pressure regulating valve
CN207805641U (en) Adaptive bidirectional falling-proof inhales bottle
CN204327054U (en) The stepless flow control device of hydraulic intelligent
KR20140025067A (en) Floating valve
WO2017212068A3 (en) Discharge valve
CN205089984U (en) Relief valve
JP3200989U (en) Flap gate
JP2012077568A (en) Drainage system with backflow preventing function
KR100414161B1 (en) automatic valve controled by different pressure
KR102658638B1 (en) Floodgate with Axial Position Watertightness
KR200477991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rorage tank
JP2014015710A (en) Restriction device for intake amount
KR20100055576A (en) Automatic pressure regulating valve
CN104968982A (en) A fluid flow control arrangement adapted to maintain a fluid level within a containment area
CA2857249A1 (en) Oilfield production tank with divided interior and top-to-bottom fluid transfer passage between divided spaces
CN106996475A (en) Flusher for valve
KR102073125B1 (en) Conser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