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863A - 가상화 기술 기반 다중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화 기술 기반 다중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863A
KR20120097863A KR1020110017364A KR20110017364A KR20120097863A KR 20120097863 A KR20120097863 A KR 20120097863A KR 1020110017364 A KR1020110017364 A KR 1020110017364A KR 20110017364 A KR20110017364 A KR 20110017364A KR 20120097863 A KR20120097863 A KR 20120097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creen
display device
smart phone
virtual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민
서경민
고원석
Original Assignee
(주)세븐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븐코아 filed Critical (주)세븐코아
Priority to KR102011001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863A/ko
Publication of KR2012009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57Code layout in executable memory
    • G06F9/44563Sha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5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ultiple discret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에서 동시에 실행되는 여러 프로그램의 출력화면을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보내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있어서, 보통의 스마트폰처럼 한 개의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동작하고 있으며, 운영체제의 멀티태스킹 지원을 통해 다수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동작하고 있고, 각각의 프로그램이 자신의 출력화면을 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보내어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구동시키고 각각의 동작화면을 각각의 프로그램에 적합한 크기와 형태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동시에 볼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상화 기술 기반 다중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Multi-display method in smartphone based on virtualization}
본 발명은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에서 동시에 실행되는 여러 프로그램의 출력화면을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보내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체제에서 동시에 동작하고 있는 각각의 프로그램이 자신의 출력화면을 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보내어 출력할 수 있게 하는 방법과 스마트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단순히 전화통화를 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주고받는 용도 외에 인터넷 검색이나 멀티미디어 음악,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디지털 카메라를 대용하는 제품으로 그 활용도가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스마트폰은 고성능 프로세서와 대량의 저장메모리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칼라 LCD와 스테레오 스피커 등의 좋은 품질의 하드웨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대형 인치의 고급스러운 칼라 LCD를 터치스크린 기능과 함께 제공하고 있다.
보다 강력해진 프로세서와 무선데이터 전송속도, 그리고 보다 넓어진 LCD를 통해 사용자들은 예전의 휴대폰에서 매우 불편하게 사용했던 인터넷 브라우징을 스마트 폰에서는 매우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다.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즐기고, 신문이나 책을 다운받아 읽는 사람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역시 휴대성 및 이동성을 보장해야 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LCD 크기를 마냥 키울 수 없는 제품이라는 한계를 갖는다. 즉, 4인치가 넘는 LCD 화면을 갖는 스마트폰의 경우 보통의 사람이라면 그 크기와 무게로 인해 휴대성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따라 넷북이나 패드 크기까지 스마트폰이 커질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스마트폰에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LCD를 사용하며 하나의 프로그램이 전체 스크린을 모두 차지하고 사용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는 노트북의 윈도우즈 환경에서처럼 스크린 위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 화면이 떠 있고 이들이 서로 겹치기도 하고 스크린 아래나 좌우 영역에 일부분이 들어가 보이지 않게 되기도 하는 멀티 윈도우 화면 방식과는 매우 다른 방식이다.
스마트폰에서는 물리적인 스크린 크기의 제한으로, 그리고 터치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입력방식의 제한으로 화면에는 항상 하나의 응용프로그램만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물론 최근 위젯이라는 방식의 작은 프로그램이 스크린의 일부 구석에 자리잡고 특정 정보나 기능을 제공하기는 하나 아직까지 그 기능과 활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다.
노트북의 경우를 보면, 사용자들은 하나의 스크린에 여러 개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띄워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문서를 읽거나 작성하는 경우에도 역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스크린에 동시에 띄워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처럼 하나의 프로그램의 화면이 다른 프로그램의 화면을 완전히 덮고 표시되는 방식을 많은 사람들이 불편해 한다.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프로세서의 성능이 개선되어 노트북에 근접하고 있다고는 하나 전화통화라는 기본 기능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프로세서의 자원의 일부를 항상 전화통화 기능에 할당하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여러 개의 화면이 서로 겹치고 각각의 화면의 내용이 동적으로 갱신되는 상황은 매우 많은 프로세서 자원을 요청하는 힘든 일이다. 따라서 하나의 스크린에 여러 프로그램의 화면을 겹쳐서 보여주는 것은 스마트폰이 현실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요구이다.
또한 사용자의 실제 사용 예를 살펴보더라도, 스크린의 해상도는 높지만 물리적을 작은 스크린 크기로 인해 현실적으로 스마트폰 스크린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 화면이 구동되는 경우 매우 복잡하고 혼동스럽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기 어렵다.
이런 상기의 이유로 현재까지 출시된 전세계의 어떤 스마트폰도 작은 스크린 상에 여러 프로그램의 화면을 동시에, 또는 조금씩 겹쳐 보여주면서 멀티태스킹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는 없다.
물론 스크린에 화면이 보이지는 않지만 엄연히 다수 개의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기는 하다. 음악을 들으면서 SNS 채팅을 하거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띄워 놓고 잠시 다른 사진 앨범을 둘러볼 수 있는 것이다.
노트북을 사용하는 경우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도를 검색하면서 특정 위치의 가게를 클릭하여 그 가게의 홈페이지를 열어 관련 정보를 보고 그와 동시에 친구로부터 도착한 메시지를 살펴보고 답장을 쓰는 경우를 살펴보자.
먼저 노트북으로 이런 작업을 한다면,
우선 지도검색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하나의 윈도우 화면에서 지도를 보다가, 특정 가게를 클릭하면 새로운 윈도우 창이 열리고 가게의 홈페이지가 그 창의 화면에 나타난다. 두 개의 화면은 노트북 전체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조금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경우 밑에 가려진 화면의 일부분이 위에 있는 다른 화면 옆으로 조금 보이는 정도로 스크린에 나타난다.
두 화면 사이의 전환은 마우스나 펜을 이용하여 화면의 일부분을 클릭하는 방식으로 앞뒤 화면의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다. 이는 매우 편리하며 직관적인 사용법이다.
다시 친구로부터 메시지가 오는 경우 보통의 경우 새로운 창의 화면이 스크린의 제일 위로 열리면서 표시된다. 이런 창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아서 구석 쪽에 위치시키는 이전의 화면을 가리지 않을 정도가 된다.
노트북 사용자는 이상과 같이 3개의 프로그램의 화면을 조금은 겹치게 또는 완전히 겹치지 않게 배치할 수 있고 이들 간의 이동과 화면의 앞뒤 위치 바꿈도 매우 직관적이고 분명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물론 3개 화면에서 내용의 갱신이 있는 경우 그 위치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그 내용이 동적으로 즉각 수정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에게 변화된 정보를 즉각적으로 전달하게 되며 사용자 역시 그런 변화를 놓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음으로 스마트폰으로 이런 작업을 한다면,
우선 지도검색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스크린을 가득 채우는 지도가 나타난다. 이전의 화면은 완전히 가려서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지도를 보다가, 특정 가게를 클릭하면 새로운 윈도우 창이 스크린을 가득 메우면서 열리고 가게의 홈페이지가 화면에 나타난다. 밑에 가려진 화면의 일부분이 위에 있는 다른 화면 옆으로 조금 보이는 경우는 있을 수 없다.
두 화면 사이의 전환은 스마트폰에 있는 버튼을 이용하여 위에 있는 프로그램의 화면을 닫는 방식으로 아까 보고 있었던 화면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많은 경우 몇 번의 화면을 바꿔가야 비로소 원하는 화면을 만나게 된다. 책장을 넘기며 아까의 페이지를 찾는 것처럼 상당히 불편하다.
다시 친구로부터 메시지가 오는 경우 보통의 경우 새로운 창의 화면이 스크린의 제일 위로 열리면서 표시된다. 이런 창도 역시 전체 스크린을 가득 메우고 나타나므로 동시에 어떤 정보를 비교해서 보거나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이상과 같이 3개의 프로그램의 화면을 위아래로 차곡차곡 쌓아서 보게 된다. 이들 간의 이동과 화면의 앞뒤 위치 바꿈도 덜 직관적이고 복잡하다. 물론 이 역시 3개 화면에서 내용의 갱신이 있는 경우 그 위치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그 내용이 동적으로 즉각 수정되기는 하나 사용자에게 변화된 정보를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그런 변화를 즉각적으로 감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최근의 스마트폰 중에는 스크린 내용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품이 많다. 이런 제품의 경우 케이블을 이용하여 LCD TV 등으로 스마트폰의 스크린 내용을 옮겨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런 기능은 스마트폰의 화면을 커다랗게 확대하는 것에 불과하다. 즉, 해상도를 키워서 더 많은 내용이 화면에 나타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해상도는 동일하게 그 크기만을 키우는 것이기 때문에 역시나 하나의 프로그램 화면이 전체 스크린을 메우는 방식은 동일하다.
스마트폰 LCD의 해상도를 키우는 것은 화면의 글씨와 그림을 깨알 같은 크기로 만들기 때문에 역시 아무 의미가 없다.
노트북의 경우에는 옆에 추가적인 모니터를 붙일 수 있고 이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춰 프로그램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노트북에 별도 모니터를 연결하고 노트북 스크린에는 간단한 프로그램을 띄워서 사용하고, 높은 해상도의 별도 모니터에는 여러 개의 복잡한 프로그램을 다수 띄워서 사용하는 경우를 흔하게 본다.
스마트폰의 경우 외부에 별도 모니터를 붙여서 노트북과 같이 사용하려면 두 가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첫 번째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를 동적으로 조정해 주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즉, 새로운 별도 모니터가 연결되는 경우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는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가 커졌음을 감지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새롭게 넓어진 화면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해 줘야 한다. 스마트폰용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정해진 크기의 화면 해상도에 맞춰 고정하여 제작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2배, 3배, 4배, 방식의 정수배 확장에 따라 2개, 3개, 4개의 프로그램 화면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이 가장 간단한 처리방법이 된다.
두 번째로는 하드웨어적으로 별도 모니터를 지원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스마트폰 운영체제가 스크린 크기에 맞춰 디스플레이 화면을 크게 설정하면, 하드웨어가 알아서 자동으로 화면의 일부를 스마트폰 스크린으로, 나머지 일부를 별도 모니터로 보여주어야 한다. 이는 현재의 노트북과 PC에 구현되어 있는 기능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두 개의 스크린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노트북에서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면 한쪽 모니터의 경계에서 다른 모니터로 매끄럽게 넘어가는 것을 볼 수 있는 데 이런 것이 바로 하드웨어적인 지원으로 가능한 것이다. 프로그램도 자신이 표시하는 화면이 두 개 모니터의 스크린 사이에 걸쳐서 표시되는 경우를 특별히 감안하지 않아도 된다. 모든 것은 하드웨어적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가지 조건은 불행히도 스마트폰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우선 첫 번째 운영체제의 동적 화면조정 기능의 경우 구현이 매우 복잡하고 오버헤드가 크기 때문에 현재 상용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용 운영체제 중 이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은 하나도 없다. 구현이 복잡하다는 것은 스마트폰용 프로세서가 처리하기에 부담이 된다는 것이므로 실제 어렵게 구현했다고 해도 실제 돌려보면 느리게 동작하고 또한 전력소모도 클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동적 화면조정 기능은 스마트폰에서는 아직은 요원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하드웨어적인 다중 모니터 지원기능 역시 고성능의 그래픽 프로세서가 필요한 일이므로 저전력 프로세서가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에서는 역시나 현실적인 이유로 채택이 불가능한 기능이다.
따라서 하드웨어적인 지원이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접근 방법이 타당하며 필요한 기능만을 뽑아내고 그 기능도 매우 단순화하고 정형화하여 접근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여러 프로그램의 출력화면을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체제에서 동시에 동작하고 있는 각각의 프로그램이 자신의 출력화면을 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보내어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여러 개의 화면을 오버레이 하거나 공용하는 복잡한 처리 대신에 하나의 프로그램이 하나씩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도록 단순화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임의로 특정 프로그램의 출력을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로 할당할 수 있는 매우 직관적이고 쉬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내부에 가상머신모니터 프로그램을 가지며 그 위에 운영체제가 구동되고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머신모니터는, 스마트폰의 하드웨어를 관리하며 운영체제를 부팅시키고 그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여부와 그 종류를 파악하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드라이버를 구동하고, 운영체제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영체제는, 화면 처리를 위한 프레임버퍼와 관련 드라이버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여러 프로그램의 출력화면을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실행 예로 스마트폰 스크린을 보면서 친구랑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고, 동시에 동영상 플레이어를 구동하고 그 영상 화면을 별도로 연결한 TV를 통해 감상하고, 또한 그와 동시에 지도검색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그 결과를 USB 케이블로 연결된 USB 모니터로 살펴보는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자신의 보조 모니터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거나 프리젠테이션과 같이 타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일을 스마트폰을 통해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활용도를 극대화 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다양한 형태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과 연결되는 모습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머신모니터와 기반의 운영체제 구동 구조를 갖는 스마트폰에 대한 내부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
120: 외부에서 무선랜으로 연결되는 노트북
130: 외부에서 비디오 케이블로 연결되는 TV
140: 외부에서 USB로 연결되는 보조모니터
210: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220: 가상머신모니터
230: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체제
240: 응용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미들웨어
250: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10)은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동시에 사용한다. tm마트폰의 자체 LCD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고 추가적으로 외부에 있는 노트북(120)이나 TV(130)이나 USB 서브모니터(140)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용 출력단자에 꽂을 수 있는 HDMI와 같은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거나, 무선랜을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USB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10)은 가상화기술이 적용되어 하드웨어(210) 위에 가상머신모니터(220)가 탑재되고 그 위에 다시 운영체제(230)가 탑재된다. 운영체제 위에는 그래픽 프레임워크 기능을 하는 미들웨어(240)가 탑재되고 그 위에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이 동작하는 구조를 갖는다.
스마트폰의 하드웨어(210)는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입력장치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마이크, 스피커, 전원장치, 외장착탈식메모리, 안테나. 전파송수신부, GPS, 카메라, 모션센서, 지자계센서, 근접센서, 조도센서 등등의 부가 하드웨어 장치들이 있다.
하드웨어(210) 부분은 탑재된 운영체제가 접근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그 접근은 가상머신모니터(220)에 의해 제어된다. 즉, 가상머신모니터(220)는 하드웨어 장치 모두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위의 운영체제(230)는 반드시 가상머신모니터(220)를 통해서만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다.
외부에서 다른 해상도와 인터페이스 특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새로운 출력장치로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경우 가상머신모니터(220)가 그 접속여부를 인식하고 그에 적절한 가상드라이버를 생성하여 동작시킨다.
가상드라이버는 운영체제(230)의 요청에 따라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와 지원 색상 정보, 등을 제공하며 운영체제(230)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프레임버퍼 관리시스템을 동적으로 구축한다.
미들웨어(240)은 운영체제의 프레임버퍼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응용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와 기능, 특성 등의 정보를 관리하고 응용프로그램이나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응용프로그램(250)의 경우 사용자의 명시적인 지정에 의해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 화면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실제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볼 수 없었던 영역까지 표시할 수 있으며 확대 효과도 쉽게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여러 개의 다른 해상도와 특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며,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모두 구동시켜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디오 케이블, 또는 무선랜, 또는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LCD의 해상도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는 아무런 종속관계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가상화 솔루션인 가상모신모니터가 탑재되고 그 위에서 운영체제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하드웨어는 가상머신모니터에 의해 관리돠고 운영체제는 가상머신모니터를 통해서만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6. 제5항에 있어서,
    가상머신모니터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가상드라이버를 구동시키고 운영체제는 가상머신모니터의 해당 가상드라이버를 통해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로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7. 스마트폰에서 동작하는 여러 응용프로그램이 각각 하나씩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출력장치로 사용하여 동시에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로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은 다른 응용프로그램과는 상관없이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를 독립적이고 배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수의 응용프로그램의 하면이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동시에 출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9.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응용프로그램의 출력을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 제공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10. 제9항에 있어서,
    응용프로그램이 자신에게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가지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이 최대한으로 표현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와 데이터의 양을 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 지는 특징을 갖는 스마트폰.
KR1020110017364A 2011-02-25 2011-02-25 가상화 기술 기반 다중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KR20120097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364A KR20120097863A (ko) 2011-02-25 2011-02-25 가상화 기술 기반 다중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364A KR20120097863A (ko) 2011-02-25 2011-02-25 가상화 기술 기반 다중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863A true KR20120097863A (ko) 2012-09-05

Family

ID=4710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364A KR20120097863A (ko) 2011-02-25 2011-02-25 가상화 기술 기반 다중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78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319A1 (ko) * 2012-12-14 2014-06-19 주식회사 안랩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9489883B2 (en) 2013-08-21 2016-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KR101899262B1 (ko) 2017-11-14 2018-09-14 (주) 퓨전데이타 가상화 화면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319A1 (ko) * 2012-12-14 2014-06-19 주식회사 안랩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9489883B2 (en) 2013-08-21 2016-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KR101899262B1 (ko) 2017-11-14 2018-09-14 (주) 퓨전데이타 가상화 화면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91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RE48911E1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providing native and non-native display utility
EP3588284B1 (en) Method and device for layer drawing control, and mobile terminal
EP4207777A1 (en) Application interface display method under multi-window mirroring scenario, and electronic device
US10761564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emissiv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713177B1 (ko) 가상 디스플레이들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US10956008B2 (en) Automatic home screen determination based on display device
KR102063952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US20120282914A1 (en) Smart phone companion loop
EP272014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CN109508128B (zh) 搜索控件显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720127A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ool therefor
CN110462556A (zh) 显示控制方法及装置
WO2018161958A1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80316745A1 (en) Terminal apparatus and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6029968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19575A1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150081765A (ko) 영상 데이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48988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WO2024041047A1 (zh) 一种屏幕刷新率切换方法及电子设备
KR102435816B1 (ko) 전자 잉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스크린 스마트 커버
WO2022171054A1 (zh) 一种刷新显示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120097863A (ko) 가상화 기술 기반 다중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N116149765A (zh) 确定墨水屏的刷新模式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20097860A (ko) 가상화 기술 기반 스마트폰과 입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