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825A -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825A
KR20120097825A KR1020110017289A KR20110017289A KR20120097825A KR 20120097825 A KR20120097825 A KR 20120097825A KR 1020110017289 A KR1020110017289 A KR 1020110017289A KR 20110017289 A KR20110017289 A KR 20110017289A KR 20120097825 A KR20120097825 A KR 20120097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rain pan
air conditioner
water collecting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정운
김철원
김국기
Original Assignee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825A/ko
Publication of KR2012009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관한 것으로, 드레인팬은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부와, 집수부의 외면에 단열부재가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장착되는 커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복층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열부재가 박리됨으로써 발생되었던 드레인팬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이 미연에 방지되어 A/S의 요인 및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Drain pan of in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기에 내장된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도록 된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열교환기(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여기서, 열교환기에서는 내부의 냉매와 외부의 공기 사이에 온도차에 의해 열교환이 일어난다. 따라서 열교환기의 표면에서는 온도차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하여 낙하하게 되고, 이러한 응축수를 집수하고 배출하기 위해 열교환기 하부에는 드레인팬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드레인팬의 외면에는 온도가 낮은 응축수와 실온의 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結露)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드레인팬의 외면에 단열부재를 부착하였다.
하지만, 장시간이 경과하면서 단열부재 자체의 부착력 저하 또는 드레인팬의 외면 온도 변화에 따른 단열부재의 부착력 저하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단열부재가 드레인팬으로부터 박리(剝離)되었다. 따라서, 드레인팬으로부터 단열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드레인팬에 박리된 틈새로 결로가 발생하고, 이 결로에 의해 실내기의 외부로 물이 흐르거나 전기적 합선 등의 A/S 요구사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부의 하면에 단열부재를 밀착하도록 커버가 체결되는 구조의 드레인팬을 제공함으로써, 단열부재의 부착된 상태가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은, 스크롤하우징과, 스크롤하우징의 상부에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집수하도록 설치된 드레인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에 있어서, 드레인팬은 복층 구조로,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와, 집수부의 일면에 부착되는 단열부재 및, 단열부재가 개재되도록 집수부에 결합되는 커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단열부재가 부착되는 집수부의 일면은 하면이다.
단열부재는 집수부의 하면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집수부와 커버의 결합은, 집수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돌기가 커버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재에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커버는 집수부의 외면으로 단열부재를 밀착하도록 장착된다.
커버와 단열부재에는 집수부에 형성된 드레인호스가 통과하도록 각각 제1,2관통홀이 형성된다.
커버에는 체결부재의 반대측 타단부에서 굴절되어 형성되고, 집수부에서 체결돌기의 반대측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스크롤하우징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이 상호 체결되어 이루어지고, 후면패널에 집수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패널에 커버가 일체로 형성된다.
체결부재 및 밀착부는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다.
전면패널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커버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가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팬이 집수부와 커버가 복층 구조를 이루어 단열부재를 밀착하는 체결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단열부재가 드레인팬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제거됨은 물론, 반영구적으로 단열부재가 드레인팬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단열부재가 박리됨으로써 드레인팬에 발생하였던 결로현상이 미연에 방지되어 A/S의 요인 및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부재가 집수부와 커버에 의해 외부 공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최소화됨으로써, 단열부재에서의 응축수와 외부 공기 사이의 온도차가 감소하여 단열 효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내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스크롤하우징과 드레인팬을 위에서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크롤하우징과 드레인팬을 아래에서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드레인팬의 체결부위인 "A" 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b에서 커버가 형성된 스크롤하우징의 전면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b에서 드레인팬을 구성하는 집수부와 커버의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b에 도시된 드레인팬의 결합된 상태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내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스크롤하우징과 드레인팬을 위에서 본 확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크롤하우징과 드레인팬을 아래에서 본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드레인팬의 체결부위인 "A" 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b에서 커버가 형성된 스크롤하우징의 전면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의 본체(110)와, 이 본체(110)에 내장되는 스크롤하우징(200)과, 스크롤하우징(200)의 상부에 배치된 드레인팬(300)과, 드레인팬(300)의 상부에 설치된 열교환기(5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체(110)에는 양측면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한 쌍의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구 날개(111)가 장착되고, 상면에 공기의 토출을 위한 배기구를 개폐하는 배기구 날개(112)가 장착된다.
본체(110)에 내장된 스크롤하우징(200)은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에 의해 본체(110)의 하부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의 유동을 열교환기(500)로 안내하는 부재로서, 열교환기(5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스크롤하우징(200)은 전면패널(210)과 후면패널(220)이 상호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크롤하우징(200)은 유연하고 질긴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다.
열교환기(500)는 스크롤하우징(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스크롤하우징(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비스듬히 기울어져 설치된다.
드레인팬(300)은 도 2 내지 도 3b에서와 같이, 열교환기(500)의 표면에서 발생하여 낙하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부재로, 집수부(310)와 커버(320) 및 단열부재(330; 도 6 참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집수부(310)는 내부 바닥면에 열교환기(50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이 일정 높이로 형성된 대략 집수조형상이다. 또한, 집수부(310)의 하부에는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호스(340)가 설치된다. 여기서, 드레인호스(340)는 집수부(310)의 내부와 연결되면서 집수부(310)의 하부를 관통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다. 이 드레인호스(340)를 통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별도 집수하기 위해 드레인호스(340)에 소정의 파이프 또는 호스가 연결된다. 집수부(310)의 바닥면은 집수가 용이하도록 드레인호스(340)가 형성된 부위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형성된다. 또한, 집수부(310)는 스크롤하우징(200)의 후면패널(220)의 열교환기(500)측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크롤하우징(200)에서 외부 공기를 열교환기(500)로 배출하는 배출구와는 간섭되지 않게 형성된다. 또한, 집수부(310)의 열교환기(500)측인 상부 측면에는 본체(110)의 전면패널이 장착될 때 전면패널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하기 위해 중공을 갖는 대략 사각형의 결합부재(390)가 외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집수부(310)에는 일측면에 체결돌기(360)가 형성된다. 체결돌기(360)는 집수부(310)의 일측면으로부터 대략 패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돌기(360)는 도 4에서와 같이, 대략 일정 두께를 갖는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체결부재(37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재(330)는 공기층이 형성된 보온 및 단열 재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수부(310)에 집수된 응축수와 외부 공기 간의 온도 차에 의해 집수부(310)에 발생되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부착되는 부재이다. 이 단열부재(300)는 집수부(310)의 하면에 접착방식으로 부착되고, 이때 집수부(310)의 하면에 정합되도록 동일한 형상이며, 집수부(310)의 하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제작된다. 또한, 단열부재(300)에는 집수부(310)에 형성된 드레인호스(340)가 통과하기 위한 제2관통홀(331)이 형성된다. 이때, 제2관통홀(331)의 직경은 드레인호스(34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다.
커버(320)는 도 3b 및 도 5에서 보듯이, 집수부(310)의 하면에 부착된 단열부재(330)를 밀착하도록 집수부(310)의 하면에 체결된다. 커버(320)는 집수부(310)의 하면에 중첩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도록 집수부(310)의 하면과 대략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제작된다. 커버(320)의 측면은 도면에서와 같이, 집수부(310)의 하면에 부착된 단열부재(330)만 감쌀 정도의 높이로 제작된다. 물론, 커버(320)의 측면이 집수부(310)의 하부 일부까지 감쌀 수 있도록 단열부재(330)가 외부로부터 완전 분리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320)는 스크롤하우징(200)의 전면패널(210)의 열교환기(500)측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커버(320)는 도 5에서와 같이, 집수부(310)의 하면을 밀착하면서 체결되도록 스크롤하우징(200)의 전면패널(210)의 열교환기(500)측 일단부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된 형상의 커버(320)를 지지하기 위해 돌출 시점 부위에 다수의 지지대(350)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320)에는 집수부(310)에 형성된 드레인호스(3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3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관통홀(321)은 집수부(310)에 커버(320)가 축회전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이때 드레인호스(340)와 제1관통홀(321)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는 크기로 천공된다. 또한, 커버(320)에는 일측면 및 타측단부에 각각 체결부재(370)과 밀착부(380)가 형성된다.
체결부재(370)는 커버(32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체결돌기(360)가 끼워지는 형상을 갖는다. 체결부재(370)는 도 4에서와 같이, 대략 중공의 체결홀(411)이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지만, 후크 형태의 체결돌기(360)가 걸릴 수 있도록 대략 체결돌기(360)의 후크 형태에 대응되는 후크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밀착부(380)는 도 5에서와 같이, 커버(320)에서 체결부재(370)가 형성된 일측단부의 반대측 단부로부터 집수부(310) 측으로 굴절된 형상으로, 집수부(310)의 체결돌기(360)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측 측면에 밀착된다. 밀착부(380)는 체결돌기(360)와 체결부재(370)의 끼움 결합 이행시 집수부(310)의 체결돌기(360) 반대측 측면에 밀착되어 체결돌기(360)와 체결부재(370) 간의 결합의 해제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밀착부(380)는 도 6에서와 같이, 커버(320)의 길이보다는 약간 짧은 하나의 연속된 형태일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의 체결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b에서 드레인팬을 구성하는 집수부와 커버의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b에 도시된 드레인팬의 결합된 상태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크롤하우징(200)의 후면패널(220)에 형성된 집수부(310)에는 스크롤하우징(200)의 전면패널(210)에 형성된 커버(320)가 장착된다. 이때, 집수부(310)의 하면에는 단열부재(330)가 부착된 상태이고, 커버(320)가 집수부(310)의 하면에 체결되면서 단열부재(330)를 밀착하게 된다.
여기서, 집수부(310)와 커버(320)의 결합 과정을 살펴보면, 집수부(310)의 하면에 대해 커버(320)가 일측면을 중심으로 대략 축회전하듯이 회전하면서 체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집수부(3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360)가 커버(320)의 일측면 형성된 체결부재(370)의 체결홀(41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결합된다. 다음으로, 커버(320)의 밀착부(380)측 단부가 체결돌기(360)와 체결부재(370)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축회전하게 되고, 이때 커버(320)의 체결부재(370)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밀착부(380)가 집수부(310)의 체결돌기(360) 반대측면에 완전히 면접촉되면 결합을 위한 축회전이 완료된다. 이로써, 집수부(310)와 커버의 결합은 완료된다. 따라서, 집수부(310)와 커버(320)의 체결은 밀착부(380)이 집수부(310)의 타측면과의 면접촉으로 체결돌기(360)와 체결부재(370)의 결합을 유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집수부(310)와 커버(320)가 상호 체결되면서 스크롤하우징(200)의 전면패널(210)과 후면패널(220) 역시 체결된다. 스크롤하우징(200)의 전면패널(210)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대략 "ㄱ"자 형상의 절곡부가 후면패널(220)에 형성된 장착홈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는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집수부(310)와 커버(320)의 체결과 더불어 전면패널(210)과 후면패널(220)이 체결되는데 가장 적합할 수 있다.
이처럼 집수부(310)와 커버(320)의 체결이 완료되면 도 8에서와 같은 체결상태가 되고, 이때 커버(320)는 집수부(310)의 하면에 부착된 단열부재(330)를 밀착하게 된다. 또한, 커버(320)에 형성된 제1관통홀(321)을 통과하여 집수부(310)에 형성된 드레인호스(340)가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집수부(310)에 커버(320)가 체결되어 드레인팬(300)의 조립이 완료된다.
<해체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의 해체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은 드레인팬(30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서, 커버(320)가 단열부재(330)를 집수부(310)측으로 밀착하면서 집수부(310)에 체결된다. 이때, 집수부(310)에 형성된 드레인호스(340)는 커버(320)에 형성된 제1관통홀(321)을 통과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6과 같이 커버(320)와 집수부(310)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커버(320)가 체결돌기(360)와 체결부재(370)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커버(320)의 밀착부(380)가 형성된 단부가 축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밀착부(380)가 집수부(310)의 체결돌기(360) 반대측면과의 밀착된 상태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축회전이 지속되면 체결돌기(360)와 체결부재(370)의 걸림결합까지도 자연스레 해제되고, 커버(320)와 집수부(310)은 완전 해체된다. 물론, 단열부재(330)은 집수부(310)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집수부(310)와 커버(320)의 결합이 해제되어 드레인팬(300)의 해체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공기조화기용 실내기 101...본체,
200...스크롤하우징 300...드레인팬,
310...집수부 320...커버,
321...제1관통홀 330...단열부재,
340...드레인호스 400...체결돌기,
410...체결부재 411...체결홀,
500...열교환기.

Claims (11)

  1. 스크롤하우징과, 스크롤하우징의 상부에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집수하도록 설치된 드레인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300)은 복층 구조로,
    상기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310);
    상기 집수부(310)의 일면에 부착되는 단열부재(330); 및
    상기 단열부재(330)가 개재되도록 상기 집수부(310)에 결합되는 커버(3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330)가 부착되는 상기 집수부(310)의 일면은 하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330)는 집수부(310)의 하면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310)와 커버(320)의 결합은,
    상기 집수부(3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돌기(360)가 상기 커버(320)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재(370)에 체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20)는 상기 집수부(310)의 외면으로 상기 단열부재(330)를 밀착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20)와 상기 단열부재(330)에는 상기 집수부(310)에 형성된 드레인호스(340)가 통과하도록 각각 제1,2관통홀(321,3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20)에는 상기 체결부재(370)의 반대측 타단부에서 굴절되어 형성되고, 집수부(310)에서 체결돌기(360)의 반대측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38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하우징(200)은 전면패널(210)과 후면패널(220)이 상호 체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패널(220)에 상기 집수부(31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하우징(200)은 전면패널(210)과 후면패널(220)이 상호 체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패널(210)에 상기 커버(3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70) 및 상기 밀착부(380)는 상기 커버(32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210)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커버(32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3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20110017289A 2011-02-25 2011-02-25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KR20120097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89A KR20120097825A (ko) 2011-02-25 2011-02-25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89A KR20120097825A (ko) 2011-02-25 2011-02-25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825A true KR20120097825A (ko) 2012-09-05

Family

ID=4710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289A KR20120097825A (ko) 2011-02-25 2011-02-25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78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9235A1 (de) 2012-09-04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Speichersystem mit Detektor für anormale Wortlei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r anormalen Wortlei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9235A1 (de) 2012-09-04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Speichersystem mit Detektor für anormale Wortlei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r anormalen Wortlei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234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US8647404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2977689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device
US8734553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20170067681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blade unit applied to same
EP196654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2233851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2010060282A5 (ko)
KR20200034870A (ko) 공기조화기
CN214791484U (zh) 空调室内机
JP443305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120097825A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0857600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0716251B1 (ko) 공기조화기
KR101502097B1 (ko) 공기조화기
KR1007142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8736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7635911U (zh) 空调室内机
KR100721832B1 (ko) 공기조화기
CN217928997U (zh) 空调室内机
KR100874230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응축수 집수구조
KR20070005172A (ko) 공기조화기의 디스챠지 그릴
KR100659315B1 (ko) 공기조화기
KR101105756B1 (ko)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설치구조
JP475291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