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591A - 단말 및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591A
KR20120097591A KR1020110016880A KR20110016880A KR20120097591A KR 20120097591 A KR20120097591 A KR 20120097591A KR 1020110016880 A KR1020110016880 A KR 1020110016880A KR 20110016880 A KR20110016880 A KR 20110016880A KR 20120097591 A KR20120097591 A KR 20120097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terminal
setting
period
voltag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6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591A/ko
Priority to US13/108,364 priority patent/US20120217972A1/en
Publication of KR2012009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및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은,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가 도래하였을 때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으로부터 배터리 잔여 용량을 추출하고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을 기초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 전압의 불필요한 측정을 줄이고 이를 통해 단말기 소모 전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 및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SURING PERIOD OF BATTERY VOLTAGE}
본 발명은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방전 특성을 고려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휴대 단말의 기능이 한정돼 있었다. 즉, 휴대 전화기는 전화 기능만을 제공하고, 전자사전은 사전 기능만을 제공하는 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휴대 단말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의 휴대 전화기 중 이른바 스마트폰은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무한히 확장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문서작성, 지도 서비스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렇게 휴대 단말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휴대 단말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종래의 휴대 단말은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남은 용량을 계산하여 표시해 주고 있다. 하지만 배터리의 전압 측정 주기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고정되어 불필요하게 배터리 전압이 측정되는 경우가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주기 설정 과정의 순서도이다.
단계 110에서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충전기가 연결된다. 단계 120에서 단말은 단말에 연결된 배터리의 유무를 확인한다. 단계 130에서 단말이 단말에 연결된 배터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 190으로 진행하여 단말의 전원을 끄고 종료한다. 단계 130에서 단말이 단말에 연결된 배터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 140으로 진행하여 충전기가 단말에 연결돼 있는지 판단한다.
충전기가 연결돼 있는 경우 단계 150으로 진행하여 충전모드에 진입하고, 단계 180에서 주기 T2의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충전기가 연결돼 있지 않은 경우 단계 160으로 진행하여 일반모드에 진입하고, 단계 170에서 주기 T1의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주기 T1 또는 T2가 만료되면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다시 단계 120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도 1의 방식에서는 오직 충전기가 연결돼 있는지에 따라 주기를 달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 따를 경우 불필요하게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거나 필요한 때에 제때 배터리 전압이 측정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터리 전압의 불필요한 측정을 줄이고 이를 통해 단말기 소모 전류를 줄이는 단말 및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은,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가 도래하였을 때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으로부터 배터리 잔여 용량을 추출하고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을 기초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단말은,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으로부터 배터리 잔여 용량을 추출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추출된 배터리 잔여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을 기초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에 도달하면 상기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재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측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 전압의 불필요한 측정을 줄이고 이를 통해 단말기 소모 전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주기 설정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도 3의 단계 350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5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방전 곡선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르는 전압 측정 주기 설정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단말 및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은 무선 통신부(210), 오디오 처리부(220), 터치스크린부(230), 키 입력부(240),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단말(2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하고, 제어부(2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스크린부(230)는 터치센서부(231) 및 표시부(23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2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23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23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2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23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표시부(23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2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232)는 단말(2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232)는 특히 배터리의 전압 측정을 기초로 추출된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200)는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2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경우, 도 1에서 도시되는 터치스크린부(230)는 표시부(232)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변형 적용될 수 있다.
키 입력부(240)는 단말(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24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2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23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24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250)는 단말(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단말(2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단말(2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전압 측정부(262), 단말 상태 검출부(264), 주기 설정부(266) 및 배터리 측정 제어부(268)를 포함한다.
전압 측정부(262)는 단말(200)에 연결된 배터리 전압을 측정한다. 측정된 배터리 전압은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및 배터리 잔여 용량 추정에 사용된다. 단말 상태 검출부(264)는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를 검출한다.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는 예를 들어 대기 상태, 영상 통화 상태, 음성 통화 상태, 동영상 녹화 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즉, 단말(200)이 무슨 기능을 수행 중인지에 따라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가 결정된다.
주기 설정부(266)는 전압 측정부(262)가 측정한 배터리 전압 및 단말 상태 검출부(264)가 검출한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를 기초로 배터리 전압의 측정 주기를 설정한다. 주기 설정부(266)는 실시 예에 따라서 전압 측정부(262)가 측정한 배터리 전압 및 단말 상태 검출부(264)가 검출한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 중 어느 하나만을 기초로 배터리 전압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주기 설정부(266)는 전압 측정부(262)가 측정한 배터리 전압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단말 상태 검출부(264)가 검출한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기 설정부(266)는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를 서로 곱하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주기 설정부(266)는 전압 측정부(262)가 측정한 배터리 전압에서의 배터리 방전 곡선의 기울기가 클수록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기 설정부(266)는 단말 상태 검출부(264)가 검출한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가 더 많은 전력 소모를 요구할수록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기 설정부(266)는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가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 즉 대기 상태가 아닌 상태로 변경될 때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 및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를 기초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60)의 각 구성요소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 방식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과정의 순서도이다.
단계 310에서 단말(200)의 제어부(260)는 단말(200)의 전원이 최초로 인가됐는지 판단한다. 단말(200)의 전원이 최초로 인가된 경우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가 아직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전원이 인가된 후 빠른 시간 내에 (곧바로)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도록 설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단말(200)의 전원이 최초로 인가된 경우에는 단계 330으로 진행하여 배터리 전압 측정 단계를 수행한다. 단말(200)의 전원이 최초로 인가된 경우가 아니라면 단계 320으로 진행한다.
단계 320에서 제어부(260)의 배터리 측정 제어부(268)는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 320을 반복한다.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에 도달한 경우 단계 330으로 진행하여 배터리 전압 측정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330에서 제어부(260)의 전압 측정부(262)는 단말(200)에 연결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한다. 전압 측정 방법은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압 측정부(262)는 측정된 전압에 따라 배터리 잔여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232)는 배터리 잔여 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제어부(260)의 단말 상태 검출부(264)는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를 검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는 단말(200)이 무슨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단계 350에서 주기 설정부(266)는 단계 330에서 측정된 배터리 전압 및 단계 340에서 검출된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를 기초로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도 3의 단계 350의 상세 순서도이다.
단계 422, 424, 426, 428 및 430을 거치면서 주기 설정부(266)는 단계 330에서 측정된 배터리 전압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단계 432 내지 단계 442에서 주기 설정부(266)는 측정된 배터리 전압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제1 파라미터 J를 설정한다.
도 5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방전 곡선 그래프이다.
도 5는 1000mAh 리튬 이온 배터리가 소모전류 290mA로 방전될 때의 방전 곡선 그래프이다. 배터리 잔여 용량이 80%, 60, 40%, 20% 및 10%인 지점에서 배터리 잔여 용량 표시를 변경하는 경우 X표 친 지점들(510, 512, 514, 516 및 518)에 해당하는 전압 3.89V, 3.77V, 3.7V, 3.64V 및 3.58V에서 배터리의 잔여 용량 표시가 변경된다. 이하에서 편의상 상기 전압 3.89V, 3.77V, 3.7V, 3.64V 및 3.58V를 각각 V1, V2, V3, V4, V5라 칭한다. 리튬 이온 방식의 배터리의 방전 특성상 각 전압 구간에서 배터리가 방전되는 기울기가 일정치 않음을 알 수 있다.
배터리 전압 측정은 현재 배터리 전압이 속한 구간의 기울기가 클수록 전압 변동이 크므로 자주 해야 하고, 기울기가 완만할 수록 전압 변동이 작으므로 상대적으로 자주 측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각 전압 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여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표 1과 같이 각 전압 구간에 따라 각기 다른 6가지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전압 구간 V>V1 V1>=V>V2 V2>=V>V3 V3>=V>V4 V4>=V>V5 V5>=V
3.89V초과 3.77V초과 3.89V이하 3.70V초과 3.77V이하 3.64V초과 3.70V이하 3.58V초과 3.64V이하 3.58V이하
주기 J1 J2 J3 J4 J5 J6
20분 40분 50분 60분 10분 1분
표 1에서는 전체 전압을 6개의 전압 구간으로 분할하였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전압 구간을 더욱 세분화하여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더욱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표 1과 같은 전압 구간 - 주기 매핑 테이블은 저장부(250)에 저장되거나 주기 설정부(266)에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전압 구간 - 주기 매핑 테이블은 단말(200)의 생산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소프트웨어 제공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특정 전압 구간에서 방전 곡선의 기울기가 큰 경우 그 전압 구간에 대한 전압 측정 주기를 짧게 설정하고 반대로 방전 곡선의 기울기가 작은 경우 그 전압 구간에 대한 전압 측정 주기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로 돌아와서 단계 422 내지 단계 442에서 주기 설정부(266)는 표 1과 같은 전압 구간 - 주기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압 측정 주기 J(제1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 단계 450 내지 단계 468을 생략하고 단계 422 내지 단계 442에서 구한 J를 직접 전압 측정 주기로 활용할 수도 있다. 다만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를 기초로 주기 J를 변경한다.
단계 450 내지 단계 468에서 주기 설정부(266)는 단계 340에서 단말 상태 검출부(264)가 검출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에 따라 주기 보정값(제2 파라미터) K를 설정한다.
도 5의 방전 곡선은 소모전류가 290mA인 경우의 측정 결과이다. 소모전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배터리가 방전되는 데 소모되는 시간이 달라진다. 즉, 방전 곡선의 실제 기울기는 소모 전류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동일한 소모전류를 가정할 때 배터리의 방전 곡선의 기울기의 상대적인 변화는 도 5와 동일한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방전 곡선 특성에 따른 주기 J를 활용하되, 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현재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따른 소모전류를 고려하여 구간별 주기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200)에서 영상통화나 통화 등 전류소모가 큰 기능 동작 시에 주기를 짧게 하고 대기 상태인 경우에는 주기를 길게 하도록 보정하는 것이다.
단말(200)에서 어떠한 기능이 수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기능 수행 상태라고 칭한다. 기능 수행 상태에 따른 주기 보정값(K)는 예를 들어 아래 표 2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기능 수행 상태 보정값(K)
영상 통화 1/40
음성 통화 1/30
동영상 녹화 1/20
MP3 재생 1/10
대기 상태 2
예를 들어 음성 통화 중에는 소모전류가 커서 방전 곡선의 기울기가 커지므로 주기 J에 보정값(K) 1/30을 곱해서 짧은 주기로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도록 한다. 반대로 대기 상태에서는 소모전류가 작아서 방전 곡선의 기울기가 작아지므로 주기 J에 보정값(K) 2를 곱해서 긴 주기로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도록 한다.
표 2와 같은 기능 수행 상태-보정값 테이블은 저장부(250)에 저장되거나 제어부(260)의 프로그램 코드에 기록될 수 있다. 기능 수행 상태-보정값 테이블은 단말 제조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소프트웨어 제공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다섯 가지의 기능 수행 상태가 예시되었다. 하지만 실제 적용에서는 더욱 많은 기능 수행 상태에 대한 보정값(K)가 기능 수행 상태-보정값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주기 설정부(266)는 기능 수행 상태-보정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에 상응하는 보정값 K를 추출한다.
단계 470에서 주기 설정부(266)는 주기 J와 보정값 K를 서로 곱해서 최종 전압 측정 주기 T를 설정한다. 전압 측정 주기 T가 설정된 후 T만큼의 시간이 흐르면 배터리 측정 제어부(268)는 도 3의 320단계로 돌아가 전압 측정 주기가 도달한 것을 감지하고 단계 330, 34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압 측정부(262) 및 단말 상태 검출부(264)를 제어한다.
도 5의 실시 예에서 배터리 전압에 따라 기본 주기(제1 파라미터, J)를 구하고 단말(200) 기능 수행 상태에 따라 보정값(제2 파라미터, K)를 구하였다. 그리고 J와 K를 곱한 값을 전압 측정 주기로서 설정하였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에 따라 기본 주기를 구하고 배터리 전압에 따라 보정값을 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 전압과 관계없이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에 따라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구하는 실시 예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J와 K를 곱하는 대신 배터리 전압에 따라 구한 제1 파라미터와 단말(200) 기능 수행 상태에 따라 구한 제2 파라미터를 서로 더하거나 제곱, 로그 연산 등 기타 방식으로 변형하여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르는 전압 측정 주기 설정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의 변형 예는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가 변경됐을 때에 대한 처리가 추가되었다. 단말(200)이 대기 상태일 때 배터리 측정 주기가 정해지면, 비교적 긴 주기 이후에 배터리 전압이 측정된다. 그런데 단말(200)이 대기 상태일 때 배터리 측정 주기가 정해진 뒤 단말(200)이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등을 수행하여 활성화 상태로 진입할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대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가정하여 주기를 설정해 두었는데, 단말(200)이 활성화 상태가 되면 방전 곡선의 기울기가 커져서 짧은 주기로 배터리 전압을 측정할 필요가 생긴다. 그에 따라 단말(200)이 활성화 상태가 되면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재설정하는 변형 예가 도 6에 개시된다.
단계 610에서 단말(200)의 제어부(260)는 단말(200)의 전원이 최초로 인가됐는지 판단한다. 단말(200)의 전원이 최초로 인가된 경우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가 아직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전원이 인가된 후 빠른 시간 내에 (곧바로)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도록 설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단말(200)의 전원이 최초로 인가된 경우에는 단계 630으로 진행하여 배터리 전압 측정 단계를 수행한다. 단말(200)의 전원이 최초로 인가된 경우가 아니라면 단계 620으로 진행한다.
단계 620에서 제어부(260)의 배터리 측정 제어부(268)는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단계 625로 진행한다.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에 도달한 경우 단계 630으로 진행하여 배터리 전압 측정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625에서 배터리 측정 제어부(268)는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가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 단말(200)의 기능 수행 상태가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었다면 단계 630으로 진행하여 배터리 전압 측정을 수행한다. 반대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가 변경되지 않았거나, 활성화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변경된 경우 단계 620으로 돌아가서 전압 측정 주기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 즉, 배터리 측정 제어부(268)는 단말이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되는지 모니터링하고, 단말이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될 때 배터리 전압을 다시 측정하여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재설정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단말(200)을 활성화 상태로 사용할 때 지나치게 긴 시간 동안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단계 630, 640 및 650은 도 3의 단계 330, 340 및 350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4)

  1.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가 도래하였을 때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으로부터 배터리 잔여 용량을 추출하고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을 기초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설정 단계는,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 및 상기 검출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를 기초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설정 단계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1 파라미터 설정 단계;
    상기 검출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2 파라미터 설정 단계; 및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설정 단계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1 파라미터 설정 단계;
    상기 검출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2 파라미터 설정 단계; 및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서로 곱한 값을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설정 단계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에서의 배터리 방전 곡선의 기울기가 클수록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설정 단계는,
    상기 검출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가 더 많은 전력 소모를 요구할수록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가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때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 및 상기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를 기초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8.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단말에 있어서,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으로부터 배터리 잔여 용량을 추출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추출된 배터리 잔여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을 기초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에 도달하면 상기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재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측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를 검출하는 단말 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기 설정부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 및 상기 검출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를 기초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설정부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검출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설정부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검출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서로 곱한 값을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설정부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에서의 배터리 방전 곡선의 기울기가 클수록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설정부는,
    상기 검출된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가 더 많은 전력 소모를 요구할수록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설정부는,
    상기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가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때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 및 상기 단말의 기능 수행 상태를 기초로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10016880A 2011-02-25 2011-02-25 단말 및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KR20120097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80A KR20120097591A (ko) 2011-02-25 2011-02-25 단말 및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US13/108,364 US20120217972A1 (en) 2011-02-25 2011-05-16 Method for setting the period for measuring voltage level of a battery in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80A KR20120097591A (ko) 2011-02-25 2011-02-25 단말 및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591A true KR20120097591A (ko) 2012-09-05

Family

ID=4671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880A KR20120097591A (ko) 2011-02-25 2011-02-25 단말 및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17972A1 (ko)
KR (1) KR201200975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7855B2 (en) * 2012-05-29 2019-05-21 Nutech Ventures Rechargeable multi-cell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405B2 (ja) * 1996-05-09 2000-1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池の残容量推定方法
JP2000231939A (ja) * 1999-02-10 2000-08-22 Toshiba Tec Corp 携帯用端末装置
GB2369189C (en) * 2000-02-18 2008-06-24 Sensei Ltd Method of measuring the battery level in a mobile telephone
WO2002021149A2 (en) * 2000-09-04 2002-03-14 Invensys Energy Systems (Nz) Limited Battery monitoring
US7508168B2 (en) * 2002-05-16 2009-03-24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remaining battery power indicating function
US6915221B2 (en) * 2002-11-18 2005-07-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f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remaining usage time for different modes of a mobile device
US8427166B2 (en) * 2006-03-28 2013-04-23 Gem Power, Llc State of health recognition of secondary batteries
KR20080027978A (ko) * 2006-09-25 2008-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장치
CN101995553B (zh) * 2009-08-12 2013-06-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量检测电路、手机待机时手机状态检测处理装置及方法
US8872518B2 (en) * 2010-06-25 2014-10-28 Atieva, Inc. Determining the state of-charge of batteries via selective sampling of extrapolated open circuit voltage
US9620978B2 (en) * 2010-07-13 2017-04-11 Tomtom International B.V.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physical life of batteries in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17972A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513B1 (ko) 단말 및 단말의 밝기 제어 방법
KR101941510B1 (ko)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00405B1 (ko) 충전 관리 방법, 충전 관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85270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mobile terminal
KR20120138311A (ko)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1171894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US1138110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charging,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150080446A (ko) 무선네트워크 온오프 제어방법, 장치, 이동단말기, 무선액세스설비, 무선네트워크 온오프 제어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87252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ture of mobile terminal
CN104917581A (zh) 系统时间的校正方法、装置、终端及路由器
US11380231B2 (en) Display off-time sensing
US201003152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detection in portable terminal
CN112415367B (zh) 驱动芯片异常侦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651030B (zh) 传感器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0784915A (zh) 电子设备的功耗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830127B (zh) 射频参数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1443803A (zh) 模式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0267142B (zh) 一种移动终端及控制方法
KR20120097591A (ko) 단말 및 단말의 배터리 전압 측정 주기 설정 방법
CN110851014A (zh) 触摸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1627384B (zh) 显示画面补偿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442346A (zh) 显示面板的残影计算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0739742B (zh) 充电保护方法、充电保护电路、充电系统以及终端
CN111132282B (zh)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应用处理器唤醒方法及装置
CN111629263A (zh) 显示画面补偿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