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426A -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426A
KR20120097426A KR1020110035298A KR20110035298A KR20120097426A KR 20120097426 A KR20120097426 A KR 20120097426A KR 1020110035298 A KR1020110035298 A KR 1020110035298A KR 20110035298 A KR20110035298 A KR 20110035298A KR 20120097426 A KR20120097426 A KR 20120097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rcoal
dust
tank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선
Original Assignee
유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선 filed Critical 유명선
Priority to KR102011003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426A/ko
Publication of KR2012009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 숯의 정화시 발생한 분진을 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도록 된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생 숯의 정화시 발생한 분진을 물을 이용해 제거하는 것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로서, 수조와, 상기 수조에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송풍수단과, 상기 수조와 연통되어 물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of recycling charcoal dust}
본 발명은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 숯의 정화시 발생한 분진을 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도록 된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 고기를 구울 때 고기의 특유한 냄새를 제거하거나 살균을 위하여 숯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고기를 구울 때 화력을 증강시키기 위해서 여러 개의 숯을 사용하지만 숯이 완전연소되기 전에 식사를 끝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완전연소되지 않은 숯을 숯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숯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정화작업은 종래에는 숯을 망에 넣어 흔들어 공기의 흐름에 의해 숯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므로 숯을 재생시켰다.
하지만 숯의 정화시 발생한 분진이 주변으로 비산되어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작업자가 부득이하게 비산된 분진을 마셔야 하므로 진폐증 등의 산업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재생 숯의 정화시 발생한 분진을 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동시에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관 하류의 수조와 대응하는 경계부에 복수개의 구멍이 타공된 타공부를 형성하여 물보라를 일으켜 비산하는 먼지를 잡아주므로 적은 용량의 블로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조의 상부에 점검구를 설치하여 수조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한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관의 하부에 필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되는 물이 수질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재생 숯 분진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재생 숯의 정화시 발생한 분진을 물을 이용해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재생 숯의 정화시 발생한 분진을 물을 이용해 제거하기 위하여 수조와, 상기 수조에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송풍수단과, 상기 수조와 연통되어 물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송풍수단은 수조와 연통되는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블로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송풍관 하류의 수조와 대응하는 경계부에 복수개의 구멍이 타공된 타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조의 상부에 수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점검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 숯 분진제거장치는 수조의 하부에 수조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수단에는 분진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는 재생 숯의 정화시 발생한 분진을 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동시에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는 송풍관 하류의 수조와 대응하는 경계부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부를 형성하여 물보라를 일으켜 비산하는 먼지를 잡아주므로 적은 용량의 블로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는 수조의 상부에 점검구를 설치하여 수조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는 배수관의 하부에 필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되는 물이 수질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숯 분진제거장치는 재생 숯의 정화시 발생하는 분진을 물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이와 같이 물을 이용해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재생 숯 분진제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와, 상기 수조(10)에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송풍수단(20)과, 상기 수조(10)와 연통되어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1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방으로는 후술하는 송풍관(22)이 삽입되고 타측 상방으로는 분진이 침전되어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수단(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조(10)는 상부에 수조(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점검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검구(12)를 통하여 내부를 관찰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손을 집어넣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조(10)의 하부에는 배수관(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14) 연통되는 수조의 바닥 부분은 수조(10)의 물을 배출할 때 배수관(14)의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수조(10)의 바닥이 배수관(14)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관(14)에는 배수관(14)을 통하여 배출되는 분진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필터(1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14)에 물의 흐름을 개폐하기 위하여 밸브(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18)는 물의 신속한 배출을 위하여 콕밸브(cock valve)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조(10)는 안정적인 구조를 갖도록 외부에 프레임(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나사(1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수단(20)은 수조(10)와 연통되는 송풍관(22)과, 상기 송풍관(22)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블로어(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관(22)은 하단에 복수개의 구멍이 타공된 타공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조(10)의 물에 수용된 물의 수면은 송풍관(22)의 하단에 형성된 타공부(22a)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면이 타공부(22a)의 하부에 위치하면 송풍관(22)의 내부에 압력을 높여서 강제로 분진을 물속에 주입해야하므로 송풍하기 위해 설치되는 블로어(24)의 용량이 커야한다. 또한 상기 타공부(22a)가 수면의 상부에 위치하면 버블의 형성이 부족하여 분진의 일부가 배기수단(30)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공부(22a)는 버블이 형성이 충분하고 동시에 작은 용량의 블로어(24)를 이용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수면 위로 노출된 부분의 길이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로어(24)는 송풍관(22) 내에 설치되며 다수의 짧은 전방 만곡형(彎曲形) 날개를 가진 시로코 팬(siroco fan)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로어(24)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발을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풋스위치(24a)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수단(30)은 상기 송풍관(22)이 설치되는 수조(10)의 일측과 반대편인 수조(10)의 타측 상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수단(30)은 배기되는 공기 중에서 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수조(10)의 테두리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풍관(22)의 전방에 재생 숯(C)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풋스위치(24a)를 조작하여 블로어(24)를 작동시킨다. 블로어(24)를 작동시키면 송풍관(22)의 입구측에는 부압이 발생하여 블로어(24)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 때 재생 숯(C)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분진이 공기의 흐름을 따라 블로어(24)를 통과하며 송풍관(22)의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송풍관(22)에 의해 수조(10)의 내부로 흘러가는 공기는 일부는 타공부(22a)를 통하여 수면의 상부로 바로 배출되면서 수면에 버블을 형성하고 일부는 수중으로 진행되어 버블을 형성한다. 이 때 형성된 버블에 의해서 수면의 상부로 배출된 분진 또한 버블과 함께 수분을 함유하여 수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던 분진은 버블에 의해서 낙하되거나 수중으로 바로 진행되어 제거되고 공기는 정화된다.
여기서 정화된 공기는 수조(10)의 내부에 계속 공기가 흡입되므로 압력이 높아져 수조(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수단(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시간이 경과되어 수조(10)에 담겨 있는 물의 탁도가 높아지면 물을 교환하기 위하여 배수관(14)에 형성된 밸브(18)를 개방한다. 이 때 배수관(14)에 형성된 필터(16)에 분진이 걸러진다. 다음으로 수조(10)의 물이 다 배출되면 분진이 걸러진 필터(16)를 탈거하여 청소한 후 다시 재부착하여 사용한다.
10 : 수조 12 : 점검구
14 : 배수관 16 : 필터
18 : 밸브 20 : 송풍수단
22 : 송풍관 24 : 블로어
30 : 배출수단 C : 재생 숯

Claims (5)

  1. 재생 숯의 정화시 발생한 분진을 물을 이용해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숯의 정화시 발생한 분진을 물을 이용해 제거하기 위하여 수조와, 상기 수조에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송풍수단과, 상기 수조와 연통되어 물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수조와 연통되는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블로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송풍관 하류의 수조와 대응하는 경계부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부에 수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점검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하부에 수조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수단에는 분진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KR1020110035298A 2011-04-15 2011-04-15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KR20120097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298A KR20120097426A (ko) 2011-04-15 2011-04-15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298A KR20120097426A (ko) 2011-04-15 2011-04-15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426A true KR20120097426A (ko) 2012-09-03

Family

ID=47108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298A KR20120097426A (ko) 2011-04-15 2011-04-15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74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0993A (zh) * 2018-07-20 2018-11-23 湖州金得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内螺纹铜管生产工艺的熔铸排烟装置
KR102277299B1 (ko) * 2021-04-13 2021-07-13 권용진 물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0993A (zh) * 2018-07-20 2018-11-23 湖州金得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内螺纹铜管生产工艺的熔铸排烟装置
KR102277299B1 (ko) * 2021-04-13 2021-07-13 권용진 물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US20190184432A1 (en) A washing apparatus for 3d-printed articles
JP5005735B2 (ja) ミスト除去装置
KR20120097426A (ko) 재생 숯 분진 제거장치
KR20160034154A (ko) 도색 분진 처리장치
US20080202344A1 (en) Oil fog separator
JP2010120007A (ja) 湿式集塵装置
CN214891427U (zh) 多功能空气净化机
CN205762884U (zh) 加弹机
KR101259830B1 (ko) 지중정화시스템의 연무와 스컴 제거장치
CN112902266A (zh) 多功能空气净化机
CN205762883U (zh) 加弹机用排烟装置
KR200392617Y1 (ko) 오일미스트 제거기를 구비한 공기배출라인
CN211562413U (zh) 一种负压的垫料处理装置
CN110772905A (zh) 一种环保处理清理装置
JP2005046671A (ja) 集塵装置
CN215462889U (zh) 一种车辆保养维修用的车辆高压仓洁净除尘装置
CN203876070U (zh) 避免乳化油在管道内形成油垢的炼胶机尾气净化系统
CN104028057A (zh) 一种橡胶炼胶尾气一体化除油除尘装置
KR102667216B1 (ko) Dpf의 잔재 포집 및 비산방지형 처리장치
KR20110008599U (ko) 진공강자흡식 펌프 흡입여과망
KR20130123205A (ko) 드럼통 세척액 정화 및 세척 볼 회수장치
CN106638832A (zh) 食品加工车间使用的清洗下水过滤箱
CN214159704U (zh) 一种食品化学检验用多功能实验台
CN107052037B (zh) 一种气相抽提三相分离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31

Effective date: 201204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530

Effective date: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