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071A -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 Google Patents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071A
KR20120097071A KR1020110016401A KR20110016401A KR20120097071A KR 20120097071 A KR20120097071 A KR 20120097071A KR 1020110016401 A KR1020110016401 A KR 1020110016401A KR 20110016401 A KR20110016401 A KR 20110016401A KR 20120097071 A KR20120097071 A KR 20120097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ver
indoor unit
blowing force
opening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504B1 (ko
Inventor
류정운
문창성
안영길
Original Assignee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5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 패널 하단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어 실내기의 내부에 장착된 열교환기로부터 방출된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 지점을 힌지축으로 하여 틸딩되는 하부커버; 및 전방 상단에 설치되어 기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전방하단이 하부커버의 상부면 전방 일측과 접촉되어, 하부커버의 회전에 의해, 후방 끝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토출구가 개폐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유입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Upper Vent automatic open?and-close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open?and-close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모터 등의 구동수단, 기어 등을 포함하지않고 열교환기에서 방출된 기체의 송풍력만으로 자연 개폐가 가능한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전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팽창밸브로 이루어진 냉동싸이클을 통해 실내를 냉/난방시키고 부가적으로 공기정화기능 등을 갖추어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되고, 이러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입체 냉/난방을 고려하여 실내기의 측면이나 상면 등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추세이다. 즉, 기존에는 토출구를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 상부측에 한 개를 설치하여 토출구 개폐장치를 통해 냉각, 가열된 기체를 토출시켰다. 그러나, 입체적인 냉/난방을 위해 전면 패널 상부측, 양쪽 측면 등에 토출구를 형성시키고, 추가하여 실내의 상부 공간을 적절하게 냉각, 방열시키기 위해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패널에도 별도의 송풍구 개폐장치를 구비하여 실내공간의 상부측으로 직접적으로 기체를 토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의 경우, 기존에는 별도의 전력을 인가받아 모터, 기어 등으로 구성된 개폐장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를 위해 별도의 구동 수단들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손실이 크고, 장치가 비대화되고,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구동수단,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열교환기에서 방출된 기체의 송풍력을 이용하여 송풍력에 비례하여 자연스럽게 개폐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개폐구조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전력수단, 구동수단 등을 구비하지 않고, 후방에서 유입되는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커버와 상부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상부커버의 전방 상단에 구비된 토출구가 개방되어 송풍력에 따라 자동 개폐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개폐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구조는 하부커버가 회전되는 동안, 하부커버에 구비된 틸딩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삽입홈에 형성된 제1꺽임부가 항상 선접촉을 하게 됨으로써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송풍력과 비례하여 토출구의 개방 정도가 결정되도록 자동 제어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개폐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 패널 하단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어 실내기의 내부에 장착된 열교환기로부터 방출된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 지점을 힌지축으로 하여 틸딩되는 하부커버; 및 전방 상단에 설치되어 기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전방하단이 하부커버의 상부면 전방 일측과 접촉되어, 하부커버의 회전에 의해, 후방 끝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토출구가 개폐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하부측으로 꺽임각을 형성하는 제1꺽임부를 갖는 삽입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부커버는 전방부재, 전방부재와 연결되는 후방부재 및 전방부재와 후방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단에서 상부측으로 꺽임각을 형성하는 제2꺽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부커버는 후방에서 후방부재 측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송풍력을 받아 힌지축을 기준으로 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부커버는, 제2꺽임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끝단이 삽입홈의 제1꺽임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틸딩부재를 더 포함하고, 하부커버는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제1꺽임부를 힌지축으로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부커버의 전방 상부면과 상부커버의 전방 하부면 사이에에 구비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여, 하부커버의 회전에 의해, 상부커버가 후방 끝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토출구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부커버에 구비된 토출구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틸딩부재의 끝단과 제1꺽임부는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내기의 내측에 설치되어 열교환기에서 방출된 기체가 후방부재의 후방 측으로 유입되도록 기체의 유동을 유도하는 유로 안내보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에 있어서,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에 유입되어 열교환된 기체가 방출되는 단계; 방출된 기체가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내부공간 하부 측에서 상부 측으로 유동되는 단계; 유동된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 패널 하단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 하부커버가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 지점을 힌지축으로 하여 틸딩되는 단계; 및 전방하단이 하부커버의 상부면 전방 일측과 접촉된 상부커버가 하부커버의 회전에 의해, 후방 끝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부커버의 전방 상단에 설치된 토출구를 통해 기체가 토출되는 단계;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틸딩단계에서, 하부커버는 전방부재, 전방부재와 연결되는 후방부재 및 전방부재와 후방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단에서 상부측으로 꺽임각을 형성하는 제2꺽임부를 포함하여 후방에서 후방부재 측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송풍력을 받아 힌지축을 기준으로 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하부측으로 꺽임각을 형성하는 제1꺽임부를 갖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하부커버는 제2꺽임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끝단이 제1꺽임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틸딩부재를 더 포함하여, 하부커버가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제1꺽임부를 힌지축으로하여 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체의 송풍력에 비례하여 하부커버와 상부커버의 회전각이 결정되고, 토출구의 개방정도는 기체의 송풍력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전력수단, 구동수단 등을 구비하지 않고, 후방에서 유입되는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커버와 상부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상부커버의 전방 상단에 구비된 토출구가 개방되어 송풍력에 따라 자동 개폐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구조는 하부커버가 회전되는 동안, 하부커버에 구비된 틸딩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삽입홈에 형성된 제1꺽임부가 항상 선접촉을 하게 됨으로써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회전되는 과정에서 회전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송풍력에 비례하여 토출구의 개방 정도가 결정되도록 자동 제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측 송풍구를 계폐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과 전력 등이 필요없기 때문에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경량화, 소형화가 가능하고, 부속 부품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개방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를 전방 상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개방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를 전방 하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개방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를 후방 하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닫힌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가이드 부재가 보이도록 도시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개방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5b는 도 5a에서 가이드 부재가 보이도록 도시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닫힌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 부분을 나타낸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의 부분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 부분을 나타낸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의 부분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3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를 전방 상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3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를 전방 하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3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를 후방 하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는 모터, 기어와 같은 별도의 동력 수단없이, 공기조화용 실내기 내부공간에 장착된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기체의 송풍력에 따라 자연적으로 토출구(송풍구)가 개폐되고, 토출구(31)의 개폐 정도가 송풍력에 비례하게 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는 후방에서 유입되는 기체의 송풍력을 인가받게 되는 하부커버(20)와 하부커버(20)의 회전을 가이드 하게 되는 가이드 부재(10), 하부커버(20)의 회전에 따라 후방 끝단을 회전축(33)으로 하여 회전됨으로써 토출구(3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상부커버(30) 등을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20)는 전방부재(21)와 후방부재(22)를 포함하고, 전방부재(21)와 후방부재(22)가 연결된 연결부는 상부측으로 꺽임각을 갖는 제1꺽임부(12)를 포함한다. 구체적 실시예에서 전방부재(21)와 후방부재(22)가 이루는 꺽임각의 각도는 약 85 ~ 105°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31)가 개방된 상태에서, 후방부재(22)는 수평면과 거의 90°의 각도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후방에서 후방부재(22) 측으로 유입되는 기체가 후방부재(22)에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화하게 되어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토출구(3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는 가이드 부재(1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0)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패널(2) 하부면 양측 각각에 설치된다. 그리고, 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0)는 이러한 가이드 부재(10)와 하부커버(20)와 접촉된 부분을 힌지축으로 하여 하부커버(20)가 송풍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부재(10)는 하부 측으로 꺽임각을 형성하는 제1꺽임부(12)를 갖는 삽임홈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커버(20)는 제2꺽임부(23)에서 하부측으로 돌출된 틸딩부재(24)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틸딩부재(24) 끝단이 제1꺽임부(12)에 접촉되도록 하부커버(20)가 가이드 부재(10)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후방에서 유입되는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하부커버(2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힘을 받게 되고, 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부커버(20)는 틸딩부재(24) 끝단과 삽입홈(11)이 접촉되는 제1꺽임부(12)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전되게 된다. 이러한 하부커버(20)의 회전 각도는 유입되는 기체의 송풍력에 비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는 상부커버(30)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커버(30)의 전방 상단에는 기체가 토출되는 토출구(3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토출구(31)에는 복수의 구획을 갖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구획판(32) 각각이 토출되는 풍량에 따라 틸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커버(30)의 전방 하단은 앞서 설명한 하부커버(20)의 전방부재(21) 상부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후방부재(22)에 구비된 틸딩부재(24) 끝단이 가이드 부재(10)의 삽입홈(11)에 장착되어, 제1꺽임부(12)를 힌지축으로 하여 하부커버(20)가 회전될 때, 상부커버(30)도 동시에 상부커버(30)의 후방 하부 끝단에 구비된 회전축(33)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하부커버(20)가 제1꺽임부(12)를 기준으로 회전될 때, 전방 하부면이 하부커버(20) 전방 상부면에 접촉된 상부커버(30)가 상부 측으로 회전력을 인가받아, 후방 하부면 끝단을 회전축(33)으로 하여 회전되게 된다.
또한,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30)가 접촉되는 부분 즉, 하부커버(20)의 전방 상부면과 상부커버(30)의 전방 하부면 사이에는 받침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40)는 하부커버(20)의 회전에 따라 상부커버(30)가 회전될 때, 상부커버(30)와 하부커버(20)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의 동작과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31)가 닫힌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도 4a에서 가이드 부재(10)가 보이도록 도시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31)가 개방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가이드 부재(10)가 보이도록 도시된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31)가 닫힌 상태에서 하부커버(20)의 후방에서 하부커버(20) 측으로 기체가 유입되게 되면, 하부커버(20)는 후방에서 전방 측으로 송풍력을 인가받게 된다. 따라서, 하부커버(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커버(20)의 제2꺽임부(23)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틸딩부재(24) 끝단이 가이드 부재(10)의 삽입홈(11)에 장착되어, 제1꺽임부(12)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하부커버(20)가 제1꺽임부(12)를 힌지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하부커버(20)의 전방 상부면과 상부커버(30) 전방 하부면 사이에 설치된 받침부재(40)를 연결매체로 하여 상부커버(30) 전방이 상부측으로 회전력을 인가받게 된다.
따라서, 상부커버(30)는 후방 하부면 끝단에 위치한 회전축(33)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부커버(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부커버(30) 전방 상부에 위치한 토출구(31)가 외부로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기에서 방출된 기체가 토출구(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31)가 닫힌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10) 부분을 나타낸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구(31)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10) 부분을 나타낸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1)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20)의 제2꺽임부(23) 측에 구비된 틸딩부재(24)의 끝단은 가이드 부재(10)에 형성된 삽입홈(11)의 제1꺽임부(12)와 접촉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부커버(20)가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동안, 항상 틸딩부재(24)는 제1꺽임부(12)와 선접촉되게 됨으로써, 회전에 따른 마찰력이 최소화되게 된다. 즉, 비교적 적은 송풍력에 의해서도 하부커버(20)가 회전되게 된다. 또한, 후방부재(22)로 유입되는 기체의 송풍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하부커버(20)의 회전각이 제어되게 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31)가 닫힌 상태에서 틸딩부재(24)는 삽입홈(11)의 오른쪽(도 6a 및 도 6b기준)에 위치하게 되고, 토출구(3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와 같이, 틸딩부재(24)가 삽입홈(11)의 왼쪽(도 6a 및 도 6b 기준)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의 개폐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은 앞서 설명한 개폐장치(1)를 이용한 것이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통상의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조화용 실내기 내부공간 일측에 설치된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열교환된(냉각 또는 가열) 기체로 방출되게 된다(S10).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기체는 블로우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기에 의해 상부측으로 유동되게 된다(S20). 그리고, 필요에 따라 실내기에는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기체를 상부측 송풍구 측으로 유동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 안내 보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측으로 유동된 기체는 후방에서 하부커버(20)의 후방부재(22) 측으로 유동하면서, 하부커버(20)에 송풍력을 인가하게 된다. 즉, 유동된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 패널(2) 하단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10)에 연결된 하부커버(20)가 가이드 부재(10)에 연결된 지점을 힌지축으로 하여 틸딩되게 된다(S30).
즉, 가이드 부재(10)는, 하부측으로 꺽임각을 형성하는 제1꺽임부(12)를 갖는 삽입홈(11)을 구비하고, 하부커버(20)에는 전방부재(21)와 후방부재(22)가 꺽임각을 형성하고 있는 제2꺽임부(23) 부분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틸딩부재(24)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틸딩부재(24) 끝단이 삽입홈(11)의 제1꺽임부(12)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하부커버(20)가 실내기의 내부에 장착된 열교환기로부터 방출된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제1꺽임부(12)를 힌지축으로하여 틸딩되게 된다.
그리고, 전방하단이 하부커버(20)의 상부면 전방 일측과 접촉된 상부커버(30)가 하부커버(20)의 회전에 의해, 후방 끝단을 회전축(33)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부커버(30)의 전방 상단에 설치된 토출구(31)를 통해 기체가 토출되게 된다(S40).
따라서, 송풍력에 비례하여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30)의 회전각이 결정되기 때문에, 토출구(31)의 개폐정도는 유입되는 기체의 송풍력과 비례하게 된다. 즉, 하부커버(20)가 열교환기에서 방출된 기체에 의해 송풍력을 인가받지 않는다면, 토출구(31)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하부커버(20)가 기체에 의해 송풍력을 인가받게 되면 자연스럽게 하부커버(20), 상부커버(30)가 회전되면서 토출구(31)가 개방되게 된다.
또한, 송풍력의 정도에 따라 상부커버(30)와 하부커버(20)의 회전각이 결정되므로, 단계별로 별도의 구동수단, 전력수단, 기어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토출구(31)의 개방정도가 송풍력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게 된다.
1: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2:상부패널
10:가이드부재
11:삽입홈
12:제1꺽임부
20:하부커버
21:전방부재
22:후방부재
23:제2꺽임부
24:틸딩부재
30:상부커버
31:토출구
32:구획판
33:회전축
40:받침부재

Claims (11)

  1.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 패널 하단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 장착된 열교환기로부터 방출된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 지점을 힌지축으로 하여 틸딩되는 하부커버; 및
    전방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전방하단이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면 전방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하부커버의 회전에 의해, 후방 끝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토출구가 개폐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하부측으로 꺽임각을 형성하는 제1꺽임부를 갖는 삽입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전방부재, 상기 전방부재와 연결되는 후방부재 및 상기 전방부재와 상기 후방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단에서 상부측으로 꺽임각을 형성하는 제2꺽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후방에서 상기 후방부재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기체의 송풍력을 받아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제2꺽임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끝단이 상기 삽입홈의 상기 제1꺽임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틸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제1꺽임부를 힌지축으로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전방 상부면과 상기 상부커버의 전방 하부면 사이에에 구비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커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커버가 후방 끝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토출구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틸딩부재의 끝단과 상기 제1꺽임부는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8.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에 유입되어 열교환된 기체가 방출되는 단계;
    방출된 상기 기체가 상기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내부공간 하부 측에서 상부 측으로 유동되는 단계;
    유동된 상기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 패널 하단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 하부커버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 지점을 힌지축으로 하여 틸딩되는 단계; 및
    전방하단이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면 전방 일측과 접촉된 상부커버가 상기 하부커버의 회전에 의해, 후방 끝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의 전방 상단에 설치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기체가 토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틸딩단계에서,
    상기 하부커버는 전방부재, 상기 전방부재와 연결되는 후방부재 및 상기 전방부재와 상기 후방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단에서 상부측으로 꺽임각을 형성하는 제2꺽임부를 포함하여 후방에서 상기 후방부재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기체의 송풍력을 받아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하부측으로 꺽임각을 형성하는 제1꺽임부를 갖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제2꺽임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끝단이 상기 제1꺽임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틸딩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커버가 상기 기체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제1꺽임부를 힌지축으로하여 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송풍력에 비례하여 상기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회전각이 결정되고, 상기 토출구의 개방 정도는 상기 기체의 송풍력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KR1020110016401A 2011-02-24 2011-02-24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KR10118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401A KR101188504B1 (ko) 2011-02-24 2011-02-24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401A KR101188504B1 (ko) 2011-02-24 2011-02-24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071A true KR20120097071A (ko) 2012-09-03
KR101188504B1 KR101188504B1 (ko) 2012-10-08

Family

ID=4710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401A KR101188504B1 (ko) 2011-02-24 2011-02-24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6894A (zh) * 2014-12-03 2015-03-25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顶部出风的导风板结构
CN107089119A (zh) * 2017-04-16 2017-08-25 郭莹莹 多功能车载空气净化器
KR20230040455A (ko) * 2021-09-16 2023-03-23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량조절 블레이드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906A (ja) 1998-12-10 2000-06-30 Tateyama Alum Ind Co Ltd 建物の自然換気装置
KR200284636Y1 (ko) 2002-05-09 2002-08-05 김우영 승강개폐판을 구비한 환풍기
KR100894397B1 (ko) 2008-07-15 2009-04-20 이준길 풍력과 무게중심을 이용한 자동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6894A (zh) * 2014-12-03 2015-03-25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顶部出风的导风板结构
CN107089119A (zh) * 2017-04-16 2017-08-25 郭莹莹 多功能车载空气净化器
KR20230040455A (ko) * 2021-09-16 2023-03-23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량조절 블레이드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504B1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83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8361837B (zh) 空调的室内单元和连接其制冷剂管的方法
US20180274798A1 (en) Air conditioner
KR10088887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87527B1 (ko) 공기조화기
KR101188504B1 (ko)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KR100845241B1 (ko) 공기조화기
KR101224646B1 (ko) 에어컨의 실내기
KR101492504B1 (ko) 냉풍 제습기
KR100732420B1 (ko) 공기조화기
KR10196216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209125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931078B1 (ko) 버스용 냉방장치
KR100931077B1 (ko) 버스용 냉방장치
KR10140469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84301B1 (ko) 공기조화기
KR100728345B1 (ko) 에어컨의 오토셔터 개폐장치
JP2016099034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装置の調整方法及び空気調和設備の製造方法
CN217057707U (zh) 空调室内机
KR20100032759A (ko) 멀티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0002534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850980B2 (ja) 冷却貯蔵庫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KR20050115345A (ko) 공기조화기
KR200165386Y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