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342A -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 Google Patents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342A
KR20120096342A KR1020110015710A KR20110015710A KR20120096342A KR 20120096342 A KR20120096342 A KR 20120096342A KR 1020110015710 A KR1020110015710 A KR 1020110015710A KR 20110015710 A KR20110015710 A KR 20110015710A KR 20120096342 A KR20120096342 A KR 20120096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m
post
treatment method
weight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춘
정형미
이춘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6342A/ko
Publication of KR2012009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sulfo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은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도펀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 전도성 필름을 후처리하여, 전도성 고분자 주변에 비전도 분자 사슬을 제거함으로써, 면저항 값이 500 Ω/□ 이하인,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Post treatment method for conductive film and the conductive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panel)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터치패널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패널과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이다.
저항막방식 터치패널의 경우, 상/하부 투명전극막이 스페이서에 의해 이격되고 눌림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된 형태이다. 상부 투명전극막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전도성 필름이 손가락, 펜 등의 입력수단에 의해 눌릴 때 상/하부 투명전극막이 통전되고, 그 위치의 저항값 변화에 따른 전압변화를 제어부에서 인지하여 접촉좌표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저항막방식과 아날로그 저항막방식이 있다.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의 경우, 제1 투명전극이 형성된 상부 전도성 필름과 제2 투명전극이 형성된 하부 전도성 필름이 서로 이격되며, 제1 투명전극과 제2 투명전극이 접촉하지 못하게 절연재가 삽입된다. 또한, 상부 전도성 필름과 하부 전도성 필름에는 투명전극과 연결된 전극배선이 형성된다. 전극배선은 입력수단이 터치스크린에 접촉함에 따라 제1 투명전극과 제2 투명전극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종래에는 ITO(Indium Tin Oxide; 인듐-주석 산화물)를 이용하여 투명전극을 형성하였으나, 현재 이를 대체하기 위한 물질로서 전도성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전도성 고분자는 ITO에 비해 유연성이 뛰어나고 코팅 공정이 단순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전도성 고분자는 터치패널 뿐만 아니라 차세대 기술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기대가 주목되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 중 PEDOT/PSS는 전기전도도 특성 및 투과율이 우수하여 현재 널리 시판되고 있다. 폴리티오펜계 전도성 고분자인 PEDOT은 103 ~ 106 S/cm의 우수한 전기전도도를 갖으나, 물에 녹지 않아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펀트로 음이온성을 지닌 PSS를 도입하여, PEDOT/PSS의 복합체로서 물에서 안정된 분산체로 존재할 수 있다.
다만, PSS를 도펀트로 사용하는 경우 전기전도도가 0.1 S/cm ~ 10 S/cm로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PEDOT/PSS는 전기전도도의 경시변화가 커, 투명전극의 전압값 또는 캐패시턴스 변화를 통한 터치지점의 좌표를 계산하는데 있어 안정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필름을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도펀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 후처리하여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은 (A)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상기 베이스 부재에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전도성 필름을 얻는 단계 및 (C)상기 전도성 필름을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도펀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 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는 침지법 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는 5분 내지 60분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용액은 AQSA 0.5중량% ~ 20중량%, 도펀트 1중량% ~ 10중량% 및 유기용매 70중량% ~ 9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펀트는 염산(HCl),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N-메틸피롤리돈(NMP),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및 N-디메틸아세트이미드(DMA)인 극성용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용매는 지방족 알코올, 지방족 케톤, 지방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토 니트릴 및 지방족 술폭시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폴리티오펜계, 폴리피롤계, 폴리페닐렌계, 폴리아닐린계 또는 폴리아세틸렌계 전도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의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티오펜계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름은 상기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에 의해 후처리되어, 면저항값이 500 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도펀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 전도성 필름을 후처리하여, 전도성 고분자 주변에 비전도 분자 사슬을 제거함으로써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면저항값이 500 Ω/□ 이하인 전도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도펀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 전도성 필름을 후처리시, 전도성 고분자의 구조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은 (A)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베이스 부재에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전도성 필름을 얻는 단계 및 (C)전도성 필름을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도펀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 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은 혼합용액 속에 존재하는 AQSA가 전도성 고분자 주변을 둘러싸게 됨으로써, 비전도 분자 사슬과의 분자간 인력(intermolecular force)을 약화시켜,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전도도가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을 순서대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이스 부재를 준비한다. 베이스 부재는 지지력과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전술한 지지력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베이스 부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베이스 부재에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전도성 필름을 제조한다.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베이스 부재에 코팅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에 투명전극이 형성된다. 투명전극은 캐패시턴스의 변화(정전용량방식) 또는 저항값 변화(저항막방식)가 감지되는 부분이다.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용매에 전도성 고분자가 용해된 용액을 말하며, 바인더, 도펀트, 분산안정제 및 계면활성제 등과 같은 기타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고분자는 탄소원자 하나 당 한개의
Figure pat00001
-전자를 갖는 전기전도성을 띄는 고분자로서 일반적으로 약 1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다. 전도성 고분자는 기존의 투명전극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ITO(Indium Tin Oxide)에 비해 경량임과 동시에 유연성이 높은 박막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티오펜계, 폴리피롤계, 폴리페닐렌계, 폴리아닐린계 또는 폴리아세틸렌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폴리티오펜계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이다. 구체적으로 (주)H.C스탈크사의 클레비오스 피(Clevios P) 제품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은 도펀트로서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가 도핑되어 있어 물에 잘 녹는 성질을 나타내며, 열적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은 물에 최적 분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PEDOT 및 PSS 고형분 농도가 1.0중량% ~ 1.5중량% 범위로 조정되어 있다. 상기 PEDOT은 추가로 물, 알콜 또는 유전상수가 큰 용매와 잘 혼합되므로 상기 용매와 희석하여 쉽게 코팅할 수 있으며, 코팅막을 형성하였을 때도 기타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아닐린계, 폴리피롤계 등과 비교해 우수한 투명도를 나타낸다.
한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베이스 부재에 코팅함에 있어, 건식공정 또는 습식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건식공정으로는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Evaporation) 등이 있으며, 습식공정으로는 딥 코팅(Dip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이 코팅된 베이스 부재를 열풍건조, 진공건조 또는 자외선(IR)건조함으로써,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형태의 투명전극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도성 필름을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도펀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 후처리한다. 본 발명은 상기 혼합용액으로 후처리함으로써, 전도성 고분자 주변에 AQSA가 존재하게 되어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가 향상된다. 또한,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 변화폭이 감소되어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을 참고하여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 향상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PEDOT/PSS의 경우, 분자간 인력에 의해 전기전도도를 띄는 PEDOT 고분자 주변에 음이온성 PSS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PSS는 PEDOT의 스태킹(stacking)을 방지하여 용매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낮은 전기전도도의 PSS가 PEDOT 주변에 비전도 분자 사슬을 형성함으로써,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가 전체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AQSA를 포함한 혼합용액으로 후처리하는 경우, 음이온성 AQSA가 PEDOT 주변에 둘러싸게 되어, PEDOT과 PSS간의 분자간의 인력(intermolecular force)이 약화된다. 따라서, PEDOT과 PSS의 비전도 분자 사슬이 분리되어 이격됨으로써,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가 향상된다.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는 혼합용액에 0.5중량% ~ 20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중량% ~ 10중량%가 포함된다. AQSA가 0.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AQSA 첨가에 따른 전기전도도 향상이 미미하며,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적인 첨가에 따른 전기전도도 향상효과가 없고, 상대적으로 유기용매의 양이 적어져 PSS를 용해시켜 제거하기가 어렵다.
Figure pat00002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도펀트는 전도성 고분자를 분산시켜, 추가적으로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펀트는 산소 및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예로서 에테르기 화합물, 카르보닐기 화합물,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도펀트로서 에테르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는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이 사용되며, 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이소프론,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시클로헥사논 또는 부티로락톤 등이 사용된다. 극성용매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성능이 우수하여 주로 사용되며, 염산(HCl),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N-메틸피롤리돈(NMP),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및 N-디메틸아세트이미드(DMA)인 극성용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때, 도펀트는 혼합용액에 1중량% ~ 10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3중량% ~ 8중량%가 포함된다. 도펀트가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 향상이 미미하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펀트 첨가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향상효과가 없으므로 도펀트가 낭비될 수 있다.
유기용매에는 AQSA 및 도펀트가 용해되며, 침지법 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용이하게 전도성 필름을 후처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PEDOT/PSS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을 후처리시, PSS가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다. 유기용매는 지방족 알코올, 지방족 케톤, 지방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토 니트릴 및 지방족 술폭시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때, 유기용매는 혼합용액에 70중량% ~ 90중량%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75중량% ~ 85중량%가 포함된다. 유기용매가 혼합용액에 7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AQSA 및 도펀트의 용해가 어려우며, 90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에 따른 전기전도도 향상 효과가 저하된다.
전도성 필름을 혼합용액으로 침지법 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후처리할 수 있다. 혼합용액에 전도성 필름을 일정시간 담그는 침지법이나, 스프레이 장치로 전도성 필름에 혼합용액을 도포하는 방식인 스프레이법은 방법이 단순하며,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후처리는 5분 내지 60분간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50분간 혼합용액으로 후처리한다. 후처리 시간은 혼합용액의 조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필름은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베이스 부재에 코팅 및 건조한 후, 이를 AQSA, 도펀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 후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후처리 방법에 의해 처리된 전도성 필름은 면저항값이 500 Ω/□ 이하로서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하기 시험예 결과와 같이 전도성 필름을 후처리하는 경우,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의 변화 폭이 작어 안전성이 향상됨이 알 수 있다.
PEDOT/PSS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베이스 부재 위에 스핀코팅한 후 100℃ 정도에서 5분간 건조하여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i-프로판올 유기용매에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및 도펀트로 염산(HCl)을 넣고 1시간 정도 교반하여 제조한 혼합용액에 전도성 필름을 30분간 침지하여 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때, 혼합용액의 조성비는 i-프로판올 90중량%,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1중량%, 염산(HCl) 9중량% 이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i-프로판올 89중량%,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2중량%, 염산(HCl) 9중량%로 혼합용액의 조성비를 달리하여 전도성 필름을 후처리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i-프로판올 86중량%,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5중량%, 염산(HCl) 9중량%로 혼합용액의 조성비를 달리하여 전도성 필름을 후처리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i-프로판올 84중량%,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7중량%, 염산(HCl) 9중량%로 혼합용액의 조성비를 달리하여 전도성 필름을 후처리하였다.
<비 교 예>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PEDOT/PSS 전도성 필름을 혼합용액으로 후처리하지 않았다.
< 시 험 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도성 필름의 면저항값을 측정하였다. 면저항값의 측정은 Mitsubishi chemical사의 Loresta EP MCP-T360 을 사용하였다.

면저항(Ω/□)
실시예 1
275
실시예 2
265
실시예 3
255
실시예 4
266
비 교 예
1050
상기 표 1의 실험데이터 결과값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AQSA, 도펀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 후처리된 전도성 필름은 후처리하지 않은 경우(비교예)보다 면저항이 낮음을 볼 때, 후처리시 전도성 필름의 전기전도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9)

  1. (A)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상기 베이스 부재에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전도성 필름을 얻는 단계; 및
    (C)상기 전도성 필름을 AQSA(Anthraquinone-2-sulfonic acid), 도펀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으로 후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는 침지법 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하는 단계는 5분 내지 60분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은 AQSA 0.5중량% ~ 20중량%, 도펀트 1중량% ~ 10중량% 및 유기용매 70중량% ~ 9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염산(HCl),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N-메틸피롤리돈(NMP),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및 N-디메틸아세트이미드(DMA)인 극성용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지방족 알코올, 지방족 케톤, 지방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토 니트릴 및 지방족 술폭시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폴리티오펜계, 폴리피롤계, 폴리페닐렌계, 폴리아닐린계 또는 폴리아세틸렌계 전도성 고분자 중 어느 하나의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리티오펜계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9.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에 의해 후처리되어, 면저항값이 500 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름.
KR1020110015710A 2011-02-22 2011-02-22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KR20120096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710A KR20120096342A (ko) 2011-02-22 2011-02-22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710A KR20120096342A (ko) 2011-02-22 2011-02-22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342A true KR20120096342A (ko) 2012-08-30

Family

ID=4688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710A KR20120096342A (ko) 2011-02-22 2011-02-22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63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223A1 (ko) * 2018-03-13 2019-09-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전도성 처리를 포함하는 고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223A1 (ko) * 2018-03-13 2019-09-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전도성 처리를 포함하는 고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
KR20190107859A (ko) * 2018-03-13 2019-09-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전도성 처리를 포함하는 고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
US20210054217A1 (en) * 2018-03-13 2021-02-25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dation Hanyang University Method of manufacturing highly conductive polymer thin film including plurality of conductive treatments
US11708499B2 (en) * 2018-03-13 2023-07-25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ethod of manufacturing highly conductive polymer thin film including plurality of conductive treat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0935A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JP5869627B2 (ja) 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透明導電膜
US20110310053A1 (en)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for transparent electrode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US20110169751A1 (en) Touch screen input device
JP5069284B2 (ja) 電圧の逆転による導電性ポリマーの寿命の増大
US20120193584A1 (en)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20541B1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EP1950246A1 (en) Conductive resin composition, conductive film comprising the same, and resistive-film switch employing the same
US8692791B2 (en) Touch panel
JP2012027888A (ja) 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77870A (ko)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US20120161080A1 (en)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and conductive film using the same
US20160351416A1 (en)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102653711B1 (ko) 접촉 감응 소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20096342A (ko) 전도성 필름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KR20120078976A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CN105097127B (zh) 制造高分子透明导电膜的方法及分散液
US20160291734A1 (en) Touch control uni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120073855A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KR20110113713A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용 스타일러스
KR20130086461A (ko) 전극 형성방법
US20120056843A1 (en) Resistive touch panel
US20130092653A1 (en) Electrode Forming Method
KR101399415B1 (ko)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전도성 고분자의 전처리 방법
KR20120056590A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