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143A - 방진 마스크 - Google Patents

방진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143A
KR20120096143A KR1020110015361A KR20110015361A KR20120096143A KR 20120096143 A KR20120096143 A KR 20120096143A KR 1020110015361 A KR1020110015361 A KR 1020110015361A KR 20110015361 A KR20110015361 A KR 20110015361A KR 20120096143 A KR20120096143 A KR 20120096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hole
discharge
mas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787B1 (ko
Inventor
하춘욱
황호성
Original Assignee
(주)씨앤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투스 filed Critical (주)씨앤투스
Priority to KR1020110015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7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에 구비되는 흡입플랩부에 정화 필터부가 결합되어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마스크 착용자에게 제공하고, 마스크 내부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플랩부가 구비되는 방진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배출플랩부를 여닫는 플랩의 고정을 견고히 하여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에도 플랩의 결합구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며, 배기가스의 외부 유출이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배출플랩부를 통한 오염된 외부 공기의 직접 유입을 방지하여 배기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배출플랩부가 구비되는 방진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입과 코를 밀착 커버하고 중앙부에는 통공되게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을 중심으로 측면에는 흡입플랩부(112)가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110)와, 상기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내부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플랩부(130)와, 상기 흡입플랩부(112)에 결합되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내부로 유입시키는 정화 필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진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배출플랩부(130)는, 중앙부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와 연통되게 배기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141)의 외곽을 따라 돌출되게 플랩 시트부(142)가 구비되며, 배기공(141)에서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결합공(143)이 통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랩 시트부(142)와 결합공(143)을 내부로 폐쇄되게 감싸며 돌출형성되는 결합 프레임(144)이 형성되는 배출플랩부 본체(140); 일측은 상기 결합공(143)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공(151)이 통공되게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플랩 시트부(142)의 지지를 받으며 안착되는 배출 플랩(150); 일측은 상기 부착공(151) 및 결합공(143)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부착공(151) 및 결합공(143)을 관통한 일측단에는 배출플랩부 본체(140)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고리(172)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71)가 돌출형성되는 플랩 결합구(170);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개방된 후방의 내측면에 상기 결합 프레임(144)의 외측면이 끼워져 결합되며, 전방에는 통공되게 다수의 배기 안내공(162)이 형성되는 배출플랩부 캡(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진 마스크{The Dust Respirator}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에 구비되는 흡입플랩부에 정화 필터부가 결합되어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마스크 착용자에게 제공하고, 마스크 내부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플랩부가 구비되는 방진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배출플랩부를 여닫는 플랩의 고정을 견고히 하여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에도 플랩의 결합구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며, 배기가스의 외부 유출이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배출플랩부를 통한 오염된 외부 공기의 직접 유입을 방지하여 배기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배출플랩부가 구비되는 방진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방진 마스크는, 오염지역, 각종 위급상황, 공기가 오염될 수 있는 산업분야,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발생되는 유해성 물질이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면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크게 눈과 호흡기를 포함하여 안면 전체를 보호하는 전면형 방진 마스크(Full Face Dust Mask)와, 호흡기만을 보호하는 반면형 방진 마스크(Half Face Dust Mask)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반면형 방진 마스크는, 전면형 방진 마스크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착용감이 좋기 때문에, 굳이 눈까지 보호할 필요가 없는 산업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유동인구가 많고 화재의 사고 위험이 많은 공공장소, 예컨대 극장이나 지하철 등에는 방진 마스크의 비치가 의무화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보관함을 비치하여 방진마스크를 보관하고 있다.
종래의 방진마스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과 코를 밀착 커버하고 중앙부에 배출플랩부(40)가 구비되며, 좌?우측에는 흡입플랩부(30)가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2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흡입플랩부(30)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정화 필터부(31)로 구성된다. 방진 마스크 착용자의 들숨에 의해 오염된 공기는 마스크 본체(20)의 상기 좌?우측에 결합된 정화 필터부(31)를 거치면서 깨끗하게 정화되어 흡입플랩부(30)를 거쳐 착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고, 방진 마스크 착용자의 날숨에 의한 배기가스는 상기 마스크 본체(20)의 중앙부에 구비된 상기 배출플랩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종래 방진 마스크의 배출플랩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20)의 중앙부에 통공되게 통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기공에 연통되게 배기공(42)이 구비되는 밸브바디(43)와, 착용자가 공기를 내뱉을 때에는 상기 배기공(42)을 개방하고 착용자가 공기를 들여 마실 때에는 배기공(42)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바디(43)의 결합홈(41)에 끼워져 결합되는 가요성 밸브플랩(50) 및, 하부에 안내공(61)이 상기 배기공(42)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밸브바디(43)의 전방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전방덮개(6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방진 마스크(10)에 의하면, 방진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는 작업환경에 따라 여러가지 자세를 취하며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작업 수행 중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밸브플랩(50)이 밸브바디(43)의 결합홈(41)에서 이탈되어 배출플랩부(40)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다양한 각도에서 사용하는 도중에 밸브플랩(50) 자체의 중량 때문에 호흡 정지 상태에서 배기공(42)이 빈번하게 열려 오염된 공기가 수시로 내부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밸브플랩(50)을 밸브바디(43)에 고정시키기 위한 밸브플랩(50)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진 마스크의 배출플랩부를 구성하는 플랩이 견고하게 밸브바디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여러가지 작업환경에서 발생되는 방진 마스크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에도 플랩이 밸브바디의 결합구에서 이탈됨이 없이 안전하게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대기 오염된 환경에서 착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플랩이 자중에 의해 쉽게 배기공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착용자의 날숨으로 개방된 배기공을 빠르게 밀폐시킬 수 있게 하여 여러가지 작업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배출플랩부가 구비된 방진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입과 코를 밀착 커버하고 중앙부에는 통공되게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을 중심으로 측면에는 흡입플랩부(112)가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110)와, 상기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내부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플랩부(130)와, 상기 흡입플랩부(112)에 결합되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내부로 유입시키는 정화 필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진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배출플랩부(130)는, 중앙부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와 연통되게 배기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141)의 외곽을 따라 돌출되게 플랩 시트부(142)가 구비되며, 배기공(141)에서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결합공(143)이 통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랩 시트부(142)와 결합공(143)을 내부로 폐쇄되게 감싸며 돌출형성되는 결합 프레임(144)이 형성되는 배출플랩부 본체(140); 일측은 상기 결합공(143)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공(151)이 통공되게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플랩 시트부(142)의 지지를 받으며 안착되는 배출 플랩(150); 일측은 상기 부착공(151) 및 결합공(143)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부착공(151) 및 결합공(143)을 관통한 일측단에는 배출플랩부 본체(140)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고리(172)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71)가 돌출형성되는 플랩 결합구(170);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개방된 후방의 내측면에 상기 결합 프레임(144)의 외측면이 끼워져 결합되며, 전방에는 통공되게 다수의 배기 안내공(162)이 형성되는 배출플랩부 캡(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방진 마스크(100)에서, 상기 배출 플랩(150)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보형 리브(152)가 소정 간격을 두고 전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 플랩(150)은, 상기 걸림돌기(171)가 상기 부착공(151)에 끼워져 전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상기 플랩 결합구(170)와의 결합부위를 밀폐시키는 밀폐 리브(153)가, 전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는, 상기 결합공(143)을 내부로 폐쇄되게 감싸며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부착공(151) 및 결합공(143)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랩 결합구(170)를, 상기 배출 플랩(150)의 하측면에 접하여 지지하는 결합리브(14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랩 시트부(142)는, 상기 배출플립부 본체에서의 돌출높이가 상기 결합공(143)이 형성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는,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배기공(141)을 반분하여 지지리브(145)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리브(145)의 높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플랩 시트부(142)의 돌출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플랩 결합구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 플랩의 일측을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 플랩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배출플랩부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에 따른 작업수행에도 밸브 플랩이 플랩 결합구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배출 플랩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보형 리브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시킴으로써, 대기 오염된 환경에서 방진 마스크 착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배출 플랩이 자중에 의해 쉽게 배기공에서 이격되지 않으며, 방진 마스크 착용자의 날숨으로 개방된 배기공을 빠르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안전하게 방진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방진 마스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100)에 있어서, 배출플랩부(13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배기공(141)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a는 도 3에서 플랩 시트부(142)에 안착된 배출 플랩(150)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도 3에서 배기공(141)을 개폐시키는 배출 플랩(150)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100)에 있어서, 배출플랩부(130)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100)에 있어서, 배출플랩부(13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배기공(141)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는 도 3에서 플랩 시트부(142)에 안착된 배출 플랩(1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3에서 배기공(141)을 개폐시키는 배출 플랩(150)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100)에 있어서, 배출플랩부(130)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100)는, 도 2a 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중앙부에 통공되게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이 형성되며 좌?우측면에는 흡입플랩부(112)가 형성되어 입과 코를 밀착커버하는 마스크 본체(110)와, 상기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착용자의 호흡에 따른 내부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플랩부(130)와, 상기 흡입플랩부(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흡입플랩부(112)를 통해 내부로 유입시키는 정화 필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 본체(110)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감싸며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구비되게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배출플랩부(130)가 구비되고, 측면으로는 정화 필터부(120)가 장착되는 흡입플랩부(112)가 구비되고, 마스크 착용자의 들숨시에는, 상기 정화 필터부(120)로 유입되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어 흡입플랩부(112)를 통해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며, 날숨시에는 배기가스가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플랩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양측면으로는 걸이끈(도시되지는 않음)이 구비되어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걸이끈은 신축이 자유로운 고정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귀나 머리 뒤쪽으로 걸어지도록 구성되어 착용자의 얼굴로부터 마스크 본체(110)가 분리되지 않게 한다.
상기 배출플랩부(13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중앙부에 통공되게 형성된 배출플랩부 장착공(111)과 연통되는 배기공(141)이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110)에 결합되는 배출플랩부 본체(140)와,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의 배기공(141)을 개폐시키는 배출 플랩(150) 및,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의 전방으로 결합되는 배출플랩부 캡(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배기공(141)이 통공되게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배출플랩부 장착공(111)과 연통되고, 상기 배기공(141)의 외곽으로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플랩 시트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배기공(141)에서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143)이 통공되게 구비되고, 상기 플랩 시트부(142)와 고정돌기(143)를 내부로 폐쇄되게 외곽으로 감싸며 결합 프레임(144)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배출 플랩(15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통공되게 하나 이상의 부착공(151)이 형성되어 플랩 결합구(170)의 걸림돌기(171)를 통해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플랩 시트부(142)에 후면이 접하여 지지를 받으며 안착된다. 상기 배출 플랩(150)은, 휘어짐이 자유로운 탄성 재질의 가요성 얇은 판상체로 상기 플랩 시트부(142)에 안착된 상태에서 자체의 탄성에 의해 배기공(141)을 밀폐시키게 된다.
종래 배출 플랩(150)의 경우, 후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배출플랩부 본체(140)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 플랩(150)의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되어,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출 플랩(150)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방진 마스크(100)에서는, 배출 플랩(150)에 통공되게 부착공(151)을 천공의 방법으로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 플랩(150)을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조생산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플랩(150)의 상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보형 리브(152)를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보형 리브(152)의 탄성에 의해 상기 배출 플랩(150)이 배기공(141)을 빠르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대기 오염된 환경에서 착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오염된 외부 공기가 상기 정화 필터부(120) 및 흡입플랩부(112)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배출플랩부(130)의 배기공(141)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랩 시트부(142)에 있어서,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플랩부 본체(140)에서의 돌출높이를 상기 결합공(143)이 형성되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플랩 시트부(142)에 후면이 접하여 안착되는 배출 플랩(150)은 상기 플랩 시트부(142)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측으로 휘어진 상태, 즉, 전방에서 후방으로 복원되고자 하는 소정의 탄성 복원력이 축적된 상태에서 플랩 시트부(142)에 안착되어 배기공(141)을 밀폐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내부 배기가스가 배기공(1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 상기 배기공(141)에서 이격된 상기 배출 플랩(150)이 더 빠르게 상기 플랩 시트부(142)에 안착되면서 배기공(141)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의 배기공(141)에는, 도 4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배기공(141)을 반분하는 위치에 지지리브(145)가 구비되게 하고, 상기 지지리브(145)의 높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지게 구비시켜, 상기 플랩 시트부(142)의 돌출높이와 동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플랩 시트부(142)와 함께, 상기 배출 플랩(150)을 지지하여 반듯하고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이 축적된 상태로 상기 플랩 시트부(142) 및 지지리브(145)에 안착되어 배기공(141)을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145)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공(141)에 좌에서 우로 가로지르는 고정 지지리브(145)를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랩 결합구(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배출 플랩(150)의 부착공(151) 및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의 결합공(143)에 동시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부착공(151) 및 결합공(143)을 관통한 일측단이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고리(172)가 하나이상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출 플랩(150)의 상부를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에 고정 결합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랩 결합구(170)의 걸림돌기(171)가 상기 부착공(151) 및 결합공(143)을 동시게 관통하여 배출플랩부 본체(140)에 걸려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배출 플랩(150)의 상측면에 밀폐 리브(153)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플랩 결합구(170)와의 결합부위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공기가 결합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43)을 내부로 폐쇄되게 감싸며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출 플랩(150)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배출 플랩(150)의 하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플랩 결합구(170)를 지지하는 결합리브(146)가 구비됨으로써, 하부가, 돌출형성된 플랩 시트부(142)에 안착되는 배출 플랩(150)을 상?하부의 단차없이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에 안착시킬 수 있어 상기 배출 플랩(150)이 상기 배기공(141)을, 상?하부 단차에 따른 빈틈없이,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플랩부 캡(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 개방되게 덮개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후방의 내측면으로 상기 결합 프레임(144)의 외측면이 끼워져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결합 프레임(144)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도시되지는 않음)를 형성시키고 배출플랩부 캡(160)의 내측면으로는 결합홈(도시되지는 않음)을 형성시켜 상기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출플랩부 캡(160)의 하부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되게 다수의 배기 안내공(162)을 형성시켜 착용자의 날숨에 의해 배기공(141)을 통과하여 배출된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 안내공(162)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100)는, 플랩 결합구(170)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 플랩(150)의 일측을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 플랩(150)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배출플랩부 본체(14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에 따른 작업수행에도 밸브 플랩이 플랩 결합구(17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배출 플랩(150)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보형 리브(152)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시킴으로써, 대기 오염된 환경에서 방진 마스크(100) 착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배출 플랩(150)이 자중에 의해 쉽게 배기공(141)에서 이격되지 않으며, 방진 마스크(100) 착용자의 날숨으로 개방된 배기공(141)을 빠르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안전하게 방진 마스크(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100 : 방진 마스크 110 : 마스크 본체
111 : 배출플랩부 장착공 112 : 흡입플랩부
120 : 정화 필터부 130 : 배출플랩부
140 : 배출플랩부 본체 141 : 배기공
142 : 플랩 시트부 143 : 결합공
144 : 결합 프레임 145 : 지지리브
146 : 결합리브
150 : 배출 플랩 151 : 부착공
152 : 보형 리브 153 : 밀폐 리브
160 : 배출플랩부 캡 161 : 플랩지지 돌기부
162 : 배기 안내공
170 : 플랩 결합구 171 : 걸림돌기
172 : 걸림고리

Claims (6)

  1. 입과 코를 밀착 커버하고 중앙부에는 통공되게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을 중심으로 측면에는 흡입플랩부(112)가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110)와, 상기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내부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플랩부(130)와, 상기 흡입플랩부(112)에 결합되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내부로 유입시키는 정화 필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진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배출플랩부(130)는,
    중앙부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배출플랩부 장착공(111)와 연통되게 배기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141)의 외곽을 따라 돌출되게 플랩 시트부(142)가 구비되며, 배기공(141)에서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결합공(143)이 통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랩 시트부(142)와 결합공(143)을 내부로 폐쇄되게 감싸며 돌출형성되는 결합 프레임(144)이 형성되는 배출플랩부 본체(140);
    일측은 상기 결합공(143)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공(151)이 통공되게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플랩 시트부(142)의 지지를 받으며 안착되는 배출 플랩(150);
    일측은 상기 부착공(151) 및 결합공(143)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부착공(151) 및 결합공(143)을 관통한 일측단에는 배출플랩부 본체(140)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고리(172)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71)가 돌출형성되는 플랩 결합구(170);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개방된 후방의 내측면에 상기 결합 프레임(144)의 외측면이 끼워져 결합되며, 전방에는 통공되게 다수의 배기 안내공(162)이 형성되는 배출플랩부 캡(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플랩(150)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보형 리브(152)가 소정 간격을 두고 전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1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플랩(150)은,
    상기 걸림돌기(171)가 상기 부착공(151)에 끼워져 전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상기 플랩 결합구(170)와의 결합부위를 밀폐시키는 밀폐 리브(153)가, 전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100).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는,
    상기 결합공(143)을 내부로 폐쇄되게 감싸며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부착공(151) 및 결합공(143)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랩 결합구(170)를, 상기 배출 플랩(150)의 하측면에 접하여 지지하는 결합리브(14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100).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시트부(142)는,
    상기 배출플립부 본체에서의 돌출높이가 상기 결합공(143)이 형성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10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플랩부 본체(140)는,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배기공(141)을 반분하여 지지리브(145)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리브(145)의 높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플랩 시트부(142)의 돌출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100).
KR1020110015361A 2011-02-22 2011-02-22 방진 마스크 KR101218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61A KR101218787B1 (ko) 2011-02-22 2011-02-22 방진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61A KR101218787B1 (ko) 2011-02-22 2011-02-22 방진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143A true KR20120096143A (ko) 2012-08-30
KR101218787B1 KR101218787B1 (ko) 2013-01-09

Family

ID=4688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361A KR101218787B1 (ko) 2011-02-22 2011-02-22 방진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7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442B1 (ko) * 2017-12-19 2018-05-16 김은하 황사 마스크
JP2019166411A (ja) * 2014-01-17 2019-10-0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呼吸保護マスク
CN112315069A (zh) * 2020-11-30 2021-02-05 李雪清 一种具备多重过滤气溶胶能力的可更换式口罩
KR20220001926A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5892A (en) 1992-05-29 1994-07-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nidirectional fluid valve
US6883518B2 (en) 2001-06-25 2005-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idirectional respirator valve
KR100961754B1 (ko) * 2008-04-24 2010-06-07 삼공물산 주식회사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993497B1 (ko) 2010-05-11 2010-11-10 (주)씨앤투스 방진 마스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66411A (ja) * 2014-01-17 2019-10-0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呼吸保護マスク
KR101858442B1 (ko) * 2017-12-19 2018-05-16 김은하 황사 마스크
WO2019124881A1 (ko) * 2017-12-19 2019-06-27 김은하 황사 마스크
KR20220001926A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CN112315069A (zh) * 2020-11-30 2021-02-05 李雪清 一种具备多重过滤气溶胶能力的可更换式口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787B1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930B2 (ja) 清浄空気吸入室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KR102065708B1 (ko) 안면 마스크
US10525292B2 (en) Respiratory device with unidirectional valve for attaching active venting system
US20200298032A1 (en) Mask apparatuses and approach
KR101266926B1 (ko) 방진 마스크
KR20150114542A (ko) 호흡기 부압 적합성 검사 장치 및 방법
US20200114179A1 (en) Mask apparatuses and approach
KR102089657B1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218787B1 (ko) 방진 마스크
CN103813833A (zh) 包括闭锁机构的呼吸组件
US20120325221A1 (en) Lightweight Respirator
KR101198898B1 (ko) 방진 마스크
KR20110024278A (ko) 외기 차단형 마스크
KR102325079B1 (ko) 다목적용 방진 마스크
US20230137526A1 (en) Respirator mask
JP3921295B2 (ja) 呼吸保護具
CN211835873U (zh) 一种一体式防护面具
KR20200023348A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2304A (ko) 마스크윈도우 김서림 방지 구조
JP2018532902A (ja) 呼吸用マスク用フェイスシール
KR101547601B1 (ko) 휴대용 방연/방독 마스크
KR100604002B1 (ko) 필터 일체형 방독마스크
US20220016454A1 (en) Mask apparatuses and approach with adjustable valve
CN211536261U (zh) 一种疾病预防控制罩
JP3233269U (ja) インナー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