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129A -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129A
KR20120096129A KR1020110015333A KR20110015333A KR20120096129A KR 20120096129 A KR20120096129 A KR 20120096129A KR 1020110015333 A KR1020110015333 A KR 1020110015333A KR 20110015333 A KR20110015333 A KR 20110015333A KR 20120096129 A KR20120096129 A KR 20120096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remote controller
pulse signal
control sig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751B1 (ko
Inventor
백정현
Original Assignee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7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 H04Q9/16Calling by using pulses by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특히 리모콘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인 IPTV 화면상에서 포인터의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횟수가 잦은 경우 리모콘 동작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키거나 일시적으로 반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리모콘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a)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서 리모콘 포인터의 유효영역에 대응하여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1 펄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 리모콘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통해 리모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리모콘이 초기 위치에서 움직여 동작됨을 알리는 제 2 펄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c) 제 2 펄스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를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횟수가 단위 시간당 기설정된 횟수인 제 1 설정값을 초과하면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이 감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REMOCON SENSITIVITY AUTOMATIC COTROL METHOD USING GYROSCOPE SENSOR}
본 발명은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리모콘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입력펄스신호에 의해 포인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포인터의 제어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IPTV 화면상에서 포인터의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벗어난 횟수가 기설정된 단계별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계별 설정값에 대응하여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키거나 일시적으로 반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리모콘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유효영역을 일정한 패턴에 따라 습관적으로 포인팅하는 경우에도 포인터의 위치 변화 속도가 설정된 기준 범위보다 낮은 경우 일시적으로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증가시키고, 포인터의 위치 변화 속도가 설정된 기준 범위보다 높은 경우 일시적으로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포인팅 패턴에 따라 리모콘의 감도는 감소하기도 하고 다시 증가하기도 하면서 사용자에게 가장 익숙한 패턴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최근, 광대역 미디어 보급이 확산되고 통신 속도고 향상됨에 따라 인터넷은 원소스 멀티미디어(One source Multi Service)를 가능하게 해주는 새로운 매개체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원소스 멀티미디어의 일예로, 다수의 공중파 텔레비젼, 라디오 채널들은 물론, 인터넷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이용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원소스 멀티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에 대한 수요도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를 예로 들 수 있다.
IPTV의 가장 큰 특징은 초고속 인터넷을 통해 양방향의 텔레비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IPTV는 셋톱박스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과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장치를 연결하고, 이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VO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게다가, IPTV는 상기 VOD 서비스 외에, 인터넷 서비스, 데이터 방송 서비스, PVR(Personal Video Recorder) 서비스가 통합됨으로써 그 기능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처럼 IPTV가 등장함에 따라 TV를 통해 인터넷상의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종래의 인터넷 기능이 되는 TV들은 기존의 컴퓨터에서 인터넷 기능을 본떠 만들고 있다. 하지만, 컴퓨터와 TV의 차이점으로 인해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인터페이스의 차이가 가장 큰 문제이다.
IPTV의 실행시 리모콘을 통해 컨트롤하는 경우 사용자에 조작 능력에 따라 리모콘의 포인터가 IPTV의 화면에서 움직이는 위치 변화 폭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사용자가 노인이거나 수전증이 있는 경우 IPTV 화면상에서 포인터를 목적하는 영역으로 정확히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애로 사항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
즉, 리모콘이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화면상의 포인터가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 IPTV 화면상의 포인터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여 리모콘의 조작 편의성이 떨어지게 된다.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은 공개특허 제2008-0027661호(이하, "공지기술"이라 함)에도 개시되어 있다. 공지기술은 자이로센서로부터 리모콘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TV의 음량을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갖는 기술로서 자이로센서와 연동하는 리모콘의 감도를 조정할 수는 없게 된다.
리모콘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인 IPTV 화면상에서 포인터의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횟수가 잦은 경우 리모콘 동작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키거나 일시적으로 반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리모콘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또한 사용자가 유효영역을 일정한 패턴에 따라 습관적으로 포인팅하는 경우에도 그 패턴에 따라 리모콘의 감도는 감소하기도 하고 다시 증가하기도 하면서 사용자에게 가장 익숙한 패턴으로 리모콘의 감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콘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인 IPTV 화면상에서 포인터의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횟수가 잦은 경우 리모콘 동작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키거나 일시적으로 반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리모콘 조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유효영역을 일정한 패턴에 따라 습관적으로 포인팅하는 경우에도 그 패턴에 따라 리모콘의 감도는 감소하기도 하고 다시 증가하기도 하면서 사용자에게 가장 익숙한 패턴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은, (a)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서 리모콘 포인터의 유효영역에 대응하여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1 펄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 리모콘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통해 리모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리모콘이 초기 위치에서 움직여 동작됨을 알리는 제 2 펄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c) 제 2 펄스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를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횟수가 단위 시간당 기설정된 횟수인 제 1 설정값을 초과하면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이 감소하는 단계; (f)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횟수가 단위 시간당 기설정된 횟수인 제 2 설정값을 초과하면 포인터가 일시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b) 단계의 제 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바람직하게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를 기준하여 리모콘이 상대적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움직인 정도를 감지하는 단계;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1 펄스신호를 기준하여 리모콘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움직인 정도에 기반한 제 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c) 단계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바람직하게 제 2 펄스신호에 기반하여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시작됨을 알리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포인터의 위치 변화량을 X축, Y축의 벡터 성분으로 분할하여 X축, Y축 변화량을 검출하는 단계; X축, Z축 변화량에 상응하는 시간 값으로 데이터를 변환시켜 X축 시간 데이터 및 Y축 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단계; 제 1 제어신호 발생 시점부터 X축 시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경과 후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 2 제어신호 발생 시점부터 Y축 시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경과 후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은, (a)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서 리모콘 포인터의 유효영역에 대응하여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1 펄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 리모콘에 내장된 자이로센서를 통해 리모콘이 초기 위치에서 움직여 동작됨을 알리는 제 2 펄스신호를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c) 제 2 펄스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를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일정시간 계속하여 유효영역 내인 경우 제어신호에 대응한 제 2 펄스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단계; (e) 저장된 제 2 펄스신호에 기반한 포인터의 위치 변화 속도가 설정된 기준 범위보다 낮은 경우 일시적으로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증가시키고, 저장된 제 2 펄스신호에 기반한 포인터의 위치 변화 속도가 설정된 기준 범위보다 높은 경우 일시적으로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은 리모콘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입력펄스신호에 의해 포인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포인터의 제어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IPTV 화면상에서 포인터의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벗어난 횟수가 기설정된 단계별 제 1 설정값, 제 2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계별 설정값에 대응하여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키거나 반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리모콘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감조 조정 방법은 사용자가 유효영역을 일정한 패턴에 따라 습관적으로 포인팅하는 경우에도 그 패턴에 따라 리모콘의 감도는 감소하기도 하고 다시 증가하기도 하면서 사용자에게 가장 익숙한 패턴으로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리모콘과 셋톱박스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감도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감도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감도 조정 시스템은 리모콘(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셋톱박스(300)로 구성된다.
셋톱박스(300)는 인터넷망(400)을 통해 방송 사업자 서버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복원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출력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웹서핑용 웹브라우저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웹서핑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셋톱박스(300)는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의 운영체제에서 구동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IPTV인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의 리모콘(200)을 조작에 의해 리모콘(100)이 동작하여 생성된 펄스신호를 셋톱박스(300)에 전송하면, 셋톱박스(300)는 펄스신호에 기반한 포인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IPTV 화면에서 포인터가 이동하는 포인터의 위치 변화를 제어한다.
IPTV는 셋톱박스(3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 셋톱박스(300)에서 출력되는 웹서핑용 웹브라우저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리모콘(100)과 셋톱박스(300)에 대한 구성과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리모콘과 셋톱박스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모콘(100)은 자이로센서(110), 메모리부(120), 키입력부(130), 컨트롤러(MCU;140), 신호 송신부(150)로 구성된다.
자이로센서(110)는 리모콘(100)에 내장되며, 리모콘(100)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장치(200) 화면에서 유효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현재 리모콘(100)의 초기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고, 리모콘(100)이 초기 위치로부터 움직여 동작됨을 감지한다.
메모리부(120)는 자이로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정보데이터를 저장한다.
키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컨트롤하는 사용자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컨트롤러(140)는 자이로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송신부(150)를 통해 셋톱박스(300)로 전송한다.
컨트롤러(140)는 리모콘(100)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장치(200) 화면에서 유효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자이로센서(110)에 감지된 현재 리모콘(100)의 초기 위치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1 펄스신호를 생성하고, 리모콘(100)이 초기 위치로부터 움직여 동작됨이 감지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2 펄스신호를 생성한다.
신호 송신부(150)는 컨트롤러(140)에 의해 생성된 제 1 펄스신호와 제 2 펄스신호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한다.
자이로센서(110)는 바람직하게 리모콘(100)에 내장되어 리모콘의 X, Y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는 2축 자이로 센서로 구성된다.
2축 자이로 센서는 리모콘(100)이 Y축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상하 감지용 자이로 센서와, X축 방향인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좌우 감지용 자이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셋톱박스(300)는 신호 수신부(310), 신호 처리부(320), 제어부(330),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0)로 구성된다.
신호 수신부(310)는 리모콘(100)에 내장된 자이로센서를 통해 감지된 리모콘(100)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펄스신호를 수신하고, IPTV를 컨트롤하는 리모콘(100)의 키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입력펄스신호와 적외선 신호는 제어부(330)로 전송된다.
신호 처리부(320)는 제어부(330)로부터 입력펄스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인 IPTV 화면에서 리모콘(100)의 포인터 위치 변화를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40)는 셋톱박스(3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셋톱박스(300)에서 처리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0)는 인터넷망(400)과 셋톱박스(3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제어부(330)는 셋톱박스(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330)는 제어신호에 따라 IPTV 화면에서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기설정된 유효영역 인지를 판단하여 단계별 기 설정값인 제 1 설정값 또는 제 2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화면에서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키거나 포인터가 반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세하게 제어부는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P)의 위치 변화가 기설정된 유효영역(L1)를 벗어나는 횟수가 단위 시간당 기설정된 횟수인 제 1 설정값을 초과하면 포인터(P)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키고,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P)의 위치 변화가 기설정된 유효영역(L1)를 벗어나는 횟수가 단위 시간당 기설정된 횟수인 제 2 설정값을 초과하면 포인터(P)가 반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 3]의 포인터(P)는 신호 수신부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인 IPTV 화면의 픽셀을 따라 이동하는 커서 또는 가상의 포인터일 수도 있다. [도 3]의 도면부호 L2는 포인터의 위치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IPTV의 컨트롤이 되지 않는 유효영역을 벗어난 이탈영역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감도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IPTV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요청으로 셋톱박스의 제어부는 IPTV를 실행시켜 화면을 출력한다.
사용자의 조작으로 리모콘의 포인터가 IPTV 화면의 유효영역에 위치하면, 리모콘의 자이로센서는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컨트롤러는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1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송신부를 통해 셋톱박스에 전송한다(S110).
단계 S110에서 제어부는 신호 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제 1 펄스신호를 신호 처리부를 거쳐 저장부에 저장한다.
사용자 조작으로 리모콘이 초기 위치에서 움직여 동작되면, 리모콘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통해 리모콘의 움직임을 감지된다. 자이로센서는 리모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컨트롤러는 감지된 리모콘의 위치 변화 데이터에 따른 제 2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송신부를 통해 셋톱박스에 전송한다(S120).
단계 S120에서 제 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를 기준하여 리모콘이 상대적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움직인 정도를 리모콘에 내장된 자이로센서가 감지한다. 이 경우 자이로센서는 2축 자이로센서 또는 3축 자이로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1 펄스신호를 기준하여 리모콘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움직인 정도에 기반한 제 2 펄스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는 입력된 제 2 펄스신호를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여 처리하고, 신호 처리부는 제 2 펄스신호에 따른 포인터 위치 변화를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130).
단계 S130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면하면,
셋톱박스의 신호 처리부는 제 2 펄스신호에 기반하여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시작됨을 알리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는 제 1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포인터의 위치 변화량을 X축, Y축의 벡터 성분으로 분할하여 X축, Y축 변화량을 검출하고, X축, Z축 변화량에 상응하는 시간 값으로 데이터를 변환시켜 X축 시간 데이터 및 Y축 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신호 처리부는 제 1 제어신호 발생 시점부터 X축 시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경과 후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 2 제어신호 발생 시점부터 Y축 시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경과 후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 2 제어신호에 따른 X축 시간 데이터에 상응하여 [도 3]의 포인터(P)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3 제어신호에 따른 Y축 시간 데이터에 상응하여 [도 3]의 포인터(P)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IPTV 화면상에서 2차원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어부는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IPTV 화면의 유효영역 인지를 판단한다(S140).
단계 S140에서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제 1 펄스신호에 따른 화면상 포인터의 초기 위치로부터 상대적으로 판단한다.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횟수가 단위 시간당 기설정된 횟수인 제 1 설정값을 초과하면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전환된다(S150, S180).
단계 S150에서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을 벗어나눈 경우 그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인 제 1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단계 S130으로 돌아가 자이로센서는 리모콘의 위치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컨트롤러는 감지된 리모콘의 위치 변화 데이터에 따른 제 2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송신부를 통해 셋톱박스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횟수가 단위 시간당 기설정된 횟수인 제 2 설정값을 초과하면 포인터가 일시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방향으로 전환된다(S160, S170).
단계 S160 및 S170에서, 일시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시간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횟수가 단위 시간당 기설정된 횟수인 제 2 설정값을 초과하여 포인터가 반응하지 않는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는 본래 설정되었던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으로 조정된다.
단계 S150 내지 단계 S180에서 제 2 설정값은 제 1 설정값보다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을 더 빈번하게 벗어나는 경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감도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감도를 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서 리모콘 포인터의 유효영역에 대응하여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1 펄스신호를 전송한다(S210).
리모콘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통해 리모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리모콘이 초기 위치에서 움직여 동작됨을 알리는 제 2 펄스신호를 실시간 전송한다(S220).
제 2 펄스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를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230).
제어신호에 따른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일정시간 계속하여 유효영역 내인 경우 제어신호에 대응한 제 2 펄스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한다(S240).
단계 S240에서, 사용자는 일정시간 계속하여 유효영역을 포인팅하는 습관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포인터의 포인팅되는 영역에서 포인터가 위치 변화되는 속도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달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아래의 단계 S250과 같다.
즉, 저장된 제 2 펄스신호에 기반한 포인터의 위치 변화 속도가 설정된 기준 범위보다 낮은 경우 일시적으로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증가시키고, 저장된 제 2 펄스신호에 기반한 포인터의 위치 변화 속도가 설정된 기준 범위보다 높은 경우 일시적으로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킨다(S250).
이처럼, 사용자의 조작 습관에 따라 리모콘의 감도는 감소하기도 하고 다시 증가하기도 하면서 사용자에게 가장 익숙한 패턴으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예시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시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리모콘 110 : 자이로센서
120 : 메모리부 130 : 키입력부
140 : 컨트롤러(MCU) 150 : 신호 송신부
200 : 디스플레이 장치 300 : 셋톱박스
310 : 신호 수신부 320 : 신호 처리부
330 : 제어부 340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35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00 : 인터넷망
P : 포인터 L1 : 유효영역
L2 : 이탈영역

Claims (5)

  1. (a)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서 리모콘 포인터의 유효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1 펄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리모콘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통해 상기 리모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리모콘이 초기 위치에서 움직여 동작됨을 알리는 제 2 펄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제 2 펄스신호에 따른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를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횟수가 단위 시간당 기설정된 횟수인 제 1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이 감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유효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횟수가 단위 시간당 기설정된 횟수인 제 2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포인터가 일시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제 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를 기준하여 상기 리모콘이 상대적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움직인 정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펄스신호를 기준하여 상기 리모콘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움직인 정도에 기반한 제 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 2 펄스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시작됨을 알리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량을 X축, Y축의 벡터 성분으로 분할하여 X축, Y축 변화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X축, Z축 변화량에 상응하는 시간 값으로 데이터를 변환시켜 X축 시간 데이터 및 Y축 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제어신호 발생 시점부터 상기 X축 시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경과 후 제 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제어신호 발생 시점부터 상기 Y축 시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경과 후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5. (a)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서 리모콘 포인터의 유효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리모콘의 초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1 펄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리모콘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통해 상기 리모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리모콘이 초기 위치에서 움직여 동작됨을 알리는 제 2 펄스신호를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제 2 펄스신호에 따른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를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가 일정시간 계속하여 유효영역 내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한 상기 제 2 펄스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저장된 제 2 펄스신호에 기반한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 속도가 설정된 기준 범위보다 낮은 경우 일시적으로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증가시키고, 상기 저장된 제 2 펄스신호에 기반한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 속도가 설정된 기준 범위보다 높은 경우 일시적으로 상기 포인터의 위치 변화 폭을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KR1020110015333A 2011-02-22 2011-02-22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KR10121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33A KR101217751B1 (ko) 2011-02-22 2011-02-22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33A KR101217751B1 (ko) 2011-02-22 2011-02-22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129A true KR20120096129A (ko) 2012-08-30
KR101217751B1 KR101217751B1 (ko) 2013-01-02

Family

ID=4688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333A KR101217751B1 (ko) 2011-02-22 2011-02-22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7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799A (ko) * 2016-01-29 2017-08-0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리모컨의 위치 탐색 방법
US9952684B2 (en) 2013-05-09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point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KR20200029915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입력 장치의 감도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571B1 (ko) * 2021-10-20 2023-09-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194A (ko) * 2006-08-21 200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마우스 및 그의 구동 방법
TWI334559B (en) * 2007-08-28 2010-12-11 Ind Tech Res Inst Interactive point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2684B2 (en) 2013-05-09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point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KR20170090799A (ko) * 2016-01-29 2017-08-0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리모컨의 위치 탐색 방법
KR20200029915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입력 장치의 감도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751B1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0072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2893706B1 (en) Augmented reality for video system
KR10163564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20246678A1 (en) Distance Dependent Scalable User Interface
CN102144400A (zh) 控制系统、视频显示装置、以及远程控制装置
US9219946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information for a network television
CN108632631B (zh) 一种全景视频中视频分片的下载方法和装置
KR101217751B1 (ko)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감도 자동 조정 방법
US200902352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esources 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1543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ptv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US1166297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ast method
US20140111699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creen thereof
KR101645474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WO2017208839A1 (ja) 情報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87391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6826A (ko) 멀티스크린 감상을 위한 콘텐츠 분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8251442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2099681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9062A (ko) 3d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3d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를이용한 포인터 제어 정보의 생성 방법과, 전자 기기 및전자 기기의 포인터 제어 방법과 전자 기기의 기능 실행방법
CN114286153A (zh) 一种基于蓝牙aoa的窗口调节方法以及显示设备
KR201601475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5288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40198043A1 (en) The method for generating pointer movement value and poin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11601401B (zh) 一种网络连接控制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