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527A -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527A
KR20120095527A KR1020110014889A KR20110014889A KR20120095527A KR 20120095527 A KR20120095527 A KR 20120095527A KR 1020110014889 A KR1020110014889 A KR 1020110014889A KR 20110014889 A KR20110014889 A KR 20110014889A KR 20120095527 A KR20120095527 A KR 20120095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system
interface controller
power control
t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089B1 (ko
Inventor
박종민
강우석
Original Assignee
(주)이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사야 filed Critical (주)이사야
Priority to KR1020110014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0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시관 내의 전원장치 및 가동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터페이스 컨트롤러(Interface Controller)(100);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장착되어 입력부의 소프트웨어를 연결 제공하는 내부 허브부(Internal Hub)(150); 상기 내부 허브부(150)에 연결되어 TCP/IP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TCP/IP 프로토콜처리부(TCP Protocol)(170); 상기 내부 허브부(150)에 연결되어 범용이 컴퓨터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UDP 처리부(UDP)(180); 전시장내의 전기신호와 가동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제공하는 센서부(Sensor)(200); 외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장치를 연결하는 릴레이 연결부(Relay)(300); 외부와 통신신호를 교환하여 처리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부(Serial Port)(400); 상기 내부 허브부(150)를 개재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XML 패킷부(XML Packet)(50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POWER CONTROL SYSTEM FOR PAVILION}
본 발명은 전시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퍼스널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TCP/IP 기반의 XML 소켓으로 단일화하고, 통합원격제어와 단독동작모드를 구현함으로써 전시관 전원을 절감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전시관에서는 다중제어에 취약한 PC 인터페이스(RS232C)를 사용하여 원격제어 컴퓨터에서의 정보취합이 어려웠고, 존(Zone)간 연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 장비간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접점 방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원격제어 소프트웨어에서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C전원, 프로젝터 등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완제품을 해체 후 재조립할 필요성이 있었고 프로젝터 갯수만큼 컨트롤러가 필요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높아졌다는 문제점도 노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발열성 부품들인 프로젝트 램프 또는 모니터 백라이트 및 모터가 내장된 장비들이 전시장 이용객들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개장시간 내내 가동되고 있어 관람객들의 동선 및 존재 유무에 대응하여 필요한 에너지만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어 에너지 낭비가 극심한 상태이다.
또 특정기기만 제어하는 폐쇠적인 장비구성으로 에너지 낭비가 심한 백열등만 디밍가능하였고, 고가의 특정 외산기기만 사용하여야 되어 경제적 낭비 요인이 많았다.
또한, 포스트 및 폴링방식만 가능한 웹기반 제어방식으로 실시간 이벤트 감시가 불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현장의 필수적 요구인 기능이 취약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개발키트 성격의 액션스크립트(ActionScript) 지원 보드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전시관 관련 기능이 부재하였고, 주변장치를 별도로 개발할 필요성이 있어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게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퍼스널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TCP/IP 기반의 XML 소켓으로 단일화하는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합원격제어와 단독동작모드를 구현함으로써 전시관 전원을 절감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Interface Controller)(100);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장착되어 입력부의 소프트웨어를 연결 제공하는 내부 허브부(Internal Hub)(150); 상기 내부 허브부(150)에 연결되어 TCP/IP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TCP/IP 프로토콜처리부(TCP Protocol)(170); 상기 내부 허브부(150)에 연결되어 범용이 컴퓨터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UDP 처리부(UDP)(180); 전시장내의 전기신호와 가동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제공하는 센서부(Sensor)(200); 외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장치를 연결하는 릴레이 연결부(Relay)(300); 외부와 통신신호를 교환하여 처리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부(Serial Port)(400); 상기 내부 허브부(150)를 개재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XML 패킷부(XML Packet)(50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센서부(Sensor)(200)와 릴레이 연결부(Relay)(300)는 각각 제공되는 센서에 연동되어 릴레이 또는 PJLink 또는 시리얼 출력을 단독으로 수행(Stand Alone)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퍼스널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TCP/IP 기반의 XML 소켓으로 단일화하여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한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합원격제어와 단독동작모드를 구현함으로써 전시관 전원을 절감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의 하드웨어에 연동하는 플래시프로그램 개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전시관에서 제어하는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개요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컨트롤러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제품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전시관에서 제어하는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개요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1000)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Interface Controller)(100);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장착되어 입력부의 소프트웨어를 연결 제공하는 내부 허브부(Internal Hub)(150); 상기 내부 허브부(150)에 연결되어 TCP/IP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TCP/IP 프로토콜처리부(TCP Protocol)(170); 상기 내부 허브부(150)에 연결되어 범용이 컴퓨터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UDP 처리부(UDP)(180); 전시장내의 전기신호와 가동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제공하는 센서부(Sensor)(200); 외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장치를 연결하는 릴레이 연결부(Relay)(300); 외부와 통신신호를 교환하여 처리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부(Serial Port)(400); 상기 내부 허브부(150)를 개재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XML 패킷부(XML Packet)(50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여 부호를 중심으로 그 구성과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부호 100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Interface Controller)로, XML, Http, TCP 및 UDP로부터 제공되는 입력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를 4개의 포터 허브를 내장하고 있으며, 10/100 based 통신을 처리한다.
부호 150은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장착되어 입력부의 소프트웨어를 연결 제공하는 내부 허브부(Internal Hub)이며, XML, Http, TCP 및 UDP로부터 제공되는 입력부의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제공 교환한다.
부호 170은 상기 내부 허브부(150)에 연결되어 TCP/IP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TCP/IP 프로토콜처리부(TCP Protocol)이고, 부호 180은 상기 내부 허브부(150)에 연결되어 범용의 컴퓨터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UDP 처리부(UDP)를 설명하는 것이다.
또, 부호 200은 전시장내의 전기신호와 가동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제공하는 센서부(Sensor)이며, 본 발명에서는 8포트를 지원하도록 구성하고 있고, 푸시(push), 릴리스(release) 및 토글이벤트(toggle event)를 감지하여 처리한다. 이때 사용되는 전원은 DC 12[V]로 하였으며, 착탈식 커넥터로 센서들이 연결된다.
또한, 부호 300은 외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장치를 연결하는 릴레이 연결부(Relay)이고, 본 발명에서는 8포트를 설치하여 운용한다.
다음으로, 부호 400은 외부와 통신신호를 교환하여 처리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부(Serial Port)이며, RC232C 통신 및 RS485 통신규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통신 처리속도는 38,400bps 처리가 가능한 규격이다.
또한, 부호 500은 상기 내부 허브부(150)를 개재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XML 패킷부(XML Packet)를 도시한다 .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Sensor)(200)와 릴레이 연결부(Relay)(300)는 각각 제공되는 센서에 연동되어 릴레이 또는 PJLink 또는 시리얼 출력을 단독으로 수행(Stand Alone)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동에 필요한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가동함으로써 불필요한 작동에 따른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외부장비에 대해 원격으로 전원을 관리하는 효과도 달성한다 .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컨트롤러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제품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의 (a)는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의 전면부 패널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의 배면부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에는 전원스위치, LCD 표시창, 조작키, 릴레이 및 센서의 상태를 표출하는 전면부 LED, 허브(HUB) 상태, 및 업그레이드를 위한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배면부에는, Back LED를 포함한 센서포트가 설치되고, 통신용(RS232C, RS485 등)의 시리얼포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허프포트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인터페이스는 상기한 구성들을 처리하고, 그 상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표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1000)의 주요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일괄적인 전원제어가 가능하다 .
둘째로, 원격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다.
셋째로, 장비보호, 수명연장 및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탁월하다.
넷째로, 플래시에서 직접적으로 전시장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다섯째로, 시리얼포트 제어기능을 통해 플래시에서 시리얼포트와 데이터를 직접 교환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제공하는 목적은 각종 모형동작장치나 MPEG 플레이어, 딤머 등이 시리얼을 지원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즉, 모션센서에 인체가 감지되면 프로젝터를 통하여 플래시 에니메이션이나 동영상을 송출하고, 동시에 상영실의 조명을 서서히 낮춤으로써 스크린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고, 상영이 종료된 후 조명을 밝히고 플래시는 대기모드로 복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시장의 현장을 고려하여 외부 인터페이스를 강화하였다. 이를 위하여 착탈식 커넥터를 채용하여 필요시 해당 포트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전원의 낭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비 운용에 따른 중복된 투자를 방지함으로써 통합적인 전시장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100: 인터페이스 컨트롤러(Interface Controller)
150: 내부 허브부(Internal Hub)
170: TCP 프로토콜처리부(TCP Protocol)
180: UDP 처리부(UDP
200: 센서부(Sensor)
300: 릴레이 연결부(Relay)
400: 시리얼 포트부(Serial Port)
500: XML 패킷부(XML Packet)
520: 구성소프트웨어 소켓 프로그래밍부(Configuration S/W Soket Programming)
530: 플래시 액션스크립트부(Flash Action Script)
540: C# 소켓 프로그래밍부(C# Soket Programming)
550: 원격모니터제어소프트웨어부(Remote Monitoring & Control S/W)
570: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소켓 프로그래밍부(Multimedia Player Soket Programming)
1000: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

Claims (3)

  1. 전시관 내의 전원장치 및 가동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컨트롤러(Interface Controller)(100);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장착되어 입력부의 소프트웨어를 연결 제공하는 내부 허브부(Internal Hub)(150);
    상기 내부 허브부(150)에 연결되어 TCP/IP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TCP/IP 프로토콜처리부(TCP Protocol)(170);
    상기 내부 허브부(150)에 연결되어 범용이 컴퓨터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UDP 처리부(UDP)(180);
    전시장내의 전기신호와 가동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에 제공하는 센서부(Sensor)(200);
    외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장치를 연결하는 릴레이 연결부(Relay)(300);
    외부와 통신신호를 교환하여 처리하기 위한 시리얼 포트부(Serial Port)(400);
    상기 내부 허브부(150)를 개재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XML 패킷부(XML Packet)(50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10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Sensor)(200)와 릴레이 연결부(Relay)(300)는 각각 제공되는 센서에 연동되어 릴레이 또는 PJLink 또는 시리얼 출력을 단독으로 수행(Stand Alone)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10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ML 패킷부(XML Packet)(500)는,구성소프트웨어 소켓 프로그래밍부(Configuration S/W Soket Programming)(520)와, 원격모니터제어소프트웨어부(Remote Monitoring & Control S/W)(550),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소켓 프로그래밍부(Multimedia Player Soket Programming)(570), 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모니터제어소프트웨어부(Remote Monitoring & Control S/W)(550)은 플래시 액션스크립트부(Flash Action Script)(530)와 C# 소켓 프로그래밍부(C# Soket Programming)(540)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1000).




KR1020110014889A 2011-02-21 2011-02-21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 KR101254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89A KR101254089B1 (ko) 2011-02-21 2011-02-21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89A KR101254089B1 (ko) 2011-02-21 2011-02-21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527A true KR20120095527A (ko) 2012-08-29
KR101254089B1 KR101254089B1 (ko) 2013-04-12

Family

ID=4688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889A KR101254089B1 (ko) 2011-02-21 2011-02-21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261B1 (ko) * 2012-09-17 2014-05-29 주식회사 주빅스 데이터 집중장치 및 데이터 집중장치의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5657A (zh) * 2013-11-14 2015-05-20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物流仓储货位状态采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2438A (en) * 1995-01-05 1996-11-05 Teco Energy Management Services Engery management and building autom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261B1 (ko) * 2012-09-17 2014-05-29 주식회사 주빅스 데이터 집중장치 및 데이터 집중장치의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089B1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29299A1 (zh) 智能控制面板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US7394451B1 (en) Backlit display with motion sensor
EP1850440A4 (en)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JP6406561B2 (ja) 壁面付着型タッチスイッチ
KR101274146B1 (ko) 태블릿 이동 통신기기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RU2011152270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свет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в виртуальной комнате
JP2007043490A5 (ko)
KR101254089B1 (ko) 전시관 전원제어 시스템
WO2014131219A1 (zh) 多屏显示器及其控制方法
CN205230394U (zh) 一种多媒体教学系统的集成中央控制器
WO2013120305A1 (zh) 双工作模式液晶显示器的实现方法
WO2011162517A2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N105976731A (zh) 一种小间距led显示屏单元及前维护拆装方法
CN100472376C (zh) 电源管理方法
CN203504827U (zh) 智能照明控制系统
CN202383481U (zh) 会议室集中控制系统
CN208335003U (zh) 带强电输出的网络中控主机
CN104216340A (zh) 用于投影影院的集成一体机
CN202677137U (zh) Plc智能控制系统
CN209497533U (zh) 一种视频处理器、显示器及视频控制系统
CN202759534U (zh) 节能视频控制装置
CN207638793U (zh) 可拆卸监视器
CN203882174U (zh) 一种基于交换机中央控制系统
KR200278216Y1 (ko)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CN103903410B (zh) 电子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