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075A - 경사형 낚시용 좌대 - Google Patents

경사형 낚시용 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075A
KR20120095075A KR1020110014500A KR20110014500A KR20120095075A KR 20120095075 A KR20120095075 A KR 20120095075A KR 1020110014500 A KR1020110014500 A KR 1020110014500A KR 20110014500 A KR20110014500 A KR 20110014500A KR 20120095075 A KR20120095075 A KR 20120095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leg
fixing
inclined plat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553B1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11001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5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8Chair or stool bases for uneven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6Means to protect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꾼이 물가에 앉아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향 경사진 물가에 상향 경사진 낚시용 좌대를 설치함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수평한 상태로 앉아 안정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조립식으로 좌대의 크기 및 경사도를 변경시킬 수 있어서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고, 조립식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으므로 이동 편리성을 향상된 경사형 낚시용 좌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는, 물가(waterside) 측을 바라보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 어셈블리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의 내부에 인입되었다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의 전단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지지 어셈블리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로부터 인출된 상기 지지 어셈블리 위에 놓이도록 조립되는 조립식 좌대(seat plate)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후방 다리 어셈블리; 및 상기 지지 어셈블리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후방 다리 어셈블리보다 길이가 긴 전방 다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형 낚시용 좌대{Inclined type seat plate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꾼이 물가에 앉아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향 경사진 물가에 상향 경사진 낚시용 좌대를 설치함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수평한 상태로 앉아 안정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조립식으로 좌대의 크기 및 경사도를 변경시킬 수 있어서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고, 조립식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으므로 이동 편리성을 향상된 경사형 낚시용 좌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꾼들은 물가(water side)에 의자나 좌대(seat plate)를 놓고 그 위에 앉아 장시간에 걸쳐 낚시를 즐기므로, 상기 의자나 좌대를 중요한 낚시용구의 하나로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주로 의자나 좌대의 이동 편리성이나 안착감만을 고려하여 제작 및 공급되고 있을 뿐, 실제 물가 근처의 지형을 고려한 의자나 좌대가 제공되고 있지는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물가는 물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되는데, 이때 의자나 좌대에 구비된 4개의 다리는 각각 길이가 동일하여 하향 경사진 물가에 설치시 그 좌대나 의자가 전방으로 기울게 되므로, 최대한 물가에 근접하여 사용할 수 없고 물가로부터 멀어진 곳의 편평한 지면을 찾아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낚시꾼이 물가에 앉아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에 있어서, 하향 경사진 물가에 상향 경사진 낚시용 좌대를 설치함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수평한 상태로 앉아 안정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경사진 물가에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식으로 좌대의 크기 및 경사도를 변경시킬 수 있어서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고, 조립식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으므로 이동 편리성을 향상된 경사형 낚시용 좌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는, 물가(waterside) 측을 바라보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 어셈블리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의 내부에 인입되었다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의 전단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지지 어셈블리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로부터 인출된 상기 지지 어셈블리 위에 놓이도록 조립되는 조립식 좌대(seat plate)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후방 다리 어셈블리; 및 상기 지지 어셈블리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후방 다리 어셈블리보다 길이가 긴 전방 다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는, 판 형상의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 어셈블리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후방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다리 어셈블리와 힌지 결합되는 후방 연결 프레임; 및 상기 경사판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좌대의 일측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의 내부를 따라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 암과; 상기 이동 암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결합 블럭과; 상기 결합 블럭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조립식 좌대의 타측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암; 및 상기 지지 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다리 어셈블리와 힌지 결합되는 전방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다리 어셈블리는, 상단부가 상기 지지 어셈블리의 전방 연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전방 고정 다리 및 상기 전방 고정 다리의 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지면과 접하는 전방 이동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다리 어셈블리는, 상단부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의 후방 연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후방 고정 다리 및 상기 후방 고정 다리의 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지면과 접하는 후방 이동 다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이동 다리와 후방 이동 다리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고정 다리와 후방 고정 다리에는 각각 하나의 길이 선택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선택공을 상기 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일치시켜 상기 이동 다리의 인출 길이를 조절 후 서로 일치된 상기 길이 선택공과 고정공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연결 프레임과 전방 고정 다리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후방 연결 프레임과 후방 고정 다리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는 각각, 힌지 손잡이와; 일단은 상기 힌지 손잡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프레임과 고정 다리의 회전축 선상에 형성된 회전공을 관통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타단에 고정된 로킹 블럭; 및 상기 회동축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로킹 블럭으로부터 상기 연결 프레임 및 고정 다리를 바라보는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로킹 핀;을 포함하여, 상기 로킹 핀이 상기 연결 프레임과 고정 다리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로킹 공에 각각 끼워지면 회전 동작이 제한되고, 상기 로킹 핀이 상기 로킹 공으로부터 빠져나오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이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 또는 고정 다리에는 스프링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손잡이와 상기 연결 프레임 또는 고정 다리 사이에는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이 개재되되, 상기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공에 고정되고, 일단이 고정된 상기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타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힌지 손잡이에 고정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의 측면과 상기 지지 어셈블리의 측면을 통해 각각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사이드 암 및 상기 인출된 상태의 사이드 암 위에 놓여지는 사이드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판에는 우산 꽂이, 햇빛 차양기 꽂이 또는 텐트 꽂이용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에 의하면, 하향 경사진 물가에 상향 경사진 낚시용 좌대를 설치함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수평한 상태로 앉아 안정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경사진 물가에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식으로 좌대의 크기 및 경사도를 변경시킬 수 있어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조립식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으므로 이동 편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를 나타낸 조립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의 보관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의 사이드 암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의 이동 다리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의 선택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의 힌지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낚시용 좌대(100)는 크게 물가 측을 바라보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 어셈블리(110)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내부에 인입되었다가 다시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지지 어셈블리(120)와, 경사판 어셈블리(110)로부터 인출된 지지 어셈블리(120) 위에 놓이도록 조립되는 조립식 좌대(150)와,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 및 지지 어셈블리(12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되, 경사판 어셈블리(110)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보다 길이가 긴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인 낚시꾼이 지지 어셈블리(120)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경사판 어셈블리(110) 위에 앉아 낚시를 하거나, 혹은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어셈블리(120)를 희망하는 길이만큼 인출한 후 당해 지지 어셈블리(120) 위에 조립식 좌대(150)를 올려놓아 경사판 어셈블리(110) 및 조립식 좌대(150) 위에 앉아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측면에 각각 사이드 판(160)을 추가 조립하여 좌대의 넓이를 자유롭게 더욱 확장시킬 수도 있게 한다.
또한,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의 길이가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의 길이보다 길어서 경사판 어셈블리(110) 및 조립식 좌대(150)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되어 있으므로, 하향 경사진 물가에 설치시 전체적으로는 수평을 유지하는 경사판 어셈블리(110) 및 조립식 좌대(150)에 앉아 안정적으로 낚시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와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가 힌지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지지 어셈블리(120),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 및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를 각각 접거나 인입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이동 편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경사판 어셈블리(110)는 판 형상의 경사판(111)과, 상기 경사판(111)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지지 어셈블리(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12)와, 상기 가이드(112)의 후방 단부에 구비되어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와 힌지 결합되는 후방 연결 프레임(113) 및 상기 경사판(111)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조립식 좌대(150)의 일측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바(114)를 포함한다.
따라서, 금속 등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사판(111)을 낚시꾼이 앉아 낚시를 할 수 있는 고정식 좌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속이 빈 가이드(112) 내부를 따라 지지 어셈블리(120)의 이동 암(121)이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된 지지 어셈블리(120) 위에 조립식 좌대(150)를 올려놓아 상기 경사판(111)과 함께 좌대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후방 연결 프레임(113)을 통해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와 연결되어 지지되며,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지지바(114)를 통해 조립식 좌대(150)의 일측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후술할 지지 암(123)과 함께 조립식 좌대(15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경사판 어셈블리(110)는 이상과 같은 구성 이외에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측면, 즉 가이드(112)의 측면에 제1인입공(115) 및 제2인입공(116)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제1인입공(115) 및 제2인입공(116)을 통해 각각 제1사이드 암(115a)과 제2사이드 암(116a)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술할 지지 어셈블리(120)의 결합 블럭(122)의 측면을 통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제3사이드 암(124a)과 함께 사이드 판(160)을 지지함으로써 좌대의 면적을 넓혀 앉을 공간을 확장시킴은 물론, 주변에 떡밥이나 루어를 비롯한 각종 낚시용품을 놓아둘 수 있게 한다.
다만, 도 5를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입공(115)과 연통하도록 경사판(111)의 하부에 지지관(115b)을 고정 설치하고, 지지관(115b)의 일측에 고정 나사공을 형성하면, 상기 고정 나사공에 고정 나사(115c)를 체결할 경우 해당 고정 나사(115c)가 지지관(115b) 내부로 인입된 제1사이드 암(115a)을 압착 고정함으로써 제1사이드 암(115a)이 인입 혹은 인출된 상태 그대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지지관(115b)은 제2인입공(116)에 연통하는 부분에도 마찬가지로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며, 특히 제2인입공(116)을 지지 어셈블리(120)의 이동 암(121) 형성된 관통공(미도시)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2사이드 암(116a)을 제2인입공(116)과 관통공 모두에 관통시키면 해당 제2사이드 암(116a) 위에 사이드 판(16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인출된 지지 어셈블리(1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다음, 지지 어셈블리(120)는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가이드(112)의 내부를 따라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 암(121)과, 상기 이동 암(121)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결합 블럭(122)과, 상기 결합 블럭(122)들 사이에 연결되어 조립식 좌대(150)의 타측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암(123)과, 결합 블럭(122)의 측면에 형성된 제3인입공(124)과, 상기 제3인입공(124)을 통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제3사이드 암(124a)과, 결합 블럭(122)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 블럭(125)과, 일단은 상기 연결 블럭(125)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와 힌지 결합되는 전방 연결 프레임(126)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이동 암(121)이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가이드(112) 내부로 인입되거나 가이드(112)로부터 인출될 수 있어서, 가이드(112)로부터 인출되는 길이에 따라 물가를 향해(즉, 전방) 근접하는 정도를 조절하고, 결합 블럭(122)들 사이에 구비된 지지 암(123) 위에 조립식 좌대(150)를 올려놓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3인입공(124)을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3사이드 암(124a)을 이용하여 상술한 제1사이드 암(115a) 및 제2사이드 암(116a)과 함께 사이드 판(1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전방 연결 프레임(126)에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가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다만, 이상과 같은 지지 어셈블리(120)는 당해 지지 어셈블리(120)의 인출시 경사판 어셈블리(1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암(121)의 후방 단부에 이탈 방지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는 힌지부(136)에 의해 상단부가 지지 어셈블리(120)의 전방 연결 프레임(126)에 힌지 결합되는 전방 고정 다리(131)와, 상기 전방 고정 다리(131)의 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이동 다리(132)와, 상기 전방 고정 다리(131)들 사이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프레임(133)과, 상기 하부 연결프레임(13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이동 다리(132)의 인출 길이를 조절하는 선택부(134) 및 전방 이동 다리(132)들 사이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프레임(135)을 포함한다.
이때, 도 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이동 다리(132)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고정공(132a)이 복수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전방 고정 다리(131)에는 길이 선택공(미도시)이 한 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전방 고정 다리(131)에 복수개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전방 이동 다리(132)에 길이 선택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선택부(134)는 도 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연결프레임(133)에 고정된 브라켓(134a)과, 전방 고정 다리(131)의 길이 선택공을 관통하여 전방 이동 다리(132)의 고정공(132a)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조절핀(134b) 및 조절핀(134b)의 단부에 고정된 조절 손잡이(134c)를 포함한다. 또한, 조절핀(134b)의 중간에는 제1걸림판(P1)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단부에는 제2걸림판(P2)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제1걸림판(P1)과 브라켓(134a)의 내측면 사이에는 스프링(S)이 설치되고, 제2걸림판(P2)은 전방 고정 다리(131)에 걸려 조절핀(134b)의 최대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경사형 낚시용 좌대(100)의 상향 경사각보다 더 급격하게 하향 경사진 지형을 갖는 물가에 당해 경사형 낚시용 좌대(1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방 이동 다리(132)를 인출하여 상향 경사각을 더 크게 함으로써, 해당 지형에 경사형 낚시용 좌대(100)를 설치시에도 계속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조절 손잡이(134c)를 잡고 조절핀(134b)을 잡아당겨 최하부의 고정공(132a)으로부터 조절핀(134b)이 빠져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전방 이동 다리(132)를 약간 인출한 후 조절 손잡이(134c)를 놓으면 스프링(S)에 의해 조절핀(134b)이 전방 고정 다리(131)측을 향해 이동하려는 힘이 계속하여 작용하므로, 그 상태에서 전방 이동 다리(132)를 서서히 인출하면 자동으로 다음번 고정공(132a)에 조절핀(134b)이 삽입되면서 편리하게 길이 조절이 되게 한다.
다음,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는 상단부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후방 연결 프레임(113)에 힌지 결합되는 후방 고정 다리(141)와, 상기 후방 고정 다리(141)와 후방 연결 프레임(113)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142)와, 후방 고정 다리(141)의 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이동 다리(143)와, 상기 후방 고정 다리(141)들 사이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프레임(144)과, 상기 하부 연결프레임(144)에 설치된 상태에서 후방 이동 다리(143)의 인출 길이를 조절하는 선택부(145) 및 후방 고정 다리(141)들 사이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프레임(146)을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는 상술한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에 비해 그 다리 길이가 짧다는 점과,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는 전방 연결 프레임(136) 사이에 전방 고정 다리(131)가 삽입됨에 비해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는 후방 연결 프레임(113)이 후방 고정 다리(141) 사이에 삽입되어 단순히 외형상 차이가 있는 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 혹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그에 대한 좀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 연결 프레임(126)과 전방 고정 다리(131) 및 후방 연결 프레임(113)과 후방 고정 다리(141)는 각각 힌지부(136, 142)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데, 일 예로 후방 고정 다리(141)에 설치되는 힌지부(142)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손잡이(142a)와, 일단은 힌지 손잡이(142a)에 고정되어 있으며 후방 연결 프레임(113)과 후방 고정 다리(141)의 회전축 선상에 형성된 회전공(미도시)을 모두 관통하는 회동축(142b)과, 상기 회동축(142b)의 타단에 고정된 로킹 블럭(142d) 및 회동축(142b)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되, 로킹 블럭(142d)으로부터 후방 연결 프레임(113) 및 후방 고정 다리(141)를 바라보는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로킹 핀(142e)을 포함한다.
따라서, 로킹 핀(142e)이 상기 후방 연결 프레임(113)과 후방 고정 다리(141)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로킹 공(H2)에 각각 끼워지면 회전 동작이 제한되고, 로킹 핀(142e)이 로킹 공(H2)으로부터 빠져나오면 잠김 동작이 해제되므로 회동축(142b)을 중심으로 연결 프레임(142b)이 회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를 각각 접은 상태로 도 4와 같이 보관하거나, 도 2 및 3과 같이 펴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후방 고정 다리(141)에 스프링 고정공(H1)이 형성되어 있고, 힌지 손잡이(142a)와 후방 고정 다리(141) 사이에는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이 개재되되,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공(H1)에 고정되어 있고, 이상과 같이 고정된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타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한 상태에서 당해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의 타단을 힌지 손잡이(142a)에 고정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예컨대, 시계 방향)시킨 상태에서 고정하면, 당해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에 타측 방향으로 회전(예컨대, 시계 반대방향)하려는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잠김 동작을 해제하고자 힌지 손잡이(142a)를 눌러 로킹 핀(142e)이 로킹 공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면, 그 순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동축(142b)이 회전하면서 로킹 핀(142e)이 로킹 공으로부터 어긋나는 위치로 회동하여 자동으로 잠금 동작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그 반대로 잠금 동작이 필요할 경우에는 회전 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이길 정도의 작은 힘으로 힌지 손잡이(142a)를 슬쩍 돌려서 로킹 핀(142e)을 로킹 공에 일치시키면, 그 후에는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의 길이 방향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킹 핀(142e)이 로킹 공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잠금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힌지부(142)는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에 구비된 힌지부(136)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에서는 그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조립식 좌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어셈블리(120) 위에 놓여져 낚시꾼이 앉을 수 있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물가를 향해 좀더 다가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경사판(111)과 마찬가지로 금속 등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후방 단부에는 보조 지지바(15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당해 보조 지지바(151)를 경사판(111)의 하면에 접하도록 끼우면, 경사판(111)에 구비된 지지바(114)와 함께 서로 물림작용을 함으로써 견고히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면에는 홈이나 관통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낚시대용 지지대 설치부(152)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낚시대용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 어셈블리(120)의 지지 암(123)에 관통 형성된 나사공(123a)과 대응하는 위치에 역시 나사공(153)을 설치하여 이들 나사공(123a, 153)을 관통해 볼트(B)를 체결하면 조립식 좌대(1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도 있게 한다.
한편, 위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 사이드 판(160)은 금속 등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제1사이드 암(115a) 내지 제3사이드 암(124a) 위에 설치되며, 이상에서는 사이드 판(160)이 단순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사이드 판(160)이 이러한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 단부에 세워진 벽(wall, 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등의 구성으로 하여 사이드 판(160) 위에 놓여진 각종 낚시 용품이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사이드 판(160)이 일측부에 하나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사이드 판(160)을 타측부에도 구비하여 양측에 각각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사이드 암(115a, 116a, 124a) 역시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경사판(111)에 형성된 우산 꽂이, 햇빛 차양기 꽂이 또는 텐트 꽂이용 고정부(117)는 그 명칭으로부터도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산이나, 햇빛 차양기 혹은 텐트 등의 기둥(혹은, 손잡이 등)을 꽂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경사판(111)의 후방 단부에 돌출된 'ㄴ'자 형상의 지지편(118)은 경사판 어셈블리(110) 위에 올라가기 쉽도록 각종 다리(bridge) 등을 설치시 일단을 상기 지지편(118)에 기대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경사판 어셈블리 111: 경사판
112: 가이드 113: 후방 연결 프레임
114: 지지바 115a, 116a, 124a: 사이드 암
120: 지지 어셈블리 121: 이동 암
122: 결합 블럭 123: 지지 암
126: 전방 연결 프레임 130: 전방 다리 어셈블리
131: 전방 고정 다리 132: 전방 이동 다리
140: 후방 다리 어셈블리 141: 후방 고정 다리
142: 후방 이동 다리 150: 조립식 좌대
160: 사이드 판

Claims (9)

  1. 물가(waterside) 측을 바라보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 어셈블리(110)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내부에 인입되었다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전단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지지 어셈블리(120)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로부터 인출된 상기 지지 어셈블리(120) 위에 놓이도록 조립되는 조립식 좌대(150)(seat plate)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 및
    상기 지지 어셈블리(12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보다 길이가 긴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는,
    판 형상의 경사판(111)과;
    상기 경사판(111)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 어셈블리(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12)와;
    상기 가이드(112)의 후방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와 힌지 결합되는 후방 연결 프레임(113); 및
    상기 경사판(111)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좌대(150)의 일측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바(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120)는,
    상기 가이드(112)의 내부를 따라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 암(121)과;
    상기 이동 암(121)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결합 블럭(122)과;
    상기 결합 블럭(122)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조립식 좌대(150)의 타측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암(123); 및
    상기 지지 암(123)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와 힌지 결합되는 전방 연결 프레임(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리 어셈블리(130)는,
    상단부가 상기 지지 어셈블리(120)의 전방 연결 프레임(126)에 힌지 결합되는 전방 고정 다리(131) 및 상기 전방 고정 다리(131)의 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지면과 접하는 전방 이동 다리(132)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다리 어셈블리(140)는,
    상단부가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후방 연결 프레임(113)에 힌지 결합되는 후방 고정 다리(141) 및 상기 후방 고정 다리(141)의 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지면과 접하는 후방 이동 다리(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동 다리(132)와 후방 이동 다리(143)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고정공(132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고정 다리(131)와 후방 고정 다리(141)에는 각각 하나의 길이 선택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선택공을 상기 고정공(132a) 중 어느 하나에 일치시켜 상기 이동 다리의 인출 길이를 조절 후 서로 일치된 상기 길이 선택공과 고정공(132a)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조절핀(13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연결 프레임(126)과 전방 고정 다리(131)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136)와 상기 후방 연결 프레임(113)과 후방 고정 다리(141)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142)는 각각,
    힌지 손잡이(142a)와;
    일단은 상기 힌지 손잡이(142a)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프레임(113, 126)과 고정 다리(131, 141)의 회전축 선상에 형성된 회전공을 관통하는 회동축(142b)과;
    상기 회동축(142b)의 타단에 고정된 로킹 블럭(142d); 및
    상기 회동축(142b)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로킹 블럭(142d)으로부터 상기 연결 프레임(113, 126) 및 고정 다리(131, 141)를 바라보는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로킹 핀(142e);을 포함하여,
    상기 로킹 핀(142e)이 상기 연결 프레임(113, 126)과 고정 다리(131, 141)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로킹 공에 각각 끼워지면 회전 동작이 제한되고, 상기 로킹 핀(142e)이 상기 로킹 공으로부터 빠져나오면 상기 회동축(142b)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113, 126)이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113, 126) 또는 고정 다리(131, 141)에는 스프링 고정공(H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손잡이(142a)와 연결 프레임(131, 141) 사이 또는 상기 힌지 손잡이(142a)와 고정 다리(131, 141) 사이에는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이 개재되되,
    상기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공(H1)에 고정되고, 일단이 고정된 상기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타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용 코일형 스프링(142c)의 타단을 상기 힌지 손잡이(142a)에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어셈블리(110)의 측면과 상기 지지 어셈블리(120)의 측면을 통해 각각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사이드 암(115a, 116a, 124a) 및 상기 인출된 상태의 사이드 암(115a, 116a, 124a) 위에 놓여지는 사이드 판(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111)에는 우산 꽂이, 햇빛 차양기 꽂이 또는 텐트 꽂이용 고정부(1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낚시용 좌대.
KR1020110014500A 2011-02-18 2011-02-18 경사형 낚시용 좌대 KR101378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500A KR101378553B1 (ko) 2011-02-18 2011-02-18 경사형 낚시용 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500A KR101378553B1 (ko) 2011-02-18 2011-02-18 경사형 낚시용 좌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075A true KR20120095075A (ko) 2012-08-28
KR101378553B1 KR101378553B1 (ko) 2014-03-27

Family

ID=4688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500A KR101378553B1 (ko) 2011-02-18 2011-02-18 경사형 낚시용 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5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9773A (zh) * 2018-04-08 2018-08-21 朱德金 一种便于携带的钓鱼台
KR20190125951A (ko) * 2018-04-30 2019-11-07 한국과학기술원 다목적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643B1 (ko) 2014-11-21 2017-01-13 주식회사 강원산업 낚시용 좌대
KR101710836B1 (ko) 2016-06-22 2017-02-28 배영진 낚시용 좌대
US10791725B2 (en) * 2017-08-08 2020-10-06 Mario Castillo Rod holding assembly
KR102399695B1 (ko) 2020-04-23 2022-05-19 정규범 낚시용 좌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282B1 (ko) * 2008-02-27 2010-04-02 조용준 휴대용 낚시 좌대
KR100960744B1 (ko) * 2008-07-15 2010-06-01 신현덕 다기능성 좌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9773A (zh) * 2018-04-08 2018-08-21 朱德金 一种便于携带的钓鱼台
KR20190125951A (ko) * 2018-04-30 2019-11-07 한국과학기술원 다목적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553B1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553B1 (ko) 경사형 낚시용 좌대
CN105361488B (zh) 椅子和家具
KR100951282B1 (ko) 휴대용 낚시 좌대
US11317720B2 (en) Adjustable lounge garden swing
US6896322B1 (en) Folding chair
US20150289678A1 (en) Bouncer or bouncing cradle and a frame for such
KR20140004845U (ko) 절첩 가능한 로킹 체어.
KR101418235B1 (ko) 접이식 낚시용 의자
KR101704544B1 (ko) 절첩 및 조립식 낚시대 지지구
KR100295510B1 (ko) 휴대용 의자 장착 낚시 좌대.
US6516729B1 (en) Freestanding companion system consisting of an organizer base, a table and the connecting, supporting, and adjustment mechanisms
KR20190057492A (ko) 회전의자가 구비된 접철식 낚시좌대
KR100886102B1 (ko) 낚시 받침대
KR20060040475A (ko) 다목적 낚시용 의자
KR102024629B1 (ko)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CN211608814U (zh) 一种可折叠的藤编式沙滩椅
KR20120096184A (ko) 낚시용 좌대의 다리 및 그를 포함한 낚시용 좌대
KR200340678Y1 (ko) 의자용 다용도 받침틀 지지장치
US20020014791A1 (en) Reclining chair
KR200327137Y1 (ko) 다기능 낚시가방
CN215686266U (zh) 多功能摇椅
KR101388208B1 (ko) 낚시용 절첩식 회전 의자
KR101010986B1 (ko) 직립식 지지용 의자
ES1185686U (es) Silla tumbona portatil plegable en 40mm
JP4013227B2 (ja) 収納式スライドチェアとその開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