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743A - 입체 보안 필름 - Google Patents

입체 보안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743A
KR20120094743A KR1020110014192A KR20110014192A KR20120094743A KR 20120094743 A KR20120094743 A KR 20120094743A KR 1020110014192 A KR1020110014192 A KR 1020110014192A KR 20110014192 A KR20110014192 A KR 20110014192A KR 20120094743 A KR20120094743 A KR 20120094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ink
image pattern
layer
infrare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구원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1001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4743A/ko
Publication of KR2012009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42D25/382Special inks absorbing or reflecting infrared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4Security printing using fluorescent, luminescent or iridescent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53Forms specially designed for commercial use, e.g. bills, receipts, offer or order sheets,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보안 필름으로서, 복수개의 미세 렌즈들이 상부에 배열되어 형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하부에 형성되며,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하부에 형성된 마감층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패턴은, 선택적으로 적외선 흡수 잉크 또는 적외선 반사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보안 필름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안 문서 상에 적외선 흡수 잉크와 적외선 반사 잉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되는 보안 문서에 나타나는 형상과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되는 보안 문서에 나타나는 형상에 현격한 차이가 나타나며, 이를 통해 보안 문서의 보안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입체 보안 필름 {Stero security film}
본 발명은 입체 보안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흡수 잉크와 적외선 반사 잉크로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켜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경우와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하는 경우에 서로 상이한 이미지 패턴이 나타나는 입체 보안 필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권, 유가 증권, 신분증 등과 같은 보안 문서에는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안 요소들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보안 요소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진위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홀로그램 보안 필름, 식별 장비를 통해 진위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특수 은선 보안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은행권이나 수표 등의 유가증권의 제조시에는 위조방지를 위하여 종이 내부에 전부 은폐되거나 일부 노출되는 형식으로 특수 은선을 삽입하여 왔다.
도 1은 특수 은선에 적용되는 입체 보안 필름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내며, 상기 도 1을 통해 입체 보안 필름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등의 투명한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베이스층(10)의 상부에 미세 렌즈 어레이(11)가 형성되고, 베이스층(10)의 하부에는 이미지 패턴(20)이 형성되며 부가적 기능을 위하여 접착, 증착, 코팅을 하는 마감층(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입체 보안 필름은, 베이스층(10)에 형성된 미세 렌즈 어레이(11)를 통해 이미지 패턴(20)을 보았을 때, 모아레 확대 현상에 의하여 확대된 합성 이미지가 관찰되며, 각도 변화에 따라 특정 이미지가 이동되어 보이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빛을 반사하고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보이는 근적외선 흡수층을 포함함으로써 위조 방지용 보안 요소로써 기능한다.
은선 보안 필름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영국 특허 공개 제1552853호 및 제1604463호에는 은선을 종이 내부에 삽입시키거나 또는 부분 노출의 형태로 위조를 방지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며, 미국 특허 제5314739호 및 제5419424호에는 투명 필름에 유채색 또는 흑색의 문자나 문양을 미세하게 인쇄한 인쇄방식의 은선 또는 여기에 자외선 발광특성을 가지는 특수 안료를 부가적으로 처리한 은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투명 필름 또는 금속층을 갖는 필름에 전기전도성, 자성, 홀로그램특성, 색 변환 등 다양한 요소를 적용하여 제조한 은선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었으며, 이와 같은 은선들은 0.5mm 내지 5mm 정도의 좁은 폭으로 가늘게 재단된 후 보안 용지 제조시 용지 내부에 삽입되어 위조 방지 요소로 활용되고 있어 보안 요소로서 매우 효과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프린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유가증권 등의 보안 용지의 위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투명 필름에 유채색 또는 흑색 문자를 인쇄한 후 형광 특성을 가지는 특수 안료를 인쇄한 은선의 경우에 형광 특성을 가지는 특수 안료가 일반 안료업체에 의해 생산 판매되어 보안 유지 및 위조방지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서 최근 유로 은행권에서 사용되고 있는 클리어 텍스트형 은선의 경우에도 국내에서 유사한 형태로 위조된 위조권이 발견됨으로써 보안 요소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육안으로는 식별이 불가능하지만 식별 장비를 통해서는 확실하게 식별이 가능한 위조 방지용 보안 요소의 필요성이 절실하며, 또한 복사기나 컴퓨터를 통해 재현이 불가능하여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육안으로는 식별이 불가능하지만 적외선 식별 장비를 통해서는 확실하게 식별이 가능한 위조 방지용 보안 요소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복사기나 컴퓨터를 통해 제작이 불가능하여 보안성을 더욱 강화시킨 입체 보안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복수개의 미세 렌즈들이 상부에 배열되어 형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하부에 형성되며,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하부에 형성된 마감층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패턴은, 선택적으로 적외선 흡수 잉크 또는 적외선 반사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보안 필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패턴은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 이미지 패턴 중 선택된 이미지 패턴은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되고, 그 나머지 이미지 패턴은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패턴의 일부분이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이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이미지 패턴은, 서로 다른 형태의 이미지 패턴을 갖는 이층 구조로 형성되되, 선택된 한층은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되고 다른 한층은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 및 적외선 반사 잉크로 서로 동일한 색상이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는, 구리화합물 10 내지 30 중량% 및 알루미늄산화물(Al2O3), 칼슘산화물(CaO), 마그네슘산화물(Mg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금속산화물, 인산산화물, 붕산 및 플루오르붕산의 혼합물 70 내지 90 중량%로 혼합된 적외선 흡수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마감층은,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한 색상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코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는 식별되는 이미지 패턴과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되는 이미지 패턴이 서로 확연히 차이가 있어 보안성이 강화된 위조 방지용 입체 보안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입체 보안 필름의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적외선 흡수 잉크와 이미지 패턴의 바탕이 동일한 백색으로 형성되어 육안으로는 이미지 패턴이 보이지 않지만 식별 장비의 이용시 이미지 패턴이 드러나 더욱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적외선 흡수 잉크는 일반적으로 구할 수 없는 특수 잉크를 사용하므로 위조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을 재현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이미지 패턴을 이층 구조로 형성시켜 보안 문서 상의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이미지 패턴이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보는 경우와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하는 경우에 서로 상이하므로 더욱 보안성이 강화된다.
도 1은 특수 은선에 적용되는 입체 보안 필름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내며,
도 2는 보안 문서에 보안 장치로서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와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상기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와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8은 상기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와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상기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와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 11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의 입체 보안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12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3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의 입체 보안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입체 보안 필름에 대한 것으로서, 적외선 흡수 잉크와 적외선 반사 잉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이미지 패턴의 일부는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켜 보안성을 더욱 강화시킨 입체 보안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안 은선의 경우에 보안 기능의 강화를 위하여 입체 보안 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도 2는 보안 문서에 보안 장치로서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등의 투명한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베이스층(100)의 상부에 미세 렌즈 어레이(110)가 형성되고, 베이스층(100)의 하부에는 이미지 패턴(210, 220)을 포함하는 지지층(2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층(200)의 하부에는 부가적 기능을 위하여 접착, 증착, 코팅을 하는 마감층(300)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미세 렌즈 어레이(110)가 형성된 베이스층(100), 이미지 패턴(210a, 220a)을 포함하는 지지층(200) 및 마감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개 형성되는 이미지 패턴이 선택적으로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10a)과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20a)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이미지 패턴을 각각 유색의 적외선 흡수 잉크와 유색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키는데, 가령 적외선 흡수 잉크로는 프탈로시아닌 그린(C.I Pigment Green 7)을 사용하여 이미지 패턴(210a)을 형성하고, 적외선 반사 잉크로는 피그멘트 그린 B(C.I Pigment Green 8)을 사용하여 이미지 패턴(220a)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이미지 패턴의 바탕이 되는 마감층(300)은 흰색으로 형성시켰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와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하는데, 상기 도 4의 (a)는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보안 문서를 관찰한 경우로서 가시선 영역에서는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a) '가'모양과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20a) '나'모양 모두가 녹색으로 관찰된다.
상기 도 4의 (b)는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한 경우로서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a) '가'모양은 흑색으로 관찰되지만,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20a) '나'모양은 관찰되지 않고 단지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두 흰색으로 관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베이스층(100)의 상부에 미세 렌즈 어레이(110)가 형성되고, 베이스층(100)의 하부에는 이미지 패턴(210b, 220b)을 포함하는 지지층(200)이 형성되며, 지지층(200)의 하부에는 마감층(300)이 형성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게 마감층(300)과 지지층(200) 사이에 코팅층(310b)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코팅층(310b)은 상기 제2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제1 실시예에도 적용되어 이미지 패턴의 바탕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흡수 잉크로 구리와 인산화합물이 혼합된 백색에 가까운 미청색 또는 미백색의 적외선 흡수 물질을 이용하였고, 적외선 반사 잉크로는 일반적인 유색의 적외선 반사 잉크를 사용하였으며, 코팅층(310b)을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적외선 흡수 잉크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10 내지 30중량%의 구리화합물에, 70 내지 90중량%의 알루미늄산화물(Al2O3), 칼슘산화물(CaO), 마그네슘산화물(Mg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금속산화물, 인산화합물, 붕산 및 플루오르붕산의 혼합물을 혼합한 적외선 흡수 물질로서, 이와 같은 적외선 흡수 잉크는, 본 발명자가 특허등록(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618083)받은 비가시광 흡수 물질이다.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는, 상기 특허등록 받은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적외선 흡수 잉크의 구성물질인 구리 화합물은 수산화구리, 산화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인산화합물은 인산, 플리안산 및 오산화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산화물, 인산화합물, 붕산 및 플루오르분산의 혼합물은, 금속산화물 1 내지 5 중량%, 인산화합물 28 내지 48 중량%, 붕산 18 내지 30 중량% 및 플루오르붕산 28 내지 48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는, 상기 본 발명자가 특허등록받은 특허 발명의 명세서 상의 내용을 참고하여 살펴볼 수 있으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와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상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b) '가'모양과 코팅층(310b)의 색상이 서로 동일한 미청색 또는 미백색이므로,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b)인 '가'모양은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상으로 식별되지 않고, 유색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20b)인 '나' 모양만 유색으로 식별된다.
하지만 이를 적외선 식별 장비를 통해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하게 되면, 상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b)인 '가'모양은 흑색으로 식별되지만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20b)인 '나'모양은 바탕인 코팅층(310b)과 동일한 흰색으로 나타나서 그 형상이 식별되지 않는다.
나아가서 상기 도 5의 제2 실시예에서는 마감층(300)과 지지층(200) 사이에 코팅층(310b)이 형성되었지만, 마감층(300) 자체를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한 미청색 또는 미백색으로 형성시킬 경우에는 별도의 코팅층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살펴보면,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투명한 베이스층(100)의 상부에 미세 렌즈 어레이(110)가 형성되고, 베이스층(100)의 하부에는 이미지 패턴(210c, 220c)을 포함하는 지지층(200)이 형성되며, 지지층(200) 하부에 코팅층(310c)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마감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 7의 제3 실시예에서는 형성된 이미지 패턴이 복층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하층은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c)이고 상층은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20c)이다.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는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적용한 본 발명자가 특허받은 비가시광 흡수 물질을 이용하고, 상기 적외선 반사 잉크로는 유색의 적외선 반사 물질을 이용하였으며, 코팅층(310c)은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시켰다.
이때, 하층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c)과 상층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220c)의 모양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와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패턴을 복층 구조로 형성시키는데, 하층의 이미지 패턴(210c)은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시키고 상층의 이미지 패턴(220c)은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켰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상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c)과 코팅층(310c)의 색상이 서로 동일하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c)은 그 상층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20c)에 가려지므로,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c)인 '가'모양은 식별되지 않고, 유색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20c)인 '나'모양만 유색으로 식별된다.
하지만 이를 적외선 식별 장비를 통해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하게 되면, 상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층(310c)인 바탕은 흰색으로 나타나며, 이미지 패턴의 하층에 형성된 '가'모양의 이미지 패턴(210c)만 흑색으로 식별되고 이미지 패턴의 상층에 형성된 '나'모양의 이미지 패턴(220c)은 식별되지 않는데, 이는 적외선 반사 잉크가 적외선 흡수 잉크를 차폐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적외선 식별 장비를 통해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시에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c)이 식별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제4 실시예도 투명한 베이스층(100)의 상부에 미세 렌즈 어레이(110)가 형성되고, 베이스층(100)의 하부에는 이미지 패턴(210d, 220d)을 포함하는 지지층(200)이 형성되며, 지지층(200) 하부에 코팅층(310d)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마감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 9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서는, 형성된 이미지 패턴의 일부분(210d)이 본 발명자가 특허등록받은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되고 그 외 다른 부분(220d)은 유색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되며, 코팅층(310d)은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제4 실시예와 같이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키면,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의 일부분(210d)은 바탕의 코팅층(310d)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므로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경우에 식별되지 않지만,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하는 경우에 그 모양이 나타나게 된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 관찰한 경우와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제4 실시예를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상기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의 일부분(210d)과 코팅층(310d)의 색상이 미청색 또는 미백색으로 서로 동일하여,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의 일부분(210d)은 식별되지 않고, 유색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20d)인 '나'모양만 육안으로 식별되게 된다.
하지만 이를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하게 되면, 상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의 일부분(210d)인 사각형 모양은 흑색으로 나타나지만, 상기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20d)인 '나'모양은 바탕(310d)과 동일한 백색으로 나타나게 되어, 실제적으로는 마치 '나' 모양을 음영처리한 듯한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나아가서 상기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더 응용하면, 이미지 패턴을 유색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키고 상기 이미지 패턴을 제외한 전체 바탕을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시키는 경우에,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상기 형성된 이미지 패턴이 유색으로 그 모양이 보이지만,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하면 형성된 이미지 패턴은 백색으로 나타나고 이미지 패턴을 제외한 바탕이 흑색으로 나타나 마치 음영으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과 같이 보이게 된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미지 패턴을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시키고, 상기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 전체 바탕을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한 색상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키는 경우에,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아무 이미지 패턴이 식별되지 않지만,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해보면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이 흑색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안 문서 상에 적외선 흡수 잉크와 적외선 반사 잉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 관찰되는 보안 문서에 나타나는 형상과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되는 보안 문서에 나타나는 형상에 현격한 차이가 나타나며, 이를 통해 보안 문서의 보안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일반적인 적외선 흡수 잉크의 색상은 어두운 녹색, 청색, 갈색, 흑색이지만 본 발명자가 특허등록받은 비가시광 흡수 물질은 미청색 또는 미백색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더 다양한 색상의 적외선 반사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일반적인 입체 보안 필름에서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바탕의 색상이 백색이므로 본 발명자가 특허등록받은 물질을 이용하여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키는 경우에 바탕색과 동일한 색상으로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어 가시선 영역에서 육안으로는 이미지 패턴이 전혀 식별되지 않지만 적외선 식별 장비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관찰하면 이미지 패턴이 흑색으로 나타나게 되어 더욱 보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적외선 흡수 잉크는 일반적으로 구할 수 없는 특수 잉크를 사용하므로 위조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을 재현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보안 문서 상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에 있으므로, 상기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중점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입체 보안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상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층(300)의 상부에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색상으로 코팅층(310)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코팅층(310)은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과 동일한 색상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 코팅층(310)을 별도로 형성시키지 않고 마감층(300) 자체를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 후 상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적외선 반사 잉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10)과 상기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20)을 만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잉크젯, 레이저젯, 활판인쇄(letterpress), 플렉소(flexo), 그라비어(gravure), 요판인쇄(intaglio)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 중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1에서는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10)과 상기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20)이 교대로 위치되어 있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시된 것에 불과하고 필요에 따라 순서에 상관없이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10)과 상기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2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도록 지지층(200)을 형성하는데, 가령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등과 같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지지층(200)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층(200)의 상부에 미세 렌즈(110)가 배열되어 형성된 베이스층(100)을 형성시키는데, 베이스층(100) 상부에 형성된 미세 렌즈 배열(110)은 자외선 엠보싱(UV embossing), 열적 재유동(thermal reflow) 등 해당 기술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방법을 통해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반원의 엠보싱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실시예를 위해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의 미세 렌즈가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미세 렌즈의 형성과정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서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특허등록(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618083)받은 비가시광 흡수 물질을 이용하여 더욱 다양한 색상의 적외선 반사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여기서 본 발명자가 특허등록받은 비가시광 흡수 물질의 제조과정은 상기 특허등록받은 특허 발명의 명세서 상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3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입체 보안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상기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도 상기 도 11의 실시예와 같이 먼저 마감층(300)에 백색의 코팅층(310c)을 형성시키는데, 상기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층(300)의 상부에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색상으로 코팅층(310c)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코팅층(310c)도 앞서 살펴본 상기 도 1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과 동일한 색상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 코팅층(310c)을 별도로 형성시키지 않고 마감층(300) 자체를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코팅층(310c)을 형성시킨 후에 코팅층(310c)의 상부에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를 이용하여 이미지 패턴(210c)을 형성시키고,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210c)의 상부에 적외선 반사 잉크를 이용하여 이미지 패턴(220c)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10c)과 상기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20c)을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10c)과 상기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시킨 이미지 패턴(220c)을 포함하도록 지지층(200)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상기 도 11의 (b)에 도시된 과정에서 언급한 방법과 같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복층 구조를 갖는 이미지 패턴(210c, 220c)이 형성된다.
그 후에 지지층(200)의 상부에 미세 렌즈(110)가 배열되어 형성된 베이스층(100)을 형성시키는데, 이 부분도 상기 도 11의 (d)에 도시된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을 갖는 입체 보안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는 순차적으로 마감층, 코팅층, 이미지 패턴, 지지층 및 미세 렌즈가 배열된 베이스층을 형성시키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제조 과정에 대한 실시예를 제시한 것이며,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제조한다면, 미세 렌즈가 배열된 베이스층을 기초로 이미지 패턴, 지지층, 마감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마감층을 형성시키기 이전에 백색의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이미지 패턴도 상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층 구조로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반대과정으로 유추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보안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위변조 식별이 용이한 입체 보안 필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층, 110 : 미세 렌즈,
200 : 지지층,
210, 210a, 210b, 210c, 210d :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
220, 220a, 220b, 220c, 220d :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이미지 패턴,
300 : 마감층,
310, 310a, 310b, 310c, 310d : 코팅층.

Claims (7)

  1. 복수개의 미세 렌즈들이 상부에 배열되어 형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하부에 형성되며,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하부에 형성된 마감층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패턴은, 선택적으로 적외선 흡수 잉크 또는 적외선 반사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보안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패턴은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 이미지 패턴 중 선택된 이미지 패턴은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되고, 그 나머지 이미지 패턴은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보안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패턴의 일부분이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이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보안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패턴은, 서로 다른 형태의 이미지 패턴을 갖는 이층 구조로 형성되되, 선택된 한층은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되고 다른 한층은 적외선 반사 잉크로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입체 보안 필름.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 및 적외선 반사 잉크는, 동일한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보안 필름.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는,
    구리화합물 10 내지 30 중량% 및
    알루미늄산화물(Al2O3), 칼슘산화물(CaO), 마그네슘산화물(Mg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금속산화물, 인산산화물, 붕산 및 플루오르붕산의 혼합물 70 내지 90 중량%로 혼합된 적외선 흡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보안 필름.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은, 상기 적외선 흡수 잉크와 동일한 색상의 적외선 반사 잉크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보안 필름.
KR1020110014192A 2011-02-17 2011-02-17 입체 보안 필름 KR20120094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192A KR20120094743A (ko) 2011-02-17 2011-02-17 입체 보안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192A KR20120094743A (ko) 2011-02-17 2011-02-17 입체 보안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743A true KR20120094743A (ko) 2012-08-27

Family

ID=4688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192A KR20120094743A (ko) 2011-02-17 2011-02-17 입체 보안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47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5434B2 (en) 2017-02-10 2022-10-11 Crane & Co., Inc. Machine-readable optical securit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5434B2 (en) 2017-02-10 2022-10-11 Crane & Co., Inc. Machine-readable optical security device
US11590791B2 (en) 2017-02-10 2023-02-28 Crane & Co., Inc. Machine-readable optical security device
US20230202224A1 (en) * 2017-02-10 2023-06-29 Crane & Co., Inc. Machine-readable optical securit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8017B1 (en) Security devices for security substrates
US8820793B2 (en) Security devices
RU2360060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подложек, включающих в себя защитные устройства
CN1597334B (zh) 防伪线和在薄板上制造光学可变装置的方法
TWI427004B (zh) 透明基板上之導向型影像塗布膜
KR101806391B1 (ko) 다중 복합구조를 갖는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HUT67614A (en) Identification article
RU2494185C2 (ru) Защищенная от подделки бумага,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защищенный от подделки документ, полученны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ышеуказанной бумаги
EA008228B1 (ru) Защищённый документ,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элемента защиты
CN106573488B (zh) 视觉可变式防伪元件
KR20160002875A (ko) 체적 홀로그램을 구비하는 보안 요소
GB2546138A (en) Methods of manufacturing image element arrays for security devices
KR101945966B1 (ko) 보안 요소 형성 방법 및 보안 요소
EP4210966A2 (en) Security docu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20190039400A1 (en) Security devices
KR20120094743A (ko) 입체 보안 필름
US20220144006A1 (en) Securit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3286013B1 (en) Improvements in security substrates
GB2562592A (en) Methods of manufacturing security devices and image arrays therefor
CN106470846B (zh) 防伪条带与包括所述条带的安全文件
US20160176222A1 (en) Improvements in security elements
CA2919038A1 (en) Improvements in securit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