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358A -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358A
KR20120094358A KR1020110013814A KR20110013814A KR20120094358A KR 20120094358 A KR20120094358 A KR 20120094358A KR 1020110013814 A KR1020110013814 A KR 1020110013814A KR 20110013814 A KR20110013814 A KR 20110013814A KR 20120094358 A KR20120094358 A KR 20120094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ecurity
module
authentication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358B1 (ko
Inventor
정경수
양준선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익스트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익스트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익스트러스
Priority to KR102011001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3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 G06F11/0742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 mobile device, e.g. mobile phones, handheld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17Runtime instruction translation, e.g. macros
    • G06F9/30178Runtime instruction translation, e.g. macros of compressed or encrypted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기에 탈부착되어지며,
모바일단말기로 수신 또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모듈; 외부서버와의 접속시 정당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모듈; 및 악성코드의 실행제어 또는 외부디바이스 접근제어와 같은 보안기능을 수행하는 보안모듈이 탑재된 칩을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SECURITY AND ACCESS CONTROLL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FINANCIAL TRA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시 암호화, 인증 및 보안기능을 모바일단말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내에서 수행함으로써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에도 인증서 등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고, 악성코드나 해킹툴에 의해 사용자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아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는 별도로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소지할 필요가 없고, 항상 소지하고 다니는 모바일단말기를 결제에 이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매우 높은 특징이 있다.
도 1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결제프로세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통상적으로는 사용자가 모바일단말기(1)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경우 기지국(2)을 통해 결제중개서버(3)에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중개서버(3)는 당해 모바일단말기(1)의 소지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한 후에 결제서버(4)에 결제의 인증 및 승인을 요청하고 결제서버(4)로부터 결제승인코드를 받은 경우 이를 모바일단말기(1)에 통지하는 과정을 통해 결제프로세스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금융결제를 수행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단말기(1)에 공인인증서를 컴퓨터로부터 복사하여 옮기거나, 웹서버에 접속하여 공인인증서를 자신의 모바일단말기(1)에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여야만 한다.
하지만, 모바일단말기(1) 역시 보안에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금융거래과정에서 보안성의 취약은 사용자 개개인에게 막대한 금융손실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대개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결제와 관련한 위협으로는 악성프로그램을 모바일단말기에 사용자가 모르게 혹은 정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하여 설치하게 끔 한 후에 메모리의 중요정보를 추출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빼가거나, 또는 악성코드를 유포하여 피싱공격을 수행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할 경우 금융거래를 위한 인증의 많은 수단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될 위험이 커 안전성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시 암호화, 인증 및 보안기능을 모바일단말기에 탈부착되어지는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내에서 수행함으로써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에도 인증서 등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고, 악성코드나 해킹툴에 의해 사용자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아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모바일단말기에 탈부착되어지며,
모바일단말기로 수신 또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모듈; 외부서버와의 접속시 정당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모듈; 및 악성코드의 실행제어 또는 외부디바이스 접근제어와 같은 보안기능을 수행하는 보안모듈이 탑재된 칩을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모듈은 모바일단말기에 탑재된 운영체제의 종류 및 버전을 후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은 일회성비밀번호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4)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결제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에 암호화모듈, 인증모듈 및 보안모듈이 탑재된 칩을 포함하는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를 커넥터를 통해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를 위한 프로세스 수행 시 요구되는 데이터의 암호화, 사용자인증 및 보안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시 암호화, 인증 및 보안기능을 모바일단말기에 탈부착되어지는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내에서 수행함으로써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에도 인증서 등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고, 악성코드나 해킹툴에 의해 사용자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아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결제프로세스의 수행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 탈착용 유에스비 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기에 탈부착되어지며,
모바일단말기로 수신 또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모듈; 외부서버와의 접속시 정당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모듈; 및 악성코드의 실행제어 또는 외부디바이스 접근제어와 같은 보안기능을 수행하는 보안모듈이 탑재된 칩을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100)는 보안모듈(11), 암호화모듈(12), 인증모듈(13)이 탑재된 칩을 포함하며, 상기 칩은 외부기기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4), 및 모바일단말기와 접속하는 커넥터(15)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100)는 휴대가능한 소형의 크기로 제작할 수 있으며, 금융거래시마다 모바일단말기(200)에 부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100)에서 보안모듈(11)은 외부에서 모바일 단말기로 유입되는 또는 유입된 각종 악성코드의 실행제어나 외부 디바이스 접근의 제어기능 등을 수행한다. 즉, 시스템콜(System Call)을 하는 시점에 단말기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악성코드를 검사하여 삭제를 유도하거나 잠금 상태에서 앱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보안모듈(11)은 모바일단말기(200)에 유입된 악성코드가 요청하는 시스템콜을 후킹하여 관리자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그 위험을 알리고 당해 시스템콜을 드롭(Drop)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안모듈(11)에는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모바일단말기에 사용되고 있는 모든 운영체제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이에 따른 보안모듈 들이 모두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보안모듈(11)은 사용자가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주식거래, 모바일오피스 등과 같은 중요 시스템이 동작하기 이전에 모바일 단말기의 보안 상태를 점검하고, 보안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호화모듈(12)은 모바일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금융거래를 위해 입력하는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모바일단말기에서 데이터의 암호화 과정을 수행하던 것에 대하여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입력한 데이터를 가로채 암호화하고 암호화한 데이터는 다시 모바일단말기(20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호화모듈(12)에는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모바일단말기에 사용되고 있는 모든 운영체제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이에 따른 암호화모듈들이 모두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증모듈(13)은 사용자가 모바일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금융거래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기 위해 요구되어진다. 본 발명의 인증모듈(13)에서는 기존의 파일기반의 인증방식인 공인인증서를 대신하여 공지된 OTP 토큰을 이용한 인증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단말기(200)에 별도로 공인인증서를 탑재할 필요가 없으며, 필요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100)를 모바일단말기(200)에 연결하여 OTP 토큰에 기반한 인증을 통해 금융거래를 수행하고, 나아가 모바일단말기의 분실시에도 인증을 수행하는 수단이 장치(100)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안전성이 매우 높은 특징을 제공하다.
제어부(14)는 상기 보안모듈(11), 암호화모듈(12), 및 인증모듈(13)과 모바일단말기(200) 혹은 외부서버 사이에 교환되는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각 모듈은 제어부(14)를 통해 모바일단말기(200)와 데이터를 교환하며 이러한 데이터는 물리적으로 모바일단말기(200)와 접속하는 커넥터(15)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100)가 모바일단말기(200)에 부착되면 모바일단말기(200)에 탑재된 운영체제의 버전을 후킹하여 동 버전에 적합한 상기 보안모듈(11) 및 암호화모듈(12)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보안모듈(11), 암호화모듈(12), 인증모듈(13) 및 제어부(14)는 단일의 IC칩을 통해 구현되어질 수 있으며,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100)는 예를 들어 유에스비(USB) 장치의 형태로 구현되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장치를 모바일단말기(200)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바일단말기(100)에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유에스비 포트(21), 유에스비 호스트드라이버(22), 유에스비 장치드라이버(23) 등이 탑재되어질 것이 요구되며, 이는 유에스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으로 공지의 것을 사용하면 충분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금융거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모바일단말기(200)내에 금융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24)이 탑재되어질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모바일단말기(200)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는 결제서버(300)의 인증 검증 및 복호화모듈(31)을 통해 복호화되어 이후 통상적인 결제프로세스가 진행되어진다. 이때 결제서버(300)와 모바일단말기(200) 사이에 결제중개서버(미도시)가 매개하여 결제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프로세스를 구성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 탈착용 유에스비 장치는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시 암호화, 인증 및 보안기능을 모바일단말기에 탈부착되어지는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내에서 수행함으로써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에도 인증서 등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고, 악성코드나 해킹툴에 의해 사용자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아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보안모듈
12: 암호화모듈
13: 인증모듈
14: 제어부
21: 유에스비(USB) 포트
22: 유에스비 호스트 드라이버
23: 유에스비 장치 드라이버
100: 모바일단말기 탈착용 유에스비 장치
200: 모바일단말기
300: 결제서버

Claims (4)

  1. 모바일단말기에 탈부착되어지며,
    모바일단말기로 수신 또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모듈; 외부서버와의 접속시 정당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모듈; 및 악성코드의 실행제어 또는 외부디바이스 접근제어와 같은 보안기능을 수행하는 보안모듈이 탑재된 칩을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모듈은 모바일단말기에 탑재된 운영체제의 종류 및 버전을 후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 탈착용 유에스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은 1회성비밀번호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기 탈착용 유에스비 장치.
  4.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결제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에 암호화모듈, 인증모듈 및 보안모듈이 탑재된 칩을 포함하는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를 커넥터를 통해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를 위한 프로세스 수행 시 요구되는 데이터의 암호화, 사용자인증 및 보안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KR1020110013814A 2011-02-16 2011-02-16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KR10127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814A KR101272358B1 (ko) 2011-02-16 2011-02-16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814A KR101272358B1 (ko) 2011-02-16 2011-02-16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358A true KR20120094358A (ko) 2012-08-24
KR101272358B1 KR101272358B1 (ko) 2013-06-07

Family

ID=4688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814A KR101272358B1 (ko) 2011-02-16 2011-02-16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6715A (zh) * 2017-11-24 2018-03-06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财务共享安全防护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55B1 (ko) * 2005-08-23 2007-05-28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869157B1 (ko) * 2007-01-17 2008-11-19 김춘길 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6715A (zh) * 2017-11-24 2018-03-06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财务共享安全防护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358B1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06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processing with embedded cryptographic unit
US111579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the security of a transaction
US9483632B2 (en) Intelligent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for smart card memory modules
CA2838763C (en) Credential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US11824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module binding
JP4461145B2 (ja) Sim装置用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方法
US7861015B2 (en) USB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in
CN107563213B (zh) 一种防存储设备数据提取的安全保密控制装置
CN102333072B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网络银行可信交易系统与方法
RU258371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конфиденциальности информации, используемой во время операций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и авторизации, при использовании довере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102184358B (zh) Usb嵌入式可信赖私有信息处理装置及系统
Cheng et al. A secure and practical key management mechanism for NFC read-write mode
CN108460597B (zh) 一种密钥管理系统及方法
US8812857B1 (en) Smart card renewal
CN103873241A (zh) 安全盾、数字证书管理系统和方法
CN108604280B (zh) 交易方法、交易信息处理方法、交易终端及服务器
CN102346716A (zh) 硬盘存储设备的加密方法和解密方法及其加解密系统
NO340355B1 (en) 2-factor authentication for network connected storage device
US117274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authentication
KR101272358B1 (ko)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US7934099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signatures
CN117063174A (zh) 用于通过基于app的身份的app间相互信任的安全模块及方法
KR100504330B1 (ko) 윈도우 운영체제에 자동 인식되는 usb토큰 및 이의구현방법
WO2015117326A1 (zh) 一种实现远程支付的方法、装置及智能卡
KR20100114796A (ko) 금융거래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 간의 금융거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