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955B1 -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955B1
KR100720955B1 KR1020050077315A KR20050077315A KR100720955B1 KR 100720955 B1 KR100720955 B1 KR 100720955B1 KR 1020050077315 A KR1020050077315 A KR 1020050077315A KR 20050077315 A KR20050077315 A KR 20050077315A KR 100720955 B1 KR100720955 B1 KR 100720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ryption
data
banking service
decryp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107A (ko
Inventor
박성철
김성용
안상일
이정은
정승욱
홍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주식회사 씨앤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주식회사 씨앤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Priority to KR102005007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9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05Electronic ban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1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encryption of additio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4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storage capabilities, e.g.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암호화/복호화부와, 사용자의 금융 정보 또는 인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IC 칩과;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T-뱅킹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T-뱅킹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복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IC 칩에 요청하여 복호화하여 상기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고 상기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 중에서 암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IC 칩에 요청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와,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시 보안을 위한 제2 암호화/복호화부를 구비하는 셋탑박스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의 상기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을 상기 T-뱅킹 서비스를 처리하는 은행 서버-상기 암호화/복호화부에 대응되는 암호화/복호화 모듈을 구비함-로 중계하고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중계하며, 상기 제2 암호화/복호화부에 대응되는 제2 암호화/복호화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제2 암호화/복호화부에 의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은행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일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화/복호화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상기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화/복호화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IC 칩을 사용하여 T-뱅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암호화/복호화를 위한 기능을 셋탑박스 내에 내장하지 않고서도 T-뱅킹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여 T-뱅킹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금융 정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며 사용자에게 간편한 T-뱅킹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뱅킹, 셋탑박스, IC 칩, 디지털 방송, IP-TV, 데이터 송수신, 암호화/복호화, 금융 정보, 보안성

Description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A SYSTEM OF PROVIDING T-BANKING SERVICE}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뱅킹 서비스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개인용 컴퓨터 110: 인증서 관리 모듈
120: 인터넷 뱅킹 모듈 130: 암호화/복호화 모듈
150: 이동통신 단말기 160: 모바일 뱅킹 모듈
170: IC 칩 180: 중계 서버
200: 은행 서버 210: 레거시 시스템
220: 인터넷 뱅킹 모듈 230: 암호화/복호화 모듈
240: 인증 모듈 260: 모바일 뱅킹 모듈
300: 인증 기관 서버 400: 셋탑박스
410: 데이터 송수신부 420: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
430: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 440: 제2 암호화/복호화부
500: IC 칩 510: 암호화/복호화부
520: 정보 저장부 600: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
610: 제2 암호화/복호화 모듈 700: 은행 서버
710: T-뱅킹 서비스 모듈 720: 암호화/복호화 모듈
본 발명은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암호화/복호화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IC 칩을 사용하여 T-뱅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암호화/복호화를 위한 기능을 셋탑박스 내에 내장하지 않고서도 T-뱅킹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여 T-뱅킹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금융 정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며 사용자에게 간편한 T-뱅킹 환경을 제공하는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성, 케이블 및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IP-TV 등의 광대역 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광대역 네트워크 망 또는 위성, 케이블 또는 지상파 방송망 등을 사용하여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종래의 단순한 방송 프로그램만이 아니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양방향 광고 서비스나 VOD 서비스, PPV 서비스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TV를 통한 금융 서비스, 예컨대 계좌 조회, 이체 등의 서 비스를 제공하는 T-뱅킹 서비스나 TV를 통한 상품 구매 서비스인 T-커머스의 보급 역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T-뱅킹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모델로서 참조할 수 있는 것은 현재의 인터넷 상에서 구현되고 있는 인터넷 뱅킹 및 모바일 뱅킹 서비스이다.
현재의 인터넷 뱅킹은 공인 인증서 및 보안 모듈을 이용해 인터넷으로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뱅킹 서비스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인터넷 뱅킹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1b는 인터넷 뱅킹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1a에 도시되듯이 종래의 인터넷 뱅킹 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100)와, 은행 서버(200)와, 인증 기관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인용 컴퓨터(100)는 내부에 인증서 관리 모듈(110)과, 인터넷 뱅킹 모듈(120)과, 암호화/복호화 모듈(130)을 포함한다.
인증서 관리 모듈(110)은 공인 인증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공인 인증서는 공인 인증 기관(예컨대 금융결제원)에서 발급하며, 개인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은행을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한 후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 내의 하드 디스크나 혹은 플로피 디스크 또는 USB 메모리 등의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된다. 이후 인터넷 상에서의 은행 거래시 공인 인증이 필요할 경우마다 인증서 관리 모듈(110)을 통하여 저장된 공인 인증서를 판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인터넷 뱅킹 모듈(120)은 각 은행의 인터넷 뱅킹 서비스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모듈로서, 인터넷 망을 통하여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한다. 예컨대 인터넷 뱅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 기능과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암호화/복호화 모듈(130)은 보안을 위해서 개인용 컴퓨터(100)와 은행 서버(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즉 은행 서버(200)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며, 은행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이러한 개인용 컴퓨터(100)와 은행 서버(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금융 정보 또는 금융 거래에 따른 인적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은행 서버(200)는 종래의 레거시(legacy) 시스템(210)과 인터넷 뱅킹 모듈(220)과, 암호화/복호화 모듈(230)과, 인증 모듈(240)을 포함한다.
레거시 시스템(210)은 은행 내부에서 업무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산 시스템이다.
인터넷 뱅킹 모듈(220)은 개인용 컴퓨터(100)와 레거시 시스템(21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암호화/복호화 모듈(230)은 보안을 위해서 개인용 컴퓨터(100)와 은행 서버(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즉 개인용 컴퓨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호화하며, 개인용 컴퓨터(100)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인증 모듈(240)은 공인 인증서의 진위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 다. 이를 위하여 인증 모듈(240)은 인증 기관 서버(300)로 공인 인증서의 유효성 여부를 조회한다.
인증 기관 서버(300)는 인증 모듈(240)의 요청에 의해서 공인 인증서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 모듈(240)로 송신한다.
인증 모듈(240)은 RA(registration authority), 인증 기관 서버(300)는 CA(certificate authority)라고도 지칭된다.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 뱅킹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뱅킹 서비스의 제공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100)에서 공인 인증서를 사용하여 은행 서버(200)에 접속한다(S110).
은행 서버(200)에서는 인증 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해당 공인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사한다(S120).
이후 개인용 컴퓨터(100)에서는 뱅킹 서비스 요청 전문 등을 포함하는 뱅킹 서비스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은행 서버(200)로 전송한다(S130).
은행 서버(200)에서는 암호화된 뱅킹 서비스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뱅킹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서비스를 처리한다(S140).
이후 처리 결과를 암호화하여 개인용 컴퓨터(100)로 전송한다(S150).
개인용 컴퓨터에서 처리 결과가 수신되면 이를 복호화(S160)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한편 현재의 모바일 뱅킹은 공인 인증서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보안 모듈 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뱅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모바일 뱅킹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b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2a에 도시되듯이 종래의 모바일 뱅킹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50)와, 중계 서버(180)와, 은행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50)는 내부에 모바일 뱅킹 모듈(160)과, IC 칩(170)을 포함한다.
모바일 뱅킹 모듈(160)은 각 은행의 모바일 뱅킹 서비스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모듈로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한다. 예컨대 모바일 뱅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 기능과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IC 칩(170)은 내부에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보안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개인의 은행 계좌 정보 등의 금융 정보와 인적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중계 서버(180)는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50)에서 전송되는 모바일 뱅킹 데이터를 은행 서버(200')로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은행 서버(200')는 종래의 레거시(legacy) 시스템(210)과 모바일 뱅킹 모듈(260)과, 암호화/복호화 모듈(230)을 포함한다.
레거시(legacy) 시스템(210)과 암호화/복호화 모듈(230)은 전술한 인터넷 뱅킹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모바일 뱅킹 모듈(220)은 이동통신 단말기(150)와 레거시 시스템(21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또한 종래의 인터넷 뱅킹 서비스에서와는 달리 인증 기관에 의한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즉 모바일 뱅킹의 경우 공인 인증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증 기관에 의한 인증이 필요없이 이동통신 단말기(150)의 IC 칩(170)의 보안성을 강화하여 공인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뱅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보안 모듈을 IC 칩에 탑재하여 암호화/복호화하고, 실제 거래시에는 사용자가 사전 등록한 PIN 번호와, 계좌 비밀 번호/신용카드 비밀 번호, 보안카드 번호 등 3단계의 인증 절차를 거쳐 보안성을 강화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모바일 뱅킹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제공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50)에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경우 서비스 요청 전문을 포함하는 뱅킹 서비스 데이터를 암호화하고(S210), 이를 은행 서버(200')에 전송한다(S220). 이 경우 중계 서버(180)에서는 뱅킹 서비스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하지 않으며 단순히 뱅킹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 중계만을 수행한다.
이후 은행 서버(200')에서는 수신된 뱅킹 서비스 데이터를 복호화하며(S230), 뱅킹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복호화된 데이터에 따라 서비스를 처리한다 (S240). 이후 처리 결과를 암호화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50)로 전송한다(S250).
이동통신 단말기(150)에서 처리 결과가 수신되면 이를 복호화(S260)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러한 인터넷 뱅킹 또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식은 T-뱅킹 또는 T-커머스의 구현에 있어서 하나의 참조 기준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 뱅킹 서비스 또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방식을 T-뱅킹 서비스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어려운 실정이다.
우선 종래의 인터넷 뱅킹 서비스 방식과 같이 공인 인증서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현재 공인 인증서는 1인 당 1개의 키 값만이 주워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공인 인증서를 예컨대 인터넷 뱅킹용으로 발급받아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는 경우라면, 디지털 방송용 셋탑박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리턴 채널, 예컨대 VDSL 또는 케이블 망을 통하여 추가로 발급받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제한이 없이 1인당 다수의 공인 인증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디지털 방송 또는 IP-TV 수신을 위한 셋탑 박스는 하드웨어 구성이 방송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수신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최적화된 것이므로 정보 처리 능력이나 외부 인터페이스 등이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정보 처리 능력이나 인터페이스에 비해서 열악한 상황이므로 현실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즉 셋탑박스 내에 공인 인증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 자체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공인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한 데이터 처리 능력과 암호화/복호화 처리 능력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예컨대 인터넷 뱅킹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인 인증서를 통한 로그인 후 이를 액티브 X 등을 사용한 보안 모듈을 작동시켜서 인터넷 뱅킹을 수행하지만 하드웨어 구성상 셋탑박스 내에서 이러한 보안 모듈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이러한 공인 인증서의 관리 기능을 셋탑 박스 내에 구현하는 것 역시 안정적인 방송 스트림의 수신 및 제공을 최우선으로 하는 셋탑 박스의 동작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셋탑박스에서 공인 인증서를 저장하지 않고 외부의 저장 수단, 예컨대 USB 메모리에 공인 인증서를 저장한 후 인터넷 뱅킹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제공받는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T-뱅킹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셋탑박스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 역시 보안 모듈을 셋탑박스 내에서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T-뱅킹 서비스에서 공인 인증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릴레이 서버"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릴레이 서버 방식은, 제3의 사설 업체에 중개 시스템, 즉 릴레이 서버를 구축한 후, 디지털 방송 가입자가 T-뱅킹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때 상기 가입자의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공인 인증서를 중개 시스템에서 판독한 후 릴레이 서버와 디지털 방송 사업자의 가입자 관리 시스템을 연동하여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로밍"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릴레이 서버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릴레이 서버라는 제3의 기관에서 공인 인증서를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판독하여 이를 가입자 관리 시스템에 전달하는 것이므로 릴레이 서버의 보안성이 취약한 경우 인터넷 뱅킹 또는 T-뱅킹 서비스에서 개인의 인감 역할을 수행하는 공인 인증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공인 인증서는 발급된 후에는 이에 대한 모든 관리 책임과 권한이 개인에게 있으므로 이를 제3자의 시스템에 연동시켜 전달하는 것은 보안상 취약점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보안상 문제점 때문에 금융 감독원의 보안성 심사를 통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릴레이 서버 방식은 T-뱅킹 서비스에서 사용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모바일 뱅킹에서와 같이 IC 칩만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모바일 뱅킹에서 사용되는 IC 칩 방식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데이터의 전송이나 처리 결과의 표시 등의 작업만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각 은행에서 제공하는 은행 서버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속한 상태에서 통신이 수행되므로 이동통신 회사의 중계 서버는 단순히 이동통신 단말기와 은행 서버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T-뱅킹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데이터 공급자(data provider) 형태로 제공하던지 또는 별도의 독립형 채널로 제공하던지 간에 방송 사업자(케이블, 위성, 지상파 사업자 또는 IP-TV 서비스 사업자 등)의 서버에서 이를 일괄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중에서 T-뱅킹 서비스를 선택하고 방송 사업자의 중계에 의해서 원하는 뱅킹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종래의 모바일 뱅킹과는 달리 방송 사업자(또는 데이터 공급자) 측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뱅킹 서비스를 수신받아 원하는 뱅킹 서비스로 바이패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스트림 또는 광대역 통신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셋탑박스에 있어서, T-뱅킹 서비스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호화/복호화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IC 칩을 사용하여 T-뱅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암호화/복호화를 위한 기능을 셋탑박스 내에 내장하지 않고서도 T-뱅킹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여 T-뱅킹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금융 정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며 사용자에게 간편한 T-뱅킹 환경을 제공하는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암호화/복호화부와, 사용자의 금융 정보 또는 인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IC 칩과;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T-뱅킹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T-뱅킹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복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IC 칩에 요청하여 복호화하여 상기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고 상기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 중에서 암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IC 칩에 요청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와,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시 보안을 위한 제2 암호화/복호화부를 구비하는 셋탑박스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의 상기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을 상기 T-뱅킹 서비스를 처리하는 은행 서버-상기 암호화/복호화부에 대응되는 암호화/복호화 모듈을 구비함-로 중계하고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중계하며, 상기 제2 암호화/복호화부에 대응되는 제2 암호화/복호화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제2 암호화/복호화부에 의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은행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일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화/복호화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상기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IC 칩을 장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는,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IC 칩은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는, IR, 블루투스,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IC 칩은 IR, 블루투스,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셋탑박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공인 인증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IC 칩은 공인 인증서를 관리하기 위한 공인 인증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복호화부는 PKI 기반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셋탑박스"라는 용어는 위성, 케이블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수신 및 부가 서비스의 처리를 위해서 구성된 셋탑 박스 또는 광대역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IP-TV 서비스의 수신 및 부가 서비스의 처리를 위해서 구성된 셋탑 박스를 의미하며, 또한 이러한 셋탑 박스 기능이 디지털 TV에 내장되는 경우 해당되는 디지털 TV 수신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셋탑박스(400)와, IC 칩(500)을 포함한다. 또한 셋탑박스(400)는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600)를 통하여 은행 서버(700)에 접속하여 T-뱅킹 서비스를 구현한다.
셋탑박스(400)는 데이터 송수신부(410)와,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420)와,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4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수신부(410)는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케이블 방송인 경우 케이블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며, 또한 리턴 채널로서 케이블 망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는 예컨대 위성 방송인 경우 위성 방송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며, 또한 PSTN, ADSL 등의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IP-TV 또는 지상파 서비스의 경우도 대응되는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420)는 데이터 송수신부(4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 중에서 T-뱅킹 서비스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사용자의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 송수신부(4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430)는 T-뱅킹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복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복호화하도록 요청하여 복호화된 데이터를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420)에 제공하며, 사용자의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 중에서 암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요청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420)에 제공한다.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430)는 별도의 암호화 또는 복호화 모듈을 포함하지 않으며, 다만 암호화 또는 복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IC 칩(500)에 요청하여 암호화 또는 복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420)에 제공하는 것이다.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43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IC 칩(500)을 장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여 이 슬롯을 통하여 IC 칩(50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IC 칩(50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IC 칩(500)은 USB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단말기 또는 커넥터를 사용하여 셋탑박스(400)에 장착된다.
또는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430)는, IR, 블루투스,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IC 칩(50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IC 칩(500)은 IR, 블루투스,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에 장착되어 셋탑박스(4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무선 단말기는 예컨대 리모컨(IR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나 이동통신 단말기(IR, 블루 투스 등을 통한 데이터 전송) 또는 PDA(IR, 블루투스 또는 무선 LAN 등을 통한 데이터 전송)를 포함할 수 있다.
IC 칩(500)은 암호화/복호화부(510)와, 정보 저장부(520)를 포함한다.
암호화/복호화부(510)는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암호화/복호화부(510)의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는 미리 은행 서버(700)의 암호화/복호화 모듈(720)에 대응되어 발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의 IC 칩, 특히 모바일 뱅킹용 IC 칩의 경우는 PKI 방식을 사용하지 않지만, 향후 공인 인증서를 적용하는 경우 암호화/복호화 처리는 예컨대 PKI 기반의 암호화/복호화를 기초로 IC 칩(500)의 암호화/복호화부(510)와 은행 서버(700)의 암호화/복호화 모듈(720)에서 수행된다.
정보 저장부(520)는 사용자의 금융 정보 또는 인적 정보를 저장한다.
IC 칩(500)은 예컨대 현재 모바일 뱅킹을 위해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하는 IC 칩을 사용할 수 있다. IC 칩(500)의 역할은 보안에 필요한 데이터의 암호화 또는 복호화를 셋탑박스 대신에 처리하는 것이며, 또한 사용자의 금융 정보 또는 개인 정보를 저장하여 필요시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을 생성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계좌 이체를 수행하려는 경우 자신의 계좌 정보가 필요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계좌 정보는 종래 인터넷 뱅킹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전자 지갑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시 로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환경과는 달리 셋탑박스 내의 보안성은 취약하며, 따라서 이 러한 정보를 셋탑박스에 직접 저장하는 것은 해킹 등의 위험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계좌 정보를 입력하는 것 역시 리모컨이라는 제한된 입력수단을 사용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밖에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금융 정보 또는 개인 정보를 보안성 측면에서 월등한 IC 칩(500)에 저장한 후 필요시 이를 로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보 저장부(520)는 공인 인증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현재의 제도 하에서는 공인 인증서를 다수개 사용할 수 없지만 예컨대 IC 칩(500)에 공인 인증서를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나 셋탑박스(400)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인 인증서를 저장하는 경우 IC 칩(5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인 인증서 관리부를 더 포함하여, 공인 인증서의 관리를 수행한다. 이 경우,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IC 칩(500)에서 공인 인증서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셋탑 박스(400)의 처리 성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부(410)는 방송 사업자 또는 데이터 공급자의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600)를 통하여 은행 서버(700)와 통신을 수행한다.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600)는 셋탑박스(400)로부터 전송되는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을 은행 서버(700)로 중계한다.
은행 서버(700)는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에 대응하여 T-뱅킹 서비스를 처리하는 T-뱅킹 서비스 모듈(710)과, IC 칩(500)의 암호화/복호화부(510)에 대응되는 암호화/복호화 알고리즘을 구현한 암호화/복호화 모듈(720)을 포함한다. 수신된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은 암호화/복호화 모듈(720)에 의해서 복호화되어 T-뱅킹 서비스 모듈(710)에 의해서 처리된다. 또한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는 필요시 암호화/복호화 모듈(720)에 의해서 암호화되어 중계 서버(600)를 통하여 셋탑박스(400)로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도 3을 참조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차이점은 셋탑박스(400)내에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600)와의 별도의 암호화/복호화를 위한 제2 암호화/복호화부(440)를 포함하는 점이다. 이에 대응하여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600)에서도 제2 암호화/복호화 모듈(610)을 더 포함한다.
제2 암호화/복호화부(440)는 IC 칩(500)에 의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을 다시 한번 암호화하여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600)에 전송한다. 특히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600)에서 다수의 은행에 대해서 T-뱅킹 서비스를 중계하는 경우 T-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고도의 암호화/복호화 루틴을 사용하지 않지만 셋탑박스(400)와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600) 사이의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600)는 제2 암호화/복호화부(440)를 통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암호화/복호화 모듈(610)에서 복호화하며 이 중에서 IC 칩(500)에 의해서 암호화된 데이터는 은행 서버(600)로 전송하며 기타 데이터는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600)에서 T-뱅킹 서비스 중계를 위해서 처리한다. 또한 은행 서버(600)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서비스 처리 결과 역시 제2 암호화/복호화 모듈(610)에서 암호화하여 셋탑박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 T-뱅킹 서비스를 구현하는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 공급자 또는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화면에서 은행을 선택한 후 자금 이체/계좌 조회/계좌 정보 열람/대출 현황/은행 소식 등의 행위와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기존 인터넷 뱅킹 또는 T-뱅킹 서비스에서는 금융결제원 등에서 발행하는 공인 인증서를 고객이 은행에 신청하여 PC나 이동 저장 장치에 저장하여 전자금융거래 시 이용하는데 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해킹 및 위조, 변조가 어려운 IC 칩을 이용하여 이 칩에 내장된 보안 알고리즘을 통하여 T-뱅킹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고 방송사업자의 서버, 예컨대 디지털 미디어 센터 또는 데이터 공급자의 서버(VAN 포함)를 통하여 은행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높은 안전성과 기존 은행의 IC 칩 기반의 뱅킹 시스템을 그대로 T-뱅킹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T-뱅킹 서비스 구현시 비용을 절감할수 있다. 또한 공인 인증서 정보를 IC 칩에 저장하는 경우에도 공인 인증서의 관리를 IC 칩에 내장된 공인 인증서 관리 기능을 통하여 수행하므로 셋탑 박스의 스트림 처리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이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화/복호화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IC 칩을 사용하여 T-뱅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암호화/복호화를 위한 기능을 셋탑박스 내에 내장하지 않고서도 T-뱅킹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여 T-뱅킹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금융 정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며 사용자에게 간편한 T-뱅킹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암호화/복호화부와, 사용자의 금융 정보 또는 인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IC 칩과;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T-뱅킹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T-뱅킹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복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IC 칩에 요청하여 복호화하여 상기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고 상기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 중에서 암호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IC 칩에 요청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T-뱅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와,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시 보안을 위한 제2 암호화/복호화부를 구비하는 셋탑박스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의 상기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을 상기 T-뱅킹 서비스를 처리하는 은행 서버-상기 암호화/복호화부에 대응되는 암호화/복호화 모듈을 구비함-로 중계하고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T-뱅킹 서비스 처리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중계하며, 상기 제2 암호화/복호화부에 대응되는 제2 암호화/복호화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제2 암호화/복호화부에 의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은행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일부 데이터를 상기 제2 암호화/복호화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상기 T-뱅킹 서비스 중계 서버
    를 포함하는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IC 칩을 장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는,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IC 칩은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되어 장착되는 것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복호화 인터페이스부는, IR, 블루투스,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IC 칩은 IR, 블루투스,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셋탑박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공인 인증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IC 칩은 공인 인증서를 관리하기 위한 공인 인증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복호화부는 PKI 기반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것인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50077315A 2005-08-23 2005-08-23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720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315A KR100720955B1 (ko) 2005-08-23 2005-08-23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315A KR100720955B1 (ko) 2005-08-23 2005-08-23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278U Division KR200405313Y1 (ko) 2005-08-23 2005-08-23 T-뱅킹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107A KR20070023107A (ko) 2007-02-28
KR100720955B1 true KR100720955B1 (ko) 2007-05-28

Family

ID=4163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315A KR100720955B1 (ko) 2005-08-23 2005-08-23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18B1 (ko) * 2008-09-18 2011-09-14 신한카드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환경에서 ic 카드 및 셋탑박스와 연계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그리고, 금융거래 방법
KR101272358B1 (ko) * 2011-02-16 2013-06-07 주식회사 익스트러스 모바일단말기 탈부착용 보안 및 접근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309A (ko) * 1999-09-04 2001-04-06 정희원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뱅킹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45801A (ko) * 2003-11-11 2005-05-1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결제 처리방법과 ic 카드 및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309A (ko) * 1999-09-04 2001-04-06 정희원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뱅킹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45801A (ko) * 2003-11-11 2005-05-1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결제 처리방법과 ic 카드 및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107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8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piracy protection in a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EP1452027B1 (en) Access to encrypted broadcast content
CN101208952B (zh) 多媒体访问设备注册系统和方法
EP2066127B1 (en)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manage access to program content
US20030140257A1 (en) Encryption, 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for multimedia content pre-encryption
US20040205344A1 (en) Strong mutual authentication of devices
US7147157B2 (en) Secure remote-control unit
JP2005503081A (ja) ローカル・サーバーとローカル周辺機器間のデータ放送方法
US743347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a broadcasting center and a multimedia unit
KR20010022627A (ko) 암호화된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의 해독을 위한 디코더 장치
EP1523188A1 (en) Portable security module pairing
KR100720955B1 (ko) T-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976573B1 (ko) 공개키 기반 수신제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신제한서비스 방법
KR20040007417A (ko) 거래 인증
KR100589047B1 (ko) 디지털 tv뱅킹 인증 방법
KR200405313Y1 (ko) T-뱅킹 서비스 제공 장치
KR100758628B1 (ko) T-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50302506A1 (en) Method for Securing an Order or Purchase Operation Means of a Client Device
KR100718982B1 (ko) 사용자 단말간 공인 인증서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820228B1 (ko) 1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시청권한 인증 시스템 및그 방법
EP159538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one-way and two-way security systems to enable secure distribution of encrypted services
KR200400189Y1 (ko) T-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064718B1 (ko) 디지털 방송환경에서 ic 카드 및 셋탑박스와 연계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그리고, 금융거래 방법
KR20100069928A (ko) 단말의 인터넷 결제에 대한 보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FR2895865A1 (fr) Procede de distribution de contenus televisuels soumis a abonn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3